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398Y1 - 복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398Y1
KR200352398Y1 KR20-2004-0001687U KR20040001687U KR200352398Y1 KR 200352398 Y1 KR200352398 Y1 KR 200352398Y1 KR 20040001687 U KR20040001687 U KR 20040001687U KR 200352398 Y1 KR200352398 Y1 KR 200352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d
information
sms
quick
facsim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훈
Original Assignee
선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1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3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공중통신망을 통해 단문메시지, 이메일 및 팩시밀리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SMS 모드 또는 이메일 모드 또는 팩스 모드를 선택한 후 해당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피씨(10)와; 상기 피씨(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문자 메시지, 이메일 및 팩시밀리 문서를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공중통신망을 통해 피에스엠에스씨(30)측으로 전송하고, 반대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해당 문서의 정보를 그 피씨(10)측으로 전송하는 퀵-에스엠에스 장치(20)와; 상기 퀵-에스엠에스 장치(2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상기 각 정보를 피씨(40A) 또는 휴대폰(40B) 또는 팩시밀리(40C)에 전달하고, 그들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해당 문서 정보를 그 퀵-에스엠에스 장치(20)에 전송하는 피에스엠에스씨(30)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복합 통신 장치{COMPLEX COMMUNIC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일반 공중통신망을 통해 단문메시지, 이메일 및 팩시밀리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용 컴퓨터(PC)와 단문메시지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 장치가 연계하여 공중통신망을 통해 단문메시지, 이메일 및 팩시밀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MS는 휴대전화나 전용선이 설치되어 있는 웹 사이트(PC) 또는 메신저를 통해 서비스된다. 그리고, 이메일(E-mail) 송수신은 전용선이 설치되어 있는 피씨 상에서 웹사이트를 접속하는 경우에만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팩시밀리 통신은 전화선로를 통해 이용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통신기술에서, SMS는 웹 사이트에 접속해 문자를 전송하게 되어 있는 경우 전용선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전송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전화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경우 비교적 고가의 통신료를 지불해야 하고, 휴대전화나 웹(메신저)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 인원에 제한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메일의 경우, 전용선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피씨에서는 송수신이 불가능하고, 웹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PDA를 통해서만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팩시밀리 서비스의 경우 전용의 팩시밀리와 통해서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상의 제약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인용 컴퓨터(PC)와 단문메시지서비스(SMS) 장치가 연계하여 공중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단문메시지, 이메일 및 팩시밀리 통신을 수행하는 복합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복합 통신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피에스엠에스씨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정보 송신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A : 피씨 20 : 퀵-에스엠에스 장치
21A-21C : 컨넥터 22 : 링신호 검출부
23 : CID 검출부 24 : 발진부
25 : 전원부 26 : 중앙처리장치
27 : DTMF 발신부 28 : FSK 구동부
29 : RS-232C/USB 통신부 30 : 피에스엠에스씨
40B : 휴대폰 40C : 팩시밀리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복합 통신 장치의 전체 블록도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SMS 모드 또는 이메일 모드 또는 팩스 모드를 선택한 후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 문서 또는 팩시밀리 문서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거나, 그 전송경로를 통해 상대방으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피씨(10)와; 직렬통신 라인 또는 USB를 통해 상기 피씨(10)와 연결되어 그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문자 메시지, 이메일 및 팩시밀리 문서를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피에스엠에스씨(30)측으로 전송하고, 반대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해당 문서 정보를 그 피씨(10)측으로 전송하는 퀵-에스엠에스 장치(20)와; 상기 퀵-에스엠에스 장치(2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이메일, 문자 메시지 및 팩시밀리 문서 정보를 피씨(40A), 휴대폰(40B) 및 팩시밀리(40C)에 전달하고, 그들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해당 문서 정보를 그 퀵-에스엠에스 장치(20)에 전송하는 피에스엠에스씨(PSMSC: PSTN SMS Center)(30)로 구성하였다.
도 2는 도 1에서 퀵-에스엠에스 장치(20)의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모드에서 라인 컨넥터(21A) 및 링신호 검출부(2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CID(발신자번호표시) 정보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26)에 전달하는 CID 검출부(23)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6) 및 시스템 각부에서 필요로 하는 클럭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발진부(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6) 및 시스템 각부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상기 피씨(10)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피씨전원 컨넥터(21B) 및 전원부(25)와; 상기 피씨(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문자 메시지, 이메일 및 팩시밀리 문서 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하고, 피에스엠에스씨(30)로부터 수신되는 해당문서 정보를 원래의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26)와;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상기 피에스엠에스씨(30)와 접속하기 위해 DTMF 신호를 발생하는 DTMF 발신부(27)와; 전송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를 주파수 편이 방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FSK 구동부(28)와; 직렬통신 라인 또는 USB를 통해 상기 피씨(10)와 접속하기 위한 RS-232C/USB 통신부(29)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퀵-에스엠에스 장치(20)에서 중앙처리장치(26)는 피씨전원 컨넥터(21B) 및 전원부(25)를 통해 피씨(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발진부(24)로부터 소정의 클럭신호를 공급받는다.
사용자는 피씨(10) 상에서 상기 퀵-에스엠에스 장치(20)와 연계하고, 피에스엠에스씨(30) 및 공중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피씨(40A), 휴대폰(40B) 및 팩시밀리(40C)와 이메일, 단문메시지, 팩시밀리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피씨(10)에서 퀵 SMS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SMS 모드, 이메일 모드, 팩스 모드 중에서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이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SMS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SMS 모드를 선택하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주소록으로부터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대방에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메시지 문서를 메시지창에 입력한 후 전송 버튼을 누른다.
이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가 퀵-에스엠에스 장치(20)의 피씨 컨넥터(21C),RS-232C/USB 통신부(29)를 통해 중앙처리장치(26)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장치(26)는 DTMF 발신부(27)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상응되는 DTMF 신호가 출력되고, 이는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피에스엠에스씨(30)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피에스엠에스씨(30)는 휴대폰(40B)에 호출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경로를 통해 휴대폰(40B)로부터 퀵-에스엠에스 장치(20)에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그 중앙처리장치(26)는 FSK 구동부(28)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문자 메시지가 주파수 편이 방식으로 변환되어 피에스엠에스씨(30)를 통해 그 휴대폰(40B)에 전송된다.
또한, 이메일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메일 모드를 선택하고 메일 입력창에서 제목, 상대방의 메일 수신주소, 발신주소(자신의 주소), 회신번호(일반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상대방에 전송하고자 하는 문서를 작성한 후 전송 버튼을 누른다. 이에 따라, 상기 이메일은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상기 피씨(40A)에 전송된다.
또한, 팩시밀리 기능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팩스 모드를 선택하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문서를 입력한 후 전송 버튼을 누른다. 이에 따라, 상기 문서가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팩시밀리(40C)에 전송된다.
한편, 수신모드에서 CID 검출부(23)는 라인 컨넥터(21A) 및 링신호 검출부(2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CID(발신자번호표시)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6)에 전달한다.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장치(26)는 상기 CID 정보를 근거로 표시장치(예: 엘씨디)에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상기 수신모드에서 상기의 경로를 통해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피씨(10)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 수신창에 수신된 메시지의 수신번호 및 수신시간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메시지를 선택하여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참고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피에스엠에스씨(PSMSC)(30)의 작용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근래들어, 유선통신 분야에서 기존의 음성위주 통신의 한계를 벗어나 단문메시지, 이메일 송/수신통보, 팩스 송신 등이 가능한 리빙넷(LivingNet)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유선망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PSMSC)와 SMS 단말간에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기준이 정의되었다.유선망(PSTN망)에서, SMS 단말기는 가입자댁내의 PSTN 또는 ISDN 회선을 통해 접속되어야 하며, PSMSC는 네트워크와 No.7 또는 R2 신호방식으로 접속된다. 네트워크는 PSMSC의 번호를 CID 기능을 통해 SMS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 SMS 단말기는 CID 기능을 통하여 PSMSC임을 인식한 후, 자동적으로 오프-후크하여 PSMSC에 접속한다. 음성채널이 연결된 후 SMS 단말기에서 PSMSC로의 메시지 전송, PSMSC에서 SMS 단말기로의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진다.예를 들어, SMS 단말기에서 상기 PSMSC로의 단문메시지, 이메일 및 팩시밀리 송신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MS 단말기를 통해 단문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PSMSC에 접속해야 하며, 이는 일반적인 음성통화와 동일하게 PSMSC의 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SMS 단말기와 PSMSC간의 음성채널이 연결된 후에는 데이터 전송의 초기화가 수행된다. 초기화는 PSMSC가 SMS 단말기로 단말인지신호(CAS)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SMS 단말기는 단말응답신호(ACK)로 응답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후 SMS 단말기는 PSMSC로 단문메시지, 이메일 및 팩시밀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씨와 SMS 장치가 연계하여 공중통신망을 통해 단문메시지, 이메일 및 팩시밀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용선을 이용하지 않고도 피씨를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문자 메시지나 팩시밀리 기능을 이용할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SMS 모드 또는 이메일 모드 또는 팩스 모드를 선택한 후 해당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한 피씨(10)와; 상기 피씨(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문자 메시지, 이메일 및 팩시밀리 문서를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공중통신망을 통해 피에스엠에스씨(30)측으로 전송하고, 반대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해당 문서의 정보를 그 피씨(10)측으로 전송하는 퀵-에스엠에스 장치(20)와; 상기 퀵-에스엠에스 장치(2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상기 각 정보를 피씨(40A) 또는 휴대폰(40B) 또는 팩시밀리(40C)에 전달하고, 그들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해당 문서 정보를 그 퀵-에스엠에스 장치(20)에 전송하는 피에스엠에스씨(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퀵-에스엠에스 장치(20)는 라인 컨넥터(21A) 및 링신호 검출부(2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CID 정보를 검출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CID 검출부(23)와; 상기 피씨(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종 문서 정보를 송신처리하고, 피에스엠에스씨(3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해당 문서 정보를 수신처리하기 위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26)와; 공중통신망(PSTN)을 통해 상기 피에스엠에스씨(30)와 접속하기 위해 DTMF 신호를 발생하는 DTMF 발신부(27)와; 전송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를 주파수 편이 방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FSK 구동부(28)와; 직렬통신 라인 또는 USB를 통해 상기 피씨(10)와 접속하기 위한 RS-232C/USB 통신부(2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통신 장치.
KR20-2004-0001687U 2004-01-20 2004-01-20 복합 통신 장치 KR200352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87U KR200352398Y1 (ko) 2004-01-20 2004-01-20 복합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87U KR200352398Y1 (ko) 2004-01-20 2004-01-20 복합 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398Y1 true KR200352398Y1 (ko) 2004-06-10

Family

ID=4943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687U KR200352398Y1 (ko) 2004-01-20 2004-01-20 복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3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3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알림 설정방법
US20040052341A1 (en) System for automatic notification of caller ID, e-mail identification and short message
US200402036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tmf wireless handset based text messaging
JP430815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メッセージ発信者情報確認装置及び方法
US780940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02003267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정보 기능 서비스 방법
KR100762642B1 (ko)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및 그 단말기
KR200352398Y1 (ko) 복합 통신 장치
KR100227511B1 (ko) 문자 송수신 전화기 및 그의 메세지 송수신 방법
US2006003566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signals vi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uring conversation
KR19990033124A (ko) 이-메일 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1006751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니코드 문자열 처리방법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20050101099A (ko) 통합 메시징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JPH09247293A (ja) 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
KR100648353B1 (ko)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즉시 회신 방법.
KR100523900B1 (ko) 이중음다주파 신호를 이용한 통화중 메세지 송수신 방법
KR20040100243A (ko) 유,무선 통합 이미지 메세징 서비스.
KR100539872B1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598064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방법
JP2000341368A (ja) ディジタル通信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通信方法ならびにその記録媒体
KR2006003622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258225Y1 (ko) 발신자번호 송출표시시스템
KR100486511B1 (ko) 교환기의다중링신호발생및검출장치
KR20050075569A (ko) 전화번호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