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958Y1 -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958Y1
KR200355958Y1 KR20-2004-0011989U KR20040011989U KR200355958Y1 KR 200355958 Y1 KR200355958 Y1 KR 200355958Y1 KR 20040011989 U KR20040011989 U KR 20040011989U KR 200355958 Y1 KR200355958 Y1 KR 200355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linkage
frame
rod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석
Original Assignee
서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은석 filed Critical 서은석
Priority to KR20-2004-0011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트리스를 받치고 있는 프레임의 승하강 폭을 최대화시키어 진료, 검사등을 위하여 환자가 다른 위치로 옮기거나 승강시킬 경우 등 환자를 옮기는 높이에 맞추어 환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옮기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전,후방으로 캐스터(20))가 구비된 하부 프레임(10)의 상부에 매트리스(30) 및 양측부에 위치하는 사이드레일(40)이 각각 구비된 상부 프레임(50)이 승하강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50)에 각각 전,후방에 양측으로 설치된 지지구(11,51)에 각각 연동구(60)를 힌지핀(61)으로 연결하고, 전후방의 연동구(60)를 연동로드(70)로 연결함과,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힌 측면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한 유압실린더(80)의 실린더 로드(81)를 연동로드(70)의 중간부에 회동되도록 연결하여 유압실린더(80)의 작동으로 연동로드(70)를 전후진시킴에 따라 연동구(60)의 회동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50)이 승하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Patient cart use ascent and descent device}
본 고안은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병원에서 환자가 눕는 매트리스의 승하강폭을 극대화하여 진료, 검사등을 위하여 환자가 다른 위치로 옮기거나 승강시킬 경우 등 옮기는 높이에 맞추어 환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옮기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는 응급실, 입원실, 검사실등에 따라 환자가 누어있도록 한 환자용 카트가 일부에는 병용되지만 대부분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각종 진료나 검사등을 할 경우에는 침상에 누워 자의적으로 거동이 어려운 환자를 이동할 다른 운반차에 옮길 때 환자를 여러 사람이 들어 옮기는 불편함이 있고 환자에게는 가압적인 무리한 동작이 가해져 고통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환자 운반차에 매트리스를 받치는 프레임이 승하강되도록 하여 환자가 누워있는 침상과 동일한 위치로 이동할 운반차의 침상을 승하강시키어 맞추어 주므로서 환자를 들지 않으면서 무리하지 않게 이동시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승하강장치를 갖는 운반차는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를 프레임에 직접 연결하여 승하강 시키므로서 스트로크의 길이 한계등으로 승하강의 스트로크가 대부분 짧아 높이가 여러 종류인 각종 침상에 맞게 부합되지 못하며, 또한 검사나 진료를 경우 거동이 어려운 환자를 원하는 위치까지 승강시키지 못하여 검사등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그리고 스트로크를 높이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 길이를 크게하면 비례적으로 유압실린더의 크기를 높여야하므로 제작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들이 있어 비효울적인 승하강 구조를 갖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매트리스를 받치고 있는 프레임의 승하강 폭을 최대화시키어 진료, 검사등을 위하여 환자가 다른 위치로 옮기거나 승강시킬 경우 등 환자를 옮기는 높이에 맞추어 환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옮기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후로 캐스터가 구비된 하부 프레임과, 매트리스 및 사이드레일이 구비된 상부 프레임의 사이에 승하강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각각 전후로 설치된 지지구에 각각 연동구의 한 측변의 상하 모서리를 힌지핀으로 연결함과,
싱기 전후로 연결한 연동구의 다른 측변 모서리를 연동로드로 연결하고, 하부 프레임의 힌 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한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를 연동로드의 중간부에 회동되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 프레임 50: 상부 프레임
11,51: 지지구 60: 연동구
61: 힌지핀 62: 연결바아
70: 연동로드 80: 유압실린더
81: 실린더로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에서 보인 사시도로,
운반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캐스터(20))가 구비된 하부 프레임(10)과,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하는 매트리스(30) 및 양측부에 위치하는 사이드레일(40)이 각각 구비된 상부 프레임(50)과,
상기 상,하부 프레임(10,50)의 사이에 상부 프레임(50)을 승하강 시키도록 승하강수단(A)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승하강수단(A)은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50)에 각각 전,후방에 양측으로 지지구(11,51)를 설치하고, 이 지지구(11,51)에 각각 연동구(60)를 힌지핀(61)으로 연결하고, 전후방의 연동구(60)를 연동로드(70)로 연결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한 측부의 중간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한 유압실린더(80)의 실린더 로드(81)를 양 연동로드(7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간(71)에 회동되도록 연결하여 유압실린더(80)의 작동으로 연동로드(70)를 전후진시킴에 따라 연동구(60)의 회동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50)이 승하강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동구(60)는 삼각형상으로 형성하여 한 측변의 상하 모서리는 상하부 프레임(10,50)의 지지구(11,51)에 힌지 연결되고 다른 측변 모서리는 연동로드(70)를 연결한 것이다.
또한 전후방 양측으로 설치된 연동구(60)를 연결바아(62)로 각각 연결하여 양측의 연동구(60)가 일체로 하여 작동되도록 하면서 견고성을 갖도록 하였다.
미설명 부호 82는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족답 레버이고. 62는 양쪽의 연동구를 연결하는 연결로드이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 3 및 도 4 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은 상부 프레임(50)을 승강시킬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프레임(50)이 하강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80)의 족답 레버(82)를 연속적으로 밟게되면 실린더 로드(81)가 전진하여 연동로드(70)를 밀게 되면 연동로드(70)의 전후방으로 연결한 연동구(60)가 하부 프레임(10)의 지지구(11)와 연결된 힌지핀(6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연동구(60)의 상단 모서리부에 힌지핀(61)의 중심부가 위로 상승됨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연동구(60)의 상단부 모서리에 힌지핀(61)으로 연결된 상부프레임(50)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연동구(60)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꼭지점부를 힌지핀으로 연결함에 따라 상하부 꼭지점을 반지름으로 하는 회동되므로 승하강 폭을 갖는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50)을 하강시킬 경우에는 유압실린더(80)의 족답 레바(82)를 위로 올리게 되면 유압이 매트리스(30)상에 누운 환자의 중량과 자중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50)이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족답 레바(82)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승하강작동은 중지된다.
이에 따라 환자를 다른 위치의 침상이나 옮기거나 적정위치의 높이로 승강시킬 경우 등 환자를 원하는 높이에 맞추어 환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옮기거나 적정위치로 승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승하강장치의 효율적인 작동으로 승하강폭을 극대화하므로서 환자의 이동이나 검사등에 대한 원하는 위치로 승하강폭을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후방으로 캐스터(20))가 구비된 하부 프레임(10)의 상부에 매트리스(30) 및 양측부에 위치하는 사이드레일(40)이 각각 구비된 상부 프레임(50)이 승하강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50)에 각각 전,후방에 양측으로 설치된 지지구(11,51)에 각각 연동구(60)를 힌지핀(61)으로 연결하고, 전후방의 연동구(60)를 연동로드(70)로 연결하면서 전후방으로 양측 연동구(60)를 각각 연결바아(62)로 연결함과,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한 측면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한 유압실린더(80)의 실린더 로드(81)를 연동로드(70)의 중간부에 회동되도록 연결하여 유압실린더(80)의 작동으로 연동로드(70)를 전후진시킴에 따라 연동구(60)의 회동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50)이 승하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구(60)는 삼각형상으로 형성하여 한 측변의 상하 모서리는 상하부 프레임(10,50)의 지지구(11,51)에 힌지 연결되고 다른 측변 모서리는 연동로드(70)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
KR20-2004-0011989U 2004-04-29 2004-04-29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 KR200355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989U KR200355958Y1 (ko) 2004-04-29 2004-04-29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989U KR200355958Y1 (ko) 2004-04-29 2004-04-29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958Y1 true KR200355958Y1 (ko) 2004-07-14

Family

ID=4943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989U KR200355958Y1 (ko) 2004-04-29 2004-04-29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9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227B1 (ko) 2018-04-19 2018-11-05 윤세리 환자 이송장치
KR20180129241A (ko) * 2017-05-26 2018-12-05 박우영 조립식 전동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241A (ko) * 2017-05-26 2018-12-05 박우영 조립식 전동침대
KR102081700B1 (ko) 2017-05-26 2020-02-26 박우영 조립식 전동침대
KR101915227B1 (ko) 2018-04-19 2018-11-05 윤세리 환자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3510B1 (en) Low profile hospital bed
US6951036B2 (en) Collapsible siderail assembly
US5613255A (en) Hospital bed having scissors lifting apparatus
US6912746B2 (en) Bed
CA2714962C (en) Positioning mechanism of a bed
AU2007207359B2 (en) Articulating bed
US8387179B2 (en) Siderail mechanism
US20070294828A1 (en) Canister lift for a patient support apparatus
US7451505B2 (en) Bed tilting apparatus
US10470954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deck section link
TW201511748A (zh) 床裝置
EP1108410A2 (en) A liftable side rail assembly for a bed or the like
JP2001037589A (ja) ベッド等の仰臥台における昇降式の側柵の昇降機構
KR200355958Y1 (ko) 환자용 운반차의 승하강장치
KR200462021Y1 (ko) 의료용 침대 프레임
CN211610486U (zh) 病人换床装置
TWM578158U (zh) Bed frame structure
WO1994027547A1 (en) Intensive therapy bed
US8499378B2 (en) Pedestal end for patients bed
EP4076326A1 (en) Bed lifting mechanism
KR20180092701A (ko)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침대
EP1053735A2 (en) A side rail assembly for a bed or the like
JP6491988B2 (ja) 寝台装置
CN217245252U (zh) 医用病床
KR200422027Y1 (ko) 사체 운반용 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