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068Y1 - 위조방지용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위조방지용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068Y1
KR200358068Y1 KR20-2004-0004612U KR20040004612U KR200358068Y1 KR 200358068 Y1 KR200358068 Y1 KR 200358068Y1 KR 20040004612 U KR20040004612 U KR 20040004612U KR 200358068 Y1 KR200358068 Y1 KR 200358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lid
lid
protrusion
safety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린
Original Assignee
서동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린 filed Critical 서동린
Priority to KR20-2004-0004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조방지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안전띠를 갖춘 용기뚜껑에 있어서, 내측바닥부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용기(2)의 상단과 면접하여 용기를 견고히 밀봉하도록 하는 밀봉돌기(10)와, 내측에 움직임이 자유로운 유동이음부(23)를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어진 압착돌기(21)를 갖춘 안전띠(20)와, 용기뚜껑(1)으로부터 안전띠(20)를 제거하도록 하는 파단돌기(30)를 갖추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상기 용기뚜껑(1) 및 용기(2)의 나사산(1-1,2-1)이 조금만 이동해도 안전띠(20) 상단에 연결된 파단돌기(30)가 절단되면서 터지게 되므로, 상기 용기(2)가 유통과정에서 테러 목적으로 상품을 재포장할 수 없게 되어, 상품 재포장에 의한 외부의 테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용기뚜껑(1)이 용기(2)에 조립되었을때 용기뚜껑의 밀봉돌기(10)가 용기(2)의 상단을 강하게 밀착하게 되어 견고한 밀봉이 이루어지게 되며, 종래 밀봉을 위해 내부패킹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아도 됨에 의해, 내부패킹 조립에 따른 제조공정이 삭제될 수 있고 용기뚜껑의 제조원가가 저렴해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조방지용 용기뚜껑{vessel-cap having tamper evident rings}
본 고안은 용기내에 충진된 내용물을 밀봉하는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 또는 사용자가 용기뚜껑을 조금만 회전하여도 안전띠가 용기뚜껑으로부터 한번에 분리되면서 재조립이 불가능하여, 소비자 테러 행위에 의한상품 재포장과 같은 위험요소를 미연 방지할 수 있는 위조방지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음료수나 주류 등은 플라스틱 내지는 유리병이나 알루미늄캔 등의 용기 내에 채워져 유통된다. 특히 근래에는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플라스틱 용기가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플라스틱 용기는 내용물이 충진된 후 용기뚜껑으로 밀봉하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내용물이 충진된 플라스틱 용기는 소비자가 언제든지 용기뚜껑을 딴 후 내용물을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용기뚜껑(100)은 도 4에 자세하게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용기(300)의 병목에 고정되는 물품인데, 보통 안전띠(200) 상단의 원주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단돌기(201)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띠(200)가 용기뚜껑(100)에 부착되는 구조로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용기(300)내에 음료가 충진되고 나서, 용기뚜껑(100)이 용기(300)의 상단에서 회전하면서 나사결합으로 부착되어, 비로소 개별 상품으로 유통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용기(300)를 개방하게 되면, 용기뚜껑(100)이 용기(300)의 수나사를 타고서 상부로 올라오게 되고, 이것에 의해 안전띠(200)의 파단돌기(201)가 하나씩 떨어져 나가면서, 용기뚜껑(100)이 용기(3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을 때에는 이 안전띠(200)의 파단돌기(201)도 모두 떨어져나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으로, 이때 소비자는 용기(300)에 들어있는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안전띠(200)는 용기뚜껑(100)을 가령 3/2회전을 하였을 때, 파단돌기(201)는 일부만이 떨어져 나가게 되는데, 이때 용기(300)와 용기뚜껑(100) 사이는 충전된 음료가 외부로 유출될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주사기 또는 다른 미세한 기구로 독극물을 주입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히 제공되고, 만약 독극물을 주사한 후, 용기뚜껑(100)을 다시 잠그게 되더라도 일부의 파단돌기(201)가 떨어져 나가 분리되므로, 소비자는 주의깊게 살피지 않게 되면 이를 감지할 수 없게 되어 아무런 의심없이 독극물을 마시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비자 또는 사용자가 용기뚜껑을 조금만 회전하여도 안전띠가 용기뚜껑으로부터 한번에 분리되면서 재조립이 불가능하여, 소비자 테러 행위에 의한 상품 재포장과 같은 위험요소를 미연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위조방지용 용기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밀봉돌기를 용기의 내표면에 형성함에 의해 내부패킹이 더이상 필요하지 않도록 된 위조방지용 용기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뚜껑의 저면도,
도 4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용기 및 용기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뚜껑, 2 -- 용기,
10 --- 밀봉돌기, 20 --- 안전띠,
21 --- 압착돌기, 30 --- 파단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전띠를 갖춘 용기뚜껑에 있어서, 내측바닥부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용기의 상단과 면접하여 용기를 견고히 밀봉하도록 하는 밀봉돌기와, 내측에 움직임이 자유로운 유동이음부를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어진 압착돌기를 갖춘 안전띠와, 용기뚜껑으로부터 안전띠를 제거하도록 하는 파단돌기를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에 부착된 용기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에서 분리된 용기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에서 용기와 용기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뚜껑은 내측바닥부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용기(2)의 상단과 면접하여 용기를 견고히 밀봉하도록 하는 밀봉돌기(10)와, 압착돌기(21)를 갖춘 안전띠(20)와, 용기뚜껑(1)으로부터 안전띠(20)를 제거하도록 하는 파단돌기(30)를 갖추게 된다.
즉 상기 안전띠(20)의 내측에 움직임이 자유로운 유동이음부(23)를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어진 압착돌기(2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압착돌기(21)는 용기(2)와 조립시 측벽에 대해 이루는 각이 90도 이하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용기뚜껑(1)이 용기(2)에 결합되더라도 외부에 의한 충격이나 압착돌기(21)의 자력에 의해 압착돌기(21)가 지지돌기(2-2)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돌기(21)가 주름관처럼 되어 있고, 바닥에서 보았을 때 주름부와 이웃하는 주름부의 길이가 차이가 나도록 형성되어 있어(꼭지점이 형성), 지지돌기(2-2)에 확실히 고정됨은 물론, 용기뚜껑(1)을 열었을 때 한번에 안전띠(20)가 터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봉돌기(10)는 용기(2)의 상단면과 밀착되는 부위가 볼록하게돌출되어 있고, 용기(2)와 접하지 않는 부위는 직선으로 마감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2)에 용기뚜껑(1)이 결합되었을때 상기 돌출부에 의해 용기를 더욱더 밀착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압착돌기(21)와 접촉되도록 용기(2)의 외측벽에는 지지돌기(2-2)가 원주상에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이 지지돌기(2-2)의 상단이 원뿔형으로 되어지며, 지지돌기(2-2)의 하단면은 직선으로 되어있어 압착돌기(21)의 상단면과 용이하게 면접하도록 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용기뚜껑(1)이 조립된 상태에서 용기(2)로부터 분리하고자 할때에는 먼저, 용기뚜껑(1)을 잡고서 반시계방향으로 힘껏 돌리게 되면, 용기뚜껑(1)의 나사산(1-1)이 용기(2)의 나사산(2-1)을 타고서 상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며, 이때 압착돌기(21)의 상단면이 지지돌기(2-2)의 바닥면에 걸려있어 더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된다. 즉 지지돌기(2-2)의 바닥면에 압착돌기(21)의 상단이 면접하면서 걸려서 더이상 움직이지않아, 안전띠(20)의 몸체(22)를 아래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이 힘에 의해 파단돌기(30)가 한꺼번에 절단되어 안전띠(20)가 용기뚜껑(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뚜껑(1) 및 용기(2)의 나사산(1-1,2-1)이 조금만 이동해도 안전띠(20) 상단에 연결된 파단돌기(30)가 절단되면서 터지게 되므로, 상기 용기(2)가 유통과정에서 테러 목적으로 상품을 재포장할 수 없게 되어, 상품 재포장에 의한 외부의 테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용기뚜껑(1)이 용기(2)에 조립되었을때 용기뚜껑의 밀봉돌기(10)가 용기(2)의 상단을 강하게 밀착하게 되어 견고한 밀봉이 이루어지게 되며, 종래 밀봉을 위해 내부패킹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소비자 또는 사용자가 용기뚜껑을 조금만 회전하여도 안전띠가 용기뚜껑으로부터 터지게 되면서 분리됨으로 해서, 독극물 주입 등과 같은 소비자 테러 행위에 의한 상품 재포장과 같은 위험요소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밀봉돌기를 용기의 내표면에 형성함에 의해 내부패킹이 더이상 필요하지 않음에 따라, 내부패킹 조립에 따른 제조공정이 삭제될 수 있고 용기뚜껑의 제조원가가 저렴해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안전띠를 갖춘 용기뚜껑에 있어서, 내측바닥부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용기(2)의 상단과 면접하여 용기를 견고히 밀봉하도록 하는 밀봉돌기(10)와, 내측에 움직임이 자유로운 유동이음부(23)를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어진 압착돌기(21)를 갖춘 안전띠(20)와, 용기뚜껑(1)으로부터 안전띠(20)를 제거하도록 하는 파단돌기(30)를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용기뚜껑.
KR20-2004-0004612U 2004-02-23 2004-02-23 위조방지용 용기뚜껑 KR200358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612U KR200358068Y1 (ko) 2004-02-23 2004-02-23 위조방지용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612U KR200358068Y1 (ko) 2004-02-23 2004-02-23 위조방지용 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068Y1 true KR200358068Y1 (ko) 2004-08-05

Family

ID=4943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612U KR200358068Y1 (ko) 2004-02-23 2004-02-23 위조방지용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0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1764B2 (en) Beverage closure with open/close spout and protected seal surfaces
US6367640B1 (en) Container and closure cap
US20110297698A1 (en) Vented bottle
US20210101728A1 (en) Tamper-evident closure
US20110108509A1 (en) Container closure
US10899505B2 (en) Band-receiving closure with recess
KR20070078057A (ko) 고가의 음료를 보관하는 병을 위한 개봉 증명 마개
US5667087A (en) Closure and security ring for containers
US6726043B2 (en) Container and plastic threadless closure member
KR200358068Y1 (ko) 위조방지용 용기뚜껑
JP2007238100A (ja) ガス含有飲料の容器及びその充填方法
KR200269082Y1 (ko) 위조방지용 안전띠가 구비된 용기뚜껑
US20110100947A1 (en) Anti-Backoff Closure
KR200239531Y1 (ko) 포장용기 뚜껑
KR200203047Y1 (ko) 플라스틱 병마개 및 속마개
KR200356826Y1 (ko) 위조방지 밀봉기구를 갖춘 포장용 용기
RU2454362C2 (ru) Укупорочный колпачок
KR101020033B1 (ko) 병마개
KR200273105Y1 (ko) 포장용기용 캡
KR100406164B1 (ko) 합성수지 재질의 중,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KR100597840B1 (ko) 위조방지 밀봉기구를 갖춘 포장용 용기
US20120285963A1 (en) Press-On Closure with Top Sealing Rib
KR20050112250A (ko) 위조방지 밀봉기구
GB2347926A (en) Cap and/or neck with deformable side wall
ZA200810492B (en) Closure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