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164B1 - 합성수지 재질의 중,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재질의 중,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164B1
KR100406164B1 KR10-2002-0021075A KR20020021075A KR100406164B1 KR 100406164 B1 KR100406164 B1 KR 100406164B1 KR 20020021075 A KR20020021075 A KR 20020021075A KR 100406164 B1 KR100406164 B1 KR 100406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bottleneck
screw port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142A (ko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김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기 filed Critical 김병기
Priority to KR10-2002-002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16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의 중,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병목부(2) 외주면에 수나사부(3)가 형성되고, 상단에 결합돌기(5)가 형성되고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내주면에 테이퍼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암나사부(4)가 형성된 용기(1)와 병목부(2)의 수나사부(3)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8)가 형성되고, 마개(6)의 내측에 결합돌기(5)가 결합되는 결합홈(11)이 형성되며 외부마개(7) 내측 테이퍼면에 병목부(2)의 암나사부(4)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10)가 형성된 내부마개(9)로 이루어진 마개(6)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중,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 구조로서 하나의 마개(6)를 여닫는 작업으로 용기(1)를 이중 밀폐시킬 수 있게되어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두 개의 마개에 비해 분실 및 세균 감염의 우려가 감소 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재질의 중, 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Medium & small double shut tight structure of PVC vessel & cork}
본 발명은 용기 및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 재질의 중, 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료용 용기나 기타 약품 용기는 액상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저장부와 저장부 상부에 병목부가 구비되며, 이 병목부 외주에는 보통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마개가 체결된다.
이러한 종래 용기 및 마개의 밀폐구조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병목부에 암나사부의 마개가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밀폐구조로는 용기를 확실하게 밀폐시키지 못하였으며, 용기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병목부의 수나사부와 마개의 암나사부 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일이 발생된다.
그런데 종래의 내부캡과 외부캡을 채용하여 이중 밀폐 시킨 구조는, 몇가지 문제가 있는데, 첫째, 마개가 2개로 분리 구비되므로 용기를 여닫을 때마다 내부캡과 외부캡을 일일이 여닫아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다.
둘째, 용기내의 음료수등을 마실 때 음료자는 내부캡과 외부캡을 각각 손으로 연후 보관한 상태에서 음료수를 마시게 되므로 부품 수 증가에 따른 분실의 우려가 증가하였으며, 사실상 두 개의 마개를 여닫을 시 대장균 등 각종 세균으로부터의 오염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여닫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도록 한 합성수지 재질의 중, 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의 중, 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 구조에 있어서, 병목부 외주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병목부 내주 상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용기와, 병목부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암나사부가 형성된 외부마개와, 외부마개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병목부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내부마개로 이루어진 마개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용기의 병목부에 마개를 체결시키면 외부마개의 암나사부가 병목부의 수나사부에 체결되고 내부마개의 수나사부가 병목부의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용기의 병목부가 이중으로 밀폐되므로 하나의 마개를 여닫는 작업으로 용기를 이중 밀폐시킬 수 있게 되어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두 개의 마개에 비해 분실 및 감염의 우려가 감소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합성수지 재질의 중, 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를 보이는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병목부
3,10 : 수나사부 4,8 : 암나사부
5 : 결합돌기 6 : 마개
7 : 외부마개 9 : 내부마개
11 : 결합홈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합성수지 재질의 중, 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를 보이는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로써 용기(1)의 병목부(2)에는 외주에 수나사부(3)가 형성되어 있고, 병목부(2) 내주에는 암나사부(4)가 형성되고 결합돌기(5)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병목부(2) 내주면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1)의 병목부(2)에 체결되는 마개(6)는 외부마개(7)와 내부마개(9)로 나누어지고, 외부마개 내주에는 암나사부(8)가 형성되어 있어, 병목부의 수나사부(3)에 체결되며, 내부마개(9)의 외주에는 수나사부(10)가 형성되어 있어 병목부(2)의 암나사부(4)에 체결되고, 병목부(2) 상단에 결합돌기(5)가 형성되고, 마개(6)의 내측에 결합돌기(5)가 결합 체결되도록 결합홈(11)이 형성되는 것이며 용기(1)와 마개(6)의 각각의 테이퍼 또한 결합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용기(1)의 병목부(2)에 마개(6)를 닫으려면 외부마개(7)와 내부마개(9) 사이의 체결공간(12) 하부에 병목부(2)의 상단 둘레를 위치시키고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내부마개(9)의 수나사부(10)는 병목부(2)의 암나사부(4)에 체결되고, 외부마개(7)의 암나사부(8)는 병목부(2)의 수나사부(3)에 체결되고 결합돌기(5)와 결합홈(11)도 체결되고 용기(1)와 마개(6)의 각각의 테이퍼 또한 결합 체결되며, 이와 같이하여 내부마개(9)와 외부마개(7)가 병목부(2)의 내, 외주면에 각각 밀착 지지된다.
이와같이 마개(6)를 병목부(2)에 체결시키면 용기(1)의 병목부(2)가 이중으로 차단되므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되며, 용기(1)가 쓰러지거나 이를 거꾸로 들어도 새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점은 내부마개(9)와 외부마개(7)가 일체화되어 하나의 마개(6)로 이루어진 점인데, 이와 같이 병목부(2)를 체결하기 위한 마개(6)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므로, 여닫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종래에는 용기를 여닫으려면 내부캡, 외부캡을 각각 여닫아야 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마개(6)만 여닫으면 되므로 그 작업이 절반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용기(1)내의 음료를 이중으로 차단하여 새지 않게 하면서 여닫는 작업은 매우 간편해지게 된다.
또한 하나의 부품에 비해 두 개의 부품은 분실 및 오염의 염려가 두 배로 증가하게 되는 바, 종래의 두 개의 마개, 즉 내부캡과 외부캡은 하나로 이루어진 본 발명 마개(6)에 비해 여닫는 과정에서, 또는 열어서 보관하는 과정에서 떨어뜨리거나 분실할 염려가 두 배로 증가하게 되고 손에 더 많이 접촉하게 되므로 감염의 염려도 두 배로 증가하게 된다.
한편 초소형의 용기일 경우 손으로 내부캡을 여닫을 수 없는 경우도 발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마개(6)는 종래에 비해 분실의 염려 및 감염될 우려가 절반으로 감소하고 소형 내지 초소형의 용기도 손으로 여닫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밀폐구조는 하나의 마개(6)로 이중 밀폐구조를 갖도록 만들어서 용기내의 충진물이 새지 않도록 확실하게 차단시키면서 마개(6)의 여닫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였으며, 마개(6)의 분실 및 세균감염의 우려가 감소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밀폐구조에 의하면, 용기(1)의 병목부(2)에 마개(6)를 체결시키면 외부마개(7)의 암나사부(8)가 병목부(2)의 수나사부(3)에 체결되고 내부마개(9)의 수나사부(10)가 병목부(2)의 암나사부(4)에 체결되고 결합돌기(5)와 결합홈(11) 및 마개(6) 및 용기(1)의 테이퍼 또한 결합 체결되므로,
하나의 마개(6)를 여닫는 작업으로 용기(1)를 이중 밀폐 시킬 수 있게 되어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두 개의 마개에 비해 분실 및 감염의 우려가 감소되고, 초소형의 용기도 손으로 여닫는 작업이 가능하고, 용기 내부마개 조임 상태 확인이 불필요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해져서 공해방지가 가능해진다.

Claims (1)

  1. 합성수지 재질의 중, 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 구조에 있어서 병목부(2) 외주면에 수나사부(3)가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병목부(2) 내주면에 테이퍼가 형성되며, 테이퍼면 상단에 암나사부(4)가 형성되고 병목부(2) 상단에 결합돌기(5)가 형성된 용기(1)와
    병목부(2)의 수나사부(3)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8)가 형성된 외부마개(7)와 상기 외부마개(7)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에 상기 병목부(2)의 암나사부(4)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10)가 형성된 내부마개(9)로 이루어진 마개(6)에 결합돌기(5)가 결합되도록 결합홈(11)이 형성되는 마개(6)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중, 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 구조
KR10-2002-0021075A 2002-04-17 2002-04-17 합성수지 재질의 중,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KR10040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075A KR100406164B1 (ko) 2002-04-17 2002-04-17 합성수지 재질의 중,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075A KR100406164B1 (ko) 2002-04-17 2002-04-17 합성수지 재질의 중,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229U Division KR200248958Y1 (ko) 2001-06-09 2001-06-09 합성수지 재질의 중, 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142A KR20020034142A (ko) 2002-05-08
KR100406164B1 true KR100406164B1 (ko) 2003-11-21

Family

ID=1972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075A KR100406164B1 (ko) 2002-04-17 2002-04-17 합성수지 재질의 중,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1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142A (ko)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441A (en) Two-piece dispensing closure
US4519529A (en) Dispensing stopper
RU2420442C2 (ru) Разливные крышки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предназначенных для напитков
US20170021978A1 (en) Back-off resistant closure system
RU2001130052A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судов,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бутылок
CA1038806A (en) Closure for containers
RU2387591C2 (ru) Многоэлементный запор из пластмассы
JP2004533376A (ja) 弁付蓋アセンブリ
KR101504428B1 (ko) 용기 마개
GB2151591A (en) Reusable screw-on bottle cap for gastight seal
KR100406164B1 (ko) 합성수지 재질의 중,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KR200248958Y1 (ko) 합성수지 재질의 중, 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US20030127420A1 (en) Dual bottle closure
KR102608514B1 (ko) 병마개
KR200301401Y1 (ko) 음료용 병구와 병마개
JPH0140861Y2 (ko)
KR200350849Y1 (ko) 누수 방지용 캔뚜껑
JP3111056B2 (ja) 密封栓
RU2299844C2 (ru) Укупорочный узел с клапаном
KR200176923Y1 (ko) 음용빨대 부착형 음료용기
KR200230242Y1 (ko) 컵 겸용 음료용기 뚜껑
KR920003427Y1 (ko) 오프너 없이 개봉하는 병마개
JP2023175555A (ja) キャップ体
KR200233050Y1 (ko) 이중 개폐마개를 가진 용기
KR200378639Y1 (ko) 용기의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