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273Y1 - 상,하단부에 절곡용 주름부를 구성한 빨대(스토롱) - Google Patents

상,하단부에 절곡용 주름부를 구성한 빨대(스토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273Y1
KR200351273Y1 KR20-2004-0004405U KR20040004405U KR200351273Y1 KR 200351273 Y1 KR200351273 Y1 KR 200351273Y1 KR 20040004405 U KR20040004405 U KR 20040004405U KR 200351273 Y1 KR200351273 Y1 KR 200351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nding
bottle
contents
lower e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삼
백인국
Original Assignee
최정삼
백인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삼, 백인국 filed Critical 최정삼
Priority to KR20-2004-0004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병(6)이나 캔(7)의 주입부로 주입시켜서 내용물을 빨아마시는 빨대(1)의 선단부(2)의 일단에 자바라형 꾸부림용 주름부(4)를 형성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병(6)이나 캔(7)의 내부에 밀폐 장치시, 하단부의 절곡 꾸부림이 용이하도록 상기 빨대의 하단부(3) 위치에도 꾸부림 절곡용 하단주름부(5)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상,하단부에 절곡용 주름부를 구성한 빨대.

Description

상,하단부에 절곡용 주름부를 구성한 빨대(스토롱){omitted}
본고안은 각종 병이나 깡통(캔)등의 내용물을 빨아서 마실 때 사용하거나 병이나 캔등의 내부에 수장 밀봉하여 뚜껑을 열거나 따고 수장된 빨대가 자체 탄력으로 상승이 용이하게 하면서, 길이가 길어도 내부 저면 주연에 하단부가 닿게하여 내용물을 잔여분이 없도록 마실수 있도록 개량한 상하단부에 절곡용(꾸부림용) 주름부를 구성한 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형상과 모양을 갖추고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된 빨대가 상단 또는 하단부 일측에만 절곡, 꾸부림용 주름부(자바라부)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병이나 캔을 따고 빨대를 꽂아서 마시기에는 용이 하였으나, 본원 출원인등이 선행출원한 밀폐하는 병이나 캔에 수장하는 빨대에는 하단부를 꾸부려서 절곡할수 없기 때문에 저면 밑바닥 잔여분의 음료를 완전히 마시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상단 또는 하단 일측에만 절곡용 주름부를 구성한 것을 개량하여 밀폐하는 병이나 캔의 내부에 상단외에 하단부도 꾸부려서 절곡하여 내장케하여 뚜껑을 따거나 열어서, 빨대로 내용물을 마실때 잔여분없이 마실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 양측에 주름부를 구성하여 절곡 꾸부릴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고안의 빨대를 병에 사용하는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고안의 빨대를 캔에 사용하는 상태의 예시도
병(6)이나 캔(7)의 주입부로 주입시켜서 내용물을 빨아마시는 빨대(1) 선단부(2) 일단에 자바라형 꾸부림용 주름부(4)를 형성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병(6)이나 캔(7)의 내부저면에 밀폐 내장시, 하단부의 절곡 꾸부림이 용이 하도록 하단부(3) 위치에도 꾸부림 절곡용 하단주름부(5)를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빨대(1)의 선단부(2) 아래에 주름부(4)를 구성한 것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상기 빨대의 경우에는 단순히 용기에 담긴 음료를 마실때는 별 어려움이 없으나, 도2. 도3과 같이 병(6)이나 캔(7)등의 내부에 내용물과 함께 내장할 경우에는 내장하는 빨대(1)의 길이가 길어야만 하고, 길어진 빨대(1)의 길이를 한정된 높이의 병(6)이나 캔(7)에 수장 밀폐시켜서 개방판을 개방시 빨대(1)가 주름부의 탄력에 의해 솟구치는 탄성을 얻고, 저면 밑바닥의 잔여 내용물을 완전히 다 마시기 위해서는 상기 빨대의 길이가 길어야하며, 길어진 빨대(1)를 수장하기 위해서는 하단부(3)에도 반드시 주름부(5)를 구성하여야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즉, 선단부(2)에 주름부(4)를 구성한 통상의 것에 하단부(3)에도 주름부(5)를 구성한다는 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단순 구성으로 보일수 있으나, 밀폐 용기속에 내장하는 빨대의 경우에는 극히 효용적인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은 병, 캔등 용기내에 내장, 밀폐하였다가, 뚜껑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마실 경우에는 빨대가 탄력에 의해 배출구로 상승, 돌출하여 입에 물기가 용이하고 용기 저면 바닥의 잔여분의 음료수까지 마실 수 있는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1)

  1. 병(6)이나 캔(7)의 주입부로 주입시켜서 내용물을 빨아 마시는 빨대(1)의 선단부(2) 일단에 자바라형 꾸부림용 주름부(4)를 형성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병(6)이나 캔(7)의 내부에 밀폐 장치시, 하단부의 절곡 꾸부림이 용이 하도록 상기 빨대의 하단부(3) 위치에도 꾸부림 절곡용 하단 주름부(5)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상,하단부에 절곡용 주름부를 구성한 빨대.
KR20-2004-0004405U 2004-02-16 2004-02-16 상,하단부에 절곡용 주름부를 구성한 빨대(스토롱) KR200351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405U KR200351273Y1 (ko) 2004-02-16 2004-02-16 상,하단부에 절곡용 주름부를 구성한 빨대(스토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405U KR200351273Y1 (ko) 2004-02-16 2004-02-16 상,하단부에 절곡용 주름부를 구성한 빨대(스토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273Y1 true KR200351273Y1 (ko) 2004-05-20

Family

ID=4943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405U KR200351273Y1 (ko) 2004-02-16 2004-02-16 상,하단부에 절곡용 주름부를 구성한 빨대(스토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2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8153T3 (es) Recipiente provisto de una bolsa interior
US20090179036A1 (en) Hermetically Sealed Liquid-Containing Bag With Welded-In Drinking or Dispensing Spout
US7392916B1 (en) Retractable straw for drinking containers
MX2011000916A (es) Tapon resellable para contenedor de bebida plegable.
KR100616705B1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US20080073415A1 (en) Cap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KR200351273Y1 (ko) 상,하단부에 절곡용 주름부를 구성한 빨대(스토롱)
WO2004094242A3 (en) Universal box top lid
KR200223746Y1 (ko) 접히는 페트병
US20080067181A1 (en) Opening and suction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KR200301597Y1 (ko) 내부에 컵을 구성한 병뚜껑
KR200381445Y1 (ko) 음료유도부재가 내장된 음료용 캔
KR200355803Y1 (ko) 뚜껑 개방과 동시에 빨대가 돌출되게한 음료수용 병
KR200177873Y1 (ko) 스트로 개봉구조를 가진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
KR200351677Y1 (ko) 빨대 상단에 돌출부를 돌출 수용케한 음료수용 병
TW202017513A (zh) 紙杯體具有一體出水吸管道之結構
KR910005390Y1 (ko) 음료수 용기
KR20010078978A (ko) 접철부가 구성된 용기
KR200318417Y1 (ko) 일회용 컵
KR200348268Y1 (ko)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RU45130U1 (ru) Крышка для укупорки емкостей с напитками
JP3042847U (ja) 紙製蓋材
KR200344997Y1 (ko) 빨대를 내장한 음료수용 병
JPH079795Y2 (ja) ストロー付き液体容器
KR200209066Y1 (ko) 볼록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