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658Y1 - 감시카메라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658Y1
KR200352658Y1 KR20-2004-0008019U KR20040008019U KR200352658Y1 KR 200352658 Y1 KR200352658 Y1 KR 200352658Y1 KR 20040008019 U KR20040008019 U KR 20040008019U KR 200352658 Y1 KR200352658 Y1 KR 200352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mera
shaft
bracket
surveillan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호
Original Assignee
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호 filed Critical 정성호
Priority to KR20-2004-0008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6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감시카메라의 플랜지부에 카메라를 취부하기 위한 브래킷에 있어서, 중앙부에 축홀(41)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감시카메라의 플랜지부(70)와 고정되는 축홀(42a, 42b)이 형성된 제 3 지지체(40)와; 일단부에 축홀(31)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축홀(32)이 상기 제 3 지지체(40)의 축홀(41)과 수평회전축(33)으로 나합되어 수평으로 회전가능한 제 2 지지체(30)와; 일방의 협지부에 축홀(21a, 21b)이 형성되고, 타방의 중앙부에 형성된 꼬임회전축(22)이 상기 제 2 지지체(30)와 나합되어 꼬임회전이 가능한 제 1 지지체(20)와; 카메라(60)를 지지하고, 양쪽 모서리에 형성된 축홀(11a, 11b)이 상기 제 1 지지체(20)의 축홀(21a, 21b)과 수직회전축(13a, 13b)으로 나합되어 수직으로 회전가능한 카메라지지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불안정한 설치장소에 의한 왜곡된 화상을 제어부의 화상처리없이 처리가 가능하므로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경사면이나 벽면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용 브래킷{Bracket of monitoring camera}
본 고안은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회전, 수평회전 및 꼬임회전이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제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CCTV 시스템(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 즉 감시카메라 시스템은 주로 촬상계, 전송계, 수상계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되고, 주택을 비롯한 도로, 주차장, 백화점, 은행, 전시장 등의 공공시설 내에서 불법행위나 도난방지를 위해 각종 시설이나 보안상태 등을 원격으로 감시하는 역할에 주로 사용된다.
촬상계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계이고, TV 카메라를 주체로 하는 것이며 목적에 따라 선택할 카메라의 종류, 렌즈의 종류, 필터의 종류 등이 결정되고, 다음에 이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한 설치 브래킷, 카메라 하우징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 위에 카메라 본체, 렌즈계, 카메라와 피사체의 상호 위치관계의 원격 제어가 필요할 경우에는 원격제어에 필요한 주변 기기를 카메라에 부속시키게 된다. 또, 피사체에 대해서 특수한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조명의 설치 및 이의 제어를 포함하여 촬상계를 고려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송계는 촬상계의 영상신호를 원격지로 전송하는 계이고, 화상을 이용할 목적 지점까지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며 유선 전송과 무선 전송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CCTV의 경우는 한정된 목적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유선에 의한 것이 많으며 무선의 경우는 무선 주파수의 할당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실시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유선 전송의 경우에도 영상 신호를 그대로 전송하는 베이스 밴드(base band) 전송, 반송파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반송파 전송, 최근에는 PCM(pulse code modulation)화하여 전송하는 PCM 전송, 레이저에 의한 광통신 방식 등이 있으나 목적과 경제성에 따라서 가장 적당한 방식을 채용한다.
전송계에서는 직접 신호의 가공, 전환 등을 보통 행하지 않으나 대규모 시스템에서는 전송계 내에서 영상 전환을 하여 회선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는 것 등이 있다.
수상계는 전송되어 온 영상 신호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계이고, 전송 되어온 영상 신호를 수신 재생하는 것이다. 수상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오직 화상의 재생에만 그치는 것은 아니고 그 외의 시스템, 예를 들면 교통관제, 공정 관리 등과 조합하기 때문에 화상의 가공, 기록, 재생, 하드카피(hard copy)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화상 처리계 등이 이용된다.
또 정보 수집 센터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것도 적지 않기 때문에 제어계의 집중 관리 센터로서의 기능을 구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감시용 카메라는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중앙통제소와 같은 원격지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감시상태를 녹화하기도 한다.
감시카메라로는 일반카메라나 돔형카메라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미관상의 이유로 일반카메라는 옥외에 사용되고 돔형카메라는 실내에 사용된다.
종래의 감시카메라는 주로 천정면에 설치되어 사용되나 천정면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 촬영화상의 위상차가 발생하거나 왜곡된 영상을 촬영하게 되면, 수평회전 및 수직회전만 가능한 브래킷으로는 수정이 불가능하여 제어부에서 이들 화상에 대한 처리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감시카메라는 수평회전 및 수직회전만 가능하므로 경사면이나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설치장소에 제한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어부의 화상처리없이 왜곡된 화상의 처리가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의 세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지지체 11a, 11b : 축홀
12a, 12b, 12c, 12d : 체결용 홀 13a, 13b : 수직회전축
20 : 제 3 지지체 21a, 21b : 축홀
22 : 꼬임회전축 30 : 제 2 지지체
31 : 축홀 32 : 축홀
33 : 수평회전축 40 : 제 1 지지체
41 : 축홀 42a, 42b : 고정용 홀
50 : 카메라 고정판 51a, 51b, 51c, 51d : 고정핀
52 : 고정축 60 : 카메라
70 : 플렌지부 80 : 커버
90 : 커버용 덮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감시카메라의 플랜지부에 카메라를 취부하기 위한 브래킷에 있어서, 중앙부에 축홀(41)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감시카메라의 플랜지부(70)와 고정되는 축홀(42a, 42b)이 형성된 제 3 지지체(40)와; 일단부에 축홀(31)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축홀(32)이 상기 제 3 지지체(40)의 축홀(41)과 수평회전축(33)으로 나합되어 수평으로 회전가능한 제 2 지지체(30)와; 일방의 협지부에 축홀(21a, 21b)이 형성되고, 타방의 중앙부에 형성된 꼬임회전축(22)이 상기 제 2 지지체(30)와 나합되어 꼬임회전이 가능한 제 1 지지체(20)와; 카메라(60)를 지지하고, 양쪽 모서리에 형성된 축홀(11a, 11b)이 상기 제 1 지지체(20)의 축홀(21a, 21b)과 수직회전축(13a, 13b)으로 나합되어 수직으로 회전가능한 카메라지지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안에 있어서, 중앙부에 카메라(60)가 고정되고, 각각의 코너부에 형성된 고정핀(51a, 51b, 51c, 51d)이 상기 카메라지지체(10)와 나합되는 카메라 고정판(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체(20)는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지지체(10), 상기 제 1 지지체(20) 및 상기 제 2 지지체(30)는 외부의 제어부에 의해 구동량이 제어되는 구동모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의 세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은 감시카메라의 플랜지부에 카메라를 취부하기 위한 브래킷으로서 카메라지지체(10), 제 1 지지체(20), 제 2 지지체(30) 및 제 3 지지체(40)로 이루어진다.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로는 아날로그방식과 디지털방식이 있으나 최근에는 디지털방식의 CCD카메라(Charge Coupled Device Camera)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CCD카메라는 렌즈로 입사된 광 신호를 CCD에서 전기신호로 바꾸고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서 화상신호처리를 통해 비디오신호를 출력하여 감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 장치이다.
CCD는 고체 촬상소자중의 하나이며 진공관을 대신하는 신개념의 촬상장치로서, 기본적으로는 빛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수천만 화소를 포함하는 집적회로가 내장된 이미지 센서로서 원화상을 광학계를 이용해 고체소자에 결상시켜 그 상을 고체소자 내에서 전자적으로 주사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해 출력하는 소자를 말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메라로는 예를 들면, 상기 CCD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지지체(10)는 수직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지지체(20)는 꼬임회전이 가능하고, 제 2 지지체(30)는 수평회전이 가능하므로 3축방향에서 회전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감시카메라와 비교하여 설치장소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나게 된다.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지지체(10)는 양쪽 모서리의 중앙부에 수직회전을 위한 축홀(11a, 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지지체(10)의 형상은 카메라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가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 1 지지체(20)에는 상기 카메라지지체(10)의 축홀(11a, 11b)과 끼워맞춤하여 수직회전축(13a, 13b) 및 너트로 나합되는 축홀(21a, 21b)이 일방의 협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지지체(10)가 수직회전축(13a, 13b)을 기준으로 해서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체(20)의 타방의 중앙부에 꼬임회전축(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지지체(30)의 일단부에는 꼬임회전을 위한 축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지지체(30)의 축홀(31)이 상기 제 1 지지체(20)의 꼬임회전축(22)과 너트로 나합되므로 상기 제 1 지지체(20)는 꼬임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지지체(20)의 형상은 상기 카메라지지체(10)의 수직회전이 용이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중간부가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지지체(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축홀(31)이 상기 제 1 지지체(20)의 꼬임회전축(22)과 너트로 나합된다. 타단부에는 수평회전을 위한 축홀(32)이 형성되어 상기 제 3 지지체(40)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평회전을 위한 축홀(41)과 수평회전축(33) 및 너트로 나합되므로 상기 제 2 지지체(30)는 수평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체(30)는 양단부가 동일방향을 향하여 굴절되어 양단부가 대략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의 설치면적을 줄이고 수평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3 지지체(40)는 일자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감시카메라의 플랜지부(70)에 브래킷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홀(42a, 42b)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지지체(30)의 축홀(32)과 수평회전축(33) 및 너트로 나합되는 수평회전을 위한 축홀(4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지지체(40)는 감시카메라의 플랜지부(70)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지지체(30)를 수평으로 회전시키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나합부위에는 각 지지체의 원활한 회전운동과 나합의 결합력을 향상하기 위해 와셔 등을 개재하여 나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합부위의 결합력의 더욱 확고히 하기 위해 메탈본드 등의 보조 결합제를 추가하면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므로, 보조 결합제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나합을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를 사용하고 너트로 체결하므로 각 지지체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지지체(10)에 카메라(60)를 취부하기 위해 카메라 고정판(5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고정판(50)의 중앙부에는 카메라(60)가 고정되고, 각각의 코너부에 고정핀(51a, 51b, 51c, 51d)이 형성되어 있다. 단, 고정핀(51c)은 미도시함.
또한, 상기 카메라지지체(10)에는 상기 카메라 고정판(50)의 고정핀(51a, 51b, 51c, 51d)이 고정축(52)으로 체결되는 체결용 홀(12a, 12b, 12c, 12d)이 각각의 고정핀(51a, 51b, 51c, 51d)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카메라지지체(10)에 카메라(60)의 취부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고정판(50)의 고정핀(51a, 51b, 51c, 51d)에는 너트와 마찬가지로 암나사가 내부에 형성되어 숫나사 형태의 고정축(52)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카메라지지체(10)의 체결용 홀(12a, 12b, 12c, 12d)은 슬릿형상으로 되어 있어 카메라(60)의 형상에 따라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메라(60)는 카메라 고정판(50)에 고정되어 브래킷에 취부되므로 3개의 축을 기준으로 수직회전, 수평회전 및 꼬임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설치장소에 의한 왜곡화상을 제어부에 의한 처리 없이 브래킷의 회전으로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지지체(10), 상기 제 1 지지체(20) 및 상기 제 2 지지체(30)를 각각 수직회전, 꼬임회전, 수평회전시키기 위해 각각의 회전축에 구동모터를 취부하여, 상기 카메라지지체(10), 상기 제 1 지지체(20) 및 상기 제 2 지지체(30)는 외부의 제어부에 의해 구동량이 제어되는 구동모터에 의해서 회전구동될 수 있다.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을 적용한 감시카메라는 카메라(60)를 감시카메라용 브래킷에 취부하여 플렌지부(70)에 고정시키고, 커버(80)를 씌운 다음 커버용 덮개(90)를 플랜지부(70)에 체결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불안정한 설치장소에 의한 왜곡된 화상을 제어부의 화상처리없이 처리가 가능하므로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경사면이나 벽면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감시카메라의 플랜지부에 카메라를 취부하기 위한 브래킷에 있어서,
    중앙부에 축홀(41)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감시카메라의 플랜지부(70)와 고정되는 축홀(42a, 42b)이 형성된 제 3 지지체(40)와;
    일단부에 축홀(31)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축홀(32)이 상기 제 3 지지체(40)의 축홀(41)과 수평회전축(33)으로 나합되어 수평으로 회전가능한 제 2 지지체(30)와;
    일방의 협지부에 축홀(21a, 21b)이 형성되고, 타방의 중앙부에 형성된 꼬임회전축(22)이 상기 제 2 지지체(30)와 나합되어 꼬임회전이 가능한 제 1 지지체(20)와;
    카메라(60)를 지지하고, 양쪽 모서리에 형성된 축홀(11a, 11b)이 상기 제 1 지지체(20)의 축홀(21a, 21b)과 수직회전축(13a, 13b)으로 나합되어 수직으로 회전가능한 카메라지지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래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카메라(60)가 고정되고, 각각의 코너부에 형성된 고정핀(51a, 51b, 51c, 51d)이 상기 카메라지지체(10)와 나합되는 카메라 고정판(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래킷.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체(20)는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래킷.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지지체(10), 상기 제 1 지지체(20) 및 상기 제 2 지지체(30)는 외부의 제어부에 의해 구동량이 제어되는 구동모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래킷.
KR20-2004-0008019U 2004-03-23 2004-03-23 감시카메라용 브래킷 KR200352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019U KR200352658Y1 (ko) 2004-03-23 2004-03-23 감시카메라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019U KR200352658Y1 (ko) 2004-03-23 2004-03-23 감시카메라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658Y1 true KR200352658Y1 (ko) 2004-06-05

Family

ID=4943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019U KR200352658Y1 (ko) 2004-03-23 2004-03-23 감시카메라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6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119B1 (ko) 2005-04-08 2012-10-19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리벳팅 스퀴져용 핸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119B1 (ko) 2005-04-08 2012-10-19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리벳팅 스퀴져용 핸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04513B2 (en) A camera
KR101082808B1 (ko) 촬상 장치
KR100724306B1 (ko)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
US8487998B2 (en) Digital peephole viewer device
KR101011269B1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CN210578944U (zh) 一种全景无盲区监控器
CN206878992U (zh) 一种联动的车载全景摄像机
KR100633033B1 (ko) 보조 카메라를 구비하는 팬틸트 카메라 장치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KR20110114098A (ko) 파노라마 카메라 및 팬틸트줌 카메라 일체형 감시용 카메라 장치와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763845B1 (ko)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KR200352658Y1 (ko) 감시카메라용 브래킷
KR101319838B1 (ko) 감시카메라 시스템
WO2006093387A1 (en) Panorama watch camera apparatus and the deferment unit thereof
KR200392486Y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GB2449303A (en) Apparatus for CCTV System having unidirectional and panoramic imaging devices
KR20080037451A (ko) 감시 카메라 장치
KR100996471B1 (ko) 사면 감시용 카메라 장치
CN112136320B (zh) 三轴圆顶式监控摄像机
KR200451628Y1 (ko)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101445381B1 (ko) 감시용 카메라 장치
KR200277709Y1 (ko)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JP2906911B2 (ja) ビデオカメラ
JP2010074630A (ja) ネットワークカメラ
ES2190382A1 (es) Camara de video, particularmente una camara de vigilancia para un portero automat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