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453Y1 - 수해 방지용 포대 - Google Patents

수해 방지용 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453Y1
KR200357453Y1 KR20-2004-0013245U KR20040013245U KR200357453Y1 KR 200357453 Y1 KR200357453 Y1 KR 200357453Y1 KR 20040013245 U KR20040013245 U KR 20040013245U KR 200357453 Y1 KR200357453 Y1 KR 200357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resin
absorbent
nonwoven fabric
hydrolyz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경실업
강봉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경실업, 강봉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경실업
Priority to KR20-2004-0013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4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4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multip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65D29/02Sacks with laminated or multip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4Valve bags, i.e. with valves fo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해 방지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소재 또는 합성소재로 이루어진 포대 본체(1)내에 상단 부직포(3a)와 하단 티슈(3e) 사이에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3d)와 플러프 펄프(3b)가 배열되어 있는 흡수체(3)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물(水)에 담그면 포대내에 흡수체가 빠른 속도로 많은 물을 흡수하여 포대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해 방지용 포대로 유용하고, 모래 채취로 인한 환경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보관 및 운반도 용이하다.

Description

수해 방지용 포대 {A sack for preventing flood disaster}
본 고안은 수해 방지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래 대신에 고흡수성의 흡수체가 내장되어 모래 채취가 필요 없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내부 포대(속주머니)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수해 방지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해 방지용 포대로는 모래를 담은 포대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모래를 담은 포대를 수해 방지용 포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안이나 하천에서 모래를 채굴 하는데 따른 비용 증가와 환경 훼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사용시 모래를 포대에 담는 공정과 사용 후 포대를 해체하는 공정이 번거로운 문제 등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333129호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 내에 내부 포대(4)를 별도로 성형한 후 상기의 내부 포대(4)내에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5)를 담은 수해 방지용 포대를 게재하고 있고,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108558호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주머니(4)내에 흡수성 수지(5)를 담은 후 이를 포대 내부에 내장시킨 수해 방지용 포대를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방법들은 입자 또는 분말상의 흡수성 수지가 포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포대(속주머니)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하고 공정이 복잡해지고, 입자 또는 분말상의 흡수성 수지(5)들이 흡수시 서로 뭉쳐지는 블로킹(Blocking) 현상이 발생되어 흡수성 수지가 갖고 있는 흡수능력을 충분히 발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195526호에서는 포대내에 내부 포대(속주머니) 없이 분말 또는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를 담은 수해 방지용 포대를 게재하고있으나, 이 경우 흡수성 수지가 포대 밖으로 쉽게 유출되는 문제와 블로킹 현상이 발생되어 흡수성 수지의 흡수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 할 수 있도록 모래를 사용하지 않고, 흡수성 수지의 블로킹 현상으로 인한 흡습능력의 저하가 적고, 분말 또는 입자상 흡수성 수지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포대(속주머니)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가격이 저렴하고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면서도 우수한 흡습능력을 보유하는 수해 방지용 포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단 부직포와 하단 티슈 사이에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와 플러프 펄프 등이 배열된 흡수체가 내장된 수해 방지용 포대를 제안한다.
도 1은 사용전인 본 고안의 사시 개략도.
도 2는 사용전인 본 고안의 단면 개략도.
도 3은 도 2중 흡수체(3)의 확대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종래 수해 방지용 포대의 단면 개략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포대 본체 2 : 봉제선 3 : 흡수체
4 : 내부 포대(속주머니) 3d, 5 : 입자상 흡수성 수지
3a : 상단 부직포 3b : 펄프 3c : 열활성 섬유
3e : 하단 티슈
이와 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해 방지용 포대는, 천연소재 또는 합성소재로 이루어진 포대 본체(1)내에 상단 부직포(3a)와 하단 티슈(3e) 사이에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3d)와 플러프 펄프(3b)가 배열되어 있는 흡수체(3)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등을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소재 또는 합성소재로 이루어진 포대 본체(1)와 상기의 포대본체 내에 내장되어 있는 흡수체(3)로 구성된다.
도 1은 사용전인 본 고안의 사시 개략도이고, 도 2는 사용전인 본 고안의 단면 개략도 이다.
상기 포대 본체(1)는 마직물, 폴리올레핀계 슬리팅 필름으로 제직된 직물등이다.
본 고안에서는 포대 본체(1)의 재질을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포대 본체(1)내에 내장되어 있는 흡수체(3)는 상단 부직포(3a)와 하단 티슈(3e)사이에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3d)와 플러프 펄프(3b)가 배열되어 있거나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3d)와 플러프 펄프(3b)와 열활성 섬유(3c)가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
도 3은 상단 부직포(3a)와 하단 티슈(3e) 사이에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3d), 플러프 펄프(3b) 및 열활성 섬유(3c)가 배열되어 있는 흡수체(3)의 단면 개략도이다.
상기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3d)는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가교제,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중합체의 가수분해물, 전분-아크릴산 그라프트 중합체의 중화물, 초산비닐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중화물,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가수분해물 및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가수분해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이다.
한편, 상기 열활성 섬유(3c)는 폴리에틸렌 수지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된 복합섬유, 변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복합섬유 등이다.
상기 복합섬유의 형태는 분할형(Side by side type), 심초형(core andsheath type) 또는 해도형(Island in the sea type) 등이다.
상기 열활성 섬유의 섬도는 1.5~6데니어, 길이는 2~20㎜, 크림프수는 7~20개/인치 수준인 것이 좋다.
상기 흡수체(3)는 증류수와 접촉시키면 1분내에 2배 이상으로 팽윤되고 외압이 없는 상태에서는 3배 이상 팽윤된다.
또한, 흡수체(3)내의 입자상 흡수성 수지(3d)들은 열활성 섬유(3c) 및 플러프 펄프(3b)들로 인해 흡습시 서로 뭉쳐지는 블로킹 현상이 최소화되어 양호한 흡수능을 발현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3)의 물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증류수에 대한 흡수능 측정
본 고안을 이루는 흡수체(3)의 샘플을 채취하여서, 샘플 무게의 1000배 되는 증류수가 넣어진 용기에 30분 동안 방치 한 후, ASTM 100 메쉬(mesh) 표준망체로 여과하여서 흡수된 증류수의 양을 측정하여 흡수능(g/g)을 측정한다.
b. 증류수에 대한 흡수속도 측정
본 고안을 이루는 흡수체(3)의 샘플을 채취하여서, 측정하고자하는 부위의 크기를 측정 한 후, 샘플을 증류수가 담긴 용기에 침적하여서 초기 크기의 두배까지 성장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c. 성형체의 열 안정성 측정
본 고안을 이루는 흡수체(3)의 샘플을 채취하여서, 100℃로 준비된 컨벡션 오븐내에서 1 시간 동안 방치 한 후에 성형품의 외관상의 열 안정성을 확인한다.
d. 열 안정성 측정 후의 흡수능 측정
100℃로 준비된 컨벡션 오븐내에서 흡수체 샘플을 1 시간 방치시킨 후에, 가온 된 흡수체를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증류수에 대한 흡수능을 측정한다.
상기의 평가 방법으로 흡수체(3)는 흡수능이 200g/g 이상이고, 흡수속도가 30초 수준이고, 열 안정성이 양호하고, 열안정성 측정 후 흡수능이 250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본 고안은 모래 대신 다층 흡수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래채취로 인한 비용증가나 환경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분말상 흡수성 수지 대신에 다층구조의 흡수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부포대(속주머니)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고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흡습시 흡수성 수지의 블로킹 현상도 최소화되어 수해 방지 효과도 더욱 향상된다,

Claims (5)

  1. 천연소재 또는 합성소재로 이루어진 포대 본체(1)내에 상단 부직포(3a)와 하단 티슈(3e) 사이에 입자상의 흡수성 수지(3d)와 플러프 펄프(3b)가 배열되어 있는 흡수체(3)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 방지용 포대.
  2. 1항에 있어서, 포대 본체(1)가 마직물,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계 슬리팅 필름으로 제직된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 방지용 포대.
  3. 1항에 있어서, 흡수제(3)가 상단 부직포(3a)와 하단 티슈(3e) 사이에 흡수성 수지(3d), 플러프 펄프(3b) 및 열활성 섬유(3c)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 방지용 포대.
  4. 1항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3d)가 폴리아크릴상 부분 중화물 가교제,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중합체의 가수분해물, 전분-아크릴산 그라프트 중합체의 중화물, 초산비닐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중화물,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가수분해물 및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가수분해물로 구성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 방지용 포대.
  5. 3항에 있어서, 열활성섬유(3c)가 폴리에틸렌 수지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된 복합섬유 또는 변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복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 방지용 포대.
KR20-2004-0013245U 2004-05-13 2004-05-13 수해 방지용 포대 KR200357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45U KR200357453Y1 (ko) 2004-05-13 2004-05-13 수해 방지용 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45U KR200357453Y1 (ko) 2004-05-13 2004-05-13 수해 방지용 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453Y1 true KR200357453Y1 (ko) 2004-07-30

Family

ID=4934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245U KR200357453Y1 (ko) 2004-05-13 2004-05-13 수해 방지용 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4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85334T3 (es) Barrera autorreparadora contra el agua salada
CA1305853C (en) Water absorbent packet
US6140550A (en) Water-absorbent article and method
ES2366362T3 (es) Barrera autorreparadora contra el agua salada.
US5035805A (en) Water detection and removal for instruments
US9297134B1 (en) Self-expanding barrier for control of surface water flow
KR200357453Y1 (ko) 수해 방지용 포대
JP2010255346A (ja) 水膨潤性吸水性樹脂用包材、土嚢袋および土嚢
JP2007016529A (ja) 吸水型防水マット
JP6524390B2 (ja) マスク
US20090317583A1 (en) Textile Sealing Membrane
JP2006204986A (ja) 吸水型漏水防止マット
US11560681B1 (en) Self-expanding barrier having a mesh sheath
JPH10147919A (ja) 消火用水用簡易堤防
JP3680878B2 (ja) 保護管付地下埋設ケーブル用止水材及び止水性構造体
KR101389122B1 (ko) 홍수 침수 방어용 자루
JP2017202458A (ja) 容器に入った廃水の量を低減する方法
WO1990004456A1 (en) Superabsorbant package
JP2002266330A (ja) 土嚢状吸水体
EP1425094B1 (en) Hydroabsorbent product
CN114392518B (zh) 一种高吸水性树脂复合填充袋及其制造方法
CN217078608U (zh) 一种高吸水性树脂复合填充袋
JP2003201709A (ja) 土 嚢
KR200364484Y1 (ko) 고흡수성 고분자가 내장된 수해방지 포대
CN210364994U (zh) 一种新型ffs流道排气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