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000Y1 -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000Y1
KR200359000Y1 KR20-2004-0012429U KR20040012429U KR200359000Y1 KR 200359000 Y1 KR200359000 Y1 KR 200359000Y1 KR 20040012429 U KR20040012429 U KR 20040012429U KR 200359000 Y1 KR200359000 Y1 KR 200359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joint mechanism
robot toy
coupl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배
이성훈
조찬영
이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로보틱스
Priority to KR20-2004-0012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0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0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25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d eff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8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종류의 관절용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의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는, 일측의 단부에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개구부가, 외벽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내에 결합되어 관절제어수단을 지지하여 주며 일단부에는 기어샤프트가, 타단부에는 끼움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하우징을 밀폐하여 주는 일측면에 장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기어샤프트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부 케이스의 장공으로 돌출되는 결합샤프트로 구성되는 로봇완구에 있어서; 상기 관절메카니즘부는 관절제어수단의 양 측면에 상호 대향하도록 수직하게 끼워져 형성되며 다른 관절메카니즘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질 때 단일 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하도록 락타입을 가지는 제1,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로봇완구의 이동 때, 관절메카니즘부들의 이동각 제한 현상과 커넥터의 이탈현상이 방지되고, 또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을 할 때 역삽입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기적인 접속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APPARATUS FOR CONNECTOR WIRING JOINT OF ROBOT TOY TYPE ARTIFICIAL INTELLIGENCE}
본 고안은 인공지능형 조립식 로봇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종류의 관절용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로봇완구에서 제어신호와 구동전원으로 각기 움직이는 하나의 관절과 다른 관절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이동용 로봇완구로 조립하고자 할 때 상기 관절과 관절의 전기적인 역 삽입을 방지하면서도 접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접속 후에는 그 전기적 접속부분의 돌출에 의한 상기 관절들의 이동각 제한 현상 방지와 이동 때 전기적 접속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류, 특히 움직임이 요구되는 로봇완구는 전기 동력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리모트 콘트롤러 방식의 고급형과 태엽 등을 이용한 단순형으로 구분되어지며, 고급형의 로봇완구의 조종방법은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나 유선 리모트 콘트롤러 등을 통해 몸체 내의 모터 구동을 제어하여 관절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조종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로봇완구를 조종하는 경우에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잘 조종하는 사람에게는 누구나 익숙히 로봇완구를 조종할 수는있으나,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에게는 로봇완구에 대한 애착과 흥미를 주지 못하였으며, 특히 상기와 같이 움직임이 요구되는 로봇완구는 사용자가 그의 모든 기능을 수회 실행하게 되면 쉽게 싫증나고 사용자로 하여금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에 따른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관절을 통해서 움직이는 로봇완구는 단일 형태로 상품화되어 나오고 있어, 사용자가 한 세트의 로봇완구에 대해 여러 형태, 즉 강아지 로봇 또는 공룡 로봇 또는 인간 로봇 등의 다양한 형태로 확장 조립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특히 관절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회로, 제어회로, 기구적 연결 및 결합에 있어서 특별한 장치와 비용이 요구되어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많은 부담을 안게될 뿐만 아니라 모터 또는 제어회로가 고장이 나거나 로봇메카니즘이 파손될 때 치유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 등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치유하기 위해 관절모터가 내장된 한 종류의 관절메카니즘부를 다수 개 이용하여 움직임이 요구되는 여러 형태의 로봇완구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관절메카니즘부들의 추가확장에 따라 로봇완구의 변신은 물론 관절의 제어성이 용이한 로봇완구가 안출되어 제품화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본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3-0000254호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로봇이 형성되도록 서로들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한 다수 개의 관절메카니즘부와, 상기 다수 개의 관절메카니즘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관절메카니즘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른 관절메카니즘부들에 소정의 동작패턴을 갖도록 로봇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터 메인 프로세서 유니트 보드와, 상기 다른 관절메카니즘부들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마스터 메인 프로세서 유니트 보드의 동작패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패턴으로 해당 관절메카니즘부들을 동작시키면서 상기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을 하는 다수의 관절제어부와, 다양한 형태의 로봇이 형성되도록 상기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들을 상호 결합해 주는 여러 형태를 가지는 다수 개의 조인트부들로 구성되는 인공지능형 로봇완구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2003-0000245호에 의한 인공지능형 로봇완구는, 상기 한 종류의 관절메카니즘부들과 다수의 조인트부 및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움직임이 요구되는 여러 형태의 로봇완구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로봇완구에 대한 애착과 흥미를 줄뿐만 아니라 관절모터 고장 시에 대응이 쉽고 또 다양한 형태로 확장·조립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상기 관절메카니즘부와 관절메카니즘부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그들에 각각 구성되어진 2중의 커넥터(Connector)가 각각 관절메카니즘부들의 한쪽 측면에 돌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관절메카니즘부의 커넥터와 다른 관절메카니즘부의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결합할 때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어진 커넥터를 측방향에서 꽂아서 접속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으로 이것들에 의해서 로봇완구가 이동할 때 상기 커넥터들의 돌출로 인한 관절메카니즘부들의 이동각에 제한을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삽입이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함으로 인해 커넥터의 접속 때 역 삽입이 되어 회로의 오동작 내지는 회로가 소손될 뿐만 아니라 이동 때 커넥터들이 빠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특허출원 제2003-0000245호에 의한 인공지능형 로봇완구가 가지는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고, 또 로봇완구의 이동 때에 발생되는 관절메카니즘부들의 이동각 제한 현상과 커넥터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관절메카니즘부를 개선한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관절 배선접속 장치는 관절메카니즘부에 락 타입(Locking Type)을 가지는 커넥터를 관절메카니즘부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수납하여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관절메카니즘부들을 결합할 때 전기적인 역삽입을 방지하고 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축케이블의 접속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관절 배선접속 장치는 단일 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하도록 되어진 두 개의 단일 커넥터를 관절메카니즘부의 양 측면에 수납하여 설치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관절메카니즘부들의 움직임이 발생할 때 마찰 편차를 최소화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관절 배선접속 장치는 출력단의 축에 베어링을 추가 개재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상세하게 후술될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로서,
도1은 상기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메카니즘부를 분해하여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메카니즘부를 180도 뒤집어서 나타내어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메카니즘부를 결합하여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하나의 조인트부와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관절메카니즘부에 또다른 관절메카니즘부를 결합하기 위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하나의 관절메카니즘부와 다른 하나의 관절메카니즘부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관절제어부 30 : 모터
31 : 기어부 40 : 관절메카니즘부
41 : 하부 케이스 42 : 하우징
43 : 상부 케이스 44, 44a : 제1, 제2 커넥터
47 : 결합샤프트 51, 52, 54 : 조인트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에 의하면, 일측의 단부에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와의 결합을 위한 조인트수단이 삽입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개구부가, 외벽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 결합되어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 및 관절제어수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주며 일단부에는 상기 조인트수단과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기어샤프트가, 타단부에는 상기 조인트수단이 착탈 가능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밀폐하여 주는 일측면에 장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기어샤프트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장공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인트수단과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결합샤프트를 포함하는 로봇완구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들은, 상기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 및 상기 관절제어수단의 양 측면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관절메카니즘부와의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질 때 단일 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 락 타입의 제1,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제2 커넥터는 상기 상,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었을 때 그들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 및 상기 관절제어수단의 양 측면에 수직하게 끼워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어샤프트에 끼워져 마찰력을 억제시키는 원통형의 베어링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에 단일 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하고, 또커넥터들이 상호 빠지지 않도록 락타입을 가지는 제1, 제2 커넥터를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수납하여 다른 관절메카니즘부들과 전기적으로 결합·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력단의 축에 원통형의 베어링을 게재함으로써 기어 축의 오차가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로봇완구의 이동 때, 관절메카니즘부들의 이동각 제한 현상과 커넥터의 이탈현상이 방지되고, 또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을 할 때 역삽입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기적인 접속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또 기어 축의 오차 감소로 인한 관절메카니즘부들의 마찰편차가 적어져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메카니즘부를 분해하여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메카니즘부를 180도 뒤집어서 나타내어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메카니즘부를 결합하여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로봇이 형성되도록 서로들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한 다수 개의 관절메카니즘부(40)와,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40)들을 상호 결합해 주는 다수의 형태를 가지는 조인트부(51)(52)(54)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관절메카니즘부(4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51)(52)(54)가 삽입되도록 일측 단부에 가이드부(41a)가, 그리고 이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는 개구부(41b)가 형성되며 외벽에는 두 개의 결합홀(41c)이 외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부 케이스(41)와, 일측 면에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 또는 관절제어부(20)가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조인트부(51)(52)(54)가 착탈 가능케 결합되도록 나사홀(42c)을 가지는 기어샤프트(42a)가 회전 가능하게 수직상향으로 돌출·결합되며 이와 대향하는 타단부에는 조인트부(51)(52)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일방향이 트인 사각형의 끼움부(42b)가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그 끼움부(42b)의 양 측벽에는 두 개의 나사(45)(46)가 끼워진 후 아래 방향에서 너트로 결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사홀(44a)(45a)이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41) 내에 결합되는 하우징(42)과, 하부 케이스(41)에 4개의 나사로 결합되어 하우징(42)을 밀폐하여 주는 일측 단부에 장공(43a)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43)와, 기어샤프트(42a)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부 케이스(43)의 장공(43a)으로 돌출되어 조인트부(5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중앙에 나사홀(47a)을 가지는 5각형의 결합샤프트(47)와, 상부 케이스(43)와 하부 케이스(41)가 결합되었을 때 그들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또는 관절제어부(20)의 양 측면에 상호 대향하도록 수직하게 끼워져 형성되며 상기 다른 관절메카니즘부들과의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질 때 단일 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락 타입의 제1, 제2 커넥터(44)(44a)와, 기어샤프트(42a)에 수직하게 끼워져 마찰력을 억제시키는 원통형의 베어링(42d)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기어부(31)는 하우징(42)의 상부면으로 돌출된 모터(30)의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기어(31a) 및 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31b)와, 기어샤프트(42a)에 형성되고 제2 기어(31b)와 맞물려 회전비를 감속시키는 제3 기어(31c)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종류의 관절메카니즘부를 이용하여 움직임이 요구되는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조립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에 가이드부(41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개구부(41b)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41) 내에 모터(30)와 기어부(31) 및 관절제어부(20) 또는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 등이 결합된 하우징(42)을 수용시킨 후 그 위에 상부 케이스(43)를 덮고 네 개의 나사로 조여줌으로써 상, 하부 케이스(43)(41) 및 하우징(42)이 안정되게 고정되어 도 3과 같은 단일의 관절메카니즘부(40)가 형성된다.
이때 기어부(31)의 제3 기어(31c)와 결합된 결합샤프트(47)는 상부 케이스(43)의 장공(43a)에 위치하고, 기어샤프트(42a)는 하부 케이스(41)의 가이드부(41a)쪽으로, 그리고 하우징(42)의 끼움부(42b)는 하부 케이스(41)의 개구부(41b)쪽으로 돌출되며, 또한 단일 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한 락 타입을 가지는 제1, 제2 커넥터(44)(44a)는 상, 하부 케이스(43)(41)가 결합되었을 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하부 케이스(43)(4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단일의 관절메카니즘부(40)를 다수 개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의 로봇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은 다수의 조인트부(51)(52)(54)를 필요로 한다.
상기의 조인트부(54)는 축대의 일단부에 스패너형의 삽입구가, 그리고 타단부에는 결합샤프트(47)과 대향하는 5각형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도 4a에서와 같이, 하나의 관절메카니즘부(40)의 결합샤프트(47)와 다른 관절메카니즘부들의 기어샤프트(42a)를 각각 연결할 때 사용된다. 즉 도 4a와 같이 조인트부(54)의 삽입홈을 하나의 관절메카니즘부(40)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43)의 장공(43a)을 통해 결합샤프트(47)에 끼운 다음 나사(48)를 조여주게 되면 그 나사(48)가 결합샤프트(47)에 형성된 나사홀(47a)에 조여져 결합이 된다. 이후 조인트부(54)에 형성된 상기 스패너형의 삽입구를 다른 관절메카니즘부의 가이드부(41a)를 통해 기어샤프트(42a)에 끼우고 그 기어샤프트(42a)의 나사홀(42c)에 나사(49)를 끼워 조여줌으로써 도 4b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의 조인트부(51)(52) 역시 축대의 일단부에 스패너형의 삽입구가, 그리고 타단부에는 사각형의 삽입편이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관절메카니즘부(40)의 기어샤프트(42a)와 다른 관절메카니즘부의 끼움부(42b)를 연결할 때 사용된다. 즉 하나의 관절메카니즘(40)의 기어샤프트(42a)에 각각 조인트부(51)(52)에 형성된 상기 스패너형의 삽입구를 끼운 다음 기어샤프트(42a)의 나사홀(42c)에 나사(49)를 끼워 조여줌으로써 조인트부(51)(52)가 기어샤프트(42a)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후 조인트부(51)(52)에 형성된 상기 사각형의 삽입편을 다른 관절메카니즘부의 끼움부(42b)에 끼운 다음 두 개의 나사(45)(46)를 끼움부(42b)에 형성된 나사홀(45a)(46a)에 삽입하여 너트로 조여줌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관절메카니즘부(40)들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전원라인과 하나의 송신라인 및 수신라인을 가지는 동축케이블(60)을 통해 직렬 또는 병렬로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 또는 관절제어부(20)에 형성된 락 타입의 제1, 제2 커넥터(44)(44a)에 전기적으로 결합이 된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40)와 다수의 조인트부(51)(52)(54)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의 로봇완구로 조립한 다음 동축케이블(60)의 일단에 구비된 커넥터를 하나의 관절메카니즘부(40)의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 또는 관절에어부(20)의 양 측면에 수직하게 끼워져 형성된 락 타입의 제1 커넥터(44) 또는 제2 커넥터(44a)에 끼운 후에 상기 동축케이블(60)의 타단에 구비된 커넥터를 다른 관절메카니즘부에 형성된 락 타입의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에 끼워 줌으로써 각 관절메카니즘부(40)에 구성된 모터(30)가 상기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와 관절제어부(20)의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구동하여 각각의 관절메카니즘부(40)를 움직여 주게 되고, 이것에 의해 조립 완료된 로봇완구가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 관절메카니즘부(40)에 락 타입을 가지는 제1, 제2 커넥터(44)(44a)를 사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 상기 로봇완구가 이동을 할 때 상기 동축케이블(60)의 커넥터가 빠지지 않을 뿐 아니라 제1, 제2 커넥터(44)(44a)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각 관절메카니즘부(40)의 이동각 제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또 전기적인 접속 때 단일 방향으로만 삽입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역삽입이 방지됨은 물론 제1, 제2 커넥터(44)(44a)가 상기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 또는 관절제어부(2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전기적인 접속위치를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출력단의 축, 즉 기어샤프트(42a)에 원통형의 베어링(42d)이 개재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제1 내지 제3 기어(31a)(31b)(31c) 축의 오차가 감소하고, 이것에 의해 관절메카니즘부(40)들간의 마찰 편차가 적어져 보다 부드럽게 움직이게 되고, 또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말해서 관절메카니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2중의 커넥터에 동축케이블의 커넥터를 측방향에서 꽂아서 접속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으로 로봇완구가 이동할 때 상기 커넥터들의 돌출로 인한 관절메카니즘부들의 이동각에 제한을 받게 되고, 또 양방향으로 삽입이 가능한 커넥터의 사용으로 전기적인 역삽입이 발생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에 단일 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하고, 또 커넥터들이 빠지지 않도록 락타입을 가지는 커넥터를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수납하여 다른 관절메카니즘부들과 전기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또 출력단의 축에 원통형의 베어링을 게재함으로써 기어 축의 오차가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로봇완구의 이동 때, 관절메카니즘부들의 이동각 제한 현상과 커넥터의 이탈현상이 방지되고, 또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을 할 때 역삽입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기적인 접속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기어 축의 오차 감소로 인한 관절메카니즘부들의 마찰편차가 적어져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에 의하면, 움직임이 요구되는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에 단일 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한 락 타입의 커넥터를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분리하여 수납해 줌으로써 로봇완구의 이동 때, 관절메카니즘부들의 이동각 제한 현상과 커넥터의 이탈현상이 방지되고, 또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들을 전기적으로 결합을 할 때 역삽입이 방지됨은 물론 사용자가 전기적인 접속 위치를 선택하여 접속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력단의 축에 원통형의 베어링을 게재함으로써 관절메카니즘부들의 마찰편차가 적어져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측의 단부에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와의 결합을 위한 조인트수단이 삽입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개구부가, 외벽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 결합되어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 및 관절제어수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주며 일단부에는 상기 조인트수단과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기어샤프트가, 타단부에는 상기 조인트수단이 착탈 가능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밀폐하여 주는 일측면에 장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기어샤프트의 단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장공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인트수단과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결합샤프트를 포함하는 로봇완구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관절메카니즘부들은, 상기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 및 상기 관절제어수단의 양 측면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른 관절메카니즘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질 때 단일 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 락 타입의 제1, 제2 커넥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커넥터는 상기 상,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었을 때 그들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마스터 메인프로세서 유니트 보드 및 상기 관절제어수단의 양 측면에 수직하게 끼워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샤프트에 끼워져 마찰력을 억제시키는 원통형의 베어링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
KR20-2004-0012429U 2004-05-04 2004-05-04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 KR200359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429U KR200359000Y1 (ko) 2004-05-04 2004-05-04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429U KR200359000Y1 (ko) 2004-05-04 2004-05-04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000Y1 true KR200359000Y1 (ko) 2004-08-21

Family

ID=4934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429U KR200359000Y1 (ko) 2004-05-04 2004-05-04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0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13B1 (ko) 2013-01-24 2014-09-12 한국원자력연구원 내부배선을 적용한 뱀 로봇용 양단지지형 구동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13B1 (ko) 2013-01-24 2014-09-12 한국원자력연구원 내부배선을 적용한 뱀 로봇용 양단지지형 구동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6714B2 (ja) 人工知能型ロボット玩具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551893B2 (ja) ロボット玩具
JP4864908B2 (ja) 弾性締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モジュール
JP2003079961A (ja) ロボット玩具モジュラーシステム
JP2011255367A (ja) 万能結合構造を持つアクチュエータモジュール{actuatormodulehavinguniversalarchitecture}
US9975238B2 (en) Screw-free assembled modular robot
KR101095015B1 (ko) 모듈러 로봇 및 그의 제어방법
TW201936444A (zh) 後變速器
KR100749540B1 (ko) 액추에이터 모듈
CN110844006A (zh) 一种模块式水上运动装置
KR101622365B1 (ko) 모듈형 교구재 로봇
KR101124830B1 (ko) 다축 연결형 액추에이터 모듈
KR200359000Y1 (ko) 인공지능형 로봇완구의 관절 배선접속 장치
CN211336359U (zh) 一种模块式水上运动装置
EP3248735B1 (en) Robot joint structure
US4626164A (en) Robot with improved transmission system
KR101605059B1 (ko) 큐브형 모듈 조립체
KR20080017081A (ko) 블록식 서보모터 교육 및 완구용 로봇
KR20060123020A (ko) 만능결합구조를 가진 액츄에이터 모듈
CN106369112B (zh) 驱动装置
KR101264483B1 (ko) 유니버셜 로봇 관절모듈
CN214187190U (zh) 一种舵机及带有该舵机的机器人关节及机器人
GB2185192A (en) Block toy
JP4317700B2 (ja) 教材用ギヤボックスキット
CN219417996U (zh) 一种电控拆装的智能手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