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974Y1 - 전원단자 - Google Patents
전원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7974Y1 KR200357974Y1 KR20-2004-0010718U KR20040010718U KR200357974Y1 KR 200357974 Y1 KR200357974 Y1 KR 200357974Y1 KR 20040010718 U KR20040010718 U KR 20040010718U KR 200357974 Y1 KR200357974 Y1 KR 2003579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electrode member
- power supply
- supply terminal
- positive electro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장치에 결합되는 전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동시에 필요시 조명장치의 외부로 전원을 인출해 낼 수 있는 전원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조명장치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안정기 및 전선 등이 내장되어 있는 통형상 프레임(10)의 양쪽 끝에 각각 결합되는 동시에 형광등과 같은 기다란 원통형 전구를 접속시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단자(20)로서, 상기 전원단자(20)는, 형광등과 같은 원통형 전구가 접속되어 고정되는 상부 케이싱(21)과, 상기 상부 케이싱(21)에 대하여 체결부재(23)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 케이싱(22)과, 전원을 외부로 인출해 낼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전원 소켓부(24)와, 상기 복수개의 전원 소켓부(24) 각각에 대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부재(31, 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형광등과 같은 조명장치의 전원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장치에 결합되는 전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동시에 필요시 조명장치의 외부로 전원을 인출해 낼 수 있는 전원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다란 원통형상을 가지는 형광등이 장착되는 조명장치는 실내를 조명 혹은 장식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간판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으로써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형광등이 장착된 조명장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통상 복수개의 장치가 한꺼번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는 형광등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조명장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조명장치는, 안정기 및 전선 등이 내장되어 있는 통형상 프레임(1)과, 이 통형상 프레임(1)의 양쪽 끝에 각각 결합되는 동시에 형광등과 같은 기다란 원통형 전구를 접속시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단자(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복수개의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하나의 전원으로부터 전선을 분기하여 각각의 조명장치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였다. 나아가서, 이미 배선이 완료된 후 추가로 조명장치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전원 콘센트로부터 조명장치가 설치된 곳까지 전선을 길게 연장시켜야만 하였다.
그에 따라 조명장치를 복수개 설치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고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자원을 필요이상으로 소비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형광등과 같은 조명장치로부터 외부로 전원을 인출해 낼 수 있도록 한 전원단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을 인출해 낼 수 있는 전원 소켓부를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전선의 배선설계를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전원단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형광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원단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단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단자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단자의 하부 케이싱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단자의 금속 접점부재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조명장치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안정기 및 전선 등이 내장되어 있는 통형상 프레임의 양쪽 끝에 각각 결합되는 동시에 형광등과 같은 기다란 원통형 전구를 접속시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단자로서, 상기 전원단자는, 형광등과 같은 원통형 전구가 접속되어 고정되는 상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에 대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 케이싱과, 전원을 외부로 인출해 낼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전원 소켓부와, 상기 복수개의 전원 소켓부 각각에 대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극부재는 서로 대칭관계에 있는 플러스극 전극부재와 마이너스극 전극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는 복수개의 전원 소켓부를 모두 거쳐갈 수 있도록 전원단자의 하부 케이싱 내에서 X자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가 교차되는 각 전극부재의 중앙부분은 상기 전극부재들이 서로 교차되더라도 접촉되지는 않도록 그 폭이 절반 이하로 축소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전원 소켓부 각각은 별도의 전원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원을 인출해 내기 위한 한 쌍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케이싱 내부는 상기 전극부재가 제위치에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가 교차되는 지점 근방에 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격리용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원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단자는, 조명장치에서 사용된다는 점과, 안정기 및 전선 등이 내장되어 있는 통형상 프레임(10)의 양쪽 끝에 각각 결합되는 동시에 형광등과 같은 기다란 원통형 전구를 접속시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단자(20)라는 점에서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종래와는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전원단자(20)에는 전원을 외부로 인출해 낼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전원 소켓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복수개의 전원 소켓부(24) 내측에 각각 배열되는 플러스극 및 마이너스극 전극부재(31 및 32)가 내장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원단자(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명장치의 양쪽에 결합되는 전원단자(20)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설명은 그 중 한 쪽의 전원단자(20)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단자(20)는, 형광등과 같은 원통형 전구가 접속되어 고정되는 상부 케이싱(21)과, 상기 상부 케이싱(21)에 대하여 체결부재(23)에 의해 결합되는 동시에 측면에 복수개의 전원 소켓부(24)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케이싱(22)과, 상기 하부 케이싱(22)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소켓부(24) 각각에 대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부재(31, 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케이싱(21)에 원통형 전구가 접속되는 방식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식도 활용 가능하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하부 케이싱(22)에 형성되어 있는 전원 소켓부(24)는 각각 한 쌍의 슬릿형상 관통구멍(24a)으로 이루어지며, 이 한 쌍의 관통구멍(24a) 내로 별도의 전원 플러그(도시생략)를 삽입하여 전원을 인출해 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관통구멍(24a)이 슬릿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원형 혹은 그 밖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전원 소켓부(24)는 상기 전원단자(20)의 3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극부재(31, 3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전원단자의 하부 케이싱(22) 내부는 상기 전극부재(31, 32)가 제위치에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극부재는 플러스극 전극부재(31)와 마이너스극 전극부재(32)로 구성되며, 양자는 서로 대칭관계에 있다. 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31)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32) 각각은 총 3개의 전원 소켓부(24)를 모두 거쳐갈 수 있도록 전원단자의 하부 케이싱(22) 내에서 대략 X자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원단자의 하부 케이싱(22) 내부에는 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31)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32)가 교차되는 지점 근방에 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31)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32)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방지하기위한 격리용 돌기(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31)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32)가 교차되는 각 전극부재의 중앙부분은 그 폭이 절반 이하로 축소되므로 전극부재들(31, 32)이 서로 교차되더라도 접촉되지는 않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단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3군데에 전원 소켓부(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배열에 있어서 보다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즉, 조명장치를 일렬로 배열하거나 직각으로 꺾어지도록 배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3개의 조명장치를 T자 형태로 배열하거나 4개의 조명장치를 X자 형태로 배열하더라도 각각의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하나의 전원으로부터 각각 전선을 연결할 필요 없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단자로부터 최대 3개까지 별도의 플러그를 통하여 전원을 인출해낼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에 있어서는 전원 소켓부(24)가 하부 케이싱(22)에 형성되고 전극부재(31, 32)가 하부 케이싱(22)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것들은 상부 케이싱(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원 소켓부(24) 및 전극부재(31, 32)가 상부 케이싱(21)에 형성되는 경우, 상부 케이싱(21)의 내부는 도 5에 도시된 하부 케이싱(22)의 내부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형광등과 같은 조명장치로부터 외부로 전원을 인출해 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원을 인출해 낼 수 있는 전원 소켓부를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전선의 배선설계를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전원단자가 제공된다.
Claims (3)
- 조명장치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안정기 및 전선 등이 내장되어 있는 통형상 프레임(10)의 양쪽 끝에 각각 결합되는 동시에 형광등과 같은 기다란 원통형 전구를 접속시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단자(20)로서, 상기 전원단자(20)는,형광등과 같은 원통형 전구가 접속되어 고정되는 상부 케이싱(21)과,상기 상부 케이싱(21)에 대하여 체결부재(23)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 케이싱(22)과,전원을 외부로 인출해 낼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전원 소켓부(24)와,상기 복수개의 전원 소켓부(24) 각각에 대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부재(31, 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극부재는 서로 대칭관계에 있는 플러스극 전극부재(31)와 마이너스극 전극부재(32)로 이루어지며,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31)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32)는 복수개의 전원 소켓부(24)를 모두 거쳐갈 수 있도록 전원단자의 하부 케이싱(22) 내에서 X자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31)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32)가 교차되는 각전극부재의 중앙부분은 상기 전극부재들(31, 32)이 서로 교차되더라도 접촉되지는 않도록 그 폭이 절반 이하로 축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
- 제 2 항에 있어서,복수개의 상기 전원 소켓부(24) 각각은 별도의 전원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원을 인출해 내기 위한 한 쌍의 관통구멍(24a)으로 이루어지며,상기 상부 또는 하부 케이싱(21 또는 22) 내부는 상기 전극부재(31, 32)가 제위치에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31)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32)가 교차되는 지점 근방에 상기 플러스극 전극부재(31)와 상기 마이너스극 전극부재(32)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격리용 돌기(2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0718U KR200357974Y1 (ko) | 2004-04-19 | 2004-04-19 | 전원단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0718U KR200357974Y1 (ko) | 2004-04-19 | 2004-04-19 | 전원단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7974Y1 true KR200357974Y1 (ko) | 2004-08-02 |
Family
ID=4934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0718U KR200357974Y1 (ko) | 2004-04-19 | 2004-04-19 | 전원단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7974Y1 (ko) |
-
2004
- 2004-04-19 KR KR20-2004-0010718U patent/KR20035797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1358B1 (ko) | 라인 타입 조명장치 | |
KR200357974Y1 (ko) | 전원단자 | |
KR200448368Y1 (ko) | 플러그형 led 전구 연결 접속구 | |
CN208794095U (zh) | 一种应急灯管 | |
KR200423509Y1 (ko) | 형광등 소켓 및 소켓용 커넥터 단자 | |
JP4432162B2 (ja) | 内照式誘導灯 | |
KR200306815Y1 (ko) | 형광등 기구용 안정기 | |
CN219414664U (zh) | 一种明装吸顶灯 | |
KR200323079Y1 (ko) | 방전램프 장치 | |
KR20140135540A (ko) | 엘이디조명장치 | |
KR100764547B1 (ko) | 형광등 다방향 접속장치 | |
CN212961016U (zh) | Led灯具及其连接件 | |
KR200405512Y1 (ko) | 연결형 형광등 기구 | |
CN207298398U (zh) | Led模组及具有其的led灯具 | |
KR200374820Y1 (ko) | 안정기 | |
KR960006826Y1 (ko) | 간판용 형광등의 전원공급장치 | |
CN208523553U (zh) | 鱼缸的照明和/或冷却装置 | |
KR200344903Y1 (ko) | 일자형 형광등기구 | |
KR200431610Y1 (ko) | 형광등용 어댑터 | |
KR200173033Y1 (ko) | 조명등용 기구 | |
KR200200190Y1 (ko) | 형광등의 스타트 램프용 소켓 | |
KR200485313Y1 (ko) | 천장형 등기구 설치 간편화 장치 | |
KR200200793Y1 (ko) | 형광등의 스타트 연결라인 단자구조 | |
KR200203614Y1 (ko) | 형광등용 안정기의 설치구조 | |
KR200276179Y1 (ko) | 광고판에 사용되는 형광등 조립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726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