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058Y1 -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 Google Patents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058Y1
KR200353058Y1 KR20-2004-0006461U KR20040006461U KR200353058Y1 KR 200353058 Y1 KR200353058 Y1 KR 200353058Y1 KR 20040006461 U KR20040006461 U KR 20040006461U KR 200353058 Y1 KR200353058 Y1 KR 200353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fluorescent lamp
insertion groove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보선
Original Assignee
(주)선일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일일렉콤 filed Critical (주)선일일렉콤
Priority to KR20-2004-0006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구리의 바깥쪽면에 전원접속장치의 전원접속구와 연결될 수 있는 두개의 핀형상의 전원접속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삽입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의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연결된 측면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전원접속장치가 상측면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회로 기판이 내장 설치되어 있는 본체(210);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형광등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마구리(220)를 포함하되, 상기 마구리(220)의 바깥쪽면 중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면에는 전원접속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230)은 상기 전원접속장치(100)가 상측면으로 부터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연결된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A Fluorescent Light With A Oppened Terminal Connecting A Power Source}
본 고안은 전원접속장치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형광등기구는 단독으로 사용되므로 그 형태에 제한을 가할 이유가 없으나, 각종 전시장, 진열대 등과 같이 상품 등을 전시하는 공간에서 상품의 이미지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조명효과로 사용되는 형광등기구의 경우에는 그 크기나 형태에 따라 조명효과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형태가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조명용 형광등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다수의 형광등기구 각각에 별도의 전원접속장치를 연결시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전원접속장치의 전력선이 어지럽게 배선되므로 조명효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깔끔하지 못한 인상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개의 형광등기구를 연결시킬 수 있는 전원접속장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접속장치 중 현재 공개되어 있는 형태들은 단순히 두개의 형광등기구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써, 외부 미관 및 조명효과를 증대시키지는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a 및 도 1b 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두개의 형광등기구를 연결시킨 일예시도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형광등기구를 이용하는경우에는, 두개의 형광등기구(20,20') 각각에 구비된 마구리(21,21')의 전원접속단자가 전원접속장치(10)의 좌우에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두개의 형광등기구간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두개의 형광등기구를 이용하여 세밀한 형태의 조명효과를 제공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형광등기구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연결되어 고정된 경우에 중간에 삽입된 형광등기구에 이상이 있어 교체해야 할 경우, 모든 형광등기구를 고정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전원접속장치(10)로 부터 이상이 있는 형광등기구를 제거해야 하므로, 형광등기구의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마구리의 바깥쪽면에 전원접속장치의 전원접속구와 연결될 수 있는 두개의 핀형상의 전원접속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삽입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의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연결된 측면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전원접속장치가 상측면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 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두개의 형광등기구를 연결시킨 일예시도.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의 또 다른 일시예 사시도.
도 3a 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에 연결되는 전원접속장치의 일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3b 는 도 3a 에 도시된 전원접속장치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 3c 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에 연결되는 전원접속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4a 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두개가 전원접속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일실시예 상태도.
도 4b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두개가 전원접속장치에 의해 연결된 일실시예 상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회로 기판이 내장 설치되어 있는 본체(210);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형광등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마구리(220)를 포함하되, 상기 마구리(220)의 바깥쪽면 중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면에는 전원접속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30)이 구비되어 있고,상기 삽입홈(230)에는 상기 본체(210)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전원접속장치의 전원접속구(121,122)와 결합될 수 있는 전원접속단자(231) 두개가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면으로부터 핀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230)은 상기 전원접속장치(100)가 상측면으로 부터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연결된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의 일실시예 사시도이며,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의 또 다른 일시예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 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에 연결되는 전원접속장치의 일실시예 분해 사시도이며, 도 3b 는 도 3a 에 도시된 전원접속장치의 일실시예 단면도로써, 도 3a 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전원접속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c 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에 연결되는 전원접속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 분해 사시도이다.
즉, 도 2a 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이하, 간단히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기구"라 함)(200)는, 회로 기판이 내장 설치되어 있는 본체(210)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형광등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마구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마구리(220)의 안쪽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형광등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시켜 주기 위한 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바깥쪽면 중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면에는 전원접속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3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230)에는 상기 본체(210)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전원접속장치의 전원접속구(121,122)와 결합될 수 있는 전원접속단자(231) 두개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면으로부터 핀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230)은 상기 전원접속장치(100)가 상측면으로 부터 결합될 수 있도록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연결된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삽입홈(23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접속단자(231)의 손상이나 누전을 막기 위하여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삽입홈 마개(240)를 이용하여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3a 및 도 3b 에 도시된 전원접속장치(100)는,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기구(200) 두 개(각각 제1 형광등기구 및 제2 형광등기구라 함)를 연결하는 동시에 제1 형광등기구로 인가된 전원을 제2 형광등기구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전원접속장치(100)는 도 3a 및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구성하는 절연성 재질의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형광등기구 및 제2 형광등기구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제1 전원접속구(121) 및 제2 전원접속구(122)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제1 전원접속구(121) 및 제2 전원접속구(122)는 구리와 같은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2a 에 도시된 형광등기구(200)의 핀형상의 전원접속단자(231)와 결합될 수 있도록 움푹 파여진 형상으로 되어있다. 이때, 상기 제1 전원접속구(121) 및 제2 전원접속구(122)는 본 고안에 따른 두개의 형광등기구(200)의 전원접속단자(231)를 동시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최소한 상기 전원접속단자(231) 두개의 길이만큼의 길이를 갖고 있다.
한편, 도전성 재질의 상기 제1 전원접속구(121) 및 제2 전원접속구(1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절연성 재질의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10)은 도 3a 및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원접속구(121) 및 제2 전원 접속구(122)를 결합시킬 수 있는 홈(111,112)이 파여져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에는 사용자들이 상기 하우징(110)을 잡기에 편리하도록 그 상측면에 볼록한 손잡이(1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의 전원접속단자(231'')는,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전극용을 포함한 세개의 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세개의 핀을 갖는 형광등기구(200'')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접속장치(100''')는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의 전원접속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원접속장치(100''') 및 형광등기구(200'')는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두개가 전원접속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일실시예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두개가 전원접속장치에 의해 연결된 일실시예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 마개(240)를 개방시킨 본 고안에 따른 두개의 형광등기구(각각 제1 형광등기구(200) 및 제2 형광등기구(200')라 함)의 마구리(220,220')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전원접속장치(100)를 상기 두개의 형광등기구(200,200')의 삽입홈(230,230')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전원접속장치(100)의 제1 전원접속구(121) 및 제2 전원접속구(122)는, 상기 제1 형광등기구(200) 및 제2 형광등기구(200') 각각에 구비된 전원접속단자(231,231')를 연결시키므로써, 제1 형광등기구(200)로 인가된 전원을 제2 형광등기구(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광등기구(200)의 일측에 구비된 전원접속단자(231)는 외부전원공급장치와 연결잭을 통해 연결되므로써 형광등기구를 구동 시키게 되며, 상기 전원접속장치(100)는 상기 제1 형광등기구(200)의 또 다른 일측에 구비된 전원접속단자(231)와 제2 형광등기구의 전원접속단자(231')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므로써, 상기 외부전원공급장치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상기 제2 형광등기구(2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전원접속장치(100)를 이용하여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본 고안에 따른 두개의 형광등기구(200,200')를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접속장치(100)를 벽면이나 유리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두개의 형광등기구(200,200')를 상기 전원접속장치(100)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4a 및 도 4b 의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두개의 형광등기구(200,200')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전원접속장치(100)를 상기 두개의 형광등기구의 전원접속단자(231,231')에 연결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접속장치(100)를 벽면이나 유리면 등에 고정시켜둔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두개의 형광등기구 각각을 상기 전원접속장치(100)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두개의 형광등기구만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형광등기구를 상기 전원접속장치(100)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다수의 형광등기구를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한편, 형광등기구의 마구리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형광등을 점등하였을 때 형광등에 의한 조명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원접속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개의 형광등기구 중 이상이 발생한 형광등기구를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해 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회로 기판이 내장 설치되어 있는 본체(210);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형광등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마구리(220)
    를 포함하되,
    상기 마구리(220)의 바깥쪽면 중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면에는 전원접속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230)에는 상기 본체(210)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전원접속장치의 전원접속구(121,122)와 결합될 수 있는 전원접속단자(231) 두개가 상기 본체(210)와 연결된 면으로부터 핀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230)은 상기 전원접속장치(100)가 상측면으로 부터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연결된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속단자(231)는 외부전원공급장치와 연결잭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속단자(231)는 상기 전원접속장치(10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전원접속단자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30)에 상기 전원접속장치(100)를 연결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삽입홈(230)을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삽입홈 마개(240)
    를 더 포함하는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30)은, 접지전극용 전원접속단자(231'')
    를 더 포함하는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KR20-2004-0006461U 2004-03-10 2004-03-10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KR200353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61U KR200353058Y1 (ko) 2004-03-10 2004-03-10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61U KR200353058Y1 (ko) 2004-03-10 2004-03-10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058Y1 true KR200353058Y1 (ko) 2004-06-14

Family

ID=4943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461U KR200353058Y1 (ko) 2004-03-10 2004-03-10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0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39B1 (ko) 2005-12-27 2007-06-25 (주)선일일렉콤 전원연결구조를 개선한 형광등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39B1 (ko) 2005-12-27 2007-06-25 (주)선일일렉콤 전원연결구조를 개선한 형광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6201B (zh) Led照明裝置
US7976190B2 (en) Custom assembly light-emitting module using plugs and jacks for obtaining vertical electrical connections
US20150345766A1 (en) Electric connecting member and led lamp using the same
ATE364244T1 (de) Achtpoliger-audio-steckbuchse-verbinder mit reduzierten abmessungen
US20160325200A1 (en) Light-emitting toy module
CN107078449B (zh) 电子积木
US20210080067A1 (en) Desk lamp
DE60205201D1 (de) Modularsteckerbuchse mit magnetischen Komponenten
TWI477713B (zh) 轉換燈座結構
JP2009076239A (ja) 多芯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ー
US10480726B1 (en) Modular LED lamp system
WO2018059145A1 (zh) 一种线性灯及线性灯组
US7980886B2 (en) Socket device having identification function
KR200353058Y1 (ko) 개방된 전원접속단자를 갖는 형광등기구
KR101057521B1 (ko) 와이어 투 보드 고전압용 커넥터
TW201911684A (zh) 信號轉接裝置及轉接器總成
GB2401253A (en) Connector for switch/lamp assembly
KR200353863Y1 (ko) 전원접속장치
KR101100257B1 (ko) 2극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콘센트
TWI609536B (zh)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以及通信設備
KR102006988B1 (ko) 조명 장치
CN220368197U (zh) 电连接装置和多功能灯
TWM512235U (zh) 電連接器及通訊設備
KR200341540Y1 (ko) 형광 램프
KR102006983B1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