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565Y1 -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 Google Patents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565Y1
KR200353565Y1 KR20-2003-0036144U KR20030036144U KR200353565Y1 KR 200353565 Y1 KR200353565 Y1 KR 200353565Y1 KR 20030036144 U KR20030036144 U KR 20030036144U KR 200353565 Y1 KR200353565 Y1 KR 200353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oxygen
urination
horizont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완
Original Assignee
김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완 filed Critical 김형완
Priority to KR20-2003-0036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5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5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61G10/026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for hyperbaric oxyge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환자가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이루어진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 외주연에 밀착되고, 환자가 출입하는 출입수단이 구비되며, 산소 및 압축공기 주입시 밀폐성이 유지되는 외부부재로 이루어진 챔버;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되는 산소를 발생시키게 되는 산소발생기와; 상기 산소발생기의 산소를 공급받아 압축 공기와 함께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콤프레셔와;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하게 되는 압력제어장치로 이루어진 산소공급수단; 및 상기 챔버가 안정되게 받쳐지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챔버의 골격을 이루는 수용부재와 커버부재를 개폐 가능한 원통형으로 제작하고, 이 원통형의 수용부재와 커버부재에 외부부재를 밀착시키되, 수용부재와 커버부재가 밀착되어 여닫히는 부위에 출입수단을 구비하여 긴급을 요하는 환자의 출입이 용이하고, 치료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가벼우며 가격이 저렴하여 준 종합병원이나 개인병원에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THE UPPER PART OPENING TYPE HYPERBARIC THERAPY}
본 고안은 고압산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긴급을 요하는 환자의 출입이 용이하고, 환자가 보다 안정되고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제작된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산소 치료기(Hyperbaric Therapy)는 특수 챔버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순수 청정산소를 호흡하게 함으로써 치매성 노인 질환이나 만성 질환 및 화재시 유독가스 중독자나 익사 사고자 등의 치료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뇌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자연치유력을 증진시켜 각종 성인성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탁월한 치료 메커니즘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고압산소 치료기는 높은 압력이 요구되는 밀폐 기준상 출입구가 작게 제작되어 환자의 출입이 매우 불편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유독가스 중독자나 익사 사고자 등과 같은 긴급을 요하는 환자의 치료가 늦어져 불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긴급을 요하는 환자의 출입이 용이하고, 치료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환자가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이루어진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 외주연에 밀착되고, 환자가 출입하는 출입수단이 구비되며, 산소 및 압축공기 주입시 밀폐성이 유지되는 외부부재로 이루어진 챔버;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되는 산소를 발생시키게 되는 산소발생기와; 상기 산소발생기의 산소를 공급받아 압축 공기와 함께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콤프레셔와;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하게 되는 압력제어장치로 이루어진 산소공급수단; 및 상기 챔버가 안정되게 받쳐지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의 동작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의 출입수단을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챔버 10 : 수용부재
12,13,22,23 : 제 1,2,3,4수직지지대 14,15,24,25 : 제 1,2,3,4수평연결대
16,17 : 제 1,2하부수평연결대 20 : 커버부재
26,27 : 제 1,2상부수평연결대 30 : 보강부재
35 : 가이드부재 36 : 가스실린더
37 : 로드 40 : 외부부재
42 : 수평절개부 44 : 보강내피
44a : 절개부 46 : 지퍼락
48a : 수평개방부 48 : 차단부재
50 : 투시창 60 : 산소발생기
70 : 콤프레셔 80 : 압력제어장치
90 : 배뇨기 91 : 배뇨밸브
92 : 배뇨호스 94 : 배뇨통
100 : 받침부재 A : 출입수단
B : 산소공급수단 C : 배뇨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의 동작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의 출입수단을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압산소 치료기는 크게 챔버(1), 산소공급수단(B) 및 받침부재(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1)는 반원형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환자가 수용되는 수용부재(10)와, 수용부재(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고, 수용부재(10) 상부에 그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재(20)로 이루어진 보강부재(30)와; 보강부재(30)의 수용부재(10)와 커버부재(20) 외주연에 밀착되고, 그 재질이 연질의 피브이씨와 섬유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고주파로 접착하여 제작되고, 내부에 압축공기 및 산소의 주입시 밀폐성이 유지되는 외부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재(10)는 반원형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된 제 1,2수직지지대(12)(13)와; 제 1,2수직지지대(12)(13) 상부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중앙 영역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2수평연결대(14)(15)와; 제 1,2수직지지대(12)(13) 외주연에 일측이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되고, 중앙 영역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제 1,2하부수평연결대(16)(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20)는 반원형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된 제 3,4수직지지대(22)(23)와; 제 3,4수직지지대(22)(23) 상부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중앙 영역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4수평연결대(24)(25)와; 제 3,4수직지지대(24)(25) 외주연에 일측이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되고, 중앙 영역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제 1,2상부수평연결대(26)(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재(10)와 커버부재(20)의 제 1,2,3,4수평연결대(14)(15)(24)(25)사이에는 힌지부재(19)가 구비되어 커버부재(20)가 수용부재(10)에 여닫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부재(20)가 수용부재(10)에 닫혔을 경우에는 수용부재(10)와 커버부재(20)가 원통형이 유지된다.
그리고, 수용부재(10)의 제 1,2수직지지대(12)(13)와 커버부재(20)의 제 3,4수직부재(22)(23) 사이에는 가이드부재(35) 각각 장착되어 커버부재(20)의 중량을 최소화하여 커버부재(20)가 쉽게 여닫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5)는 제 1,2수직지지대(12)(13)에 입설되는 가스실린더(36)와; 가스실린더(36) 내부에 그 일측 외경이 신장 및 신축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커버부재(20)의 제 3,4수직부재(22)(23)에 고정되는 로드(37)로 이루어진다.
한편, 외부부재(40)는 수용부재(10)로부터 커버부재(20)가 여닫히는 영역으로 출입수단(A)이 연장되게 구비된다.
상기 출입수단(A)은 수용부재(10)로부터 커버부재(20)가 여닫히는 영역의 외부부재(40)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절개부(42)와; 수평절개부(42) 내측으로 연장되게 부착되고, 수평절개부(42)와 일치되는 절개부(44a)가 형성된 보강내피(44)와; 수평절개부(42)와 절개부(44a)에 각각 구비된 지퍼락(4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부재(40)와 보강내피(44) 사이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수평절개부(42)와 절개부(44a)와 일치되는 수평개방부(48a)가 형성된 차단부재(48)가 부착되어 챔버(1) 내부의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차단부재(48)는 2개의 지퍼락(46)의 재봉선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내부 기압이 상승되면 닫힌 지퍼락(46)의 틈새와 지퍼락(46)의 재봉선으로 밀착되면서 외부로 새게 되는 공기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커버부재(20) 측의 외부부재(40) 적정 위치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투시창(50)이 구비되어 내부에 환자가 느낄 수 있는 폐쇄 공포증을 해소시키는 동시에 이를 통하여 햇빛 및 불빛 등이 투과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부재(20) 측의 외부부재(40)에는 손잡이(52)가 구비되어 커버부재(20)의 개방 및 챔버(1)의 이동시 용이하게 사용된다.
상기 산소공급수단(B)은 챔버(1) 내부로 공급되는 산소를 발생시키게 되는 산소발생기(60)와; 산소발생기(60)의 산소를 공급받아 압축 공기와 함께 일정한 압력으로 챔버(1)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콤프레셔(70)와; 챔버(1)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하게 되는 압력제어장치(80)로 이루어진다.
이때, 산소발생기(60)와 콤프레셔(70) 사이에는 산소발생기(60)의 산소를 콤프레셔(70)로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호스(62)가 연결되고, 챔버(1)와 콤프레셔(70) 사이에는 콤프레셔(70) 내부의 산소와 압축공기를 챔버(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산소 및 압축공기공급호스(64)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산소발생기(60)에는 산소주입호스(62)를 통하여 콤프레셔(70)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눈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산소발생레벨(66)이 구비되고, 이 산소발생레벨(66)을 확인하여 산소량을 조절하게 되는 조절밸브(67)가 구비되며,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스위치(68)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콤프레셔(70)는 저장박스(72)에 내장되어 콤프레셔(70)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압력제어장치(80)는 챔버(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에 압력게이지(82)가 연결된 내부압력감지호스(84)와; 압력게이지(82) 일측에 연결되어 챔버(1)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4psi)이상이 되면, 개방되어 챔버(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게 되는 안전밸브(85)와; 안전밸브(85) 일측에 연결되어 챔버(1) 내부의 압력을 수동으로 조절하게 되는 외부압력조절밸브(86)로 이루어진다.
한편, 외부부재(40)의 커버부재(20) 적정 위치에는 환자가 몸으로 느끼는 압력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감압밸브(88)가 구비된다.
그리고, 챔버(1)의 적정 위치에는 중증환자용 배뇨수단(C)이 구비된다.
상기 배뇨수단(C)은 챔버(1)의 수용부재(10) 적정위치에 구비된 배뇨기(90)와; 배뇨기(90)에 그 일측이 연결되고, 챔버(1)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타단에는 배뇨밸브(91)가 구비된 배뇨호스(92)와; 배뇨호스(92)를 통하여 배출되는 뇨를 받게 되는 배뇨통(9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배뇨기(90)에는 챔버(1) 내부에 냄새 및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뚜껑(91)이 구비되고, 챔버(1) 내부의 압력(4psi)과 대기압(0psi)과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뇨가 배뇨호스(92)를 따라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재(100)는 반원형의 안착홈(110)이 형성되어 챔버(1)의 수용부재(20)가 안정되게 받쳐지게 된다.
그리고, 수용부재(10) 내주연에는 환자가 편안하게 누워 쉴 수 있는 메트리스(200)가 안착된다. 이때, 메트리스(200)는 그 외주연이 수용부재(10) 내주연에 밀착이 용이하도록 반원형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상부는 환자가 편안하게 누울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응급을 요하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챔버(1)를 구성하고 있는 커버부재(20) 측의 외부부재(40)에 구비된 손잡이(52)를 파지한 다음, 수용부재(10)로부터 커버부재(20)가 여닫히는 영역으로 형성된 출입수단(A)을 개방시키게 된다.(도 5a,5b참조)
즉, 보강부재(30)의 수용부재(10)로부터 커버부재(20)가 여닫히는 영역의 외부부재(40)에 연장 형성된 수평절개부(42)에 구비된 지퍼락(46)을 개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평절개부(42)의 지퍼락(46)이 개방되면서 외부부재(40)와 보강내피(44) 사이에 부착된 실리콘 재질의 차단부재(48)가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단부재(48)의 수평개방부(48a)를 통하여 사용자가 손을 넣고, 외부부재(40) 내측에 부착된 보강내피(44)의 지퍼락(46)을 개방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손잡이(52)를 상방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수용부재(10)와 커버부재(20)의 제 1,3수평연결대(14)(24) 사이에 구비된 힌지부재(19)에 의해 커버부재(20)가 상방으로 개방된다.
이때, 타단이 커버부재(20)의 제 3,4수직부재(22)(23)에 고정된 로드(37)의 일측 외경이 수용부재(10)의 제 1,2수직지지대(12)(13)에 입설된 가스실린더(36) 내경을 따라 상방으로 신장되어 커버부재(20)의 열림을 지지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환자를 수용부재(10) 내주연에 안착된 메트리스(200) 상부에 환자를 편안하게 눕히게 된다.
이때, 메트리스(200)는 그 외주연이 수용부재(10) 내주연에 밀착이 용이하도록 반원형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상부는 환자가 편안하게 누울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챔버(1)의 수용부재(20)는 받침부재(100)의 안착홈(110)에 안정되게 받쳐지게 되어 환자가 편안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52)를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그러면, 수용부재(10)와 커버부재(20)의 제 1,3수평연결대(14)(24) 사이에 구비된 힌지부재(19)에 의해 커버부재(20)가 하방으로 닫히게 된다.
이때, 타단이 커버부재(20)의 제 3,4수직부재(22)(23)에 고정된 로드(37)의 일측 외경이 수용부재(10)의 제 1,2수직지지대(12)(13)에 입설된 가스실린더(36) 내경을 따라 하방으로 신축되어 커버부재(20)가 수용부재(10) 상부에 밀착되게 닫힌다.
그러면, 반원형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된 제 1,2,3,4수직지지대(12)(13)(22)(23)와, 이 제 1,2,3,4수직지지대(12)(13)(22)(23)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중앙 영역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2,3,4수평연결대(14)(15)(24)(25)와, 제 1,2,3,4수직지지대(12)(13)(22)(23) 외주연에 일측이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되고, 중앙 영역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2하부수평연결대(16)(17)와 제 1,2하부수평연결대(26)(27)로 이루어진 수용부재(10)와 커버부재(20)가 원형을 유지하여 닫히게 된다.
그리고, 수용부재(10)에 커버부재(20)가 여닫히는 부위, 즉 출입수단(A)을 제외한 외주연에 밀착되어 챔버(1)를 구성하는 외부부재(40)는 그 재질이 연질의 피브이씨와 섬유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고주파로 접착하여 제작되며, 내부에 압축공기 및 산소의 주입시 밀폐성이 충분히 유지된다.
그 다음으로 보강내피(44)의 절개부(44a)에 구비된 지퍼락(46)을, 차단부재(48)의 수평개방부(48a)를 통하여 닫은 다음, 수평절개부(42)에 구비된 지퍼락(46)을 닫게 되면, 수용부재(10)에 커버부재(20)를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외부부재(40)와 보강내피(44) 사이에는 실리콘 재질의 차단부재(48)가 부착되어 챔버(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챔버(1) 내부의 기압이 상승하게 되면, 2중의 지퍼락(46) 틈새와 지퍼락(46) 봉재선의 바늘 자국으로 차단부재(48)가 재질의 특성상 밀착되어 외부로의 이동되는 공기를 차단하게 된다. 이는, 챔버(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수 록 차단부재(48)에 가해지는 힘이 정비례 함으로써 원하는 압력을 얻게 된다.(도 5a,5b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산소공급수단(B)으로써 챔버(1) 내부로 적정압력(4psi)으로 산소 및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즉, 산소발생기(60)의 전원스위치(68)를 온(on)시키게 된다. 그러면, 산소발생기(60)가 동작되어 산소를 발생시키게 되고, 발생된 산소는 산소공급호스(62)를 통하여 콤프레셔(70) 내부로 공급되며, 콤프레셔(70)에서는 공급된 산소와 압축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산소 및 압축공기공급호스(64)를 통하여 챔버(1) 내부로 공급하게 됨으로써 환자가 이를 흡입하게 되어 뇌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산소발생기(60)에는 산소주입호스(62)를 통하여 콤프레셔(70)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눈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산소발생레벨(66)이 구비되고, 조절밸브(67)가 구비되어 산소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콤프레셔(70)는 저장박스(72)에 내장되어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챔버(1) 내부의 산소 및 압축공기의 압력은 압력제어장치(80)로써 제어하게 된다.
즉, 챔버(1) 일측에 연결된 내부압력감지호스(84)를 통하여 내부압력이 타단에 연결된 압력게이지(82)에 표시되고, 챔버(1)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4psi)이상이 되면, 압력게이지(82) 일측에 연결된 안전밸브(84)가 개방되어 챔버(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안전밸브(84) 일측에 연결된 외부압력조절밸브(86)는 외부에서 수동으로 챔버(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외부부재(40)의 커버부재(20) 적정 위치에는 감압밸브(88)가 구비되어 환자가 몸으로 느끼는 압력을 수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부재(20) 측의 외부부재(40) 적정 위치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투시창(50)이 구비되어 내부에 환자가 느낄 수 있는 폐쇄 공포증을 해소시키는 동시에 이를 통하여 햇빛 및 불빛 등이 투과되어 환자에 편안함을 주게 된다.
또한, 챔버(1)의 적정 위치에는 중증환자용 배뇨수단(C)이 구비되는 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챔버(1)의 수용부재(10) 적정위치에 구비된 배뇨기(90)에 소변을 보게 되면, 챔버(1) 내부의 압력(4psi)과 대기압(0psi)과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뇨가 배뇨호스(92)를 통하고, 타단의 배뇨밸브(91)를 통하여 배뇨통(94)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이때, 배뇨기(90)에는 챔버(1) 내부에 냄새 및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뚜껑(91)이 구비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산소와 압축공기가 채워지는 챔버의 골격을 이루는 수용부재와 커버부재를 개폐 가능한 원통형으로 제작하고, 이 원통형의 수용부재와 커버부재에 내부가 밀폐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부재를 밀착시키되, 수용부재와 커버부재가 밀착되어 여닫히는 부위의 외부부재에 밀폐 가능하도록 2중의 지퍼락으로 이루어진 출입수단을 구비하여 긴급을 요하는 환자의 출입이 용이하고, 치료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출입구에 실리콘 재질의 차단부재가 부착되어 외부로의 이동되는 공기를 차단하게 됨으로써 넓은 출입구의 밀폐 문제가 해결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가벼우며 가격이 저렴하여 준 종합병원이나 개인병원에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6)

  1. 환자가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이루어진 보강부재(30)와; 상기 보강부재(30) 외주연에 밀착되고, 환자가 출입하는 출입수단(A)이 구비되며, 산소 및 압축공기 주입시 밀폐성이 유지되는 외부부재(40)로 이루어진 챔버(1);
    상기 챔버(1) 내부로 공급되는 산소를 발생시키게 되는 산소발생기(60)와; 상기 산소발생기(60)의 산소를 공급받아 압축 공기와 함께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챔버(1)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콤프레셔(70)와; 상기 챔버(1)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하게 되는 압력제어장치(80)로 이루어진 산소공급수단(B); 및
    상기 챔버(1)가 안정되게 받쳐지는 받침부재(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0)는
    반원형을 유지하여 형성된 제 1,2수직지지대(12)(13)와; 상기 제 1,2수직지지대(12)(13) 상부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중앙 영역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2수평연결대(14)(15)와; 상기 제 1,2수직지지대(12)(13) 외주연에 일측이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되고, 중앙 영역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2하부수평연결대(16)(17)로 이루어진 수용부재(10); 및
    상기 제 1,2수직지지대(12)(13)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3,4수직지지대(22)(23)와; 상기 제 3,4수직지지대(22)(23) 상부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중앙영역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4수평연결대(24)(25)와; 상기 제 3,4수직지지대(24)(25) 외주연에 일측이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되고, 중앙 영역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2상부수평연결대(26)(27)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재(1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부재(2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10)의 제 1,2수직지지대(12)(13)와 상기 커버부재(20)의 제 3,4수직부재(22)(23) 사이에 가이드부재(35)를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부재(35)는 상기 제 1,2수직지지대(12)(13)에 입설되는 가스실린더(36); 및
    상기 가스실린더(32) 내부에 그 일측 외경이 신장 및 신축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부재(20)의 제 3,4수직부재(22)(23)에 고정되는 로드(37);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수단(A)은
    상기 외부부재(40)에 연장 형성된 수평절개부(42);
    상기 수평절개부(42) 내측으로 부착되고, 절개부(44a)가 형성된 보강내피(44);
    상기 수평절개부(42)와 상기 절개부(44a)에 각각 구비된 지퍼락(46); 및
    상기 외부부재(40)와 상기 보강내피(44) 사이에 부착되고, 수평개방부(48a)가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 공기를 차단하는 차단부재(48);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부재(40) 적정 위치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투시창(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의 적정 위치에 중증환자용 배뇨수단(C)을 구비하되,
    상기 배뇨수단(C)은
    상기 챔버(1)의 적정위치에 구비된 배뇨기(90);
    상기 배뇨기(90)에 그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챔버(1)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타단에는 배뇨밸브(91)가 구비된 배뇨호스(92); 및
    상기 배뇨호스(92)를 통하여 배출된 뇨를 받게 되는 배뇨통(94);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KR20-2003-0036144U 2003-11-19 2003-11-19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KR200353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144U KR200353565Y1 (ko) 2003-11-19 2003-11-19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144U KR200353565Y1 (ko) 2003-11-19 2003-11-19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207A Division KR100561209B1 (ko) 2003-11-19 2003-11-19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565Y1 true KR200353565Y1 (ko) 2004-06-22

Family

ID=4934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144U KR200353565Y1 (ko) 2003-11-19 2003-11-19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5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951B1 (ko) * 2005-03-31 2008-12-08 가부시키가이샤 나카타 코팅 산소 유지 용기
KR101383325B1 (ko) 2012-07-20 2014-04-08 정재찬 산소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951B1 (ko) * 2005-03-31 2008-12-08 가부시키가이샤 나카타 코팅 산소 유지 용기
KR101383325B1 (ko) 2012-07-20 2014-04-08 정재찬 산소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209B1 (ko)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US6027464A (en) Sleeping and therapy system with a person hydraulically supported by immersion in water
US2700384A (en) Treatment chamber apparatus
US6428466B1 (en) Spa capsule
ZA200309888B (en) Respiratory therapy device for keeping free the natural respiratory tract of a human body and the use thereof in order or to prevent the sounds of snoring.
JP2016022371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を装着した電動ベッド(autobedwithapparatusforevacuation)
JP2006280534A (ja) 酸素保持容器
KR200353565Y1 (ko)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US5520613A (en) Respiratory breast tissue expanding device with timing function
CN107411908A (zh) 神经外科护理床及其应用
CN216316567U (zh) 一种心衰患者家庭护理兼急救设备
CN2407756Y (zh) 露头式前开门桑拿保健浴器
CN114129379A (zh) 一种小儿针灸推拿床
KR20220119326A (ko) 산소 발생기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20200013326A (ko) 힐링 스테이션
CN209361550U (zh) 重症监护人工呼吸器
CN209316829U (zh) 一种神经内科用治疗装置
JPH034851A (ja) 無菌ベツド装置
CN213608136U (zh) 一种泌尿外科术后熏蒸清洗器
KR102510799B1 (ko) 공기청정기능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200324009Y1 (ko) 자궁환경형 요람
KR102480122B1 (ko) 신체리듬을 기반으로 하는 산소캡슐
KR100871951B1 (ko) 산소 유지 용기
JPH04343849A (ja) 炭酸ガス浴用装置及び炭酸ガス浴用方法
CN208785604U (zh) 一种紫外光口腔治疗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