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180Y1 - 동물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180Y1
KR200355180Y1 KR20-2004-0002395U KR20040002395U KR200355180Y1 KR 200355180 Y1 KR200355180 Y1 KR 200355180Y1 KR 20040002395 U KR20040002395 U KR 20040002395U KR 200355180 Y1 KR200355180 Y1 KR 200355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identification code
control unit
pe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희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캔텍코리아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캔텍코리아, 김성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캔텍코리아
Priority to KR20-2004-0002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동물에게는 목걸이 형태로 구비시키고, 그 동물을 사육하는 사람(이하, 사육자'라 통칭함)에게는 휴대하기 간편한 단말기 형태로 제공되어 동물의 현재 상태를 사육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물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식별코드(ID code)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식별코드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코드가 주기적으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와, 상기 송신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송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물 모니터링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of animal}
본 고안은 동물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에게는 목걸이 형태로 구비시키고, 그 동물을 사육하는 사육자에게는 휴대하기 간편한 단말기 형태로 제공되어 동물의 현재 상태를 사육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물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은 사람과 가까이 생활을 하기 시작한 기원전에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오랫동안 사람과 가장 가까이 함께 해 오면서 사람과 더불어 호흡해온 동반자 같은 존재가 되었다.
이렇게 사람과 함께 하면서 사람의 정서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가족의 구성원 속에 포함이 되다보니 최근에는 동료나 친구의 의미인 반려동물이라는 표현으로 불리고 있다.
상기 반려동물의 대표는 개라 할 수 있으며, 요즘에는 개뿐만 아니라 고양이, 거북이 등과 같이 많은 동물들이 사람들에게 가족이나 친구처럼 여겨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반려동물로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동물들은 시림들과 함께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운동량이 부족할 수 있으나, 사람들은 이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며, 단순히 어림짐작만을 하게 되고, 동물병원에서 진단한 후에나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육자들이 잠깐 한눈을 파는 사이에 애완동물들이 없어질 경우 쉽게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물에게는 목걸이 형태로 구비시키고, 그 동물을 사육하는 사육자에게는 휴대하기 간편한 단말기 형태로 제공되어 동물의 현재 상태를 사육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물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동물의 현재 상태를 음성신호나 문자신호로 출력해줌으로써 사육자가 시각적으로, 청각적으로 한꺼번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육자가 가지고 있는 수신기를 통해 송신기의 배터리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송신기의 배터리 교체시기를 사육자가 정확하게 인식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물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식별코드를 일정 주기동안의 수신회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 수신된 식별코드 중 최초 식별코드를 제외시키고, 새로 수신된 식별코드를 기 수신된 식별코드의 개수에 가산시켜 추정함으로써, 송수신기에 구비된 배터리의 소모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동물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물모니터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송신기 110 : 인터페이스부
120 : 배터리 130 : 송신제어부
140 : 송수신부 150 : 운동량 체크부
200 : 수신기 210 : 배터리
220 : 파워스위치 230 : 송수신부
240 : 수신제어부 250 : 스피커
260 : 음성출력부 270 : 표시부
280 : 콜 스위치 290 : 리셋스위치
295 : 라이트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식별코드(ID code)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식별코드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코드가 주기적으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와, 상기 송신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송신기; 및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사육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 신호를 입력하는 파워스위치와, 상기 파워스위치가 온되는 경우 상기 송신기의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식별코드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식별코드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송신기를 갖는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수신제어부와, 상기 수신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문자 또는 기호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식별코드의 수신회수를 체크하여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제어부는 상기 수신회수에 따라 송신기와 수신기의 거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설정된 이탈기준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된 식별코드의 회수가 어느 단계에 포함되는지를 체크하여 그에 따른 음성메시지와 문자(기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탈기준정보는 애완동물의 뛰는 속도 또는 걷는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송신기를 구비하고 있는 애완동물의 움직임에따라 생성되는 펄스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운동량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운동량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펄스를 누적시켜 펄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함께 상기 수신기로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기의 수신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량 기준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펄스의 개수에 대한 정보와 식별코드를 수신받아 상기 펄스의 개수가 상기 다수의 운동량 기준정보 중 어느 운동량 기준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표시부 상에 기호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원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기준전원보다 출력레벨이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정보가 식별코드와 함께 상기 송신부를 통해 송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기의 수신제어부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배터리 교체시기 정보가 수신된 경우 표시부를 통해 송신기 배터리 교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제어부는 사육자가 송신기의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도록 송신기 배터리 아이콘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신기는 콜(Call)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사육자가 송신기 및 수신기의 전원 스위치를 온 시킨 후 상기 콜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수신기의 수신제어부는, 애완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내에 존재할 경우에만 애완동물 이탈에 따른 음성신호 및 문자신호가 스피커 및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제어부는 상기 사육자가 송신기의 전원은 오프시키고, 수신기의 전원만 온시킨 상태에서 콜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와는 무관하게 애완동물 이탈에 따른 음성신호 및 문자신호가 스피커 및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사육자에 의해 파워가 온되면 초기화를 이루는 초기화과정;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경과되지 않은 경우 펄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며, 펄스가 입력되는 경우 펄스의 개수를 누적시키는 누적과정;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체크한 후 배터리의 현재 상태가 정상일 경우 상기 누적된 펄스의 개수를 식별코드와 함께 송출하는 송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적과정에서, 펄스가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펄스의 개수를 송출하고 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부터 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는, 사육자에 의해 파워가 온되면 초기화를 이루는 초기화과정; 상기 초기화과정이 종료되면 표시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한편 수신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 수신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식별코드의 수신회수를 체크하여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결과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한편 표시부의 화면상에표시되도록 하는 위치결과 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위치결과 출력과정에서 식별코드이외에 펄스개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펄스개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펄스개수를 미리 설정된 운동량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한편 표시부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운동량결과 출력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물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애완동물의 목 등에 걸수 있는 목걸이 형태를 갖는 송신기(100)와, 사육자가 휴대하기 용이하게 설계된 수신기(200)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100)는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식별코드(ID code)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10)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입력된 식별코드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코드가 주기적으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후술하는 운동량 센서부(150)에서 출력하는 펄스를 누적시켜 펄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함께 수신기(200)로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130)와, 상기 송신제어부(130)의 제어에 응하여상기 식별코드 및/또는 펄수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송신부(140)와, 상기 송신기(100)를 구비하고 있는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펄스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운동량 센서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송신제어부(130)는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원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기준전원보다 출력레벨이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정보가 식별코드와 함께 상기 송신부(140)를 통해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수신기(200)는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10)와, 사육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 신호를 입력하는 파워스위치(220)와, 상기 파워스위치(220)가 온되는 경우 상기 송신기(100)의 송신부(140)로부터 송출되는 식별코드를 수신받는 수신부(230)와, 상기 수신부(2320)를 통해 수신받은 식별코드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송신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송신기(100)를 갖는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수신제어부(240)와, 상기 수신제어부(240)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스피커(250)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60)와,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문자 또는 기호로 표시하는 표시부(27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수신제어부(24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식별코드의 수신회수를 체크하여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를 추정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제어부(240)는 상기 수신회수에 따라 송신기(100)와 수신기(200)의 거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설정된 이탈기준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된 식별코드의 회수가 어느 단계에 포함되는지를 체크하여 그에 따른 음성메시지와 문자(기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즉, 상기 송신제어부(130)는 일정 주기마다 미리 설정된 개수를 갖도록 식별코드를 송출하고, 상기 수신제어부(240)는 최초로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일정 주기동안 수신되는 식별코드를 카운트하여 수신 실패(fail)된 에러정보가 몇 개인지를 체크하고 체크결과와 상기 이탈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송신기를 갖는 동물과의 거리를 추정하며, 그 다음 주기부터는 이전주기의 기 식별코드의 최초 한개의 식별코드를 제외시키고 나머지 이전주기의 기식별코드에 신규 수신된 한개의 식별코드 누적시키고 누적된 식별코드와 상기 이탈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송신기를 갖는 동물과의 거리를 추정한다. 예를 들면 10m이내이면 10회의 식별코드 중 10개의 펄스가 제대로 수신되는 경우이고, 10-20m이면 9-8개, 20m이상이면 7개 이하의 펄스가 제대로 수신되고 나머지는 수신에러가 되는 경우이다.
이때,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연속되는 식별코드신호의 주기는 애완동물의 뛰는 속도 또는 걷는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200)의 수신제어부(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량 기준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송신기(100)로부터 송출되는 펄스의 개수에 대한 정보와 식별코드를 수신받아 상기 펄스의 개수가 상기 다수의 운동량 기준정보 중 어느 운동량 기준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표시부(270) 상에 기호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송신기 배터리 부족표시용 아이콘(274)을 통해 송신기 배터리 교체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수신기(200)의 수신제어부(240)는 상기 송신기(100)로부터 배터리 교체시기 정보가 수신된 경우 사육자가 송신기의 배터리 교체시기를 알 수 있도록 표시부(270)에 구비된 송신기 배터리 아이콘(274)을 점멸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수신기 자체 배터리 표시는 수신기 배터리 아이콘(270)을 통해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신기(200)는 콜스위치(28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사육자가 송신기(100) 및 수신기(200)의 전원 스위치를 온 시킨 후 상기 콜스위치(280)를 작동시키면, 상기 수신기의 수신제어부(240)는 애완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내에 존재할 경우에만 애완동물 이탈에 따른 음성신호 및 문자신호가 스피커(250) 및 표시부(270)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수신제어부(240)는 상기 사육자가 송신기(100)의 전원은 오프시키고, 수신기(200)의 전원만 온시킨 상태에서 콜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와는 무관하게 애완동물 이탈에 따른 음성신호 및 문자신호가 스피커(250) 및 표시부(2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70)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첫 번째 영역(271)은 애완동물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으로서 송신기(200)가 여러 개일 경우 식별코드에 따라 상기 영역(271)의 동물이미지가 변경되거나 송신기 번호가 표시되도록 하여 사육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두 번째 영역은 바표시창(272)으로서, 애완동물의 운동량에 따라상기 바표시창(272)의 바(bar) 점등수가 달라지도록 하여 사육자가 애완동물의 운동량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세 번째 영역(273)은 스피커(250)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와 동일한 문자신호를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창으로써 사육자가 문자로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바표시창(272)은 운동량을 문자로 함께 표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신기에서의 초기화 및 동물의 현재 위치 추정 루틴
먼저 사육자가 송수신기(100)(200)를 구입한 경우 판매자는 PC와 같은 식별코드(ID code)를 다운로드 시킬 수 있는 라이터기에 송신기(100)를 연결시킨다. 그러면 송신기(100)의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송신제어부(13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그런 후, 사육자가 송신기(100)와 수신기(200)의 전원을 모두 온시키면 송신기(100)의 송신 제어부(13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코드가 송신부(140)를 통해 송출되도록 한다. 즉 송신제어부(130)는 1초주기마다 식별코드가 송출되도록 하고, 식별코드를 송출하고 다음 식별코드를 송출하는 중간에 운동량 펄스를 송출한다. 이 운동량 펄스는 수신제어부(240)에서 카운트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운동량을 표시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면 수신기(200)는 수신부(230)를 통해 수신받아 수신제어부(240)로 출력하고, 수신제어부(240)는 상기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이후 수신제어부(240)는 수신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제어부(240)는 수신된 신호에 식별코드와 펄스개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수신기(200)의 파워를 온하는 경우 수신제어부(240)는 초기화과정을 먼저 수행한 후 상기 수신된 신호에 식별코드와 펄스개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수신제어부(240)는 식별코드와 펄스개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일단 식별코드의 수신회수를 체크하여, 송신기(100)를 구비하고 있는 동물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게 된다.
그리고, 수신제어부(240)는 표시부(270)의 화면상에 배터리량이 표시되도록 하고, 동물의 형상이 표시되도록 하며, 저장되어 있는 문자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첨부 도면 도 2 참조).
한편, 상기 표시부(270)에 문자가 표시될 때 음성출력부(260)는 문자와 동일한 내용을 갖는 음성신호가 스피커(2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수신제어부(240)는 표시부(270)의 화면상에 일정 시간을 딜레이시킨 후 바표시창(도2의 272)을 통해 운동량의 표시가 부족, 적당, 충분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이 수신제어부(240)의 초기화과정이 종료되면, 수신제어부(240)는 수신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체크 결과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 제어부(240)는 수신된 신호가 식별코드인지를 판단하고, 식별코드인 경우 수신제어부(240)는 수신된 식별코드를 미리 설정된 주기동안 누적시켜, 미리 설정된 회수와 비교하게 된다. 이때 미리 설정된 회수는 적어도 3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1단계는 사육자와 동물 상호간의 거리가 10m 이내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이고, 2단계는 사육자와 동물 상호간의 거리가 10-20m 이내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이며, 3단계는 사육자와 동물 상호간의 거리가 20m 이상을 판단하기 위한 단계이다.
그러므로, 수신제어부(240)는 1단계로 판명되는 경우 아무런 표시도 하지 않고, 2단계로 판명되는 경우 '나 잡아봐라'와 같은 문자신호와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며, 3단계로 판명되는 경우 '못찾겠다 꾀꼬리'와 같은 문자신호와 음성신호가 출력되어, 사육자가 동물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하여 동물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수신제어부(240)의 식별코드 수신회수 체크 방법은 맨처음은 일정기간동안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코드 입력회수에 대하여 실제 입력된 식별코드의 입력회수를 체크하여 동물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게 되나, 그 이후에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일정기간이 겹쳐지도록 하여 실제 입력된 식별코드의 입력회수를 체크하게 된다.
2. 수신기에서의 운동량 표시루틴
한편 수신제어부(240)는 식별코드와 함께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식별코드와 함께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제어부(240)는 수신된 신호가 펄스의 개수에 대한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펄스는 식별코드가 1초마다 송출되고, 식별코드가 송출되고 다음 식별코드가 송출되기 전에 송신제어부(130)에 의해 송출된다.
판단 결과 펄스의 개수에 대한 정보인 경우 수신제어부(240)는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운동량 기준정보와 비교한다. 이때 운동량 기준정보도 3단계로 나누어져 있으며, 1단계는 부족, 2단계는 적당, 3단계는 충분으로 동물의 운동량을 판정하기 위한 기준정보이다.
비교결과, 부족으로 판명되는 경우 수신제어부(240)는 표시부(270)를 제어하여 '부족'이라는 문자신호와 함께 9등분으로 분할된 바표시창(도 2의 272)에서 3개의 바가 점등되도록 한다.
물론 적당으로 판명되는 경우 수신제어부(240)는 '적당'이라는 문자신호와 함께 바표시창(272)에서 6개의 바가 점등되도록 하고, 충분으로 판명되는 경우 '충분'이라는 문자신호와 함께 바표시창(272)에서 9개의 바표시창이 점등되도록 한다.
3. 수신기에서 배터리 표시루틴
다음, 수신제어부(240)는 식별코드와 함께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식별코드와 함께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제어부(240)는 수신된 신호가 배터리 교체시기에 대한 알림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배터리 교체시기에 대한 알림 정보인 경우 수신제어부(240)는 표시부(270)를 제어하여 송신기 배터리 아이콘이 점멸되도록 하여 사육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송신기 배터리 교체시기에 대한 알림신호를 음성신호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정들은 사육자에 의해 송신기(100) 또는 수신기(200)의 파워가 오프되는 순간까지 반복 수행된다.
4. 수신기의 리셋버튼을 작동시킨 경우
한편 사육자가 송수신기(100)(200)의 전원을 온시킨 상태에서 리셋버튼(290)을 작동시키면 수신제어부(240)는 현재 표시부(270)를 통해 표시되어 있는 운동량 표시 시그널을 제거시킨 후 약 3초 후에 운동량 체크 결과에 따라 부족, 적당, 충분 중 하나의 상태가 표시부(270)의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제어한다.
5. 수신기의 콜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
한편 사육자가 송수신기(100)(20))의 전원을 온 시킨 상태에서 콜스위치 버튼(280)을 1번 작동시키면 수신제어부(240)는 '나잡아봐라 월월월월'등과 같이 동물과 10-20m 로 떨어진 경우 출력되는 문자신호와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2번 작동시키면 수신제어부(240)는 '못찾겠다 꾀꼬리 월월월월' 등과 같이 동물과 20m 이상 떨어진 경우 출력되는 문자신호와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여, 사육자가 수신기(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신제어부(240)는 애완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내에 존재할 경우에만 체크 동작이 작동되도록 하고, 벗어날 경우 체크 기능이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신제어부(240)는 상기 사육자가 송신기(100)의 전원은 오프시키고, 수신기(200)의 전원만 온시킨 상태에서 콜스위치(280)를 작동시키면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와는 무관하게 애완동물 이탈에 따른 음성신호 및 문자신호가 스피커(250) 및 표시부(2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밖에도 수신기(200)는 라이트 스위치(295) 및 뮤트 스위치(296)를 구비하고 있으며, 일반 기기에서의 뮤트 스위치나 라이트 스위치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즉 뮤트 스위치(296)는 사육자가 사용하지 않고 싶거나 음성이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하는 장소에서 상기 스피커(25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라이트 스위치(295)는 백라이트를 점등시켜 야간 등과 같이 주위가 어두운 곳에서 표시부(270)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신호가 정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6. 송신기의 동작루틴
먼저 사육자에 의해 파워가 온되면 송신제어부(130)는 펄스의 개수를 누적시키기 위해 펄스의 누적변수를 제로로 초기화시킨다.
그리고, 송신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경과되지 않은 경우 운동량 센서부(150)로부터 펄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며, 펄스가 입력되는 경우 펄스의 개수를 누적시킨다.
그리고, 송신제어부(130)는 다시 한번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경과된 경우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체크한 후 배터리의 현재 상태가 정상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배터리가 정상상태일 경우 상기 누적된 펄스의 개수를 식별코드와 함께 송신부(140)를 통해 송출한다. 물론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누적 펄스개수를 누적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즉, 송신제어부(130)는 배터리(1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원을 비교하여 배터리(1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원보다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 교체 시기 알람정보를 생성시켜 식별코드와 함께 수신기(200)로 송출한다.
한편, 상기 누적과정에서, 펄스가 입력되지 않거나, 또는 펄스의 개수를 송출하고 난 후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부터 재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에서는 하나의 수신기에 하나의 송신기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하나의 수신기에 다수의 송신기가 매칭되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럴 경우 하나의 수신기에서 다수의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식별코드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그 이후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어느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표시부를 통해 해당 동물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게 되는 경우 표시부의 화면상에 동물의 이미지를 함께 출력시켜 줌으로써 사육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은 동물에게는 목걸이 형태로 구비시키고, 그 동물을 사육하는 사육자에게는 휴대하기 간편한 단말기 형태로 제공되어 동물의 현재 상태를 사육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동물의 현재 위치나 운동량을 음성신호나 문자신호로 출력해줌으로써 사육자가 시각적으로, 청각적으로 한꺼번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동물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그 이후의 처리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육자가 가지고 있는 수신기를 통해 송신기의 배터리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송신기의 배터리 교체시기를 사육자가 정확하게 인식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송신기의 배터리로 인해 동물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없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동물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식별코드를 일정 주기동안의 수신회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 수신된 식별코드 중 최초 식별코드를 제외시키고, 새로 수신된 식별코드를 기 수신된 식별코드의 개수에 가산시켜 추정함으로써, 송수신기에 구비된 배터리의 소모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12)

  1.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식별코드(ID code)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식별코드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코드가 주기적으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와, 상기 송신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송신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2.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사육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 신호를 입력하는 파워스위치와, 상기 파워스위치가 온되는 경우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식별코드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식별코드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송신기를 갖는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수신제어부와, 상기 수신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문자 또는 기호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신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3.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식별코드(ID code)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식별코드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코드가 주기적으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와, 상기 송신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송신기; 및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사육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 신호를 입력하는 파워스위치와, 상기 파워스위치가 온되는 경우 상기 송신기의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식별코드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식별코드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송신기를 갖는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수신제어부와, 상기 수신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문자 또는 기호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신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식별코드의 수신회수를 체크하여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어부는,
    상기 수신회수에 따라 송신기와 수신기의 거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설정된 이탈기준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된 식별코드의 회수가어느 단계에 포함되는지를 체크하여 그에 따른 음성메시지와 문자(기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일정 주기마다 미리 설정된 개수를 갖도록 식별코드를 송출하고,
    상기 수신제어부는, 최초로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일정 주기동안 수신되는 식별코드를 카운트하여 수신 실패(fail)된 에러정보가 몇 개인지를 체크하고 체크결과와 상기 이탈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송신기를 갖는 동물과의 거리를 추정하며, 그 다음 주기부터는 이전주기의 기 식별코드의 최초 한개의 식별코드를 제외시키고 나머지 이전주기의 기식별코드에 신규 수신된 한개의 식별코드 누적시키고 누적된 식별코드와 상기 이탈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송신기를 갖는 동물과의 거리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연속되는 식별코드신호의 주기는,
    애완동물의 뛰는 속도 또는 걷는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송신기를 구비하고 있는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펄스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운동량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운동량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펄스를 누적시켜 펄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함께 상기 수신기로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기의 수신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량 기준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펄스의 개수에 대한 정보와 식별코드를 수신받아 상기 펄스의 개수가 상기 다수의 운동량 기준정보 중 어느 운동량 기준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표시부 상에 기호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원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기준전원보다 출력레벨이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정보가 식별코드와 함께 상기 송신부를 통해 송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기의 수신제어부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배터리 교체시기 정보가 수신된 경우 표시부를 통해 송신기 배터리 교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어부는,
    사육자가 송신기의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도록 송신기 배터리 아이콘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콜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사육자가 송신기 및 수신기의 전원 스위치를 온 시킨 후 상기 콜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수신기의 수신제어부는,
    애완동물이 미리 설정된 거리내에 존재할 경우에만 애완동물 이탈에 따른 음성신호 및 문자신호가 스피커 및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어부는,
    상기 사육자가 송신기의 전원은 오프시키고, 수신기의 전원만 온시킨 상태에서 콜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애완동물의 현재 위치와는 무관하게 애완동물 이탈에 따른 음성신호 및 문자신호가 스피커 및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KR20-2004-0002395U 2004-02-02 2004-02-02 동물 모니터링 장치 KR200355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395U KR200355180Y1 (ko) 2004-02-02 2004-02-02 동물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395U KR200355180Y1 (ko) 2004-02-02 2004-02-02 동물 모니터링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814A Division KR100567210B1 (ko) 2004-01-29 2004-01-29 동물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180Y1 true KR200355180Y1 (ko) 2004-07-03

Family

ID=4943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395U KR200355180Y1 (ko) 2004-02-02 2004-02-02 동물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1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3536B1 (en) Pet training system with geofence boundary indicator and software application
US9516860B2 (en) Anim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703413B1 (ko) 애완동물 모니터링 장치, 제어단말 및 그 방법
US20080236514A1 (en) Training Device and a Method For Training an Animal to Adapt Its Behavior to Various Environments
DE10201411522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wegungsüberwachung
US7770541B2 (en) Animal training device responsive to an audible signal
US115470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executing training protocols for autonomously training an animal
US1080612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barks
US20190289822A1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KR101906671B1 (ko) 어신감지기능을 갖는 전자케미 및 이를 이용한 어신감지시스템
CN109287511B (zh) 训练宠物控制设备的方法、装置和宠物用的可穿戴设备
KR100567210B1 (ko) 동물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20220251896A1 (en) Method and control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n automated crowd gate
KR102284381B1 (ko) 반려 동물 산책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208883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多功能智能导盲手杖
KR200355180Y1 (ko) 동물 모니터링 장치
KR20180096409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애완 동물 관리시스템
KR200348724Y1 (ko) 위치 체크 기능을 갖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KR200348721Y1 (ko) 운동량 체크 기능을 갖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KR200348905Y1 (ko) 배터리 체크 기능을 갖는 동물 모니터링 장치
JP6996379B2 (ja) 学習システム、及び、学習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CN110111777A (zh) 远程设备、用户设备、状态信息发送及接收方法和装置
Sivaraman et al. Advances in Technology for Pet Tracker Sensing Systems
KR102384528B1 (ko) 애완동물건강 멀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 멀티 모니터링 방법
CN110419460B (zh) 基于宠物穿戴设备的宠物控制方法以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