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974Y1 - 다색링 - Google Patents

다색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974Y1
KR200351974Y1 KR20-2003-0039836U KR20030039836U KR200351974Y1 KR 200351974 Y1 KR200351974 Y1 KR 200351974Y1 KR 20030039836 U KR20030039836 U KR 20030039836U KR 200351974 Y1 KR200351974 Y1 KR 200351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resent
color
hemispherical
st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미
Original Assignee
이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미 filed Critical 이상미
Priority to KR20-2003-0039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9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9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컬러스톤이 세팅되어진 반구형태의 오목부분이 결합되어 있어 다양한 연출을 가능케 하는 다색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쓰이는 종래의 링 반지에 있어서, 여러 색상의 컬러스톤으로 세팅된 반구형태의 오목부분들이 4방향에 위치한, 다양한 연출 가능성과 오목부분의 형태상의 이점을 이용한 편안한 착용감을 특징으로하는 다색링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색링{multi-color Ring}
본 고안은 하나의 반지로 다양한 연출을 가능케 하는 다색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색상의 컬러스톤이 세팅된 반구형태의 오목부분(2)이 4방향으로 위치해 있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색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링 반지에는 편안한 착용감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1)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두께(1)로 이루어진 종래의 링 반지는 착용하는 동안 제품이 자연스럽게 돌아가므로 제품 전체에 동일한 무늬의 디자인, 동일한 색상이 사용되거나 아예 아무런 디자인이 사용되어지지 않은 형태가 있다.
그런데, 요즈음 들어 이러한 종래의 링 반지 형태는 점차 차별화된 디자인과 색상감각에 관심을 갖는 대중들의 욕구에 미치지 못하여 높은 가격의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쉽게 싫증을 불러와 오래 사용되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링반지 형태에 컬러 스톤이 세팅된 반구형태의 오목부분(2)이 결합되어 착용자의 욕구에 맞추어 다양한 연출을 가능하도록 하며, 오목부분(2)의 형태상의 이점을 이용, 착용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다색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링반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본 고안에 따른 다색링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손가락에 끼었을때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반구형태의 오목부분
3. 루비
4. 짜보라이트 가넷
5. 다이아몬드
6. 블루 사파이어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쓰이는 종래의 링 반지 형태에, 여러 색상의 컬러스톤으로 세팅된 반구 형태의 오목부분(2)들이 4방향에 위치한, 다양한 연출 가능성과 오목부분(2)의 형태상의 이점을 이용한 편안한 착용감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링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색링을 도시한 것으로서, 기본적인 형태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종래 링 반지에 반구형태의 오목부분(2)을 결합시킨 형태로서 반지를 평평한 바닥에 놓았다고 가정할 경우, 가운데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의 4등분 지점마다 반구형태의 오목부분(2)이 위치하며 각 각 다양한 색상의 작은 스톤들이 촘촘히 세팅되어있다. 지름이 1.3~1.5mm의 매우 작은 스톤들은 오목한 부분에 사이즈에 맞춰 먼저 구멍을 뚫은 다음 작은 스톤을 구멍을 맞춰 올려놓고 스톤의 테두리를 따라 6개의 동글동글한 발을 만들어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졌으며, 이러한 방법이 반복되면서 오목부분이 촘촘히 메꿔지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색상의 컬러 스톤들은 사용자의 의상에 맞춰 다양한 연출가능성을 제공하는데 이를 실시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 (B), (C), (D)는 각 각 루비(3), 짜보라이트 가넷(4), 다이아몬드(5), 블루 사파이어(6)가 세팅된 부분을 중심으로 맞춰 사용된 예로써 착용시 마치 4개의 전혀 다른 제품으로의 착각을 일으킬 정도이다.
또한, 반구형태의 오목부분(2) 4개 중 2개는 착용시 양 옆에 닿는 손가락의 둥근 실루엣에 맞춰져 종래의 링 반지에서의 반지가 돌아간다는 단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주먹을 쥔다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등 실제 생활에서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예는 도 4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이 반구형태의 오목부분(2)에 세팅된 1.3∼1.5mm의 작은 스톤들은 금속보다 낮은 열전도성과 스톤과 스톤사이의 공간으로 인하여 더운 여름철에 사용하여도 상쾌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위에 저술한 본 고안은 반드시 위에서 예시한 4가지의 색상만 세팅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반구 형태의 오목부분(2)도 4개 뿐만 아니라 8개로의 갯수 변경·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링반지 형태에 컬러 스톤이 세팅된 반구형태의 오목부분(2)을 결합하여 착용자의 욕구에 맞추어 다양한 연출을 가능하도록 하며, 오목부분(2)의 형태상의 이점을 이용, 착용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다색링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일반적으로 쓰이는 링반지에 있어서, 평평한 바닥에 놓았을 경우를 가정, 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의 4등분 지점마다 착용시 양 손가락의 걸림 역할을 하는 다양한 색상의 컬러스톤이 세팅된 오목 부분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링.
KR20-2003-0039836U 2003-12-22 2003-12-22 다색링 KR200351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836U KR200351974Y1 (ko) 2003-12-22 2003-12-22 다색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836U KR200351974Y1 (ko) 2003-12-22 2003-12-22 다색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974Y1 true KR200351974Y1 (ko) 2004-06-02

Family

ID=4934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836U KR200351974Y1 (ko) 2003-12-22 2003-12-22 다색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9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413B1 (ko) * 2019-01-21 2020-06-16 전해 Di공법으로 난집이 세팅된 장신구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413B1 (ko) * 2019-01-21 2020-06-16 전해 Di공법으로 난집이 세팅된 장신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13544S (en) Precious star stone setting
CA111662S (en) Analyte test meter user interface
JP2005522730A5 (ko)
CN105495888A (zh) 一种首饰加工工艺及首饰
KR200351974Y1 (ko) 다색링
KR100320299B1 (ko) 스톤 인 스톤
CN103391728B (zh) 颜色变化的多宝石镶嵌
KR100426717B1 (ko) 반지
CA106025S (en) Precious stone
USD490722S1 (en) Timepiece
CA99592S (en) Golf pin
CA101988S (en) Plush panda bear
WO2001062116A1 (fr) Pendentif constitue de pieces formant des images estampees a assembler soi-meme
USD506316S1 (en) Surface pattern for fabric
CN209769241U (zh) 样式可变幻的戒指
KR200171542Y1 (ko) 스톤 인 스톤
KR200322941Y1 (ko) 한 개로 두 개의 효과를 내는 반지
CN209769240U (zh) 一种可拆卸式显钻戒指
CN215737297U (zh) 一种新型镶口及应用镶口的戒指
CN107513873A (zh) 一种具有棱镜效果的图案产品及其加工方法
JP3217384U (ja) 身飾品用部品および身飾品
CN213045708U (zh) 一种装饰物可更换的戒指
CN210445938U (zh) 一种可转动的吊坠
KR20110004216U (ko) 회전 반지
KR200294175Y1 (ko) 다용도 태극 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