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346Y1 -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346Y1
KR200357346Y1 KR20-2004-0012766U KR20040012766U KR200357346Y1 KR 200357346 Y1 KR200357346 Y1 KR 200357346Y1 KR 20040012766 U KR20040012766 U KR 20040012766U KR 200357346 Y1 KR200357346 Y1 KR 200357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djusting
fixed
fan
ang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주
Original Assignee
김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주 filed Critical 김일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송풍홴이 장착된 헤드부의 회전각도를 0°에서 160°까지 임의로 조절 가능토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각도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냉방과 사용의 편익을 도모하기 위한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모터에서 연장되는 모터축의 단부에 형성된 웜과, 상부에 웜과 연접되는 웜휠이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구동기어가 고정된 수직축과,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입설되어 하단부에 상기 구동기어와 결합되는 종동기어가 장착된 고정축에 의해서 헤드부가 좌,우로 회전되는 선풍기에 있어서, 양측에 와이어가 고정되어 조작패널상에 장착된 각도조절노브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고정축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연동되는 슬리브 실린더와; 상기 슬리브 실린더와 일체로 결합되어 헤드부의 회전각을 결정하는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작동을 조절하는 브라켓트와;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길이가 가변시되는 링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Turning angle control apparatus of electric fan}
본 고안은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송풍홴이 장착된 헤드부의 회전각도를 0°에서 160°까지 임의로 조절 가능토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각도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냉방과 사용의 편익을 도모하기 위한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풍기는 외부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선풍기는 바람을 송풍하게되는 헤드부의 좌,우 회전각도는 50°에서 100°까지로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적은 인원이 사용시에는 헤드부의 불필요한 회전에 의해 복위되는 시간이 길어 효율적인 냉방효과를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홴이 장착된 헤드부의 회전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토록 하여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모터에서 연장되는모터축의 단부에 형성된 웜과, 상부에 웜과 연접되는 웜휠이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구동기어가 고정된 수직축과,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입설되어 하단부에 상기 구동기어와 결합되는 종동기어가 장착된 고정축에 의해서 헤드부가 좌,우로 회전되는 선풍기에 있어서, 양측에 와이어가 고정되어 조작패널상에 장착된 각도조절노브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고정축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연동되는 슬리브 실린더와; 상기 슬리브 실린더와 일체로 결합되어 헤드부의 회전각을 결정하는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작동을 조절하는 브라켓트와;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길이가 가변시되는 링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는 축의 내측에는 각도조절노브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고정하는 작동레버와 외측에는 슬리브 실린더와 결합되는 협지편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슬리브 실린더는 내측에 절취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상부에는 승강부재를 구성하는 협지편을 결합하는 날개편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가동부재를 구성하는 연결편을 고정하는 체결편이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또 상기 각도조절편은 최하단에는 링크에 고정되는 볼조인트와 통공의 중앙에 배설된 코일스프링의 양측에 볼을 결합하여 상기 볼이 안내레일에 형성된 정합공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심재 및 외측이 고정축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슬리브 실린더와 핀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편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브라켓트는 상면중앙에 안내공이 형성된 고정축이 고정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에는 저부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정합공이 형성된 안내레일과 상부에각도조절부재를 핀에 의해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편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각도의 변환상태를 예시한 일부 절결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와이어 5…각도조절노브 6…작동레버 8…협지편
10…승강부재 11…날개편 13…체결편 15…슬리브 실린더
16…심재 17…볼조인트 18…연결편 20…각도조절부재
21…안내레일 21a,21b,21c…정합공 24…지지편
25…브라켓트 30…링크 40...모터 42…모터축 42a…웜
43…웜휠 44…구동기어 45…수직축 46…종동기어 50…본체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각도의 변환상태를 예시한 일부 절결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50)의 상부에 장착된 모터(41)의 후측에는 단부에 웜(42a)이 형성된 모터축(42)이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웜(42a)의 일측에 기어 결합되는 웜휠(43)이 고정되고, 상기 웜휠(43)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축(45)의 단부에는 종동기어(47)와 결합되는 구동기어(44)에 의해서 헤드부(49)가 좌,우로 회전되는 통상의 선풍기(100)의 구성에 각도조절노브(5)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승강부재(10)에 의해 각도조절부재(15)의 각도를 가변시켜 링크(30)의 길이를 가변 시킴으로써 헤드부(49)의 각도를 0°∼ 160°까지 임의로 변환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각도의 조절은 하기의 구성에 의해서 구현되는 것이다.
즉 양측에 승강부재(10)를 작동시키는 와이어(1)가 결속된 각도조절노브(5)와, 상기 각도조절노브(5)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부재(10)와, 장공(23a)이형성된 고정축(23)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10)의 협지편(8)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슬리브 실린더(15)와, 상기 슬리브 실린더(15)에 연동되면서 링크(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20)와, 상기 각도조절편(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브라켓트(25)와, 상기 각도조절부재(25)의 이동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면서 헤드부(49)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링크(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노브(5)는 헤드부(49)의 각도를 0°∼ 160°로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의 각도조절은 승강부재(10)와 연결되는 와이어(1)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레버(5)와 연결된 와이어(1)에 의해 작동되는 승강부재(10)는 축(7)의 일측에는 와이어(1)를 결속하는 작동레버(6)가 고정되고, 외측에는 고정축(46)에 외삽되는 슬리브 실린더(15)와 결합되는 협지편(8)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10)를 구성하는 협지편(8)과 일체로 결합되는 슬리브 실린더(15)는 종동기어(47)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고정축(23)의 외측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승강부재(10)를 구성하는 협지편(8)을 고정하기 위한 날개편(11)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하부에는 후술하는 각도조절부재(20)를 결합하는 체결편(13)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날개편(11)과 체결편(13)의 내측에는 고정축(23)에 형성된 장공(23a)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안내공(14)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슬리브 실린더(15)는 승강부재(10)와 각도조절부재(20)를 일체로 결합되어 연동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10)에 의해서 작동되는 슬리브 실린더(15)에 결합되어 작동되는 각도조절부재(2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서, 이의 구성은 심재(16)의 저면에는 링크(30)와 결합되는 볼조인트(17)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슬리브 실린더(15)와 결합되는 연결편(18)으로 구성된다.
상기 심재(16)의 저부에는 횡방향으로 통공(16a)이 형성되고, 이 통공(16a)의 중앙에는 코일스프링(16b)을 위치시키고, 이 코일스프링(16b)의 양측에는 볼(16c)이 결합되어있다.
상기 볼(16c)은 심재(16)의 외측으로 1/3정도 돌출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브라켓트(25)를 구성하는 안내레일(21)에 형성된 정합공(21a)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볼(16c)은 내측에 배설된 코일스프링(16b)의 탄성에 의해 내,외측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안내레일(21)의 양측에 형성된 정합공(21a,21b,21c)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심재(16)의 저부에 부설된 볼조인트(17)는 본체(50)와 결합된 링크(30)의 외측단부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는 각도조절부재(20)와 링크(30)의 유기적인 연결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의 연결편(18)은 고정축(23)에 형성된 장공(23a)을 관통하여 핀(18a)에 의해서 상술한 슬리브 실린더(15)의 체결편(13)과 일체로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각도조절부재(20)를 고정하는 브라켓트(25)는 종동기어(47)에 일체로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는 상면중앙에는 장공(23a)이 형성된 고정축(23)이 상부로 길게 연장된 기판(22)의 일측 저부에는 등간격으로 정합공(21a,21b,21c)이 형성된 안내레일(21)이 배설되고, 상부에는 각도조절부재(20)를 핀(24a)에 의해서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24b)이 형성된 지지편(24)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동기어(47)에 고정된 브라켓트(25)에는 각도조절부재(20)를 구성하는 심재(16)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16c)은 좌,우로 이동되면서 안내레일(21)에 마련된 정합공(21a,21b,21c)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20)는 "ㄱ" 형상이기 때문에 상부의 연결편(18)은 고정축(23)에 형성된 장공(23a)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하지만 하부의 심재(16)는 안내레일(2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도조절부재(20)의 하부에 부설된 볼조인트(17)와 결합되는 링크(30)의 내측단부에는 볼조인트(17)의 외표면을 감싸는 커버(26)를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하고, 외측단부는 본체(50)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링크(30)의 외측단부에 결합되는 볼조인트(17)는 자유자재로 유동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각도조절부재(20)가 전,후로 이동되어도 링크(3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49)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도조절부재(20)를 구성하는 심재(16)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16c)은 안내레일(21)의 내측에 형성된 정합공(21b)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도조절노브(5)를 40°, 80°, 120°, 160°지점으로 이동시키면, 와이어(1)에 의해서 작동되는 승강부재(10)에 의해 고정축(23)에 외삽된 슬리브 실린더(15)가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슬리브 실린더(15)와 일체로 결합된 각도조절부재(15)를 구성하는 연결편(18)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심재(13)는 안내레일(21)의 외측에 형성된 정합공(21b)(21c)으로 이동되어 종동기어(47)의 회전각도가 확대되는 것이다.
반대로 헤드부(49)의 회전각도를 작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도조절노브(5)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게되면, 승강부재(10)를 구성하는 협지편(8)과 각도조절부재(20)를 구성하는 연결편(18)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의 심재(16)는 안내레일(21)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볼(16c)이 정합공(21b)(21a)에 결합되어 종동기어(47)의 회전각도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각도의 변환됨으로써 링크(30)는 볼조인트(17)에 의해 변환되는 길이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도조절부재(20)가 내측(종동기어의 중심점)으로 이동하면 할수록 링크(30)의 길이는 늘어나 종동기어(47)의 회전각을 크게 하고, 외측으로 이동하면 할수록 링크(30)의 길이가 짧아져 종동기어(47)의 회전각도를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풍기(100)를 구성하는 헤드부(49)를 각도조절노브(5)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자유자재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바람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냉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승강부재에 의해 각도조절부재가 종동기어의 중심점에서 내,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종동기어의 회전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토록 함으로써, 헤드부의 회전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변환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리는 물론 냉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모터에서 연장되는 모터축의 단부에 형성된 웜과, 상부에 웜과 연접되는 웜휠이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구동기어가 고정된 수직축과,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입설되어 하단부에 상기 구동기어와 결합되는 종동기어가 장착된 고정축에 의해서 헤드부가 좌,우로 회전되는 선풍기에 있어서, 양측에 와이어가 고정되어 조작패널상에 장착된 각도조절노브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고정축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연동되는 슬리브 실린더와; 상기 슬리브 실린더와 일체로 결합되어 헤드부의 회전각을 결정하는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작동을 조절하는 브라켓트와;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길이가 가변시되는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각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축의 내측에는 각도조절노브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고정하는 작동레버와 외측에는 슬리브 실린더와 결합되는 협지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각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실린더는 내측에 절취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상부에는 승강부재를 구성하는 협지편을 결합하는 날개편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가동부재를 구성하는 연결편을 고정하는 체결편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각도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편은 최하단에는 링크에 고정되는 볼조인트와 통공의 중앙에 배설된 코일스프링의 양측에 볼을 결합하여 상기 볼이 안내레일에 형성된 정합공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심재 및 외측이 고정축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슬리브 실린더와 핀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각도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상면중앙에 안내공이 형성된 고정축이 고정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에는 저부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정합공이 형성된 안내레일과 상부에 각도조절부재를 핀에 의해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각도조절장치.
KR20-2004-0012766U 2004-01-05 2004-05-07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 KR2003573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138U KR200345437Y1 (ko) 2004-01-05 2004-01-05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
KR2020040000138 2004-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346Y1 true KR200357346Y1 (ko) 2004-07-27

Family

ID=493444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138U KR200345437Y1 (ko) 2004-01-05 2004-01-05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
KR20-2004-0012766U KR200357346Y1 (ko) 2004-01-05 2004-05-07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138U KR200345437Y1 (ko) 2004-01-05 2004-01-05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454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873B1 (ko) * 2019-05-14 2020-10-28 고한결 회동범위 조절 가능한 기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선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873B1 (ko) * 2019-05-14 2020-10-28 고한결 회동범위 조절 가능한 기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선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437Y1 (ko) 200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785B1 (ko) 선풍기 헤드부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0357346Y1 (ko) 선풍기의 회전각 조절장치
CN107588028A (zh) 一种落地扇
KR200381101Y1 (ko) 진동운동기
CN103016387A (zh) 360度巡航电风扇安装座
KR101263120B1 (ko) 선풍기용 풍향 조절장치
KR101281907B1 (ko) 선풍기의 좌, 우 선회각 조절장치
CN111006267B (zh) 一种装饰罩安装装置及应用有该安装装置的吸油烟机
KR200240682Y1 (ko) 선풍기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CN209761811U (zh) 摇头风扇
CN109990223B (zh) 美术馆、博物馆遥控移动轨道灯
KR970005780Y1 (ko)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KR20020084713A (ko) 선풍기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CN201451732U (zh) 多转向遮阳伞
CN100560973C (zh) 一种发动机的起动器固定机构
CN109611360B (zh) 一种可调扇叶角度的风扇
CN220868627U (zh) 一种户外百叶帐篷用百叶板翻转驱动装置
CN201215100Y (zh) 家电摇头幅度调节机构
CN220727673U (zh) 显示屏支架及移动式显示装置
KR20090038577A (ko) 회전각 조절장치
KR200161555Y1 (ko) 전동부채(Electric fan)
KR20220150398A (ko) 송풍 장치의 회전 구동기구, 송풍 장치 및 가전제품
CN216383791U (zh) 一种无线远程控制激光灯
CN102829440A (zh) 摇摆式照明装置
CN212987414U (zh) 一种空调用导风组件、导风装置及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