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022Y1 -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용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용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022Y1
KR200352022Y1 KR20-2004-0005506U KR20040005506U KR200352022Y1 KR 200352022 Y1 KR200352022 Y1 KR 200352022Y1 KR 20040005506 U KR20040005506 U KR 20040005506U KR 200352022 Y1 KR200352022 Y1 KR 200352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ixing
bar
bracket
glas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석
Original Assignee
전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석 filed Critical 전재석
Priority to KR20-2004-0005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4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용 샤워부스를 구성하는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을 위한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하면서 유리문의 견고한 지지를 기대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면서 샤워실 내의 물이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힌지바(200)의 본체(210) 일측에 고정홈(211)을 구성하여 상대적으로 양측에 지지편(212)이 돌출구성되게 하고, 상기 본체(210)의 고정홈(211)에 힌지(100)를 구성하는 브라켓(110)이 끼워져 위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힌지 브라켓(110)쪽에서 체결구(113)로 이들이 체결고정되게 하고, 힌지바(200)의 고정홈(211)에는 커버(216)를 씌워 힌지바(200) 고정용 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용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HINGE FOR FIXING OF OPENING AND SHUTTING GLASS DOOR AND JOINING STRUCTURE OF HINGE BAR}
본 고안은 주로 욕실용 샤워부스에 설치되는 유리문의 개폐를 안내하는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힌지가 힌지바에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유지 및 시공, 보수를 위한 힌지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용 샤워부스에 설치되는 출입용 유리문은 슬라이드식과 여닫이식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으며, 여닫이식은 주로 힌지를 벽면에 2개이상 고정설치하고, 상기 힌지에 유리문이 체결고정되게 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던 힌지(1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라켓(11)과 고정판(12)으로 분리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12)은 브라켓(11)의 중앙에 돌출구성된 돌출편(13)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힌지(10)를 이용하여 유리문(14)을 벽면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브라켓(11)을 이용하여 벽면 상하에 힌지(1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힌지(10)에 구성된 고정판(12)에 유리문(14)이 결합고정되게 하므로서 유리문(14)의 개폐가 가능케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유리문(14) 결합구조는 시공이 간단하고, 사용중 브라켓(11) 고정용 체결볼트가 이완될 경우 브라켓(11) 외측에서 그대로 죄여주면 되므로 보수가 간단하고, 또한 견고한 장점이 있으나 벽면과 유리문(14) 사이에 약8mm정도의 넓은 큼이 생기게 되고, 이틈을 통하여 샤워실 내의 물이 외부로 튀어나오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단점을 시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79195호 "유리도어 힌지바아"가 제공된바 있다.
즉 "ㄷ"형 고정바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바에 힌지부를 구성하는 고정브라켓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바 배면에서 고정볼트로 체결하여 힌지부가 고정바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고정바를 벽면에 고정하고, 동시에 힌지부의 플레이트 브라켓에 유리도어가 체결고정되게 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유리문 고정장치의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첫째, 사용중 유리문의 개폐작동이 반복되면서 유리문의 요동에 의해 힌지부의 고정브라켓과 고정바를 체결고정하고 있는 고정볼트가 이완될 경우 고정볼트를 죄여주어야 하나 이완된 고정볼트를 죄어주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즉 고정바 배면에 위치한 고정볼트를 죄어주기 위하여서는 우선 벽체로부터 고정바를 먼저 완전히 분리시킨 다음 고정바 배면에 위치한 고정볼트를 죄어주고, 다시 고정바를 벽면에 체결고정하여야 하므로 무거운 유리문이 체결고정된 고정바를 벽체로부터 분리하고 결합하는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둘째, 고정바 상하측면에 힌지부의 고정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의 플레이트 브라켓에 유리문이 체결고정되어 있어 고정바와 유리문 사이에는 종래와 같이 틈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틈을 통하여 샤워실 내의 물이 외부로 튀어 나오는 단점이 있다.
셋째, 벽체에 고정바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최소한 6개이상의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바를 벽체에 고정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다수개의 체결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 아니라 샤워부스와 같이 외관을 중요시하는 설치물에서는 하나의 단점이 되는 것이었다.
특히 무거운 유리문을 지지하는 힌지부가 힌지바에 체결되는 수단으로서 힌지부를 구성하는 작은 고정브라켓이 좁은 폭으로 구성된 힌지바에 근접시킨 다음 고정바 후방에서 볼트로 체결고정한 구성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힌지부와 힌지바의 결합시 이들이 상호접하는 접촉면이 매우 좁기 때문에 무거운 유리문을 지지하는 힘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견고한 유리문의 지지에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욕실용 샤워부스 유리문의 설치 및 보수가 신속용이하면서 견고하고, 또한 설치된 상태의 외관이 미려하고, 샤워실 내의 물이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브라켓과 고정판으로 구성된 힌지를 구성하되,상기 브라켓의 폭은 대체로 좁으면서 길게 구성하되, 브라켓의 양측 단부가 고정판의 상하양측 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게 하고, 상기 힌지를 힌지바의 고정홈 상에 끼워지게 한 다음 힌지바의 바깥쪽에서 체결구로 이들이 결합되게 하고, 힌지바의 브라켓이 끼워지지 않는 나머지 고정홈에는 커버를 씌워 고정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힌지바 일측에는 모헤어가 끼워진 돌출편을 돌출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2 :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4 :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의 조립상태 횡단면구성도
도 6 : 본 고안의 조립상태 횡단면구성도
도 7 : 본 고안 힌지바와 힌지의 분해상태 평면구성도
도 8 : 종래 힌지의 사시도
도 9 : 종래 힌지의 또다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힌지 (110)--브라켓
(111)--돌출편 (112)--체결공
(113)--체결구 (120)--고정판
(140)--유리문 (200)--힌지바
(210)--본체 (211)--고정홈
(212)--지지편 (213)--고정공
(214)--체결공 (215)--고정체결구
(216)--커버 (220)--돌출편
(221)--삽입홈 (222)--모헤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힌지(100)와 힌지바(200)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요부확대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요지는 힌지(100)와 힌지바(200)의 조립 및 보수가 용이하고, 견고하며,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것이다.
힌지(100)의 구성은 도 3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브라켓(110)과 고정판(120)으로 분리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120)으로 브라켓(110) 중앙에 돌출구성된 돌출편(111)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구성되어 있으며, 일측 고정판(111')은 타측 고정판(111)으로부터 분해조립가능케 구성되어 있어 유리문(140)의 체결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힌지와 동일하다.
상기에서 일반 힌지와의 다른 점은 힌지(100)를 구성하는 브라켓(110)의 구조에 있다.
즉 브라켓(110)은 대체로 폭이 좁으면서 길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브라켓(11)의 폭은 힌지(100)의 고정판(120) 상에 유리문(140)이 체결고정된 상태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하며 그 폭은 대략 13~16mm정도이다.
또한 브라켓(110)의 길이는 힌지(100)를 구성하는 고정핀(120)의 상하단부보다 조금더 길게 구성하며, 그 길이는 12~17mm 정도이면 적합하다.
이는 고정판(120)의 상하단부보다 돌출된 브라켓(110) 부분에 체결공(112)을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드라이버와 같은 작업공구로 체결구(113)를 용이하게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100)는 힌지바(200)에 체결고정되며 힌지바(2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힌지바(200)는 힌지바(200)를 구성하는 본체(210) 내측에 고정홈(211)을 구성하므로서 상대적으로 지지편(212)이 양측부에 돌출구성되게 한다.
상기 고정홈(211)의 폭은 힌지 브라켓(110)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하며 깊이는 힌지 브라켓(1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바(200)의 고정홈(211)에는 힌지바(200)를 벽체(20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213)과 힌지(100)를 고정바(200)에 체결고정되게 하기 위한 체결공(2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214)은 힌지 브라켓(110)에 구성된 체결공(112)과 일치된다.
상기 힌지바(200)의 본체(210) 일측에는 돌출편(220)을 수직방향으로 돌출구성하되 상기 돌출편(220) 선단부에는 삽입홈(221)을 구성하고, 상기 삽입홈(221)에는 모헤어(222)가 끼워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힌지바(200)에 힌지(100)가 조립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힌지 브라켓(110)을 힌지바(200)의 본체(210)에 구성된 고정홈(211)에 끼워 체결공(112)(214)이 일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힌지(100)의 브라켓(110) 외측에서 통상의 체결구(113)를 결합하여 체결공(112)(214)을 관통되게 한 다음 콘크리트 벽체(240)내에서 체결구(113)의 끝단부가 앵커볼트형태로 확장되게 하므로서 이들이 일체형으로 체결고정되게 한다.
이때 힌지 브라켓(110)은 힌지바(200)의 고정홈(211)에 끼워지면서 힌지 브라켓(110)의 양측부가 고정홈(211) 양측에 구성된 지지편(212)과 접하면서 좌우유동없이 조립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체결구(113)로 이들을 일체형으로 조립되게 하므로서 힌지바(200) 전체가 힌지 브라켓의 기능을 하게 되므로 힌지(100)의 브라켓(110) 폭이 좁게 구성되어 있어도 충분한 지탱력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힌지바(200)에 체결고정되는 힌지는 통상적으로 힌지바(200)의 상하부에 고정될 수 있게 두개정도이면 충분하나 필요에 따라 힌지의 갯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위에서와 같이 힌지바(200)에 힌지(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힌지바(200)에 구성된 고정공(213)을 통하여 통상의 고정체결구(215)로 힌지바(200)를 벽체(240)에 체결고정하게 되고, 상기 고정체결구(215) 역시 끝단부가 콘크리트 벽체(240)내에서 앵커볼트형태로 확장되게 하므로서 힌지바(200)의 견고한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힌지바(200)에 구성되는 고정공(213)은 여러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힌지바(200)를 먼저 벽체(240)에 고정한 다음 힌지(100)를 체결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고정체결구(215)를 통하여 힌지바(200)를 벽체(240) 상에 체결고정완료되면 힌지브라켓(110)이 조립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고정홈(211)에는 커버(216)를 씌워 힌지바(200) 고정을 위한 고정체결구(215)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미려한 외관이 유지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힌지바(200)에 힌지(100)의 체결이 완료되면 힌지(100) 상에 유리문(104)을 조립하여 현가고정하게 되며, 힌지(100)를 이용한 유리문(140)의 조립은 일반적인 유리문의 조립과 다를바 없다.
위와 같이 유리문(140)이 힌지(100)에 고정완료되면 유리문(140)과 힌지바(200) 사이에 약5mm 정도의 틈이 발생하게 되나 상기 틈은 힌지바(200) 일측에 돌출구성된 돌출편(220)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돌출편(220)에 구성된 삽입홈(221)에는 모헤어(222)가 끼워져 있어 유리문(140)과 힌지바(200) 사이의 간격을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유리문은 주로 욕실내에 설치되는 샤워부스의 출입문으로 사용되며 사용시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유리문(140)의 잦은 사용으로 인하여 힌지(100)를 체결고정하고 있는 체결구(113)가 이완될 경우 힌지바(200)까지 완전히 분해할 필요없이 작업공구로 체결구(113)를 바로 죄일 수 있어 누구나 쉽게 보수할 수 있게 된다.
뿐만아니라 힌지브라켓(110)의 폭이 좁아 무거운 유리문(140)의 지탱에 무리가 따르게 되나 본 고안에서는 힌지브라켓(110)이 힌지바(200)에 구성된 고정홈(211)에 좌우유동없이 일체형으로 끼워져 체결고정되어 있어 힌지바(200) 전체가 힌지 브라켓(110)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유리문(140)의 지탱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힌지바(200)를 벽체(240)에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개 고정홈(213) 상에 다수개의 고정체결구(215)가 체결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홈(213)에 커버(216)를 씌워 고정체결구(215)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므로서 설치된 샤워부스의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뿐만아니라 힌지바(200)를 구성하는 본체(210) 일측의 돌출편(220)은 유리문(140)과 힌지바(200)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샤워부스 내에서 사용하는 물이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돌출편(220) 단부에는 모헤어(222)가 끼워져 있어 물의 차단을 더욱 완벽하게 하고, 또한 스팀겸용인 샤워부스의 경우 스팀이 외부로 빠져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욕실용 샤워부스 유리문 고정을 위한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는 사용중 힌지를 지지하는 체결구의 이완시 보수작업이 신속용이할 뿐 아니라 힌지브라켓의 폭을 좁게 구성하더라도 유리문의 견고한 지지를 기대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하며 또한 샤워실 내의 물이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욕실용 샤워부스 유리문 개폐를 안내하는 힌지와 힌지바를 구성함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되는 힌지바(200)의 본체(210) 내측에 고정홈(211)을 구성하여 양측부에 지지편(212)이 돌출구성되게 하되, 상기 고정홈(211)에 다수개의 고정공(213)과 체결공(214)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고정홈(211)에 힌지(100)의 고정판(120)을 지지하는 브라켓(110)을 끼워 브라켓(110)에 구성된 체결공(112)과 힌지바(200)에 구성된 체결공(214)이 일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힌지브라켓(110) 전면에서 체결공(112)(214)을 통하여 체결구(113)로 힌지(100)와 힌지바(200)가 체결고정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용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힌지바(200)의 고정공(213)에 커버(216)를 씌워 고정체결구(215)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용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힌지(100)를 구성하는 브라켓(110)의 길이는 고정판(120)의 상하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게 하고, 브라켓(110)의 폭은 유리문(140)이 결합된 상태의 양측 고정판(120)(120')사이 두께 범위내에 구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용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
KR20-2004-0005506U 2004-03-02 2004-03-02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용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 KR200352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506U KR200352022Y1 (ko) 2004-03-02 2004-03-02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용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506U KR200352022Y1 (ko) 2004-03-02 2004-03-02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용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022Y1 true KR200352022Y1 (ko) 2004-06-02

Family

ID=4934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506U KR200352022Y1 (ko) 2004-03-02 2004-03-02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용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02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085B1 (ko) 2004-11-03 2006-09-19 주식회사 그라스텍 유리도어 힌지바아
KR200465279Y1 (ko) * 2010-11-15 2013-02-08 변형석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KR101960520B1 (ko) * 2018-06-11 2019-07-15 알루인터 주식회사 경첩 연결장치
KR200497550Y1 (ko) 2023-10-17 2023-12-13 안동일 시공편의성이 향상되고 도어 위치조절기능을 갖는 샤워부스용 창호 시스템
KR200497829Y1 (ko) 2023-10-17 2024-03-08 안동일 시공편의성이 향상되고 도어 위치조절기능을 갖는 샤워부스 창호용 힌지유닛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085B1 (ko) 2004-11-03 2006-09-19 주식회사 그라스텍 유리도어 힌지바아
KR200465279Y1 (ko) * 2010-11-15 2013-02-08 변형석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KR101960520B1 (ko) * 2018-06-11 2019-07-15 알루인터 주식회사 경첩 연결장치
KR200497550Y1 (ko) 2023-10-17 2023-12-13 안동일 시공편의성이 향상되고 도어 위치조절기능을 갖는 샤워부스용 창호 시스템
KR200497829Y1 (ko) 2023-10-17 2024-03-08 안동일 시공편의성이 향상되고 도어 위치조절기능을 갖는 샤워부스 창호용 힌지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7871A (en) Outwardly swinging shower door hinge having a concealed knuckle
US10709299B2 (en)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CA2324665A1 (en) Access door incorporating a dual pivoted fastening bracket
KR200352022Y1 (ko) 여닫이식 유리문 고정용 힌지와 힌지바의 결합구조
EP3061899B1 (en)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100647732B1 (ko) 조립식화장실 칸막이벽체 설치용 모서리 연결구
KR200399757Y1 (ko) 조립식화장실 칸막이벽체 설치용 모서리 연결구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KR100529532B1 (ko) 다용도실의 조립식 도어장치
KR200393393Y1 (ko) 다용도실의 조립식 도어장치
KR200193214Y1 (ko) 조립식 화장실 칸막이
KR200193215Y1 (ko) 조립식 화장실 칸막이용 지지바의 마감구조
KR200400254Y1 (ko) 조립식화장실용 벽체단부지지틀
KR200365898Y1 (ko) 절첩식 부스 조립체
KR200367887Y1 (ko) 장식판이 설치된 도어
KR200237257Y1 (ko) 글라스 샤워부스
KR200157517Y1 (ko) 조립식 붙박이장
JPS6015919Y2 (ja) 鎧門扉
JPH06229060A (ja) 間仕切用のエッジ
CA2278921A1 (en) Frameless access door
JP2532960Y2 (ja) 洗面化粧台
KR100599950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문틀구조
RU228509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етли
KR20060128436A (ko) 조립식 창호
KR100346663B1 (ko) 홀딩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