KR200359546Y1 - 진열 장치 - Google Patents

진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546Y1
KR200359546Y1 KR20-2004-0012904U KR20040012904U KR200359546Y1 KR 200359546 Y1 KR200359546 Y1 KR 200359546Y1 KR 20040012904 U KR20040012904 U KR 20040012904U KR 200359546 Y1 KR200359546 Y1 KR 200359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lay device
rod
locking portion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이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성 filed Critical 이기성
Priority to KR20-2004-0012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5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06Hangers for hanging articles on bars, tringles, bracket ar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 형상과 걸이 형상의 혼용 내지는 대체 사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미관을 향상시키는 진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열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걸쳐 설치되는 걸이대(臺); 상기 걸이대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걸림 턱 구조로 형성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의 걸림 턱에 걸림 돌기로 걸리는 구조를 형성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열 장치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진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을 쌓거나 걸어 둘 수 있는 진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 전시매장 또는 백화점에는 상품들을 전시해 고객의 시선을 끌기 위한 다양한 형상 및 종류의 진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 진열 장치들은 주로, 상품, 즉 물품들을 쌓아두는 매대 내지는 선반 형상과 별도의 걸이 기구를 사용하여 물품을 걸어두는 행거 내지는 걸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각 진열 장치는 물품을 쌓아두거나 걸어두는 상태로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호 혼용 또는 대체 사용이 곤란하다. 예를 들어 선반형 진열 장치에는 물품을 걸어둘 수 없고, 걸이형 진열 장치에는 물품들을 쌓아두기 곤란하다.
또한, 이 진열 장치는 물품들을 단순히 쌓아놓거나 걸어두는 용도로만 사용되거나 미관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반 형상과 걸이 형상의 혼용 내지는 대체 사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미관을 향상시키는 진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4는 판상(板狀) 걸이대의 저면에서 본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판상 걸이대의 저면에서 본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봉상(棒狀) 걸이대의 제1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봉상 걸이대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봉상 걸이대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봉상 걸이대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걸이 기구의 걸림부의 제1 내지 제5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를 진열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진열 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횡 프레임
14 : 종 프레임 16 : 종 프레임
18 : 전향(前向) 프레임 20 : 걸이 기구
30 : 걸이대 32 : 판상 걸이대
34 : 봉상 걸이대 50 : 제1 걸림부
52 : 자석 54 : 종 홈
56 : 전후 홈 58 : 횡 홈
70 : 제2 걸림부 90 : 바퀴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열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걸쳐 설치되는 걸이대(臺); 및
상기 걸이대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걸림 턱 구조를 형성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걸쳐 설치되는 걸이대(臺);
상기 걸이대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걸림 턱 구조를 형성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의 걸림 턱에 걸림 돌기로 걸리는 구조를 형성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바닥에 설치되는 수평 방향의 횡 프레임과 이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종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횡 프레임은 그 저면에 바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벽의 일면 양측에 설치되는 종 프레임 및 이의 각 일측에서 벽 전방으로 구비되는 전향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프레임은 전향 프레임의 선단에서 이의 하측 종 프레임을 연결 지지하는 대각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대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판상 걸이대 또는 봉상으로 형성되는 봉상 걸이대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상 걸이대는 그 저면에 폭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1 걸림부를 길이 방향에 따라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걸림부는 판상 걸이대의 폭 방향 전 영역에 걸쳐 신장 형성되거나 폭 방향 양단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제1 걸림부가 걸이대의 폭 방향의 측단에 형성되는 경우, 제1 걸림부 내측에 자석을 구비하면 걸이 기구의 금속재 걸림 돌기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봉상 걸이대는 그 전면에 높이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걸림부를 길이 방향에 따라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걸림부는 봉상 걸이대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 홈과, 종 홈의 도중에 그 전면에서 후면으로 형성되는 전후 홈으로 구성된다. 이 제1 걸림부는 봉상 걸이대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 홈과, 종 홈의 도중의 전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횡 홈으로 구성된다. 이 횡 홈은 종 홈 보다 깊게 형성되어 걸이 기구의 걸림 돌기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봉상 걸이대의 제1 걸림부는 봉상 걸이대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종 홈과, 종 홈의 도중에 그 전면에서 후면으로 형성되는 전후 홈으로 구성되며, 이 종 홈은 그 전면에서 하방으로만 형성되고, 전 후 홈은 종 홈의 상단에 형성된다. 이 종 홈은 봉상 걸이대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 형성되거나 그 전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종 홈이 봉상 걸이대의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 그 내측에 자석을 구비하면 걸이 기구의 금속재 걸림 돌기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봉상 걸이대는 그 종단면이 원형과 사각형 및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걸림부의 걸림 돌기는 제1 걸림부에 대응하여 안정된 결합 구조를 이루는 구, 다면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진열 장치를 설명하면, 이 장치는 크게 프레임(10)과 걸이대(30) 및 제1 걸림부(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며, 본 장치를 최적의 상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2 걸림부(7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은 본 장치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써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이대(30)에 옷걸이, 타이 걸이 또는 다양한 걸이들을 걸어둘 수 있도록 본 장치가 설치되는 매장이나 가정의 방 등의 바닥으로부터 적절한 높이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 프레임(10)은 그 사용 장소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는 그 일예로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프레임(10)을 설명한다. 이 프레임(10)은 횡 프레임(12)과 종 프레임(14)으로 형성된다. 횡 프레임(12)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본 장치가 설치되는 바닥 측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종 프레임(14)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이 횡 프레임(12)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 횡, 종 프레임(12, 14)은 판상 뿐만 아니라 봉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횡 프레임(12)은 그 저면에 바퀴(90)를 구비하여 많은 옷을 걸어 중량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도 본 장치를 매장 내에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프레임(10)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횡 프레임(12) 없이 종 프레임(14)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바퀴(90)는 종 프레임(14)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대(3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거나 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레임(10)에 걸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걸이대(30)는 보다 다양한 프레임(10)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걸이대(30)는 바닥 또는 횡 프레임(12)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수평 상태로 설치되거나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걸이대(30)가 수평 상태로 설치되고 판상 걸이대(32)로 형성되는 물품을 쌓아둘 수 있게 한다. 또한 걸이대(30)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이 걸이대(30)에 형성되는 제1 걸림부(50)는 제2 걸림부(70)가 원활히 걸릴 수 있는 대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들로써, 본 실시예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는 판상 걸이대(32)와 봉상(棒狀)으로 형성되는 봉상 걸이대(34)를 예시하고 있다. 이 판상 걸이대(32)와봉상 걸이대(34)는 각각 별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모두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판상 걸이대(32)와 봉상 걸이대(34)가 같이 사용되는 것이 예시된다. 즉, 판상 걸이대(32)를 프레임(10)의 상단에 구비하고, 이 판상 걸이대(32)의 하측의 프레임(32) 상단 중앙에 봉상 걸이대(34)를 구비한다.
상기한 제1 걸림부(50)는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걸이대(30)에 이 걸이대(30)의 형상에 적절하게 대응되도록 걸림 턱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이 제1 걸림부(50)는 걸이대(30)의 측면에도 하나 이상으로 적절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그 측면에 하나의 제1 걸림부(50)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다.
먼저, 판상 걸이대(32)는 그 저면에 폭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며, 걸림 턱 구조를 형성하는 제1 걸림부(50)를 길이 방향에 따라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구비한다. 즉 각각의 제1 걸림부(50)는 판상 걸이대(32)의 폭 방향으로 신장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다수의 제1 걸림부(50)들은 판상 걸이대(32)의 길이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된다. 이 제1 걸림부(50)의 이웃하는 다른 제1 걸림부(50)와의 간격은 이 제1 걸림부(50)에 걸리게 될 물품의 두께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50)를 물품의 두께에 따라 몇 개씩 건너 뛰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판상(板狀) 걸이대의 저면에서 본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제1 걸림부(50)를 설명하면, 이 제1 걸림부(50)는 판상 걸이대(30)의 폭 방향에 대하여 전(全) 영역에 걸쳐지는 구조로 신장 형성된다. 이 제1 걸림부(50)는 판상 걸이대(30)의 전방이나 후방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 제1 걸림부(50)는 턱 구조에 의하여, 제2 걸림부(70)를 판상 걸이대(3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행되면서 삽입하여 걸 수는 있지만 상하 방향으로는 걸림부(70)를 뺄 수 없게 한다.
이렇게 형성되는 제1 걸림부(50)는 제2 걸림부(7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72)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도록 그 개구가 수직 하향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제1 걸림부(50)는 판상 걸이대(30)가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직선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72)를 가지는 제2 걸림부(70)가 안정된 구조로 걸리도록 판상 걸이대(30)가 설치되는 경사각도만큼을 보상하도록 판상 걸이대(30) 상에 경사지게 형성되어(미도시) 제1 걸림부(50)의 개구 방향이 여전히 수직 하향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5는 판상 걸이대의 저면에서 본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제1 걸림부(50)를 설명하면, 이하의 실시예들의 제1 걸림부(5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구성되어 동일 내지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가지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들과 다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의 제1 걸림부(50)는 판상 걸이대(30)의 폭 방향에 대하여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양단에 별도로 형성된다. 이 제1 걸림부(50)는 판상 걸이대(30)의 폭 방향 양단에서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걸림부(50)가 판상 걸이대(30)의 폭 방향에 대하여 짧게 형성되는 경우 그 내측에 자석(52)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 자석(52)은 상기 제2 걸림부(70)가 금속재로 형성되는 경우 제2 걸림부(70)를 제1 걸림부(5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판상 걸이대(30)를 적용한 진열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제1, 제2 걸림부(50, 70)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깨끗하게 정돈된 분위기를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봉상 걸이대(34)도 상기 판상 걸이대(32)와 유사 내지 동일하게 구성되어 유사 내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며, 그 형상의 차이로 인한 구성 및 작용 효과상의 차이가 있다.
상기 봉상 걸이대(34)는 그 전면에 높이 방향(도면상에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과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걸림부(50)를 그 길이 방향에 따라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구비한다. 즉 각각의 제1 걸림부(50)는 봉상 걸이대(34)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다수의 제1 걸림부(50)들은 봉상 걸이대(34)의 길이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된다. 이 제1 걸림부(50)의 이웃하는 다른 제1 걸림부(50)와의 간격은 또한 상기와 같이 이 제1 걸림부(50)에 제2 걸림부(70)를 개재하여 걸리게 될 물품, 예를 들면 의복 및 넥타이 등의 두께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50)를 물품의 두께에 따라 몇 개씩 건너 뛰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간격이 일정한 경우에는 한 물품의 전용 진열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봉상(棒狀) 걸이대의 제1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제1 걸림부(50)를 설명하면, 이 제1 걸림부(50)는 봉상걸이대(34)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 홈(54)과, 이 종 홈(54)의 도중에 그 전면에서 후면으로 형성되는 전후 홈(56)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종 홈(54)이 봉상 걸이대(34)의 전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봉상 걸이대(34)를 상하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 종 홈(54)은 상기 제2 걸림부(70)가 제1 걸림부(50)가 걸린 상태에서 제2 걸림부(7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72)가 삽입된 상태로 걸이 기구(20)가 위치되게 하여 안정된 구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전후 홈(56)은 상기 종 홈(54)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종 홈(54)과의 사이에 걸림 턱 구조를 형성하며, 그 내측에 상기와 같이 자석(52)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7은 봉상 걸이대의 제2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제1 걸림부(50)를 설명하면, 이 제1 걸림부(50)는 봉상 걸이대(34)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 홈(54)과, 이 종 홈(54)의 도중의 전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횡 홈(58)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종 홈(54)은 제1 실시예의 상기 종 홈(54)과 동일하게 작용하며, 이 종 홈(54)과 교차하는 횡 홈(58)은 이 교차 부분에서 걸림 턱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전후 홈(56)과 같은 작용한다. 이의 안정된 구조를 위하여 횡 홈(58)은 종 홈(54)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걸림부(70)는 제1 걸림부(50)에서 횡 홈(58)의 2면과 전후 홈(56)의 1면, 즉 3면의 지지를 받게 된다. 이 전후 홈(56) 내에도 상기한 자석(52)이 구비되는 것이 더 좋다.
도 8은 봉상 걸이대의 제3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제1 걸림부(50)를 설명하면, 이 제1 걸림부(50)는 봉상 걸이대(34)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 홈(54)과, 이 종 홈(54)의 도중에 그 전면에서 후면으로 형성되는 전후 홈(56)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 종 홈(54)을 그 전면에서 하방으로만 형성하고, 그 전후 홈(56)을 종 홈(54)의 하단에 형성한다. 따라서 제2 걸림부(70)는 제1 걸림부(50)의 하방에 메달리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 홈(54)은 봉상 걸이대(34)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그 전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전면에만 형성되는 경우 종 홈(54)은 그 내측에 자석(52)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조들의 작용 효과는 상기한 바와 같다.
도 9는 봉상 걸이대의 제4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제1 걸림부(50)를 설명하면, 이 제1 걸림부(50)는 봉상 걸이대(34)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 홈(54)과, 이 종 홈(54)의 도중에 그 전면에서 후면으로 형성되는 전후 홈(56)을 포함하는 상기 제3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종단면이 사각형 또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은 봉상 걸이대(34)는 그 종단면을 원형이나 사각형 및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단조로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걸림부(70)는 제1 걸림부(50)의 걸림 턱에 걸림 돌기로 걸리는 별도의 걸이 기구(20)에 구비된다.
도 10 내지 도 14는 걸이 기구의 걸림부의 제1 내지 제5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2 걸림부(70)를 설명하면, 이 제2 걸림부(70)는 제1 걸림부(50)에 대응되어 이의 걸림 턱 구조에 걸릴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 걸림부(70)의 걸림 돌기는 구, 다면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등의 다양하게 형성되어도 좋다. 즉, 도 10은 구, 도 11은 육면체, 도 12는 사면체, 도 13은 원기둥, 및 도 14는 6각 기둥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70)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2 걸림부(70)는 제1 걸림부(50)와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면 된다. 즉 제1 걸림부(50)가 구인 경우 제2 걸림부(70)는 적어도 구보다 직경이 큰 원형 실린더로 형상 내측에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원형 실린더로 형성되어도 좋고, 적어도 걸림 턱 구조를 형성하여 상호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제2 걸림부(70)가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되는 경우, 제1 걸림부(50)는 제2 걸림부(70)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도록 전후 홈(56)을 상기한 원형 실린더를 비롯하여, 삼각 실린더, 사각 실린더를 포함하는 다각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를 진열 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장치를 설명하면, 이 진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걸림대(30), 즉 판상 걸림대(32)와 봉상 걸림대(34)를 도 1과 다르게 형성되는 프레임(10)에 적용한 실시예이다. 즉,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판상 걸림대(32) 및 봉상 걸림대(34)를 다양한 프레임(10)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이 프레임(10)은 상기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프레임(10)과 달리 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프레임(10)은 벽의 일면 양측에 설치되는 종 프레임(16)과 이의 각 일측에서 벽 전방으로 구비되는 전향(前向) 프레임(18)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전향 프레임(18)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걸림대(32)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다수의 봉상 걸림대(34)가 설치(미도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전향 프레임(18)의 선단에서 이의 하측 종 프레임(16)을 연결하여, 전향 프레임(18)의 처짐을 지지하는 대각 프레임(19)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향 프레임(18) 상에 판상 걸림대(32)를 설치하고, 대각 프레임(13)과 종 프레임(16) 사이에 봉상 걸림대(34)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진열 장치는 판상 걸림대(32)에 물품을 쌓아두거나, 봉상 걸림대(34)에 물품을 걸어둘 수 있으며, 또한 이 두 가지를 동시에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진열 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장치를 설명하면, 이 진열 장치는 봉상 걸이대(34)를 이용한 행거 타입으로 구성된다. 이 장치에는 도 6 내지 도 9의 봉상 걸이대(34)의 중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이 장치의 작용 효과는 상기한 바와 같고 단지 다양한 프레임(10)의 구조에 상기한 다양한 봉상 걸리대(34)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한번 더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에 사용되는 각 구성요소들을 목재로 하는 경우 미적이 감각을 좋게 하면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다른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거나 제조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걸림대(30)의 일측에만 제1 걸림부(50)를 형성하는 경우,그 일측에만 제2 걸림부(70)가 걸리게 되므로 제1 걸림부(50)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서는 걸이 기구(20)가 많이 걸려 있어도 가지런하게 정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진열 장치에 의하면, 판상 또는 봉상의 걸이대에 걸림 턱 구조로 제1 걸림부를 구비하거나, 이 제2 걸림부에 더하여 이 걸림 턱에 걸림 돌기로 걸리는 구조를 형성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함으로써 물품을 진열 해 둘 때, 물품을 쌓아두거나 걸어두는 방법을 혼용하거나 대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걸이대의 일측에 형성하는 경우 이들이 형성되지 않은 측에서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걸쳐 설치되는 걸이대(臺); 및
    상기 걸이대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걸림 턱 구조를 형성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진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바닥 측에 설치되는 수평 방향의 횡 프레임과 이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종 프레임을 포함하는 진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은 그 저면에 바퀴를 구비하는 진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벽의 일면 양측에 설치되는 종 프레임 및 이의 각 일측에서 벽 전방으로 구비되는 전향 프레임을 포함하는 진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향 프레임의 선단에서 이의 하측 종 프레임을 연결 지지하는 대각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진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판상 걸이대로 이루어지는 진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상 걸이대는 그 저면에 폭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1 걸림부를 길이 방향에 따라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구비하는 진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는 봉상으로 형성되는 봉상 걸이대로 이루어지는 진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봉상 걸이대는 그 전면에 높이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걸림부를 길이 방향에 따라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구비하는 진열 장치.
  10.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걸쳐 설치되는 걸이대(臺);
    상기 걸이대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걸림 턱 구조를 형성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의 걸림 턱에 걸림 돌기로 걸리는 구조를 형성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진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바닥에 설치되는 수평 방향의 횡 프레임과 이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종 프레임을 포함하는 진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은 그 저면에 바퀴를 구비하는 진열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벽의 일면 양측에 설치되는 종 프레임 및 이의 각 일측에서 벽 전방으로 구비되는 전향 프레임을 포함하는 진열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향 프레임의 선단에서 이의 하측 종 프레임을 연결 지지하는 대각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진열 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판상 걸이대로 이루어지는 진열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판상 걸이대는 그 저면에 폭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1 걸림부를 길이 방향에 따라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구비하는 진열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판상 걸이대의 폭 방향 전 영역에 걸쳐 신장 형성되는 진열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판상 걸이대의 폭 방향 양단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별도로 형성되는 진열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그 내측에 자석을 구비하는 진열 장치.
  20.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는 봉상으로 형성되는 봉상 걸이대로 이루어지는 진열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봉상 걸이대는 그 전면에 높이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걸림부를 길이 방향에 따라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구비하는 진열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봉상 걸이대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 홈과, 이 종 홈의 도중에 그 전면에서 후면으로 형성되는 전후 홈을 포함하는 진열 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봉상 걸이대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 홈과, 이 종 홈의 도중의 전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횡 홈을 포함하는 진열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횡 홈은 종 홈 보다 깊게 형성되는 진열 장치.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봉상 걸이대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 홈과, 이 종 홈의 도중에 그 전면에서 후면으로 형성되는 전후 홈으로 구성되며, 이 종 홈은 그 전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되고, 전 후 홈은 종 홈의 상단에 형성되는 진열 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종 홈은 봉상 걸이대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 형성되거나 그 전면에 형성되는 진열 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종 홈은 그 내측에 자석을 구비하는 진열 장치.
  28.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봉상 걸이대는 그 종단면이 원형과 사각형 및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진열 장치.
  29.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의 걸림 돌기는 제1 걸림부에 대응하도록 구, 다면체, 원기둥, 및 다각기둥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진열 장치.
KR20-2004-0012904U 2004-05-10 2004-05-10 진열 장치 KR200359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904U KR200359546Y1 (ko) 2004-05-10 2004-05-10 진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904U KR200359546Y1 (ko) 2004-05-10 2004-05-10 진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608A Division KR100600793B1 (ko) 2004-05-10 2004-05-10 진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546Y1 true KR200359546Y1 (ko) 2004-08-21

Family

ID=4934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904U KR200359546Y1 (ko) 2004-05-10 2004-05-10 진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5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90Y1 (ko) 2009-10-29 2012-01-18 이철호 조립식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90Y1 (ko) 2009-10-29 2012-01-18 이철호 조립식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6602B2 (en) Modular storage and display system
US5379976A (en) Wall mounting system
US8752718B2 (en) End frame for display structure
US5251973A (en) Locker organizer or the like
US5505314A (en) Display rack
US7178681B2 (en) Display rack construction
EP0716824B1 (en) Multifaceted display stand
US6880708B2 (en) Product display rack
US20130146550A1 (en) Vertical display structure with bump out assembly
KR200470599Y1 (ko) 조립식 선반
CA2828849C (en) Display fixture having a display hook
KR200359546Y1 (ko) 진열 장치
US20090107936A1 (en) Display rack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0600793B1 (ko) 진열 장치
US6394288B1 (en) Merchandising rack
KR100608242B1 (ko) 진열 장치
US4932539A (en) Display framework construction
US6935520B1 (en) Rug hooking workstation
KR20080027580A (ko) 조립식 선반틀의 행거 설치구조
CN214964355U (zh) 挂墙衣架
CN208807745U (zh) 促销柜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JP3167329U (ja) 陳列什器
CN211154885U (zh) 一种陈列架
JP3024365U (ja) 陳列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