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262Y1 - 슈트리 - Google Patents

슈트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262Y1
KR200355262Y1 KR20-2004-0011410U KR20040011410U KR200355262Y1 KR 200355262 Y1 KR200355262 Y1 KR 200355262Y1 KR 20040011410 U KR20040011410 U KR 20040011410U KR 200355262 Y1 KR200355262 Y1 KR 200355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model sphere
shoe
mode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회
Original Assignee
김봉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회 filed Critical 김봉회
Priority to KR20-2004-0011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14Stretching or spreading lasts; Boot-trees; Fillers; Device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shoe
    • A43D3/1433Shoe-trees
    • A43D3/1466Shoe-trees stretching the length of a shoe, i.e. longitudinally expandable
    • A43D3/1475Shoe-trees stretching the length of a shoe, i.e. longitudinally expandable adjustable
    • A43D3/1483Shoe-trees stretching the length of a shoe, i.e. longitudinally expandable adjustable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14Stretching or spreading lasts; Boot-trees; Fillers; Device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shoe
    • A43D3/1433Shoe-trees
    • A43D3/1491Shoe-trees with means for sweaty feet, e.g. with disinfecting or deodorant mea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개의 통기공(14)을 가지며, 후단부에 수직의 요홈(2)을 갖는 전방모형구(1) 및, '⊃'의 모양을 취하는 후방모형구(8)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신발의 내부에 삽입하는 슈트리에 관한 것이며, 본 고안은 상기 전방모형구(1)에, 배면 중앙에서 측면상 대각선을 이루면서 하부면을 관통하되, 내경이 상기 통기공(14)의 내경 보다 2배 내지 7배로 크게 형성되는 대구경통기공(52)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기공(14) 및 대구경통기공(52)을 신발의 바닥면과 이격시키는 오목부(54)를 저면에 형성한 것과; 상기 후방모형구(8)는, 전단부 상부면에 부착되고, 식별표시가 표기되는 식별판(62) 및, 후단 상부면에 고정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며, 상·하단에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의 손잡이(6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방모형구(1)의 요홈(2)에 헤드가 삽입되는 납작머리볼트(72)와, 상기 전방모형구(1)의 후단부 측면을 관통하여, 전방모형구(1)에 상기 납작머리볼트(72)의 헤드를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핀볼트(74) 및, 상기 납작머리볼트(72)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고, 상기 후방모형구(8)의 전단부 중앙에 삽입고정되는 링너트(76)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슈트리{SHOETREE}
본 고안은 슈트리에 관한 것으로서, 분리된 앞굽모형 및 뒷굽모형이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슈트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트리(Shoetree)는 구둣골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신발의 내부에삽입되어 신발의 형태를 보존시킨다.
이러한, 슈트리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신발의 전방만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나, 신발에 전체적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신발의 전방 및 후방에 제각각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등, 그 구성 및 모양이 매우 다양하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슈트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슈트리는 미도시된 신발에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것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것을 도시한 것이며, 본 고안의 출원에 앞서서 대한민국특허청에 실용신안출원되어, 1988년 4월 6일자로 공개(공개번호: 제88-1724호, 명칭: 구두골)된 슈트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슈트리는, 발모양으로 형성된 전방모형구(1) 및 후방모형구(8), 그리고 전·후방모형구(1, 8)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방모형구(1)는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수직 관통하는 협소한 내경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통기공(14)을 가지며, 후단부 중앙에는 수직의 요홈(2)을 갖는다.
그리고, 후방모형구(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상 '⊃'의 모양을 취하며, 전단부 중앙에서 부터 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장홈(10)을 갖는다.
이러한, 전·후방모형구(1, 8)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모형구(1)의 요홈(2)에 일단부가 힌지(7)고정되는 동시에, 후방측으로 장공(4)을 갖는 연결관(5) 및, 후방모형구(8)의 장홈(10)에 삽입되는 스프링(12)으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부재의 연결관(5)은 힌지(7)에 의하여 전단을 중심으로 상·하회전된다. 즉, 연결관(5)은 전단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이러한, 연결관(5)은 장공(4)을 갖는 후단부가 후방모형구(8)의 장홈(10)에 삽입되면서 스프링(12)을 압축시킨다.
그리고, 연결관(5)은 후방모형구(8)를 관통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핀(13)에 의하여 후방모형구(8)에 고정되며, 고정핀(13)은 연결관(5)의 장공(4)을 관통하여 후방모형구(8)에 고정된다.
이렇게, 연결부재에 의하여 전·후방모형구(1, 8)가 연결되면, 후방모형구(8)는 연결부재의 연결관(5)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방모형구(1)를 미도시된 신발의 전방으로 우선 삽입한 후, 스프링(12)이 압축되도록 후방모형구(8)를 가압해서 신발의 후방으로 삽입한다. 즉, 스프링(12)은 후방모형구(8)의 후방돌출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방모형구(1)가 삽입되는 동안, 연결부재의 연결관(5)은 상방으로 편축회전하며, 이에 따라 후방모형구(8)는 상방으로 꺾인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슈트리는, 신발에 내장되어 자체형상으로 신발의 형태를 보존시키며, 전방모형구(1)의 통기공(14)으로 신발 내부의 공기를 통기시켜서, 신발의 변형을 방지시킨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슈트리는, 연결관(5)과 힌지(7), 그리고 스프링(12) 및 고정핀(13)으로 연결부재를 구성하여, 연결부재의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슈트리의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을 과도하게 소요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기공(14)의 내경이 너무 협소하여 통기가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통기공(14)의 상단 및 하단이 신발의 상부면 및 바닥면에 밀착되어, 실질적으로 통기가 불가능한 문제도 있다.
아울러, 슈트리를 이동시키려면, 손을 벌려서 절곡형태를 이루는 후방모형구(8)의 후반부 상측을 전체적으로 파지하여야 하므로, 파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후방모형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구성요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만으로도 슈트리를 파지할 수 있으며, 전방모형구에서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슈트리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슈트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슈트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방모형구 2 : 요홈
8 : 후방모형구 14 : 통기공
52 : 대구경통기공 54 : 오목부
62 : 식별판 64 : 손잡이
64a : 나사못 72 : 납작머리볼트
74 : 핀볼트 76 : 링너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수직 관통하는 복수개의 통기공(14)을 가지며, 후단부 중앙에 수직의 요홈(2)을 갖는 전방모형구(1) 및, 측면상 '⊃'의 모양을 취하는 후방모형구(8)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신발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신발의 형태를 보존시키는 슈트리에 있어서, 상기 전방모형구(1)에는, 배면 중앙에서 측면상 대각선을 이루면서 하부면을 관통하되, 내경이 상기 통기공(14)의 내경 보다 2배 내지 7배로 크게 형성되는대구경통기공(52)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기공(14) 및 대구경통기공(52)을 신발의 바닥면과 이격시키는 오목부(54)를 저면에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방모형구(1)의 요홈(2)에 헤드가 삽입되는 납작머리볼트(72)와; 상기 전방모형구(1)의 후단부 측면을 관통하여, 전방모형구(1)에 상기 납작머리볼트(72)의 헤드를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핀볼트(74) 및; 상기 납작머리볼트(72)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고, 상기 후방모형구(8)의 전단부 중앙에 삽입고정되는 링너트(76);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모형구(8)는, 전단부 상부면에 부착되고, 식별표시가 표기되는 식별판(62) 및; 후단 상부면에 고정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며, 상·하단에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의 손잡이(6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후방모형구(8)의 손잡이(64)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손잡이(64)의 하부 중앙에 인서트되어서, 손잡이(64)와 단일체를 이루는 나사못(64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슈트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슈트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슈트리는,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수직 관통하는 복수개의 통기공(14)을 가지며, 후단부 중앙에 수직의 요홈(2)을 갖는 전방모형구(1) 및; 측면상 '⊃'의 모양을 취하는 후방모형구(8); 그리고, 전·후방모형구(1, 8)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방모형구(1)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중앙에서 측면상 대각선을 이루면서 하부면을 관통하되, 내경이 통기공(14)의 내경 보다 2배 내지 7배로 크게 형성되는 대구경통기공(52)을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전방모형구(1)의 저면에는, 통기공(14) 및 대구경통기공(52)의 하단을 신발의 바닥면과 이격시키는 오목부(54)를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후방모형구(8)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 상부면에 접착제나, 도시된 바와 같은 못(62a)에 의하여 부착되고, 식별표시가 표기되는 식별판(62) 및; 후단 상부면에 고정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며, 상·하단에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의 손잡이(64);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식별판(62) 및 손잡이(62)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별판(62)은 상부면에 사이즈와 같은 슈트리의 특징을, 문자나 문양에 의한 식별표시로 표기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슈트리의 생산업체를 식별표시로 표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자나 문양은 식별판(62)에 인쇄로 표기할 수 있으며, 식별판(62)이 양각이나 음각을 취하도록 하여 표기할 수 있다.
다음, 손잡이(62)의 상·하단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을 만큼 이격시켜서형성한다. 이러한, 손잡이(64)를 후방모형구(8)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는 접착제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손잡이(64)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관통하는 못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고정부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4)의 하부 중앙에 인서트되어서, 손잡이(64)와 단일체를 이루는 나사못(64a)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전·후방모형구(1, 8)의 연결용 연결부재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자세히 설명하면, 연결부재는 수직으로 납작하게 형성된 헤드를 갖는 납작머리볼트(72)와; 이 납작머리볼트(72)가 전방모형구(1)에 대하여 편축회전하도록 고정시키는 핀볼트(74) 및; 납작머리볼트(76)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링너트(76);를 포함한다.
납작머리볼트(72)는 전방모형구(1)의 요홈(2)에 헤드가 삽입되며, 핀볼트(7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모형구(1)의 후단부 측면을 관통하면서, 납작머리볼트(72)의 헤드를 전방모형구(1)에 고정시킨다.
링너트(76)는 후방모형구(8)의 전단부 중앙에 삽입고정되며, 이 링너트(76)에 납작머리볼트(74)의 수나사부는 나사결합된다. 이때, 링너트(76)는 후방모형구(8)에 나사결합으로 체결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링너트(76)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야 하고, 후방모형구(8)의 전단부 중앙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링너트(76)는 접착제로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슈트리는, 후방모형구(8)가 연결부재의 납작머리볼트(74) 및 핀볼트(74)에 의하여 상방으로 꺾인다. 물론, 후방모형구(8)가 꺾이는 이유는, 납작머리볼트(74)가 핀볼트(74)를 축으로 상·하 편축회전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후방모형구(8)가 꺾인 상태로, 전방모형구(1)를 미도시된 신발의 전방측 내부에 삽입한 다음, 후방모형구(8)를 신발의 후방측에 삽입한다.
이때, 후방모형구(8)가 신발의 후단부 보다 길거나 짧을 경우, 후방모형구(8)를 납작머리볼트(74)를 축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후방모형구(8)에 삽입 고정된 링너트(76)가 회전되면서, 후방모형구(8)의 길이는 조절된다. 즉, 전방모형구(1)와 후방모형구(8)의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따라서, 전·후방모형구(1, 8)의 이격거리가 조절된 후, 후방모형구(8)를 신발에 삽입하면된다.
이렇게, 전·후방모형구(1, 8)가 신발에 삽입되게 되면, 신발은 전·후방모형구(1, 8)에 의하여 형태가 보존된다. 특히, 전방모형구(1)의 통기공(14) 및 대구경통기공(52)은, 통기작용을 원활히 하면서 신발의 변형을 방지시킨다. 물론, 통기공(14) 및 대구경통기공(52)은 하단이, 오목부(54)에 의하여 신발의 바닥면과 이격됨에 따라 원활한 통기작용을 한다.
한편, 슈트리 사용자는 본 고안의 슈트리를 신발에 삽입하기 전에, 식별판(62)을 확인하여 슈트리의 특징을 파악한다. 만약, 식별판(62)에 표기된 식별표시가 슈트리의 사이즈일 경우, 이 사이즈에 적합한 신발에 슈트리를 삽입한다.
또 한편, 슈트리 사용자는 본 고안의 슈트리를 이동시킬 경우, 후방모형구(8)의 손잡이(64)에 검지 및 중지를 삽입하여 파지한다. 물론, 검지 및 중지 사이에 손잡이(64)의 축이 위치하도록 하여 파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64)를 이용하여 슈트리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 등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슈트리는, 전·후방모형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납작머리볼트와 핀볼트 및 링너트로 구성되어, 종래 기술의 연결부재 보다 부품수를 줄 일 수 있으므로, 슈트리의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연결부재가 납작머리볼트로 구성됨에 따라, 종래에는 연결관에 장공을 형성하여야 하지만, 본 고안은 장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번거로운 작업공수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방모형구에 대구경통기공 및 오목부가 형성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통기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후방모형구에 식별판 및 손잡이가 마련되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슈트리를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슈트리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수직 관통하는 복수개의 통기공(14)을 가지며, 후단부 중앙에 수직의 요홈(2)을 갖는 전방모형구(1) 및, 측면상 '⊃'의 모양을 취하는 후방모형구(8)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신발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신발의 형태를 보존시키는 슈트리에 있어서,
    상기 전방모형구(1)에는, 배면 중앙에서 측면상 대각선을 이루면서 하부면을 관통하되, 내경이 상기 통기공(14)의 내경 보다 2배 내지 7배로 크게 형성되는 대구경통기공(52)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통기공(14) 및 대구경통기공(52)을 신발의 바닥면과 이격시키는 오목부(54)를 저면에 형성하고,
    상기 후방모형구(8)는, 전단부 상부면에 부착되고, 식별표시가 표기되는 식별판(62) 및; 후단 상부면에 고정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며, 상·하단에 플랜지를 갖는 원통형의 손잡이(64);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방모형구(1)의 요홈(2)에 헤드가 삽입되는 납작머리볼트(72)와; 상기 전방모형구(1)의 후단부 측면을 관통하여, 전방모형구(1)에 상기 납작머리볼트(72)의 헤드를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핀볼트(74) 및; 상기 납작머리볼트(72)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고, 상기 후방모형구(8)의 전단부 중앙에 삽입고정되는 링너트(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모형구(8)의 손잡이(64)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손잡이(64)의 하부 중앙에 인서트되어서, 손잡이(64)와 단일체를 이루는 나사못(64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리.
KR20-2004-0011410U 2004-04-23 2004-04-23 슈트리 KR200355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410U KR200355262Y1 (ko) 2004-04-23 2004-04-23 슈트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410U KR200355262Y1 (ko) 2004-04-23 2004-04-23 슈트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262Y1 true KR200355262Y1 (ko) 2004-07-05

Family

ID=4943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410U KR200355262Y1 (ko) 2004-04-23 2004-04-23 슈트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2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113B1 (ko) 2015-02-05 2016-06-21 김선아 탄성 재질을 이용한 슈트리
KR20220084740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워터엔피플 신발 항균 교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113B1 (ko) 2015-02-05 2016-06-21 김선아 탄성 재질을 이용한 슈트리
KR20220084740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워터엔피플 신발 항균 교정기
KR102606727B1 (ko) * 2020-12-14 2023-11-28 주식회사 워터엔피플 신발 항균 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09691A1 (en) Phallus device and system with screw attachment
US20070149324A1 (en) Golf tee
USD583000S1 (en) Tip end of a golf club shaft
USD967282S1 (en) Rotating decompression ball
USD582999S1 (en) Tip end of a golf club shaft
US7473156B2 (en) Doll sculpture skeleton
USD812162S1 (en) Golf ball retriever
KR200355262Y1 (ko) 슈트리
US7261638B2 (en) Bowling practice device
USD974654S1 (en) Eyeshadow stick
US6776499B2 (en) Screw opener with an illumination device
USD544934S1 (en) Combined putter grip and ball retriever
EP1900308A3 (en) Step-stool assemblies with continuous outer shells
US7662072B1 (en) Hand holding type exercising device
US7571505B2 (en) Embellishment setting apparatus
USD480774S1 (en) Ball lacing with raised pebbled surface
USD970514S1 (en) TV game stick
USD497673S1 (en) Testing device
USD497999S1 (en) Testing device
USD935921S1 (en) Portable test instrument
US6997088B2 (en) Screwdriver heads chamber for a precise screwdriver
JP3803110B1 (ja) ウイッグ固定装置。
CN108371819A (zh) 陀螺组件
USD508089S1 (en) Hand held game
CN213049282U (zh) 一种棒球训练用轻质棒球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