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384Y1 - 회전문 - Google Patents

회전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384Y1
KR200358384Y1 KR20-2004-0012657U KR20040012657U KR200358384Y1 KR 200358384 Y1 KR200358384 Y1 KR 200358384Y1 KR 20040012657 U KR20040012657 U KR 20040012657U KR 200358384 Y1 KR200358384 Y1 KR 200358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folded
body portion
revol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식
Original Assignee
김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금식 filed Critical 김금식
Priority to KR20-2004-0012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6Wooden frames
    • E06B1/08Wooden frame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0Revolving doors; Cages or hous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출입자의 소지품이나 신체의 일부가 문짝과 문틀의 사이에 끼이는 경우, 소지품이 파손되거나 신체가 손상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중앙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문짝이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문짝의 양 측으로 호형의 문틀이 각각 설치되는 회전문에 있어서, 상기 문짝을 본체부와 그 끝단에 설치되는 접힘부로 구성하되, 상기 접힘부는 다수개의 경첩에 의해 회전방향의 반대측으로 접힐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문{REVOLVING DOOR}
본 고안은 회전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과정에서 출입자의 소지품이나 신체의 일부가 문짝과 문틀의 사이에 끼이는 경우, 소지품이 파손되거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회전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문은 축을 중심으로 4개의 문짝을 십(十)자모양으로 설치하여, 상기 문짝을 회전시키면서 한 칸에 한 사람씩 들어가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출입문이다. 상기와 같은 회전문은 주로 은행·호텔·우체국·상점 등 사람의 출입이 빈번한 대형 빌딩의 현관에 설치되고 있으며, 출입시 실·내외의 공기 유동량이 여닫이문이나 미닫이문에 비해 적으므로 냉·난방 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전문은 출입자가 회전하는 문짝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문짝과 문틀의 사이에 소지품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일 염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출입자의 소지품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인 상태에서는 문짝의 이동을 신속하게 정지시켜야 하는데, 이동중인 문짝의 탄력 및 타 출입자의 미는 힘에 의해 문짝이 계속 이동하게 됨으로써, 소지품이 파손되거나 신체의 일부가 손상되는 등 불의의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출입과정에서 출입자의 소지품이나 신체의 일부가 문짝과 문틀의 사이에 끼이는 경우, 소지품이 파손되거나 신체가 손상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회전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문짝의 접힘부가 이물(異物)에 의해 젖혀진 후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 회전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힘부의 작동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커버를 구비하여 접힘부와 본체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한 회전문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
20 : 문짝 21 : 본체부
22 : 접힘부 23 : 경첩
24 : 탄성부재 25 : 고정구
26 : 보호커버 27 : 고정부재
270 : 끼움공 271 : 돌기
30a,30b : 문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중앙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문짝이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문짝의 양 측으로 호형의 문틀이 각각 설치되는 회전문에 있어서, 상기 문짝을 본체부와 그 끝단에 설치되는 접힘부로 구성하되, 상기 접힘부는 다수개의 경첩에 의해 회전방향의 반대측으로 접힐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접힘부의 사이에는 상기 경첩의 맞은편으로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양측이 상기 본체부와 접힘부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힘부의 폭(d)이 상기 본체부의 폭(D)에 비해 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접힘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하여 외부와 격리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커버는 양측이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접힘부와 본체부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앙의 축(10)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문짝(20)이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문짝의 양측으로 호형의 문틀(30a,30b)이 각각 설치되는 회전문에 있어서, 상기 문짝을 본체부(21)와 그 끝단에 설치되는 접힘부(22)로 구성하되, 상기 접힘부는 다수개의 경첩(23)에 의해 회전방향의 반대측으로 접힐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축(1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본체부(21)의 끝단에 접힘부(22)를 설치하되, 상기 본체부와 접힘부의 연결부위에 회전방향의 반대측으로 경첩(23)을 설치하여, 상기 접힘부가 회전과정에서 저항을 받게 되면 후방측으로 젖혀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체부(21)와 접힘부(22)의 사이에는 경첩(23)의 맞은편으로 탄성부재(24)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양측이 상기 본체부와 접힘부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접힘부(22)는 이물(異物)에 의해 뒤로 젖혀진 후 이물이 제거되면 탄성부재(24)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자동 복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24)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원력이 우수한 스틸소재의 판스프링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판스프링의 양측 단부에는 본체부(21)와 접힘부(22)의 프레임상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구(25)가 구비된다.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그 전방에서 이동중인 출입자의 소지품이나 신체의 일부가 접힘부(22)와 문틀(30a)의 사이에 끼이게 되는 경우, 상기 접힘부가 경첩(23)이 설치된 후방측으로 젖혀지게 됨으로써 소지품이 파손되거나 신체가 손상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접힘부(22)가 젖혀지면 탄성부재(24)에는 장력이 발생되며, 출입자가 안전하게 이탈하여 상기 접힘부를 미는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접힘부가 원상태로 자동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힘부(22)의 폭(d)을 본체부(21)의 폭(D)에 비해 적게 형성하면, 상기 접힘부의 작동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특히 본체부(21)와 접힘부(22)의 연결부위에 탄성소재의 보호커버(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커버(26)는 접힘부(22)가 젖혀질 때 본체부(21)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하여, 출입자의 소지품이나 신체의 일부가 그 틈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출입자의 접촉빈도가 높은 중간부분에 즉 탄성부재(24)의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 보호커버(26)를 설치하기 위해 고정부재(27)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21)와 접힘부(22)측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공(270)과, 상기 보호커버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공에 압입되는 돌기(27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끼움공과 돌기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함은 물론, 체결부위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는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매우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출입자의 부주의로 문짝과 문틀의 사이에 소지품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경우, 종래와는 달리 소지품이 파손되거나 신체가 손상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탄성부재의 복원력으로 접힘부의 복귀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회전문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접힘부의 폭이 본체부의 폭에 비해 적게 형성되어, 상기 접힘부의 작동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접힘부와 본체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접힘부의 작동시 상기 틈새로 출입자의 소지품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중앙의 축(10)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문짝(20)이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문짝의 양측으로 호형의 문틀(30a,30b)이 각각 설치되는 회전문에 있어서,
    상기 문짝을 본체부(21)와 그 끝단에 설치되는 접힘부(22)로 구성하되, 상기 접힘부는 다수개의 경첩(23)에 의해 회전방향의 반대측으로 접힐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와 접힘부(22)의 사이에는 상기 경첩(23)의 맞은편으로 탄성부재(24)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양측이 상기 본체부와 접힘부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22)의 폭(d)이 상기 본체부(21)의 폭(D)에 비해 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와 접힘부(22)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하여 외부와 격리하는 보호커버(26)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커버는 양측이 고정부재(27)에 의해 상기 접힘부와 본체부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7)는,
    상기 본체부(21)와 접힘부(22)측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공(270)과, 상기 보호커버(26)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공에 압입되는 돌기(27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문.
KR20-2004-0012657U 2004-05-06 2004-05-06 회전문 KR200358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57U KR200358384Y1 (ko) 2004-05-06 2004-05-06 회전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57U KR200358384Y1 (ko) 2004-05-06 2004-05-06 회전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384Y1 true KR200358384Y1 (ko) 2004-08-06

Family

ID=4943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657U KR200358384Y1 (ko) 2004-05-06 2004-05-06 회전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3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282A (ko) * 2018-04-06 2019-10-16 (주)세영하이테크 손끼임방지 도어용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282A (ko) * 2018-04-06 2019-10-16 (주)세영하이테크 손끼임방지 도어용 안전장치
KR102093987B1 (ko) * 2018-04-06 2020-03-26 (주)세영하이테크 손끼임방지 도어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94234A (en) Finger guard for swinging doors
US4878267A (en) Resisting entry of an object into a space between the hinged edge of a door member hingedly attached to a associated jamb member and a surface of the jamb member
KR970066344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US5588181A (en) Hinge for a glass shower door
KR200358384Y1 (ko) 회전문
KR200385556Y1 (ko) 강화유리문용 안전커버
US4122887A (en) Flexible curtain
KR101392369B1 (ko) 안전도어
KR200430458Y1 (ko) 문 보호대 조립체
KR20110052625A (ko) 도어 어셈블리
KR102267498B1 (ko)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도어
KR102588987B1 (ko) 문의 안전장치
KR102659277B1 (ko) 문의 안전장치
KR200440296Y1 (ko) 접이문용 주행체
KR102505561B1 (ko) 여닫이 도어용 손끼임 방지장치
JP3261252B2 (ja) 折戸の構造
KR102517976B1 (ko) 도어 에지용 커버 조립체
KR200298366Y1 (ko) 도어의 닫힘방지장치
KR102360755B1 (ko)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102181664B1 (ko)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KR19990004033U (ko) 경첩
RU2035578C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ема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KR200315303Y1 (ko) 여닫이용 출입문과 문틀의 결합구조
KR960004198Y1 (ko) 경첩구조를 갖는 중접문의 체결구조
KR200385557Y1 (ko) 강화유리문용 안전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