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880Y1 - A water supply system having an assembly style - Google Patents

A water supply system having an assembly sty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880Y1
KR200351880Y1 KR20-2004-0004951U KR20040004951U KR200351880Y1 KR 200351880 Y1 KR200351880 Y1 KR 200351880Y1 KR 20040004951 U KR20040004951 U KR 20040004951U KR 200351880 Y1 KR200351880 Y1 KR 200351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fountain
prefabricated
drip tray
body frame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9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천용
Original Assignee
우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천용 filed Critical 우천용
Priority to KR20-2004-0004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88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880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나 크기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의 상황에 가장 적절한 급수대를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급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ing founta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desired shape or size, to provide the most suitable drinking fountain in the situation of the site.

Description

조립식 급수대{A water supply system having an assembly style}A water supply system having an assembly style}

본 고안은 급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나 크기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의 상황에 가장 적절한 급수대를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급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ing founta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desired shape or size, to provide the most suitable drinking fountain in the situation of the site.

공공기관이나 학교 또는 각종 시설에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급수대는 통상적으로 시멘트등의 급수대 몸체에 급수라인 및 배수관을 매설하여서 된 것이 대부분이며, 또한 그 모양이나 크기는 정형화 되어 한번 설치되면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지의 변화되는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Most water tanks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in public institutions, schools or various facilities are usually made by embedding water supply lines and drain pipes in the body of cement fountains, and their shapes and sizes are standardized and cannot be changed once install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adequately respond to the changing situation of the local.

또한 시멘트등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아닌, 금속 또는 비금속의 재질을 이용하여 완성품을 제조하고 이를 원하는 곳에 설치하는 기성품형 급수대에 있어서도, 그 크기나 모양이 정형화되어 있으므로 설치장소의 구조나 특성에 적합하도록 유연하게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Also, in the ready-made water supply fountain where the finished product is manufactured by using metal or non-metal materials and installed in the desired place, instead of molding using cement, etc., the size and shape are standardized so that it is suitable for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ation pla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install flexibl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수대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설치시 현장의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는 급수대를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rinking fountain as described above,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drinking fountain that can be made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at the time of installa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된 급수대를 차후 원하는 다른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급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nking fountain which can be easily changed to another desired form in the futur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고급스러운 급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uxurious drinking fountain with a beautiful appearance.

이러한 목적은 서로 체결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is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도1a,1b,1c,1d 및 도1e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정면도,측면도,평면도 및 분해사시도.1a, 1b, 1c, 1d and 1e are perspective, front, side, top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2b,2c,2d 및 도2e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정면도,측면도,평면도 및 분해사시도.Figures 2a, 2b, 2c, 2d and 2e i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side view, a plan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a,3b,3c 및 도3d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정면도,측면도 및 평면도.3a, 3b, 3c and 3d are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4b 및 도4c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의 평면도,정면도 및 측면도.Figures 4a, 4b and 4c is a plan view, front view and side view of another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5b 및 도5c는 본 고안의 또다른 사용상태의 평면도,정면도 및 측면도.Figures 5a, 5b and 5c is a plan view, front view and side view of another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a,도7b,도7c는 본 고안의 또다른 변형예들의 사시도7A, 7B, and 7C are perspective views of still further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고안의 또다른 변형예의 설치 사시도Figure 8 is an installation perspective view of another varia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 symbol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몸체프레임 20: 물받이통10: body frame 20: drip tray

21: 거치대 22: 배수공21: holder 22: drain hole

30: 상부 마감판 40: 상부 구획벽30: upper closing plate 40: upper partition wall

50: 외벽판넬 60: 하부판넬50: outer wall panel 60: lower panel

도1a 내지 도2e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1A to 2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체프레임(10)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물받이통(20)과, 상기 물받이통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마감판(30)과,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외부에 체결되는 다수의 외벽판넬(5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다수개가 서로 조립되어 다양한 형태의 급수대를 만들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space formed therein the body frame 10, the drip tray 2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ody frame, and the upper closing plat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rip tray ( 30) an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outer wall panel 50 is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frame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is assembled to each other to create a variety of water supply.

상기 물받이통(20)의 상부 일측에 급수대를 수평적으로 구획하는 상부 구획벽(40)을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구획벽은 설치하지 않을 수 도 있다.It can be installed by fastening the upper partition wall 40 for horizontally partitioning the drinking fountain on the upper one side of the drip tray (20). Of course, the upper partition wall may not be installed.

상기 몸체프레임(10)은 다수개가 서로 체결되기에 적합하도록 육면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며, 사방은 통개되어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급수대를 다수개 서로 연결할때 다수의 몸체프레임(10)들 간의 배관들의 연결이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frame 10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pieces are suitable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and all four sides are opened so that a plurality of body frames 10 are connected when a plurality of drinking fountai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more desirable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or installation of the pipes.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10)의 하부에는 상기 외벽판넬(50)의 하측에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다수의 하부판넬(60)이 설치되도록 하여 사용시에 파손등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wer panels 60 made of extruded aluminum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wall panel 50 so as to withstand breakage during use.

상기 물받이통(20)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대(21)로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통의 바닥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배수공(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dge of the trough 20 is formed with a cradle 21 to be suppor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frame 10, the bottom of the trough is formed with a drain hole 22 to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It is desirable to.

상기 거치대(21)의 하면이 상기 몸체프레임(10)의 상단부의 가장자리 상면에접하여 지지되어 안정되게 설치되게 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21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frame 10 is to be installed stably.

상기 상부 마감판(30)은 그 가장자리 저면이 상기 물받이통의 거치대(21) 상면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그 안쪽에는 상기 물받이통(20)으로 통하는 개구부(3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31)에는 오물걸림 및 물의 비산방지를 위한 철망(35)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upper closing plate 30 is installed so that the bottom of the edge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21 of the drip tray, the opening 31 to the inside of the drip tray 20 is formed.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wire net 31 is installed in the opening 31 to prevent seizure and scattering of water.

상기 상부 구획벽(40)은 그 하단이 상기 물받이통(20)의 거치대(21) 일측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하방으로 통개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수도꼭지(3)가 설치될 수 있는 급수관 연결공(4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partition wall 40 is installed at its lower end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cradle 21 of the drip tray 20, is opened downward to form an empty space therein, the faucet 3 is installed on one side It is preferable to form a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hole 41 that can be.

상기 급수관 연결공(41)은 상부 구획벽(40)의 전면에 형성될 수 도 있으나, 도8에서와 같이 상부 구획벽(4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 설치형의 수도꼭지의 설치에 적합하도록 할 수 도 있으며, 이는 선택적으로 체택될 수 있을 것이다.The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hole 41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upper partition wall 40, but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ition wall 40 as shown in Figure 8 to be suitabl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faucet of the upper installation type. It may also be optionally selected.

상기 상부 구획벽(40)의 내부공간은 그 하부의 몸체프레임의 내부와 연통되어 급수배관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된다.The inner space of the upper partition wall 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lower body frame is a space where water supply pipes and the like can be install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받이통(20)의 거치대(21) 일측에도 상기 상부 구획벽 내부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결되는 급수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배관용 통공(23)을 형성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one side of the holder 21 of the drip tray 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upper partition wall to form a through hole 23 through which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downward may pass.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 구획벽(40)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는 상기 상부 마감판(30)의 일측에 급수관 연결공을 형성하여 수도꼭지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partition wall 40 is no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faucet may be installed by forming a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hole at one side of the upper closing plate 30.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경우는 한쪽에서 급수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급수대를 앞뒤로 서로 마주하여 붙여서 설치할 경우는 양쪽에서 급수대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it has a structure suitable for using water supply from one side, and when the water supply fountains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back and forth, the water supply fountains can be used on both sides.

도2a 내지 도2e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그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단지 물받이통(20)에 있어서 그 형태를 변형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물받이통(20)은 전후의 두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마감판(30)은 전후의 두개가 앞쪽과 뒷쪽에 각각 설치되되 그 사이에 상기 상부 구획벽(40)이 설치되어 급수대를 전후로 양분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2a to 2e are view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hape of the drip tray 20 is modified.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p tray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and rear two, and the upper closing plate 30, the front and rear two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but the upper partition wall 40 therebetween. ) Is installed to divide the drinking fountain back and forth.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급수대를 2개 서로 마주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것을 아예 하나의 급수대로서 형성한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water supply fountains of the first embodiment should b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as one water supply fountain.

이상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삼기 몸체프레임과 물받이통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 상기 상부 마감판은 화강석 또는 대리석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벽판넬은 방수 및 방부처리된 목재 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body frame and the sump container are made of stainless steel, and the upper finish plate is preferably formed of granite or marble, and the outer wall panel is formed of waterproof and antiseptic wood or metal or synthetic resin. can do.

상기 상부 마감판은 화강석이나 대리석 외에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는 여러가지 재료로 성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인조석등을 이용할 수 도 있을 것이다.The upper finish plate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that can give a luxurious feeling in addition to granite or marble, artificial stone, etc. may be used.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도3a 내지 도5c에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급수대를 이룰 수 있게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water supply fountains as shown in Figures 3a to 5c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each other.

즉, 전후좌우의 방향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으로 길거나 짧게, 또는 ㄷ자 형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설치 장소의 상황에 가장 적절한 모양을 갖도록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된다.In other words, it can be us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shapes such as long, short, or c-shaped to one side, and in addition, it can be connected and installed to have the most appropriate shape for the situa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

도6은 본 고안의 변형예의 예시도로서,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부구획벽을 호형으로 형성하여 부드러운 곡선미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to form an upper partition wall in an arc shape to produce a smooth curve beauty.

도7a 내지 도7c는 본 고안의 또다른 변형예로서, 본 예는 상기 각각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면부에 상기 외벽판넬(50)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장애인용 손잡이(70)가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7a to 7c show yet another varia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handle 70 for the handicapped is installed to protrude out of the outer wall panel 50 at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frame.

상기와 같이 장애인용 손잡이(70)를 일측에 형성함으로써, 장애인들도 급수대를 이용함에 불편이 없도록 할 수 있다.By forming the handle 70 for the disabled on one si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people with disabilities even when using the drinking fountain.

이상의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그 전체적인 크기는 상기 도3a 내지 도5c에서와 같이 높고 낮은 2가지의 유형(물론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급수대를 형성할 수 도 있다)을 취하여, 다수개가 전체적으로 조립되었을경우에 중앙부는 다소 높고 주변부는 다소 낮게 하여 전체적으로 안정감과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와 같이 하면 각 개인별 신장에 가장 적합한 곳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점 또한 갖게된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size is taken as two types of high and low (of course, to form a drinking fountain having three or more different heights), as shown in Figures 3a to 5c In the case where a large number of them are assembled as a whole, it is desirable that the center part is somewhat high and the peripheral part is slightly low to give a sense of stability and three-dimensional feeling as a whole. In this way,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nd use the most suitable place for each individual height. do.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개를 서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장소의 상황에 맞는 가장 적절한 형태를 이룰 수 있게되어, 급수대 설치의 탄력성과 유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form a variety of forms by connecting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most appropriate form for the situation of the installation place, to maximize the elasticity and flexibility of the water fountain installation do.

또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다수개의 연결이 용이하여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우수한 내구성과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but a large number of connections are easy to install, very convenient, providing excellent durability and beautiful appearance.

또한 본 고안은 장애인용 손잡이가 설치되어 장애인들이 불편없이 급수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installed so that the handicapped people can use the drinking fountain without inconvenience.

Claims (10)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물받이통과, 상기 물받이통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마감판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외부에 체결되는 다수의 외벽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다수개가 서로 조립되어 다양한 형태의 급수대를 만들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급수대.It comprises a body fram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a drip tra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an upper closing plat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rip tray, and a plurality of outer wall panels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frame Thus,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sembled to each other to make a variety of types of drinking founta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물받이통의 상부 일측에 체결되어 급수대를 수평적으로 구획하는 상부 구획벽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급수대.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partition wall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reservoir and partitions the drinking fountain horizontall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몸체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외벽판넬의 하측에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다수의 하부판넬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급수대.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is installed a plurality of lower panels made of aluminum extrusion material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wall pane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물받이통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대로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통의 바닥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급수대.The upper edge of the drip tray is formed as a cradle so that it can be suppor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frame, the bottom of the drip tray is a 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hole is formed so that the drain pipe can be connecte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상부 마감판은 그 가장자리 저면이 상기 물받이통의 거치대 상면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그 안쪽에는 상기 물받이통으로 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에는 오물걸림 및 물의 비산방지를 위한 철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급수대.The upper closing plate is installed, the bottom of the edge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of the drip tray,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drip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mesh is installed in the opening for preventing sewage and splashing of water 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물받이통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대로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통의 바닥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구획벽은 그 하단이 상기 물받이통의 거치대 일측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하방으로 통개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수도꼭지가 설치될 수 있는 급수관 연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급수대.The upper edge of the water reservoir is formed with a cradle so that it can be suppor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frame, the bottom of the water reservoir is formed with a drain hole so that the drain pipe can be connected; The upper partition wall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lder of the drip tray, the opening is opened downwards to form an empty space therein, 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is a faucet can be installed .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상부 구획벽은 그 하단이 상기 물받이통의 거치대 일측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하방으로 통개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수도꼭지가 설치될 수 있는 급수관 연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급수대.The upper partition wall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lder of the drip tray, the opening is opened downwards to form an empty space therein, 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is a faucet can be installed .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물받이통은 전후의 두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마감판은 전후의 두개가 앞쪽과 뒷쪽에 각각 설치되되 그 사이에 상기 상부 구획벽이 설치되어 급수대를 전후로 양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급수대.The drip tray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and rear two, the upper clos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front and rear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the upper partition wall is installed between them to divide the water tank before and after. 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몸체프레임과 물받이통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마감판은 화강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급수대.The body frame and the sump container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the upper finishing plate is 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grani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면부에는 상기 외벽판넬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장애인용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급수대.Prefabricated drinking fount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handle of the body frame is provided with a handle for the disabled so as to protrude out of the outer wall panel.
KR20-2004-0004951U 2004-02-25 2004-02-25 A water supply system having an assembly style KR20035188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51U KR200351880Y1 (en) 2004-02-25 2004-02-25 A water supply system having an assembly sty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51U KR200351880Y1 (en) 2004-02-25 2004-02-25 A water supply system having an assembly sty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565A Division KR100470319B1 (en) 2004-02-25 2004-02-25 A water supply system having an assembly sty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880Y1 true KR200351880Y1 (en) 2004-06-01

Family

ID=4943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951U KR200351880Y1 (en) 2004-02-25 2004-02-25 A water supply system having an assembly sty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88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8858A (en) Ablution or toilet compartment
US20080127409A1 (en) Configurable Shower System
KR101709663B1 (en) Under wardrobe of one united bathroom wash bawl
KR100470319B1 (en) A water supply system having an assembly style
KR200351880Y1 (en) A water supply system having an assembly style
WO2012069682A1 (en) Sink
US8347428B2 (en) Portable bathroom and kitchen fixture display
GB2266735A (en) Sanitary module
US5855029A (en) Compact water-saving modular bathroom fixture
CN211534150U (en) Cabinet body type hand washing sink
KR200381041Y1 (en) Partition have a water tank
CN210902155U (en) Bathroom combination cabinet
CN214833226U (en) High-end hotel toilet system
NZ542186A (en) A modular bathroom
CN106170597B (en) The toilet of low water consumption or not water consumption, toilet component, lavatory and associated method
US8789767B2 (en) Indoor water fixture
CN217537187U (en) Wash basin structure
JP2000037149A (en) Goldfish basin apparatus of hanging-up-on-wall style
JP2547277B2 (en) Handwasher unit
JPH05512Y2 (en)
JP3042438U (en) Disinfectant storage tank attached to flush toilet bowl for men
CN112982606A (en) High-end hotel toilet system
ES2319136B2 (en) ADAPTABLE AND PERFECTABLE MODULAR SYSTEM FOR THE CONSTRUCTION OF BATHROOMS.
CA3179415A1 (en) Nestable and drainable shower niche insert system
JPH08256926A (en) Wash counter and wash stand placing the same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