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545Y1 -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 Google Patents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545Y1
KR200350545Y1 KR20-2004-0004141U KR20040004141U KR200350545Y1 KR 200350545 Y1 KR200350545 Y1 KR 200350545Y1 KR 20040004141 U KR20040004141 U KR 20040004141U KR 200350545 Y1 KR200350545 Y1 KR 200350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luminaire
body portion
hole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우
Original Assignee
유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우 filed Critical 유태우
Priority to KR20-2004-0004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5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등과 같은 등기구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선을 등기구의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에 있어서 관통공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인 제 1 단부와 나머지 일단부인 제 2 단부에 외주를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고, 제 1 단부가 관통공에 결착 고정되는 바디부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형상을 이루며, 바디부의 제 2 단부의 내부에 후단부가 삽입 장착되고 전단부가 노출되는 제 1 패킹, 그리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의 내부로 나사홈이 형성되어 바디부의 제 2 단부에 결착되고, 나머지 일단부의 개방된 영역이 제 1 패킹의 노출된 전단부의 단면보다 작은 캡을 구비하고, 제 1 패킹의 후단부의 외주를 따라, 제 1 패킹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주름을 다수개 구비하고, 바디부의 제 2 단부의 내부 측면으로 제 1 주름과 대칭되어 형성된 제 2 주름을 다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WATER TIGHT GASKET FOR ELECTRIC WIRE OF LIGHT APPARATUS}
본 고안은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가로등과 같은 등기구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선을 등기구의 하우징에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과 같은 등기구는 전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등기구의 설치시 이러한 전선들은 등기구의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그러나, 등기구의 설치 후에 관통공과 전선 사이에 생기는 틈으로 빗물 등이 등기구 내부로 스며들게 되고 이는 등기구의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통공과 인출되는 전선에 결합되어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개스킷이 사용되었다.
도 1a는 종래의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의 사용상태도이다. 특히, 도 1b는 종래의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10)을 등기구의 하우징(40)에 결합한 모습을 하우징의 내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우징(40)은 일부 영역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10)은, 일단부인 제 1 단부는 하우징(40)의 관통공에 결착되며 나머지 일단부인 제 2 단부에는 캡(16)이 씌워지고 전선(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좌우 관통 형성되는 바디부(12), 바디부의 제 2 단부 내부에 삽입되어 전선(20)과 제 2 단부의 내부 측면벽 사이에 밀착되는 패킹(14) 및 바디부의 제 2 단부에 씌워지며 좌우가 관통 형성된 캡(16)으로 이루어지고, 바디부(12)와 캡(16)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고 패킹(14)으로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를 사용하였다.
또한, 바디부(12)의 제 1 단부로는 하우징(40)의 관통공에 형성된 나사홈과 맞물려 결착될 수 있도록 나사홈(12a)이 형성되었으며, 바디부의 제 2 단부와 캡 (16)의 내부로는 상호 맞물릴 수 있도록 나사홈(12b, 16a)이 형성되었다.
한편, 바디부(12)의 제 2 단부는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세그먼트(13)로 분할 형성되고 각 세그먼트 간에 다소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캡(16)을 씌운 후 조일수록 각 세그먼트 사이의 공간이 점차 줄어들어 각 세그먼트가 상호 밀착하게 되어 바디부(12), 패킹(14) 및 전선(20)을 상호 밀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선(20)의 굵기에 따라 제 2 단부의 직경을 조절 및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굵기의 전선을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각 세그먼트(13)가 캡(16)에 의해 비틀리면서 조여지므로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불규칙하게 조여지게 되고, 이로 인해 내부의 패킹(14) 또한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심지어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전선(20)과 패킹 사이에 틈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전선과 패킹 사이의 틈으로 물이 스며들게 되어 방수효과가 절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선(20)과 패킹(14)을 보다 밀착시키기 위하여 캡(16)을 과도하게 조일 경우 캡이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바디부(12)의 제 1 단부와 하우징(40)의 관통공이 나사홈에 의해 결착한다 하더라도 그 틈으로 물이 스며드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나사홈 사이의 마모가 발생할수록 심화되어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과 등기구 하우징의 관통공 사이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전선을 고정시킴에 있어 패킹의 전면을 균일하게 조여줌으로써 바디부, 패킹 및 전선 간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나사홈의 마모를 줄이고 전선의 고정시 캡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의 사용상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전선 30 :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32 : 바디부 34 : 제 1 패킹
36 : 캡 38 : 고정링
40 : 등기구 하우징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은, 등기구의 내부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선을 등기구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에 있어서, 관통공과 전선 사이의 방수를 위해 장착되는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으로서,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인 제 1 단부와 나머지 일단부인 제 2 단부에 외주를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고, 제 1 단부가 관통공에 결착 고정되는 바디부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형상을 이루며, 바디부의 제 2 단부의 내부에 후단부가 삽입 장착되고 전단부가 노출되는 제 1 패킹, 그리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의 내부로 나사홈이 형성되어 바디부의 제 2 단부에 결착되고, 나머지 일단부의 개방된 영역이 제 1 패킹의 노출된 전단부의 단면보다 작은 캡을 구비하고, 제 1 패킹의 후단부의 외주를 따라, 제 1 패킹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주름을 다수개 구비하고, 바디부의 제 2 단부의 내부 측면으로 제 1 주름과 대칭되어 형성된 제 2 주름을 다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디부가 제 2 단부의 내부 측면 중 제 1 주름의 내측으로 소정 크기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더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은 바디부의 제 1 단부에 장착되는 제 2 패킹과, 관통공에 결착되어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는 바디부의 제 1 단부에 결착하는 고정링을 더 구비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의 사용상태도이다. 특히,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30)을 등기구의 하우징(40)에 결합한 모습을 하우징의 외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우징(40)은 일부 영역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30)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된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제 1 단부)가 등기구의 하우징(40)에 형성된 관통공에 결착되는 바디부(32), 바디부의 나머지 일단부(제 2 단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내부가 관통 형성된 통 형상을 이루는 제 1 패킹(34) 및 제 1 패킹이 끼워진 바디부의 제 2 단부에 결착되며 내부가 관통 형성된 캡(36)을 구비한다. 따라서, 관통공으로 인출된 전선(20)은 바디부(32)의 제 1 단부로 인입되어 제 1 패킹(34)과 캡(36)을 통해 인출 및 고정되게 된다. 한편, 바디부(32)의 제 1 단부에 결착되는 고정링(38)은 선택적 구성부로서, 바디부의 제 1 단부를 관통공에 결착한 후 관통공 내부로 삽입된 바디부의 제 1 단부에 고정링(38)을 결착시키게 된다. 고정링(38)은 하우징 (40)의 내부에서 바디부(32)에 결착되게 되며, 이를 위해 내부 측면으로는 나사홈 (38a)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바디부를 하우징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바디부(32), 캡(36) 및 고정링(38)은 마모를 줄이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부(32)의 제 1 단부에는 관통공에 형성된 나사홈과 맞물려 결착될 수 있도록 제 1 나사홈(32a)을 형성하도록 하며, 제 2 단부 역시 캡(36)의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홈(36a)과 맞물려 캡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제 2 나사홈(32b)을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바디부의 제 1 단부에는 끼워져 바디부와 관통공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제 2 패킹(33)이 장착되는데, 제 2 패킹은 바디부(32)의 제 1 단부 중 제 1 나사홈(32a)의 내측에 장착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나사홈(32a)과 제 2 나사홈(32b) 사이에 바디부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의 배면으로 제 2 패킹(33)을 장착하도록 한다. 제 2 패킹(33)은 관통공의 나사홈에 제 1 나사홈(32a)을 결착시켜 바디부(32)를 고정할 때 바디부와 하우징 사이에 밀착됨으로써, 바디부와 하우징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해준다. 제 2 패킹(33)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를 사용하도록 한다.
제 1 패킹(34)은 바디부(32)의 제 2 단부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로는 전선 (20)이 삽입되며, 바디부의 제 2 단부 측면벽과 전선 사이에 밀착되어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 1 패킹(34) 역시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패킹(34)은 일부 영역(후단부)이 바디부의 제 2 단부에 삽입 장착되는데, 제 2 단부의 내부로는 제 1 패킹의 삽입되는 후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턱(미도시)을 구비하도록 한다.
한편, 제 1 패킹(34) 중 상기 삽입되는 후단부의 일부 영역으로는 제 1 패킹의 외주를 따라 세로방향, 즉 제 1 패킹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의 제 1 주름(34a)이 형성된다. 또한, 바디부(32)의 제 2 단부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의 전방에 제 1 패킹의 제 1 주름(34a)과 대칭하는 제 2 주름(32c)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바디부(32)의 제 2 단부에 제 1 패킹(34)을 끼우게 되면 제 1 주름(34a)과 제 2 주름(32c)이 서로 맞물리고 밀착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므로 제 1 패킹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바디부(32)와 제 1 패킹(34)에 전선(20)을 끼운 후 캡(36)을 바디부의 제 2 단부에 끼워 조이게 되면, 캡에 의해 제 1 패킹(34)의 노출된 전단부가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패킹(34) 전체가 눌리게 되는데, 제 1 패킹의 후단부는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므로 결국 제 1 패킹은 탄성재의 특성상 횡방향으로 팽창하게된다. 따라서, 제 1 패킹(34)은 삽입된 전선(20)에 더욱 밀착하게 되며 제 1 주름(34a) 또한 제 2 주름(32c)에 더욱 밀착하게 된다. 또한, 제 1 주름(34a)에 의해 제 1 패킹(34)은 전면이 균일하게 팽창하여 전선(20)과 바디부(32)의 제 2 단부 사이에 밀착하게 되므로, 바디부, 제 1 패킹 및 전선 사이의 틈을 완전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방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전선(20)의 굵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종류의 전선에 방수개스킷(3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주름 (34a)은 제 1 패킹(34)의 탄성력을 높이게 되므로 전선(20)의 분리를 위해 캡(36)을 풀게 되면 제 1 패킹(34)은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을 이용하여 전선(20)을 인출 및 고정하기 위하여는, 먼저 등기구의 관통공을 통해 전선을 인출한 후 바디부(32)의 제 1 단부로 전선을 집어넣고 제 2 단부에 장착된 제 1 패킹(34)을 통과하여 빼낸다. 이때, 바디부(32)의 제 1 단부에는 제 2 패킹(33)이 장착된다. 다음으로, 바디부(32)의 제 1 나사홈(32a)을 관통공의 나사홈에 맞물려 조임으로써 바디부를 고정한다. 이때, 하우징(40)의 내부로 삽입된 제 1 단부의 제 1 나사홈(32a)에 고정링(38)을 결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전선(20)을 캡(36)에 끼운 후 캡의 나사홈(36a)과 바디부 제 2 단부의 제 2 나사홈(32b)을 서로 맞물려 조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캡을 조이게 되면 캡에 의해 제 1 패킹(34)이 눌려 횡방향으로 팽창되므로 바디부의 제 2 단부와 전선 사이에 완전 밀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은 전선과 하우징 사이를 완전 밀폐시켜 방수효과를 극대화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수킷은,
첫째로, 바디부의 제 2 단부에 삽입되는 제 1 패킹이 캡에 의해 눌리면서 횡방향으로 팽창하면서 전선과 제 2 단부에 완전 밀착될 뿐만 아니라, 제 1 패킹의 후단부에 세로 방향의 제 1 주름을 다수 형성함으로써 제 1 패킹이 원형을 유지하면서 전면이 균일하게 전선과 바디부의 제 2 단부에 밀착하게 되므로 방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둘째로, 바디부의 제 2 단부 내부 측면으로 제 1 패킹의 제 1 주름과 대칭되는 제 2 주름을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제 1 주름과 제 2 주름이 서로 맞물려 제 1 패킹의 밀착력을 높임과 동시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제 1 패킹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로, 바디부의 제 1 단부에 제 2 패킹을 장착하여 바디부와 하우징 사이를 밀폐시키므로 관통공의 나사홈과 바디부의 제 1 나사홈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넷째로, 관통공에 결착되면서 등기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바디부의 제 1 단부를 고정링으로 조여줌으로써 바디부를 하우징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바디부, 캡 및 고정링을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나사홈 간의 마찰로 인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4)

  1. 등기구의 내부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선을 상기 등기구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과 상기 전선 사이의 방수를 위해 장착되는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으로서,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인 제 1 단부와 나머지 일단부인 제 2 단부에 외주를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부가 상기 관통공에 결착 고정되는 바디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디부의 제 2 단부의 내부에 후단부가 삽입 장착되고 전단부가 노출되는 제 1 패킹; 및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의 내부로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제 2 단부에 결착되고, 나머지 일단부의 개방된 영역이 상기 제 1 패킹의 노출된 전단부의 단면보다 작은 캡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패킹의 상기 후단부의 외주를 따라, 상기 제 1 패킹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주름을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바디부의 제 2 단부의 내부 측면으로 상기 제 1 주름과 대칭되어 형성된 제 2 주름을 다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 2 단부의 내부 측면 중 상기 제 1 주름의 내측으로 소정 크기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이,
    상기 바디부의 제 1 단부에 장착되는 제 2 패킹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이,
    상기 관통공에 결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는 상기 바디부의 제 1 단부에 결착하는 고정링을 더 구비하는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KR20-2004-0004141U 2004-02-18 2004-02-18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KR200350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41U KR200350545Y1 (ko) 2004-02-18 2004-02-18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41U KR200350545Y1 (ko) 2004-02-18 2004-02-18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545Y1 true KR200350545Y1 (ko) 2004-05-17

Family

ID=4934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141U KR200350545Y1 (ko) 2004-02-18 2004-02-18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54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40B1 (ko) * 2006-07-11 2008-01-11 류지영 가로등
KR100869758B1 (ko) * 2007-05-16 2008-11-21 김명애 자동차 카메라의 케이블 방수방법
KR100917998B1 (ko) 2007-11-12 2009-09-18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등기구용 연결구
KR200468163Y1 (ko) 2012-02-22 2013-07-26 (주)플로우테크 엘이디 램프용 컨버터의 방수 케이스
KR101608032B1 (ko) 2014-04-02 2016-04-01 삼신정공(주) Led모듈의 회전이 가능한 소켓타입 led 조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40B1 (ko) * 2006-07-11 2008-01-11 류지영 가로등
KR100869758B1 (ko) * 2007-05-16 2008-11-21 김명애 자동차 카메라의 케이블 방수방법
KR100917998B1 (ko) 2007-11-12 2009-09-18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등기구용 연결구
KR200468163Y1 (ko) 2012-02-22 2013-07-26 (주)플로우테크 엘이디 램프용 컨버터의 방수 케이스
KR101608032B1 (ko) 2014-04-02 2016-04-01 삼신정공(주) Led모듈의 회전이 가능한 소켓타입 led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8392B2 (en) Outdoor lamp holder and outdoor lamp string using same
KR200350545Y1 (ko) 등기구용 전선 방수개스킷
US4891470A (en) Screw-type cable fitting
JP2008010374A (ja) 照明器具
TW200603202A (en) Halogen incandescent lamp
KR101781596B1 (ko)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CN102563587A (zh) 灯具密封结构及灯具
KR100599663B1 (ko) 조명등 케이스의 밀폐장치
KR200414808Y1 (ko) 조명등 케이스의 밀폐장치
KR100953253B1 (ko) 가로등주용 방수캡
JP3982117B2 (ja) 防水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KR100463452B1 (ko) 드럼 세탁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도어구조
KR200296553Y1 (ko) 광케이블 보호관의 맨홀인입용 고정구
KR200361439Y1 (ko) 조명등의 커버 결합구조
US6991348B2 (en) Light cover with double railed sealing edge
CN220623975U (zh) 一种电缆防水连接结构及照明灯具
KR101710790B1 (ko) 방수능력을 향상시킨 실외용 조명기구
CN220366388U (zh) 防拉防水接头、驱动电源及照明灯具
CN212776913U (zh) 一种新型家用节能灯
JP3239071U (ja) 多重の気密性、防水性及び耐引張性を有するケーブル及び波形管の固定ヘッド
CN203771315U (zh) 一种安装便捷的吸顶灯密封外壳
KR200313750Y1 (ko) 용기 및 마개
US11739927B2 (en) Lamp unit for outdoor use
CN210567855U (zh) 一种新型壁灯
CN218914738U (zh) 一种便于组装的防水洗墙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