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246Y1 -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 - Google Patents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246Y1
KR200359246Y1 KR20-2004-0014022U KR20040014022U KR200359246Y1 KR 200359246 Y1 KR200359246 Y1 KR 200359246Y1 KR 20040014022 U KR20040014022 U KR 20040014022U KR 200359246 Y1 KR200359246 Y1 KR 200359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crop cultivation
connector
fitting
constr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경수
Original Assignee
손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수 filed Critical 손경수
Priority to KR20-2004-0014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2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2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오이와 같은 덩굴식물 재배 시에 구축되는 구축물, 채소 및 과일 등을 재배하기 위하여 구축되는 작물하우스 구축물, 유리온실을 동절기에 보온하기 위한 지붕을 구축하는 구축물에 있어 자재비용의 최소화, 시공 간편에 의한 설치의 편리성 및 설치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구축물의 지지골조로서 수직형으로 세워지는 파이프형태의 지주 내경에 끼움 되는 하단조립부와, 아치형 지붕을 형성하는 봉소재가 착탈가능으로 조립되는 끼움홈을 상기 하단조립부의 내부까지 연장하여 형성한 머리부가 수지재로 일체 성형되어 구성된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하여 통상의 작물재배용 구축물을 구성하는 지주를 벤딩하여 아치형 지붕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수직형 지주를 일정간격으로 폭방향의 양측과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를 세워 고정하고, 상기 폭방향의 양측 수직형 지주의 상단부에 상기 연결구의 하단조립부를 각각 끼움 조립하고 상기 연결구의 끼움홈에 상기 봉소재를 끼움 하여 아치형의 지붕을 형성한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조에 있다.

Description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ROOF STRUCTURING CONNECTING MEANS OF A STRUCTURE FOR RAISING CROPS AND ROOF CONSTRUCTION OF STRUCTURE FOR RAISING CROPS USING SAME}
본 고안의 오이와 같은 덩굴식물 재배 시에 구축되는 구축물, 채소 및 과일 등을 재배하기 위하여 구축되는 작물하우스 구축물, 유리온실을 동절기에 보온하기 위한 지붕을 구축하는 구축물에 있어 자재비용의 최소화, 시공 간편에 의한 설치의 편리성 및 설치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이와 같은 덩굴식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E)에 지붕부분을 아치형으로 벤딩한 벤딩파이프(2)를 일정간격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벤딩파이프(2)의 위에 그물망(3)을 씌워 구축물을 구성하고, 오이줄기와 덩굴이 그물망(3)의 표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오이를 재배하는 방법이 주지되고 있다.
이러한 오이 재배를 위한 구축물은 지붕부분을 구축을 위하여 직선상의 파이프의 중앙부분을 벤딩머신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아치형으로 벤딩하여 설치함으로서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용되고, 한번 벤딩된 상기 벤딩파이프(3)는 별도의 활용이제약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동절기에 보온을 목적으로 구축되는 작물하우스(비닐하우스)의 경우에도 수직형 지주를 길이방향으로 양방에 걸쳐 다수개 세우고, 이들 양방의 수직형 지주를 연결하면서 지붕을 형성하기 위하여 아치형으로 벤딩된 파이프를 상기 수직형 지주와 용접하거나, 별도의 고정클립에 의해 체결하고 그 외부에 비닐을 덮어 씌워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벤딩된 파이프의 소요가 필수적이고, 설치가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과, 값비싼 고정클립을 사용하여 구축함으로 비용은 더욱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유리온실과 같은 구축물의 경우에도 동절기에는 지붕에 눈이 덮임으로 인하여 햇빛의 차단방지 및 보온의 보강을 위하여 유리온실의 지붕 외측에 별도로 비닐과 같은 보온막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유리온실의 지붕 보온막 구축은 기 구축된 유리온실의 모서리부분 위치의 골조 양측에 별도로 연결파이프를 용접 부착하고 이들 간을 벤딩된 파이프와 조립하여 보온 목적의 지붕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벤딩파이프를 사용함으로서 비용이 많이 들고 설치작업이 난이 하여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물재배용의 구축물을 구성하는 지주의 연결시공이 용이하면서 지붕의 구축이 간단하여 소요 자재비용의 최소화, 시공 간편성 및 설치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한 구조에 의한 시공이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시에 구축물의 해체작업이 용이하고, 해체된 지주 파이프의 다른 용도 사용이 가능하여 소요자재의 사용목적을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일 예의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일 실시예의 발췌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실시도,
도 7은 도 6의 "F"부 발췌 확대도로서 FRP봉에 의한 지붕 구축 상태도,
도 8은 도 7의 평단면도,
도 9는 도 6의 "F"부 발췌 확대도로서 스틸봉에 의한 지붕 구축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C-C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D-D선 단면도,
도 13은 도 6에 따른 도 10을 적용한 경우의 일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단조립부 11 : 끼움돌기
12 : 작은외경관 20 : 머리부
21 : 끼움홈 22 : 만곡면
30 : 봉소재 P : 수직형 지주
본 고안의 특징은 구축물의 지지골조로서 수직형으로 세워지는 파이프형태의 지주 내경에 끼움 되는 하단조립부와, 아치형 지붕을 형성하는 봉소재가 착탈가능으로 조립되는 끼움홈을 상기 하단조립부의 내부까지 연장하여 형성한 머리부가 수지재로 일체 성형되어 구성된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하여 통상의 작물재배용 구축물을 구성하는 지주를 벤딩하여 아치형 지붕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수직형 지주를 일정간격으로 폭방향의 양측과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를 세워 고정하고, 상기 폭방향의 양측 수직형 지주의 상단부에 상기 연결구의 하단조립부를 각각 끼움 조립하고 상기 연결구의 끼움홈에 상기 봉소재를 끼움 하여 아치형의 지붕을 형성한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구는 구축물의 지지골조로서 수직형으로 세워지는 파이프형태의 지주(P) 내경에 끼움되는 하단조립부(10)와, 아치형 지붕을 형성하는 봉소재(30)가 착탈가능으로 조립되는 끼움홈(21)을 상기 하단조립부(10)의 내부까지 연장하여 형성한 머리부(20)가 수지재로 일체 성형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단조립부(10)는 상기 수직형 지주(P)의 내경에 밀착되는 다수의 끼움돌기(11)가 작은 외경관(12)의 외부에 방사상 일체로 돌출상태로 성형된다.
이러한 하단조립부(10)의 구성은 성형되는 원자재의 절감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끼움돌기(11)가 상기 수직형 지주(P)의 내경면과 직각상태로 밀착 조립됨으로서 외력에 의한 꺾어짐 강도가 보장된다.
또한, 상기 머리부(20)는 상부면이 만곡면(22)으로 형성되어 외부에 덮여지는 비닐 같은 얇은 보호막과의 접촉에 의한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홈(21)은 상기 봉소재(30)의 외경에 따라서 끼움 가능한 내경을 갖도록 다단계로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홈(21)은 하부의 소경끼움홈(21a)과 상부의 대경끼움홈(21b)이 단차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봉소재(30)의 외경이 소경으로서 강성이 뛰어난 스틸봉(S.T)일 경우에는 하단부의 소경 끼움홈(21a)에 조립되고, 상기 대경끼움홈(21b)에는 인발성형공법으로 제조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재로 제조된 FRP봉(F.P)이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봉소재(30)로서 상기 스틸봉(S.T)과 FRP봉(F.P)은 당업계에서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끼움홈(21)의 다단계 성형은 상기 봉소재들의 외경에 맞추어 성형되는 것으로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10 내지 도 14와 같이, 상기 머리부(20)의 하단부에 상기 수직형 지주(P)의 상단부를 감싸는 외통관(25)을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통관(25)의 구성은 상기 하단조립부(10)에 의한 상기 지주(P)의 내경에 밀착 끼움되고 상기 머리부(20)와의 조립부분을 감싸면서 외경에 밀착 조립되어 조립강도의 보강은 물론 접속부분의 외부노출이 차단하여 외적 미려에 의한 제품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연결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작물재배용 구축물을 구성하는 지주를 벤딩하여 아치형 지붕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수직형 지주(P)를 일정간격으로 폭방향의 양측과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를 지면(E)에 세워 고정하고, 상기 폭방향의 양측 수직형 지주(P,P)의 상단부에 상기 연결구의 하단조립부(10)를 각각 끼움 조립하고 상기 연결구의 끼움홈(20)에 상기 봉소재(30)의 양단부를 끼움 하여 아치형의 지붕을 형성함으로서 구축물의 지붕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축물의 지붕 구조는 종래와 같이 벤딩파이프가 필요 없이 현장에서 수직형 지주(P)를 세워 고정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연결구를 하단끼움부(10)로 조립한 다음, 상기 봉소재(30)의 머리부(20)의 끼움홈(21)에 일단을 끼움하고 타단을 대향 측의 수지형 지주(P)에 조립된 연결구의 끼움홈(21)에 중앙부분을 활처럼 휘어 끼움 함으로 간단하게 아치형 지붕의 구축이 제공됨으로서, 시공작업의 편리성이 보장된다.
상기 봉소재(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다단계로 형성되는 끼움홈(21)에 있어, 상부의 대경끼움홈(21a)에는 탄성을 갖는 FRP봉소재(F.P)를 조립하여 지붕을 구축할 수 있고, 상기 소경끼움홈(21a)에는 비교적 강성이 뛰어나 소경으로 제조되는 스틸봉소재(S.T)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자 작물재배용의 구축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지면에 수직형 지주를 세워 고정하고 본 고안의 연결구를 조립한 후에 탄성을 갖는 봉소재의 양단을 간편하게 연결 조립함으로서 가능케 하여 구축물의 골조를 구성하는 지주의 연결시공이 편리한 효과, 지붕의 구축이 간단하여 소요 자재비용 및 설치비용의 절감효과가 보장된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시에 구축물의 해체작업이 용이성, 해체된 지주 파이프의 다른 용도 사용으로 자재의 재활용에 의한 경제성이 보장된다.

Claims (7)

  1. 구축물의 지지골조로서 수직형으로 세워지는 파이프형태의 지주 내경에 끼움 되는 하단조립부와, 아치형 지붕을 형성하는 봉소재가 착탈가능으로 조립되는 끼움홈을 상기 하단조립부의 내부까지 연장하여 형성한 머리부가 수지재로 일체 성형되어 구성된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조립부는 상기 수직형 지주의 내경에 밀착되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작은 외경관의 외부에 방사상 일체로 돌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부면이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봉소재의 외경에 따라서 끼움 가능한 내경을 갖도록 다단계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하단부에 상기 수직형 지주의 상단부를 감싸는 외통관을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5. 제1항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통상의 작물재배용 구축물을 구성하는 지주를 벤딩하여 아치형 지붕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수직형 지주를 일정간격으로 폭방향의 양측과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를 세워 고정하고, 상기 폭방향의 양측 수직형 지주의 상단부에 상기 연결구의 하단조립부를 각각 끼움 조립하여 이들의 끼움홈에 상기 봉소재의 양단부를 끼움 하여 아치형의 지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소재는 탄성을 갖는 FRP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소재는 탄성을 갖는 스틸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
KR20-2004-0014022U 2004-05-20 2004-05-20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 KR200359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022U KR200359246Y1 (ko) 2004-05-20 2004-05-20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022U KR200359246Y1 (ko) 2004-05-20 2004-05-20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246Y1 true KR200359246Y1 (ko) 2004-08-16

Family

ID=4943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022U KR200359246Y1 (ko) 2004-05-20 2004-05-20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2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57B1 (ko) * 2016-06-29 2018-04-20 김현주 침대매트릭스를 이용한 넝쿨식물 팬스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57B1 (ko) * 2016-06-29 2018-04-20 김현주 침대매트릭스를 이용한 넝쿨식물 팬스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34360A (ja) 蔓性植物の栽培棚並びに栽培方法
KR101441662B1 (ko) 농작물용 비가림 하우스의 지지대
KR101292392B1 (ko) 조립식 온실 하우스
KR102196905B1 (ko) 농작물 걸침 구조체
US20180106063A1 (en) Trellis anchor base support and trellis anchoring system
KR200359246Y1 (ko) 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 구축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작물재배용 구축물의 지붕구조
CN210328711U (zh) 一种适用于葡萄栽培的大棚
JP2018007650A (ja) 緑化構造体及び簡易フェンス又は広告表示体
CN201781823U (zh) 一种可延伸的塑料温室大棚
KR101431470B1 (ko) 비닐 하우스파이프 설치구조
KR101333473B1 (ko) 비닐하우스
CN214853122U (zh) 一种新型温室大棚主体
KR102233067B1 (ko) 가변형 조립식 비닐하우스
KR200468681Y1 (ko) 비닐하우스용 골조구조
KR102281046B1 (ko) 재배 하우스의 골조 구조물
RU189072U1 (ru) Четырехплоскостная чашевидная шпалера для виноградников
JP4326550B2 (ja) 嵩上げ土壌台と嵩上げ土壌台による強風対策法
KR200356665Y1 (ko) 비닐하우스 지지프레임
KR200427902Y1 (ko) 포도 비가림용 골조
KR200364360Y1 (ko) 조립식 온실하우스
JP2002112644A (ja) 継ぎ足し支柱と組み立て覆い
RU2796832C2 (ru) Арочная шпалера для виноградника
JP3152566U (ja) グリーンハウス
RU149460U1 (ru) Каркас для парника или теплицы
KR20190083705A (ko) 패드 결합형 비닐하우스용 골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