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827Y1 -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827Y1
KR200356827Y1 KR20-2004-0010420U KR20040010420U KR200356827Y1 KR 200356827 Y1 KR200356827 Y1 KR 200356827Y1 KR 20040010420 U KR20040010420 U KR 20040010420U KR 200356827 Y1 KR200356827 Y1 KR 200356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oor lock
case
digital door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은
이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템
이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템, 이중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템
Priority to KR20-2004-0010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8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의 배터리를 비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D)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 케이스(1)와;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 케이스와; 상기 실외 케이스에 장착되며 숫자키와 특수키가 조합된 키 입력부(3)와; 상기 실외 케이스의 내부에 인쇄회로기판(5)을 통해 장착되며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번호와 기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도어록의 괘정/해정을 결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와; 상기 실내 케이스에 수납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접속되면서 상기 실외 케이스에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접속단자(10,20)는 휴대폰 배터리(30)의 접속단자(31,32)가 접속되도록 상호간에 거리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LOCK}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록에 수납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별도의 배터리를 구입하지 않고 휴대폰 배터리를 비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옥내)에는 불법으로 외부인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록 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어 록 장치는 그 구조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도어 록에 대한 어느 정도의 상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해정할 수 있어 보안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비밀번호 입력 방식의 디지털 도어록이다.
디지털 도어록은 키뭉치의 록킹부재가 도어 외곽틀의 빗장홈으로 삽입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괘정기능과 록킹부재를 도어 외곽틀의 빗장홈으로부터 이탈시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정시키는 해정기능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D)의 외부와 내부에 각각 배치되며 서로 결합되는 실외 케이스/실내 케이스(1,2)와, 도어(D)의 시건장치 삽입부에 삽입되며 도어를 록킹시키는 시건장치(미도시)와, 실외 케이스(2)의 표면에 배치되며 0~9까지의 아라비아숫자 및 "*", "#" 등의 특수키가 조합된 키입력부(3)와, 키입력부(3)를 통해 입력된 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상기 도어의 해정/괘정을 결정한 후 그 결과값에 따라 상기 시건장치를 작동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4)로 이루어진다.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인쇄회로기판(5)에 실장되어 실외 케이스(1)에 장착된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가 움직이므로 비용측면이나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 일반 AC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소용량의 DC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고 있다. 배터리(B)는 실내 케이스(2)의 배터리 수납부(2a)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실내에서 배터리(B1)를 교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에 사용되는 배터리 전원으로는 1.5V 건전지 4개를 직렬 연결하여 6V의 전원을 사용한다. 왜냐하면, 디지털 도어록의 마이크로 프로세서(4)가 대개 5V 또는 3.3V로 동작하므로 손실을 고려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4)가 필요로 하는 전압보다 약간 높은 6V의 전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배터리(B1)는 6개월 ~ 1년 정도 지나면 방전되어 수명이 다하게 되며, 배터리(B1)의 방전시 실내에 거주자가 있으면 실내 케이스(2)의 배터리 수납부(2a)를 개방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지만, 거주자가 외출한 상태에서 배터리(B1)가 방전되면 배터리(B1)를 교체할 수 없으므로 실외에서 디지털 도어록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6)가 제공된다.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접속단자(6)는 와이어(7)를 통해 인쇄회로기판(5)에 접속되어 외부에서 배터리(B2)가 접속되면 배터리(B2)의 전원을 마이크로 프로세서(3)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실외 케이스(1)의 키버튼부(3)를 통해 비밀번호를 선택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가 입력된 번호와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이들이 맞으면 구동부를 구동시켜 도어(D)를 오픈시키는 한편, 이들이 맞지 않으면 도어(D)를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디지털 도어록에 탑재된 배터리(B)가 방전된 경우 배터리(B)가 실내 케이스(2)에 장착되어 실외에서는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배터리(B)의 방전시 실외에서 일시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어록을 해제할 수 있다. 그 방법은 도 2에서와 같이, 배터리(B2)를 구입하여 실외에서 비상 배터리(B2)의 (+)(-) 접속단자를 디지털 도어록의 접속단자(6)에 접속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가 비상 배터리(B2)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보통 5V로 구동되는 것이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비상전원 공급용 배터리(B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가 필요로 하는 전압보다 높은 전압의 9V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디지털 도어록에 장착된 배터리(B1)가 방전되더라도 사용자가 실외에서 배터리(B2)를 직접 접속하여 도어록을 사용할 수 있지만, 비상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B2)를 휴대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B2)를 구입하여야 하며, 특히, 주변에 배터리(B2)를 구입할 수 있는 점포가 없을 경우에는 배터리를 구입하기 전까지는 도어록을 해제할 수 없고, 특히, 5V 구동용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적용된 경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9V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9V 배터리는 시중에 널리 공급되지 않아서 배터리 판매 점포에서도 구입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장 배터리의 방전시 상시 휴대하는 배터리를 비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전원용 배터리가 접속되는 단자를 보이기 위한 디지털 도어록의 구성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에 적용된 접속단자를 보인 종단면도와 저면도.
도 4a와 도 4b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에 적용된 접속단자를 보인 종단면도와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실외 케이스, 2 : 실내 케이스
3 : 키 입력부, 4 : 마이크로 프로세서
5,8 : 인쇄회로기판, 10,20 : 접속단자
30 : 배터리, 31,32 : 접속단자
40 : 단자블록, 41 : 슬라이드공
42 : 슬라이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 케이스와;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 케이스와; 상기 실외 케이스에 장착되며 숫자키와 특수키가 조합된 키 입력부와; 상기 실외 케이스의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장착되며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번호와 기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도어록의 괘정/해정을 결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실내 케이스에 수납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접속되면서 상기 실외 케이스에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접속단자는 휴대폰 배터리의 접속단자가 접속되도록 상호간에 거리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접속단자는 좌우로 슬라이딩되거나 편심되어 상호간에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 실시예 1 >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은,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 케이스(1)와,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며 배터리 수납부(2a)가 구비된 실내 케이스(2)와, 실외 케이스(1) 표면에 장착되며 숫자키와 특수키가 조합된 키 입력부(3)와, 각각의 케이스(1,2)에 탑재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5,8)과, 실외 케이스(1)측 인쇄회로기판(5)에 실장되며 입력되는 번호와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도어록의 해정을 결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와, 실내 케이스(2) 내부에 탑재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1)와,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결정에 따라 도어를 괘정/해정하는 시건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신규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3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외 케이스(1)의 일측(도면 기준 하측)에는 실내 케이스(2)(도 1참조)에 수납된 배터리(B1)의 방전시 실외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 한 쌍의 접속단자(10,20)가 상호간에거리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이유는, 한 쌍의 접속단자(10,20)는 휴대폰 배터리(30)가 접속되어 휴대폰 배터리(30)의 전원을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인가하는 것인데, 휴대폰 배터리(30)의 접속단자(31,32)간의 거리가 배터리(30)의 제조사별로 다르기 때문에 접속단자(10,20) 서로간에 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예컨대, 한 쌍의 배터리 접속단자(10,20) 중 제1접속단자(10)(또는 제2접속단자(20))는 실외 케이스(1)에 고정되며, 제2접속단자(20)(또는 재1접속단자(10))는 실외 케이스(1)에 좌우방향(제1접속단자(1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접속단자(10,20)들의 장착구조로 예컨대, 접속단자(10,20)들은 실외 케이스(1)에 고정된 단자블록(40)을 통해 상호간에 거리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자블록(40)의 일측에는 제1접속단자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좌우방향의 슬라이드공(41)이 형성되며, 제2접속단자(20)는 슬라이드공(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42)에 고정되어 슬라이더(42)를 매개로 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더(42)는 제2접속단자(20)가 공회전 하지 않도록 다각형 예컨대, 사각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접속단자(20)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파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속단자(20)가 이동되기 때문에 제2접속단자(20)와 인쇄회로기판(5)을연결하는 와이어(5a)는 제2접속단자(20)가 이동되어도 접속이 유지되도록 여유 있는 길이를 가지며, 코일스프링처럼 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체인 제1접속단자(10)에 휴대폰 배터리(30)의 제1접속단자(31)를 접속한 상태에서 제2접속단자(20)를 이동하여 휴대폰 배터리(30)의 제2접속단자(20)에 접속하는 것이므로, 제2접속단자(20,32)간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제2접속단자(20)는 제1접속단자(10)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접속단자(10)는 그 중심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은 접속단자(10,20)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므로 접속단자(10,2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든 구조가 가능하며, 따라서, 상술한 설명 중 단자블록(40)과 슬라이더(42)는 필수요소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1), 접속단자(20)의 설계변경을 통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휴대폰 배터리(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안정적 구동을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4)가 요구하는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 사용되어야 한다. 즉, 휴대폰 배터리가 대개 4V이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4V이하(예컨대, 시중에서 출시되는 3.3V)가 사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접속단자(20)만 이동 가능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2접속단자(10,20) 모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a와 도 3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디지털 도어록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배터리를 구입할 필요없이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의 배터리(30)를 디지털 도어록의 접속단자(10,20)에 접속하여 비상전원으로 사용한다.
디지털 도어록의 한 쌍의 접속단자(10,20)간의 거리가 휴대폰 배터리(30)의 접속단자(31,32)간의 거리와 다를 수 있으며, 이때, 접속단자(10,20)간의 거리와 휴대폰 배터리(30)의 접속단자(31,32)간의 거리를 일치하기 위하여 슬라이더(42)를 좌우로 슬라이딩하면, 슬라이더(42)가 슬라이드공(41)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제2접속단자(20)와 제1접속단자(10)간의 거리가 달라지며, 이러한 방법으로 디지털 도어록의 접속단자(10,20)간의 거리를 휴대폰 배터리(30) 접속단자(31,32)간의 거리와 맞춘 후, 휴대폰의 배터리(30) 접속단자(31,32)를 디지털 도어록의 접속단자(10,20)에 접속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전원이 인가되어 디지털 도어록을 작동할 수 있다. 접속단자들의 접속시 제2접속단자(20)가 제1접속단자(10)를 향해 하향 경사지기 때문에 배터리(30)의 제2접속단자(32)가 자연스럽게 접속될 수 있다.
이처럼, 디지털 도어록의 접속단자(10,20)간의 거리를 한 번 맞추게 되면, 사용자가 바뀌거나 휴대폰이 바뀌기 전까지는 접속단자(10,20)간의 거리가 변하지 않으므로 비상전원 공급시 접속단자(10,20)의 거리를 조절할 필요가 없을 것이며, 사용자가 바뀌거나 휴대폰이 바뀌면 전술한 방법에 의거하여 접속단자간의 거리를휴대폰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맞춰 사용한다.
< 실시예 2 >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은, 접속단자간의 거리 조절을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4a와 도 4b에서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의 한 쌍의 접속단자(10,20)는, 실외 케이스(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회전중심이 접속단자(10,20)의 중앙에 위치되면 접속단자910,20)가 회전하여도 상호간의 거리가 변하지 않으므로 접속단자(10,20)의 회전시 상호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접속단자(10,20)는 편심되게 설치된다. 즉, 한 쌍의 접속단자(10,20)는 단자블록(40)에 각각 편심축(11,21)을 통해 공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접속단자(10,20)의 회전을 위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접속단자의 외주면에는 파지부(12,22)로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도어록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 접속단자간의 거리와 휴대폰 배터리 접속단자간의 거리가 다를 경우 접속단자들의 접속을 위하여 도 4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배터리 접속단자(10,20)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접속단자(10,20)가 실외 케이스(1)에 편심되어 회전시 위치가 변하게 되므로 접속단자(10,20)들간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처럼, 접속단자(10,20)들을 회전하여 휴대폰 배터리(30)의 접속단자(31,32)간의 거리와 맞춘 후, 휴대폰 배터리(30)의 접속단자(31,32)를 디지털 도어록의 접속단자(10,.20)에 접속한 후, 디지털 도어록을 작동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록에 수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실외에서 비상전원을 공급해야 할 경우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폰의 배터리(30)를 비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배터리를 구입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록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실외에서 비상전원을 공급하여야 할 때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의 배터리를 비상전원으로 공급하여 별도의 배터리를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별도 배터리의 구입을 위한 불편함,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비상대처가 매우 간편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도어(D)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 케이스(1)와; 상기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 케이스와; 상기 실외 케이스에 장착되며 숫자키와 특수키가 조합된 키 입력부(3)와; 상기 실외 케이스의 내부에 인쇄회로기판(5)을 통해 장착되며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번호와 기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도어록의 괘정/해정을 결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와; 상기 실내 케이스에 수납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접속되면서 상기 실외 케이스에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접속단자(10,20)는 휴대폰 배터리(30)의 접속단자(31,32)가 접속되도록 상호간에 거리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케이스에는 슬라이드공(41)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슬라이드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슬라이딩되면서 상호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접속단자(10,20)는, 상기 실외 케이스에 편심축(11,21)을 통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에 의해 상호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접속단자는 파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KR20-2004-0010420U 2004-04-14 2004-04-14 디지털 도어록 KR200356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420U KR200356827Y1 (ko) 2004-04-14 2004-04-14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420U KR200356827Y1 (ko) 2004-04-14 2004-04-14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827Y1 true KR200356827Y1 (ko) 2004-07-19

Family

ID=4934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420U KR200356827Y1 (ko) 2004-04-14 2004-04-14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8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570B1 (ko) * 2013-06-21 2015-02-11 주식회사 아이레보 비상 전원 공급장치를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
KR101885840B1 (ko) * 2017-10-13 2018-08-07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공동 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 내선 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570B1 (ko) * 2013-06-21 2015-02-11 주식회사 아이레보 비상 전원 공급장치를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
KR101885840B1 (ko) * 2017-10-13 2018-08-07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공동 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 내선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6150B2 (en) Locker lock with master override and low power jump start
US6851287B1 (en) Lock having a quick unlocking function
US20040025550A1 (en) Locking apparatus
CA2045491A1 (en) Electronic door lock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WM543909U (zh) 模組化電子式門鎖
US20040041690A1 (en) Personal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locking apparatus
US7102486B2 (en) Locking apparatus
KR20130047740A (ko) 패드락
US20200291684A1 (en) Multi-purpose biometric locking assembly
US20060176016A1 (en) Pocket personal computer with mobile phone
US7305563B2 (en) Biometric security assembly
KR200356827Y1 (ko) 디지털 도어록
US6623053B1 (en) Inside locking device of flat handle lock
CN102801186A (zh) 具有安全功能的充电座
EP1997983A1 (en) Biometric Control Cylinder Lock Adaptor Mechanism
US6536249B2 (en) Lock device that may be locked automatically
CN210598510U (zh) 一种智能电子抽屉锁
CN207513346U (zh) 一种智能锁
JP4197598B2 (ja) 錠装置
JP2020060088A (ja) 扉用錠装置
KR200334250Y1 (ko) 디지털 도어록
KR100404749B1 (ko) 레버형 도어록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200384287Y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를 이용한 비상 전원 공급 장치를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