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351Y1 - 비상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비상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351Y1
KR200353351Y1 KR20-2004-0008297U KR20040008297U KR200353351Y1 KR 200353351 Y1 KR200353351 Y1 KR 200353351Y1 KR 20040008297 U KR20040008297 U KR 20040008297U KR 200353351 Y1 KR200353351 Y1 KR 200353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housing
fire
main body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수
Original Assignee
황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수 filed Critical 황기수
Priority to KR20-2004-0008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3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351Y1/ko
Priority to PCT/KR2005/000837 priority patent/WO2005093678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발생이나 정전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사람들을 안전에게 유도하기 위한 비상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이나 건물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비상구 또는 출구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ED)가 비상구나 출구방향으로 순차적인 릴레이식으로 점멸되도록 설계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충전용 콘덴서를 사용하여 전원공급이 중단되어도 일정시간 동작하여 사람들에게 위치와 방향을 알려줄 수 있는 비상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유도장치{The LED escape apparatus by the EDLC}
본 고안은 재난 발생시에 지하철이나 상가 등의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이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있어 이를 유도할 수 있는 비상 지시등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비상 유도장치로는 가장 일반적으로 녹색 바탕에 건물 내에 설치되어져 있는 비상구 표시등이 있으나, 이는 화재시나 정전시에 동작되도록 보조 전력을 구비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형광등이나 소형 전구를 사용하여 램프의 수명시간에 따른 잦은 교환주기를 가지게 되며, 이는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와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에 오동작의 위험률을 가중시키며, 설치장소나 점멸 표시부가 고정적이어서 화재 발생에 따른 유해연기나 장애물 등에 의해 식별이 곤란하며, 식별이 가능하여도 다급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이 정확한 방향을 즉각적으로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화살표지 등으로 방향을 지시하거나 음성 등으로 안내하는 각종 비상유도등이 개발되어 종래의 비상구 표시장치에 문제점이었던 출구 방향에 대한 인지 효율성이 좋아졌으나, 상기의 장치 대부분은 니켈카드뮴이나 리튬이온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장치가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여건 하에서는 정상적인 동작을 위해 통상 수개월 미만의 교환주기를 갖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는 건물의 외벽부에 부착 설치되어지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건물 저면에 매립되는 경우에는 유지보수에 보다 많은 시간상, 비용상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비상유도등이나 안내표지등은 높은 전압을 사용함에 따라 화재시 2차 발화 및 감전에 의한 위험요소 가중되어지고 있으며, 이는 화재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보다 더 큰 재난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그룹 단위 장치가 일괄적으로 동작함으로 화재발생 지역에 대한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칫 위험발생 근원지 방향으로 불필요한 유도표시를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사람들에게 보다 신속하게 출구의 위치를 인지시키고 평상시에도 미관상의 수려함을 제공하며 별도의 발전설비를 구축하지 않아 경제적이면서 전력공급이 중단되어도 안정적인 작동을 구현하는 비상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하철이나 버스 내지 공항 터미널 등에 설치되어진 경우, 평상시는 환승표시를 지시하는데 이용되어질 수 있으며, 개략적인 실시예로 지하철의 노선별 구간에 따른 색상과 동일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지하철 이용객들이 노선별 환승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며, 화재시에는 비상구(출구)나 안전한 장소로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사람들을 방향을 지시하는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비상유도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조립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4은 센서에 의한 집적 회로의 개략 신호처리를 보인 회로도.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보인 참고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보인 참고 사시도
도 5c는 본 고안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보인 참고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하우징 3. 투명 커버재
4. 받침턱 5. 체결구 6. 기판
7. 발광다이오드 8. 충전용 콘덴서 9. 표시부
10.외부전원 11.감지 센서 12.실크인쇄부
13.아답터 14.센서입력단자 15.장치입력단자
16.브래킷 17.돌출홈 18.절곡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비상유도장치 본체(1)는 지하철, 터미널, 상가 등의 건물 저면부에 건물 시공시에 매립 설치되거나 기존 건물의 경우는 일측벽면이나 천장 내지 사람들이 인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장착되어지는 것으로 금속 케이스로 이루어진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상단에 안착되어지는 투명 커버재(3)와, 투명 커버재(3)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코팅 필름(12)과, 상기 투명 커버재(3)를 안착시키기 위해 금속 케이스(2)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어지는 받침턱(4)과, 상기 투명 커버재(3)의 내측면에 부착되어지는 방향 표시부(9)와, 하우징(2)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어 기판(6)이 삽입되어지는 체결구(5)와, 기판(6)에 실장 되어지는 발광다이오드(7)와 상기 발광다이오드(7)에 외부전원(10)공급이 중단되어도 지속적으로 발광다이오드(7)를 점멸시키기 위하여 기판(6)에 장착되어지는 충전용 콘덴서(8)와, 상기 본체(1)로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12)와, 상기 센서(1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센서입력단자(13)와, 본체(1)를 복수개 설치시 본체(1)와 다른 본체(1)를 연결하는 장치입력단자(14)와, 건물 저면부에 매입설치의 경우 시공시에 먼저 입설되어 하우징(2)을 장착하게 되는 브래킷(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비상유도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고안에 의한 비상유도장치의 구성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면 본체(1)를 구성하는 금속케이스(1)를 규격화하여 50, 100, 150, 200(단위: cm)등으로 구성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장소에 복수개를 돌출 내지 매설하는 것이 가능하며, 건물 외부에 돌출이나 고정부착식이 아닌 건물 내부에 매설 시공시에는 별도의 브래킷(16)을 먼저 건물 내부에 매설하고 그 다음으로 상기 브래킷(16)의 돌출홈(17)과 하우징의 절곡부(18)가 맞물리면서 견고히 고정결합 되는 것으로 이때 각 사이즈별 단위규격에 의한 금속케이스(2)는 상술되어진 통상의 가변 길이와는 별도로 너비를 3.3(단위: cm) 높이를 2.4(단위: cm)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길이로의 변형이 자유로우며, 식별력이 뛰어나고 발광다이오드에 의한 저전력을 사용하여 감전에 대한 위험을 배제하고 높은 효율과 고장발생률이 낮아 유지보수에 따른 불편을 해소한 것이 특징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조립 사시도로써, 투명 커버재(3)는 사람들의 이동경로로 이용되어지는 바닥면에 매설되어질 경우 일정이상의 압력과 청소 및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징(2)은 화재시의 온도상승내지 외력에 의한 파손 내지 경량화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의 금속재 케이스로 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화유리로 되어진 투명 커버재(3)의 내측면에는 표시부(9)가 형성되어져 있는데, 이는 발광다이오드(7)의 인접면에 화살표와 같은 문양이나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기호를 표시하여 인쇄되어지는 것으로 실크인쇄(12) 되거나 코팅 필름을 부착하여 구현하는 데, 투명 커버재(3)의 주변에 비해 발광다이오드(7)의 인접면을 밝고 투명하게 하여 백색광 발광다이오드(7)에 색상을 부여한 효과를 주거나 방향을 지시하는 경우 사람들의 식별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7)의 점멸에 따른 방향 표시효과를 최적화 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7)에 의한 유도표시와 함께 내장되어진 보조전원으로서의 충전용 콘덴서(8)가 제공되어지며, 센서(12)에서 전달되어지는 신호를 입력받은 집적 회로(19)의 신호제어에 따라 평상시에는 일정 간격으로 기판상에 실장되어진 발광다이오드(7)가 시간을 계수하여 릴레이식으로 순차적인 점멸을 반복하게 되며, 또한 화재가 사람들이 이동하게 될 출구방향에서 발생시를 대비하여 복수개의 센서(12)와 함께 작동되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비상유도장치는 사고 발생지역 근처의 센서(12)에 의해 화재 발생지역의 위치가 감지되어지면, 이에 전달받은 비상유도장치의 집적 회로(19)에서 발광다이오드의 순차적인 점멸신호를 차단하거나, 점멸신호의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화재 발생지역으로의 더이상의 방향지시를 지원하지 않게 되어 대피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비상유도장치의 발광다이오드(7)는 고휘도를 가지는 다양한 색상의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환승역에서의 구간별 색상과 일치하거나, 일상적인 색상 체계에서의 경고(적), 안전(녹), 주의(황) 등의 표시로의 사용이 가능하여 사람들에게 비상시의 유도등으로써의 기능외에도 평상시에는 환승역이나 위험지역을 알리는 지시등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색을 구비하여 기판상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7)외에도 백색광의 발광다이오드(7)를 사용시에는 투명 커버재(3)의 내측면에 위치한 표시부(9)의 색상을 지원하는 코팅 필름이나 실크인쇄(12)를 이용하여 다색 발광다이오드(7)와 동일한 식별이 가능하며, 코팅 필름이나 인쇄를 통하여 구현되는 실크인쇄부(12)에 의한 표시부(9)는 다양한 기호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발광다이오드가 순차적인 점멸이 이루어짐에 따라 화살표 문양이나 기호를 사용시에는 불빛이 해당방향으로 진행하는 데에 식별력을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에 미도시된 19는 집적 회로, 20은 외장 콘덴서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센서에 의한 집적 회로(19)의 개략 신호처리를 보인 회로도로써,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를 외형을 이루로 있는 하우징(2)의 내부 체결구(5)에 삽입되어지는 기판(6)상에 충전용 콘덴서(8)를 실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한 경우 충전용 콘덴서(8)를 각각의 하우징(2)내의 기판(6)상에 직접 실장하지 않고 충전용 콘덴서(8)를 고장이나 용량을 확장하기 위한 교환이 가능하도록 기판상에 별도의 아답터(13)를 장착하고 아답터(13)에 콘덴서(8)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본체(1)를 연결 사용시에는 대용량의 콘덴서(20)를 외부에 별도 설치하여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지는 데에 따른 유도장치 본체(1)의 발광다이오드(7)의 가용시간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충전용 콘덴서(8)에는 최근 무선이동통신장비나 마이크로장비 등에 배터리 대체 내지 백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전극 활성탄 및 유기전해액을 이용하는 전기이중층콘덴서(EDL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DLC를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 콘덴서가 내압이 낮고 주위온도에 민감하므로 하우징에 방열판 부착이나 급속 충전을 지양하도록 설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비상유도장치는 출구쪽에서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시에도발광다이오드(7)의 점멸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오히려 사람들이 화재 근원지 방향으로 대피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이 경우는 해당 화재가 발생된 지역의 감지 센서(12)에 의해 화재 신호를 감지하게 되며, 이 경우는 상기 화재 방향으로 설치되어진 다수의 본체(1)가 동일 방향 센서(12)들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되어져 집적 회로(19)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며, 따라서 화재 지역으로의 점멸표시가 중단되거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출구 쪽으로 사람들을 유도시키기 위하여 화재 발생지점을 지시하는 유도등은 작동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도 5a, 5b, 5c는 본 고안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보인 참고 사시도로써, 건물에 설치시에 벽면이 원형이나 코너로 되어 있거나,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본체(1) 하우징(2)의 형상은 L자형, T자형, 라운드형 등으로 구현되어지는 가능하며, 각각의 하우징(2) 형상에 따라 브래킷(16)의 형태도 변형이 가능하며, 이는 본 고안이 가지는 통상의 기술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벽이나 바닥 등에 장착하거나 매설하는 것이 가능하며, 장소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필요한 길이만큼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고 낮은 전압을 사용함으로써, 전기료의 절감 및 감전 사고의 위험이 전혀 없으며 비상유도장치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충전용 배터리나 램프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이중층콘덴서와 같은 충전용 콘덴서와 고휘도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 대한 고장률이 낮고 교환주기가 길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사람들을 안전에게 유도하기 위한 비상유도장치에 있어서;
    건물내부에 바닥면과 같이 건물 시공시에 매립 설치되거나 기존 건물의 일측벽이나 천정등에 장착하기 위한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상단에 안착되어지는 투명 커버재(3)와, 상기 투명 커버재(3)를 안착시키기 위해 하우징(2)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어지는 받침턱(4)과, 상기 투명 커버재의 내측면에 부착되어지는 방향 표시부(9)와, 하우징(2)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어 기판(6)이 삽입되어지는 체결구(5)와, 기판(6)에 실장되어지는 발광다이오드(7)와 상기 발광다이오드(7)에 외부전원(10)공급이 중단되어도 지속적으로 발광다이오드 (7)를 점멸시키기 위하여 기판(6)에 실장되어지는 충전용 콘덴서(8)와, 상기 본체(1)로 화재를 감지하고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센서(12)와, 상기 감지센서(12)와 본체(1)를 연결하기 위한 센서입력단자(13)와, 본체(1)를 복수개 설치시 본체(1)와 다른 본체(1)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입력단자(14)와, 건물 저면부에 매입설치의 경우 시공시에 먼저 입설되어 하우징(2)을 장착하게 되는 브래킷(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센서(12)에 의한 화재 감지시, 해당 화재가 발생되어진 지역과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본체(1)들이 화재방향으로의 순차적인 점멸을 중단하거나 점멸방향을 전환하도록 설계되어진 집적회로(19)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비상유도장치 본체(1)를 구성하는데 있어, 보조전원으로 사용되어지는 충전용 콘덴서(EDLC)(8)를 교환하거나 확장하기 위하여 또는 외부에서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충전용 콘덴서(8)의 장탈착이 가능하게 기판(6)과 콘덴서(8) 사이에 아답터(13)가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장치.
KR20-2004-0008297U 2004-03-25 2004-03-25 비상유도장치 KR200353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297U KR200353351Y1 (ko) 2004-03-25 2004-03-25 비상유도장치
PCT/KR2005/000837 WO2005093678A1 (en) 2004-03-25 2005-03-23 Emergency guid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297U KR200353351Y1 (ko) 2004-03-25 2004-03-25 비상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351Y1 true KR200353351Y1 (ko) 2004-06-17

Family

ID=3505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297U KR200353351Y1 (ko) 2004-03-25 2004-03-25 비상유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53351Y1 (ko)
WO (1) WO200509367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741B1 (ko) 2006-09-14 2006-12-11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도로의 횡단보도 잔여시간 안내등
KR101122532B1 (ko) 2011-04-11 2012-03-16 최덕수 선형 발광유닛
WO2013062157A1 (ko) * 2011-10-27 2013-05-02 Wang Jin Hyung 엘이디 조명장치
KR20230072834A (ko) * 2021-11-18 2023-05-25 윤상훈 대형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피난유도안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85567L (fi) * 2008-06-09 2009-12-10 Marimils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kustajien ohjaamiseksi, opastamiseksi ja varoittamiseksi
FI125609B (en) 2009-01-20 2015-12-15 Maricare Oy queue Management System
FI121421B (fi) * 2009-07-28 2010-11-15 Marimils Oy Järjestelmä hissien ohjaamiseksi hissijärjestelmässä
GB2483071B (en) * 2010-08-24 2012-08-22 Paul Richard Moore Hazard warning sign
GB2560514A (en) * 2017-03-13 2018-09-19 Earlsmann Ltd Emergency evacuation apparatus
JP2019153152A (ja) * 2018-03-05 2019-09-12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0611A (ja) * 1993-03-31 1994-10-18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誘導用照明システムおよび誘導灯装置
KR20040106031A (ko) * 2003-06-10 2004-12-17 최순규 비상 통로 유도 장치, 연속 비상 통로 유도 장치, 및 그의설치 방법
KR20050005146A (ko) * 2003-07-04 2005-01-13 금호엔지니어링 (주) 공공 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741B1 (ko) 2006-09-14 2006-12-11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도로의 횡단보도 잔여시간 안내등
KR101122532B1 (ko) 2011-04-11 2012-03-16 최덕수 선형 발광유닛
WO2013062157A1 (ko) * 2011-10-27 2013-05-02 Wang Jin Hyung 엘이디 조명장치
KR20230072834A (ko) * 2021-11-18 2023-05-25 윤상훈 대형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피난유도안내장치
KR102582206B1 (ko) * 2021-11-18 2023-09-22 윤상훈 대형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피난유도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93678A1 (en)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343B1 (ko) 시인성 및 변별력을 향상시킨 보행신호 및 방향표시용 안전유도블럭
WO2005093678A1 (en) Emergency guidance system
KR20160124504A (ko) 복합 기능형 가로등 시스템
KR20140133652A (ko) 예비기능을 갖춘 항로표시 엘이디(led) 등명기의 제어모듈과, 이의 작동방법.
CN109084227A (zh) 中置感应器的照明灯
CN208846186U (zh) 中置感应器的照明灯
CN204879468U (zh) 具有方向显示功能的便携式发光二极管照明装置
KR102034351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70882B1 (ko) 지능형 엘이디 조명 제어 관제 시스템
EP4123874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wireless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an emergency luminaire
CN207702419U (zh) Led安全出口指示灯
CN209558203U (zh) 一种智能消防用应急标志灯
CN210431955U (zh) 一种带led指示灯的面板开关
KR200425096Y1 (ko) 비상점멸등 기능을 가진 계단 자동 발광 안전 커버
CN215769982U (zh) 一种消防工程用无线火灾报警装置
CN104566127A (zh) 一种可拆卸led消防灯
CN218918390U (zh) 一种发光标识物联网智能控制终端
KR20030087133A (ko) 휴대용 비상 조명등
KR20160109922A (ko) 다기능 태양광 충전식 보안등
KR101154441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가드레일 부착형 표시장치
KR200340696Y1 (ko) 비상 유도등 장치
CN213149925U (zh) 一种智能声光报警安全警示装置
CN220397462U (zh) 一种具有充电桩的智慧路灯
CN220342496U (zh) 一种具有感知功能的物联网节能灯管
CN203671509U (zh) 一种led雷达感应泛光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