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180Y1 - 모뎀을 이용한 시리얼 데이터 자동송수신 휴대장치 - Google Patents

모뎀을 이용한 시리얼 데이터 자동송수신 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180Y1
KR200357180Y1 KR20-2004-0008627U KR20040008627U KR200357180Y1 KR 200357180 Y1 KR200357180 Y1 KR 200357180Y1 KR 20040008627 U KR20040008627 U KR 20040008627U KR 200357180 Y1 KR200357180 Y1 KR 200357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dma
modem
present
computer
g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곤
Original Assignee
지.피.에스. 데이타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피.에스. 데이타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피.에스. 데이타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8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86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 handshaking protocol, e.g. RS232C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95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n embedded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DMA 또는 GSM모뎀이나 CDMA 또는 GSM모뎀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무신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전화와 외부모뎀을 연결한 공중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이얼 업 방식을 사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전용 컴퓨터장치로서 엠베디드(Embedded) 구조를 이용하여 시리얼 데이터 통신전용 소형컴퓨터로 제작하여 RS-232c와 USB를 이용한 각종 시리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RS-232c와 USB를 이용한 각종 시리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므로 실시간 무선측위 기술에 사용되는 RTK, DGPS용 UHF/VHF데이터 통신 무선국, 그리고 개인용 데스크톱컴퓨터나 노트북컴퓨터(이하 일반컴퓨터라 칭함)에 모뎀을 연결한 장치의 대체장치로 이용가능하며 위치추적장치의 기능발휘가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장비를 소형화, 간소화, 경량화한 것으로 고안하여 장치의 기동성과 휴대성을 높였다.

Description

모뎀을 이용한 시리얼 데이터 자동송수신 휴대장치{AIM(Advanced Interface Module)}
본 고안은 엠베디드(Embedded) 구조를 이용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방식의 무선이동통신기기를 모뎀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유선전화 모뎀을 사용하는 다이얼 업(Dial Up) 방식 시리얼 데이터 통신전용 소형컴퓨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컴퓨터에 CDMA모뎀을 연결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블럭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은 일반컴퓨터(11)와 이동통신단말기(13)로 구성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국(15)과 CDMA기지국, 그리고 일반컴퓨터(21)와 이동통신단말기(23)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국(20)으로 구성된다. 이 장치는 CDMA모뎀을 이용하여 송신국(15)과 수신국(20)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무선측위 및 각종 시리얼 데이터 통신에 이용이 가능하나, 이러한 이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CDMA모뎀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 또는 내장형 CDMA모뎀제품과 다이얼 업, 다이얼 인(DialIn)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컴퓨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므로 장비가 무겁고 휴대가 불편하며 그로 인한 파손의 위험성이 항상 뒤따르게 된다. 이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은 송신국과 수신국, 쌍방이 CDMA모뎀을 이용한 통신을 하는 것이다. 수신국의 컴퓨터에서 다이얼 업 기능을 불러내고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상대국에 다이얼 업 접속하여 데이터를 받게 되고 송신국에서는 수신국이 데이터를 받기 위해 접속을 해오면 수신국으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접속 시마다 컴퓨터에서 시리얼 포트를 열어주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다이얼 업 기능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사용 시마다 설정을 다시 해주어야 하거나 일부를 수정해야 하므로 그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시간이 소모되고 상대국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해야 하므로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할 실수를 범할 우려도 있다. 이렇듯 일반컴퓨터에 CDMA모뎀을 연결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장치는 그 운용이 번거롭고 휴대가 불편하여 데이터 송수신시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제품으로 일반컴퓨터의 다이얼 업, 다이얼 인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장치인 컴퓨터모뎀을 소형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설치하고 다이얼 업 방식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칩셋에 엠베디드(Embedded) 구조화한 통신전용 소형컴퓨터로 제작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CDMA 또는 GSM모뎀을 이에 장착하거나, CDMA 또는 GSM모뎀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도록 제작한 것으로 일반컴퓨터에 CDMA모뎀을 연결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비해 소형화,간소화, 경량화하여 장치의 기동성과 휴대성을 높이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사용방법도 간단해져 시간의 절약을 가져온다. 또한 GPS수신기 장착만으로 무선측위 장치로도 사용가능하며 무선측위 데이터흐름만 역순으로 바꾸게 되면 위치추적장치의 기능 또한 발휘된다. 또 기존의 위치추적 장치는 한정된 형식의 데이터 통신만이 가능하나 본 고안은 GPS 본래의 신호를 수정, 개조 없이 송수신하여 여러 가지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항법용으로 나온 다양한 상용 소프트웨어를 GPS원격이동체 추적용 소프트웨어로 전용하여 사용 가능하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수입에 의존하던 무선측위용 RTK, DGPS RF모뎀인 VHF/UHF라디오도 대체할 수 있다. 결국 모든 종류의 시리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CDMA/GSM이동통신 무선모뎀을 이용한 안정적 무선데이터 통신장치로 제작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컴퓨터에 CDMA모뎀을 연결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블럭 구성도.
도 2a는 본 고안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블록 구성도. 도 2b는 본 고안을 위치추적장치로 사용시의 시스템 블럭 구성도.
도 3a는 본 고안의 외장을 도시한 외관도. 도 3b는 본 고안에 장착되는 부품을 도시한 부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램프4. ON/OFF스위치
6. 9핀 시리얼 RS-232c 포트A8. 9핀 시리얼 RS-232c 포트B
10. 외부전원 공급 잭12. 외부전원 입력 잭
14. CDMA/GSM안테나 잭16. 시리얼 커넥터
18. 전원 잭20. CDMA/GSM안테나
22. 배터리 입력부24. 시리얼 데이터 케이블
26. GPS수신기/안테나15, 100. 송신국
20, 200. 수신국11, 21. 일반컴퓨터
13, 23, 103, 203. 이동통신단말기101, 201. 본 고안장치
300. 추적 대상국301. GPS수신기부
303, 311. 본 고안장치 310. 감시국
305, 313. 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 또는 내장형CDMA)
본 고안은 컴퓨터의 시리얼통신 Function부분을 빼내어 엠베디드(Embedded) 프로그램으로 만든 것이다. 즉 종래의 일반컴퓨터가 아닌 본 고안장치로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한다는 것으로서 일반컴퓨터가 외장모뎀을 사용하여 다이얼 업 접속한 다음 데이터 통신하는 방식을 취한다. 기존의 일반컴퓨터에 CDMA모뎀을 연결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장치에서 데이터 수신국은 일반컴퓨터에서 다이얼 업 기능을 불러내고 전화번호를 입력한 다음 송신국에 다이얼 업 접속하여 보정신호를 받게 되는데 이 모든 절차를 본 고안에서는 ON/OFF스위치를 한번만 조작하여 완성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한 다음 엠베디드(Embedded) 하였다. 또한 데이터 송신국의 고안장치는 대기상태에 있다가 수신국의 전화가 걸려 오면 시리얼 데이터를 자동 전송하도록 제작된다. 이는 일반컴퓨터에 CDMA모뎀을 연결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장치에서는 시리얼 포트를 열어야 만이 보정신호를 전송하던 것을 더욱 간편화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를 소형화, 간소화하여 무겁고 파손이 쉬우며 휴대하기가 어려운 단점을 보완하였다.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CDMA 또는 GSM모뎀은 착신모뎀을 설정해야 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 부분을 엠베디드(Embedded) 시스템에서 AT명령으로 제어한다. 본 고안은 CDMA 또는 GSM모뎀의 장착방법에 따라 외장형과 내장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외장형의 경우는 CDMA 또는 GSM모뎀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를 본 고안과 RS-232c로 연결을 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때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모뎀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내장형의 경우는 본 고안 내에 CDMA 또는 GSM모뎀이 장착되어 일체형을 이루고 있으며 착신모뎀기능을 기본값으로 설정하여 더욱더 간편하게 고안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고안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블럭 구성도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국(100)은 본 고안제품(101)과 이동통신단말기(103)로 구성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국(200)은 본 고안제품(201)과 이동통신단말기(203)로 구성된다. 이는 CDMA 또는 GSM모뎀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외장형의 경우이며, CDMA 또는 GSM모뎀이 내장된 내장형의 경우에는 본 고안제품(101,201)만으로 시리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제품은 104.6*160*31.8mm크기의 외장을 가지고 있어 일반컴퓨터에 CDMA모뎀을 연결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비해 그 크기가 월등히 작고 무게 또한 가벼우며 휴대가 간편한 시리얼 데이터 송수신용 소형컴퓨터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장치는 일반컴퓨터에 CDMA모뎀을 연결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복잡한 통화절차를 도 3a에 보이는 ON/OFF스위치(4)를 한번만 누르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 제품이다. 또한 도 2a에서 본 고안장치(101,201)에 GPS수신기/안테나를 장착하게 되면 무선측위 장비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도 2b는 본 고안을 위치추적장치로 사용시의 시스템 블럭 구성도이다. 이 경우는 본 고안장치(311)와 이동통신단말기(313)로 구성된 감시국(310)에서 본 고안장치(303)와 GPS수신기부(301)와 이동통신단말기(305)로 이루어진 추적대상국의 위치를 알고자 할 때 감시국(310)에서 본 고안장치(311)의 ON/OFF스위치(4)를 누르면 자동으로 본 고안장치 내에 입력된 추적대상국(300)으로 각각 설정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전화를 하게 되고 추적대상국(300)에서는 GPS수신기부(301)에서 받은 GPS신호를 통해 인식된 위치정보를 본 고안장치(303)를 통해 CDMA 또는 GSM기지국 즉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감시국(310)으로 자동 전송해 준다. 도 2b는 CDMA 또는 GSM모뎀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외장형의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CDMA 또는 GSM모뎀을 본 고안장치 안에 내장하는 내장형의 경우에는 본 고안제품과 GPS수신기부(301)만으로 위치추적기능발휘가 가능하다. 그리고 감시국(310)의 경우에는 유선전화망을 사용하여 추적대상국(300)의 위치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추적대상국의 위치정보를 전송 받은 고안장치(311)는 이와 연결된 컴퓨터, PDA등 출력기구로 그 정보를 보내게 되고 출력기구는 시판중인 여러 종류의 일반 항법용 소프트웨어를 위치추적 감시용 소프트웨어로 전용하여 추적대상국의 위치를 관제할 수 있다. 결국 이동체 관제용 소프트웨어를 2중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추적대상국의 위치 확인 시마다 일일이 ON/OFF스위치를 누를 필요가 본 고안제품 내에 추적대상국의 위치정보가 필요한 시간대를 입력하게 되면 감시국에서 원하는 시간에 자동적으로 추적대상국의 위치정보를 전송 받아 출력하게 됨으로 감시국은 원하는 시간에 추적대상국의 위치정보를 볼 수가 있다. 기존의 위치추적장치는 SMS프로토콜을 이용하므로 GPS위성정보 중 좌표, 시간 등의 단편적인 데이터 통신만이 가능하나 본 고안제품은 GPS에서 제어된 모든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예를 들면 NMEA와 같은 국제 공통규격신호의 사용 등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어떤 전화기라도 모뎀만 있으면 통신이 가능하다. 본 고안제품 역시 CDMA 또는 GSM모뎀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위성 전화기를 이용한다면 지구반대편까지라도 시리얼 데이터 통신이 손쉽게 가능하게 된다.
도 3b는 본 고안에 장착되는 부품을 도시한 부품도로서 9핀 시리얼 RS-232c포트A(6)는 데이터 입력 포트이며 포트B(8)는 데이터 출력 포트이다. 그리고 외부 전원 공급잭(10)은 외부전원 입력잭(12)으로 입력된 전원 또는 본 고안제품 내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본 고안제품에 장착 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공급해 주는 잭이다. 그리고 CDMA/GSM안테나잭(14)은 CDMA/GSM안테나(20)를 연결하는 잭으로 CDMA 또는 GSM모뎀이 내장되어 있는 내장형 고안제품에 한해서 사용된다. 그리고 도 3a에 보는 바와 같이 배터리입력부가 있어서 휴대하기도 간편하게 고안되어 있다. CDMA 또는 GSM모뎀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시 시리얼 데이터 케이블(24)을 이용해 본 고안제품과 연결하여 사용한다.
위치추적장치의 기능으로 사용시에는 추적대상국에서는 9핀 시리얼 RS-232c포트A(6)에 GPS수신기/안테나(26)를 연결하고 포트B(8)에 CDMA 또는 GSM모뎀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하거나 CDMA 또는 GSM모뎀을 내장한 고안의 경우는 포트B(8)를 연결할 필요 없이 내장된 CDMA 또는 GSM을 통해 GPS신호가 전송된다. 이동식 또는 고정식 감시국에서는 추적대상국과는 반대로 포트A(6)에 CDMA 또는 GSM모뎀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하거나 또는 CDMA 또는 GSM모뎀을 내장한 고안의 경우는 포트A(6)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한 필요 없이 CDMA/GSM안테나(20)를 통해 추적대상국의 신호를 전송 받게 되고 포트B(8)에 컴퓨터, PDA등 출력기기를 연결하여 추적대상국의 위치정보를 출력하여 추적대상을 감시, 관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컴퓨터나 PDA에 CDMA 또는 GSM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한 데이터 송수신장비에 비해 장비가 소형화 되었고 가벼우며 휴대가 용이하고 데이터 송수신방법이 간편화되어 데이터 송수신 시간 또한 단축되는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위치추적장치로 사용할 경우에는 광범위한 대형통신설비를 설치 운용하지 않고, CDMA 또는 GSM통신망을 사용함으로 인해 이동통신 가청권내에서는 감시자가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감시자가 원하는 시간에 추적대상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으며 위치추적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항법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 이득 또한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개인용 데스크톱컴퓨터와 노트북컴퓨터의 다이얼 업, 다이얼 인에 사용되는 컴퓨터모뎀을 소형 PCB에 설치하고 칩셋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Embedded 시스템화한 통신전용 소형컴퓨터에 CDMA/GSM모뎀을 장착하여 RS-232c와 USB 시리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인터페이스장치
KR20-2004-0008627U 2004-03-29 2004-03-29 모뎀을 이용한 시리얼 데이터 자동송수신 휴대장치 KR200357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627U KR200357180Y1 (ko) 2004-03-29 2004-03-29 모뎀을 이용한 시리얼 데이터 자동송수신 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627U KR200357180Y1 (ko) 2004-03-29 2004-03-29 모뎀을 이용한 시리얼 데이터 자동송수신 휴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180Y1 true KR200357180Y1 (ko) 2004-07-23

Family

ID=4934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627U KR200357180Y1 (ko) 2004-03-29 2004-03-29 모뎀을 이용한 시리얼 데이터 자동송수신 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1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183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伝送システムのアセンブリ
EP0665655B1 (en) Cellular phone with infrared interface in the battery pack
CN104539303B (zh) 具有基于接近性的无线电功率控制的电子设备
US5966667A (en)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101521309B1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08025058A1 (en) Gsm mobile watch phone
WO2006101877A3 (en) Radio frequency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ology
WO2001013660A1 (en) Communications device
US20060198601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re module and function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94088B1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방법
US7079074B2 (en) Receiver for receiving satellite-based navigation signals, and navigation system
CN101471989A (zh) 防止一便携式无线通讯装置遗失的方法及其相关装置
KR200357180Y1 (ko) 모뎀을 이용한 시리얼 데이터 자동송수신 휴대장치
KR100396283B1 (ko)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화를 걸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US200902272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changeable modules for a mobile station
KR101076500B1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KR20060038656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RU39434U1 (ru) Персональный навигационный терминал связи (варианты)
KR100703485B1 (ko)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비동기식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299742Y1 (ko) 휴대폰의 이어폰소켓을 이용한 gps수신기 모듈
RU41559U1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вязи (варианты)
US2002004225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selective power supply function
EP1021023B1 (en) Radio unit capable of facilitating on-line operation by a portable computer
RU66872U1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вязи
KR200280892Y1 (ko) 무선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