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233Y1 - 염색제 혼합용구 - Google Patents

염색제 혼합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233Y1
KR200350233Y1 KR20-2004-0000583U KR20040000583U KR200350233Y1 KR 200350233 Y1 KR200350233 Y1 KR 200350233Y1 KR 20040000583 U KR20040000583 U KR 20040000583U KR 200350233 Y1 KR200350233 Y1 KR 200350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dye
rotat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열택
Original Assignee
임열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열택 filed Critical 임열택
Priority to KR20-2004-0000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2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2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염색제 혼합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 편의성 및 재사용성이 우수한 염색제 혼합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1염색제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111)과 제2염색제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121)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혼합어셈블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제1수용공간(111)과 상기 제2수용공간(121)이 상호 소통 가능하게 소통로(125)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어셈블리(20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220)와, 상기 회전체(220)와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하 운동을 하여 상기 소통로(125)에 이탈/밀착되어 상기 소통로(125)를 개폐하는 상하운동체(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염색제 혼합용구{DEVICE FOR MIXING A HAIRDYE}
본 고안은 염색제 혼합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 편의성 및 재사용성이 우수한 염색제 혼합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발의 염색을 위해서는 제1염색제인 염모제와 제2염색제인 산화제를 혼합 사용하게 된다. 염모제는 백모용을 비롯하여 다양한 헤어칼라의 염색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색상을 갖는다.
이들 염모제 및 산화제는, 종래에는 별도의 용기에 각각 보관되고, 염색시 일정량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염모제와 산화제를 각각의 용기에 분리 저장하고 보관해야 하는 취급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시, 각각의 용기에 담겨 있는 염모제와 산화제를 별도의 혼합용기에 부어 일일이 혼합시킨 다음 빗과 같은 염색 도구를 이용하여 염색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염색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염색을 위한 준비시간이 그만큼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염모제와 산화제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 인하여, 염색제가 적정의 혼합 비율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염색제 혼합용구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87756호, 공개특허 제1989-3327호, 등록실용신안 제284551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151736호와 미국 특허 제6,655,551호 등이 그것들이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1998-87756호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별도의 용기에 각각 저장된 염색제들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으며, 공개특허 제1989-3327호는 모발 염색제에 사용되기에는 적절치 못한 한계를 가졌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84551호 및 제151736호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염모제와 산화제를 혼합한 다음 혼합된 염색제를 역시 별도의 혼합용 용기에 담은 후, 별도의 빗 등의 용구에 묻혀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들 역시 별도의 용기를 필요로 하고, 사용 편의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염색제 혼합용구는 일반인들이 가정에서 1회용으로 사용하거나, 1회용이 아니더라도 무수히 많은 사용을 보장할 필요까지는 없다. 이는 염색제 혼합용구가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그 생산 단가가 증가된다면, 이는 염색제 혼합용구로서 유용성을 상실함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일반인들이 가정에서 손수 염색하는 회수 자체도 많지 않을뿐더러, 혼합용구를 장기에 걸쳐 사용하는 예는 더더욱 많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염색제 혼합용구의 설계 주안점은 간단하면서 생산단가면에서 저렴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여야 한다는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한 종래의 염색제 혼합용구는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7은 상기한 미국 특허 제6,655,551호에 개시된 종래의 혼합용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쉘(10) 내부에는 혼합챔버(16) 및 공급챔버(12)가 구비된다. 혼합챔버(16)와 공급챔버(12)는 소통구멍(미도시)을 구비하고, 플레이트(40)도 상기 소통구멍과 일치될 수 있는 구멍(미도시)을 구비한다. 레버(44)는 상기 플레이트(40)를 회전시켜 상기 플레이트(40)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소통구멍을 일치시켜, 공급챔버(12)로부터 혼합챔버(16)로 염색제가 소통될 수 있도록 한다.
공급챔버(12)에는 예컨대 염색제가 충전되어 있다. 공급챔버(12)의 하단에는 이동성베이스(26)가 구비된다. 이동성베이스(26)는 암나사공을 구비하여, 스크류와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된다. 스크류의 하단에는 스크류캡(22)이 형성되어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동성베이스(26)가 상향 이동되면, 내부의 염색제를 압출하여 상기 소통구멍 및 상기 플레이트(40)의 구멍을 통하여 혼합챔버(16)에 공급하게 된다.
액츄에이터버튼(34)와 결합되어 있는 축은 지지판(36)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그 축의 외주와 지지판(36)의 축공 내주에는 수나사산 및 암나사산이 구비되어 있어, 액츄에이터버튼(34)을 누르면 축은 회전되면서 상방 이동된다. 이때 축에 결합되어 있는 교반막대(32)도 회전 상방 이동되면서 혼합챔버(16) 내에 있는 염색제 혼합물을 교반한다. 지지판(36)의 하단에는 코일스프링(38)이 연결되어, 액츄에이터버튼(34)에 복원력을 제공하므로, 액츄에이터버튼(34)에서 손을 떼면 액츄에이터버튼(34)은 하방 위치로 원위치된다.
미설명 도면 부호 50은 플렉시블측벽, 52는 유출구, 54는 스크류마개를 나타낸다.
상기 도7의 혼합용구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염색제의 혼합(레버(44)의 회전) 및 교반(교반막대(32)의 회전)이 별개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사용상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공급챔버 내의 염색제를 사용한 후에는, 염색제의 재충전이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재사용성이 좋지 못하였다. 즉, 도7의 혼합용구는 1회성 사용에 주안점을 두어 설계된 것이다.
또한, 도7의 혼합용구는 염색제의 혼합 후 혼합된 염색제를 별도의 빗에 묻혀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 편의성면에서 좋지 못하였다.
또한, 도7의 혼합용구는 코일 스프링 및 스크류가 사용되어 재활용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을 가진다. 즉, 통상 코일 스프링 및 스크류는 쉘의 재질과 다른 금속 재질이 사용되는데, 재활용을 위해서는 이들을 분리 선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작업 시간 및 노력이 증가되어 재활용성이 좋지 못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염색제 혼합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통하여 생산 단가면에서 유리한 염색제 혼합용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는 사용 후 분해 세척을 용이하게 하여, 염색제 혼합용구의 반복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재사용성이 우수한 염색제 혼합용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혼합과 동시에 교반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 편의성면에서 우수한 염색제 혼합용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염색제를 혼합 한 후 그 혼합에 사용한 빗 형상의 교반구를 그대로 염색제의 모발 도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모발 상태에 따라 적절한 빗을 선택하여 교반구로 사용할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교반구의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염색제의 혼합과 아울러 그 혼합된 염색제를 별도의 용기에 옮기거나 빗에 묻히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혼합 즉시 모발 염색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금속을 구성 재료로 포함하지 않고도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재활용성을 가지는 염색제 혼합용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제 혼합용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염색제 혼합용구의 소통로 폐쇄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염색제 혼합용구의 소통로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4a는 도1의 염색제 혼합용구의 하우징(100) 및 캡(300)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4b는 도4a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5a 및 도5b는 도1의 염색제 혼합용구의 회전체 및 상하운동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색제 혼합용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7은 종래의 염색제 혼합용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제1용기 111: 제2수용공간
119: 돌출테 120: 제2용기 121: 제2수용공간
123: 부싱 125: 소통로 126: 시트홈
127: 관통공 129: 돌출테 130: 커버
131: 플러그 132: 공급로 133: 부싱
135: 돌출부 136: 키이 137: 관통공
200: 혼합어셈블리 210: 교반구 220: 회전체
221: 나선홈 223: 상단 230: 상하운동체
231: 돌기 236: 키이홈 300: 캡
301: 삽입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염색제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과 제2염색제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혼합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수용공간과 상기 제2수용공간이 상호 소통 가능하게 소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어셈블리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하 운동을 하여 상기 소통로에 이탈/밀착되어 상기 소통로를 개폐하는 상하운동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제 혼합용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1의 염색제 혼합용구는 하우징(100), 혼합어셈블리(200) 및 캡(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제1염색제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111)과 제2염색제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121)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1에서는 제1용기(110), 제2용기(120) 및 커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100)을 도시한다.
하우징(100)은 제1용기(110), 제2용기(120) 및 커버(130)의 순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용기(110)는 제2용기(120)와의 결합에 의하여 덮힘되어 제1수용공간(111)을 형성하고, 제2용기(120)는 커버(130)와의 결합에 의하여 덮힘되어제2수용공간(121)을 형성한다.
제1염색제 및 제2염색제는 각각 단일 염색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서로 다른 염색제의 혼합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혼합어셈블리(200)는 회전체(220)와 상하운동체(230)와 교반구(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2는 도1의 염색제 혼합용구의 소통로(125) 폐쇄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3은 도1의 염색제 혼합용구의 소통로(125)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하우징(100)은 제1수용공간(111)과 제2수용공간(121)이 상호 소통될 수 있도록 소통로(125)를 구비한다. 이를 위하여, 제1용기(110)를 덮는 제2용기(120)의 덮개부에는 소통로(125)가 형성된다.
회전체(220)는 제1용기(110)를 덮는 제2용기(120)의 덮개부, 즉 제2용기(120)의 바닥과 제2용기(120)를 덮는 커버(130)의 덮개부, 즉 커버(130)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제2용기(120)의 덮개부와 커버(130)의 덮개부는 관통공(127, 137)을 구비한다. 제2용기(120)의 덮개부의 관통공(127)과 회전체(220) 사이, 그리고 커버(130)의 덮개부의 관통공(137)과 회전체(220) 사이에는 부싱(123, 133)이 끼워진다.
회전체(220)의 하단은 제2용기(120)의 관통공(127)을 통하여 제1수용공간(111) 내부로 돌출되어 빗 형상의 교반구(210)가 결합된다. 빗 형상의 교반구(210)는 여러 가지 크기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모발 상태에 적합한 빗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빽빽한 모발의 사용자와 듬성듬성한 모발의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빗의 빗살 사이의 간격은 당연히 달라져야 하는 것이다. 이때, 교반구(210)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다면 이는 사용상의 불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간단한 구조의 염색제 혼합용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선택에 따라, 빗 형태의 교반구(210)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더 한층 높인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1용기(110)는 그 자체가 혼합 후의 염색제 혼합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기능하므로,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고 사용 후에 세척하여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고, 혼합 즉시 염색을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회전체(220)의 상단(223)은 커버(130)의 관통공(137)을 통하여 커버(130)의 외부로 돌출되고,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진다.
캡(300)은 커버(13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면에는 삽입공(301)이 구비된다. 삽입공(301)은 그 내주가 사각 단면을 가져 역시 사각 단면 외주를 가지는 회전체(220)의 상단(223)이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체(220)와 캡(300)은 일체로 회전된다.
커버(130)는 그 덮개부에 제2염색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132)를 관통되게 구비한다. 공급로(132)에는 플러그(13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러그(131)는 그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멍을 구비하여, 플러그(131)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돌출환을 구비하여플러그(131)의 밀폐성을 높이고, 하부에는 머리가 마련되어 플러그(131)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회전체(220)는 외주에 나선홈(221)을 구비하는 회전축이다.
상하운동체(230)는 회전체(220)와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하 운동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하운동체(230)는 내주에 회전축의 나선홈(221)과 대응되는 돌기(231)를 구비하는 상하운동파이프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회전체에 돌기가 구비되고, 상하운동체에 나선홈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회전체(220)의 나선홈(221)은, 회전체(220)가 소정 구간 회전된 후에는 상하운동체(230)의 돌기(231)가 이탈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즉, 소통로(125)의 폐쇄 상태로부터, 돌기(231)가 나선홈(221)을 따라 소정 거리 상대 운동한 후에는 상하운동체(230)가 상방 이동되어 소통로(125)가 개방된다. 따라서, 더 이상 상하운동체(230)를 상방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오히려 계속적으로 상하운동체(230)를 상방 이동시키면 상하운동체(230)가 커버(130)의 덮개부에 의하여 더 이상 상방 이동되지 않으면서 회전체(220)가 회전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소통로(125)가 개방되어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돌기(231)가 나선홈(221)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체(220)가 상하운동체(230)로부터 구속됨이 없이 자유로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하운동체(230)는 상하 운동을 하여 소통로(125)에 이탈/밀착되어 소통로(125)를 개폐한다. 이를 위하여 상하운동파이프의 하단과 접촉되는 소정 부위에 소통로(125)가 구비된다. 소통로(125)가 개방되면, 제2수용공간(121)에 수용되어 있던 제2염색제가 제1수용공간(111)으로 공급되어 제1수용공간(111)에 수용되어 있던 제1염색제와 혼합된다.
도2의 상태에서 회전체(220)가 회전 운동하면, 상하운동파이프는 상방 이동되는데, 이때 상하운동파이프가 회전되지 않고 상방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운동파이프의 내주에는 키이홈(236)을 형성하고, 커버(130)의 덮개부의 돌출부(135)에는 키이(136)를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하운동파이프에 키이가 구비되고, 커버(130)의 돌출부(135)에 키이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130)의 덮개부가 아닌 제2용기(120)의 덮개부에 키이 또는 키이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4a는 도1의 염색제 혼합용구의 하우징(100) 및 캡(300)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4b는 도4a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용기(110)는 상부 내주에 나사산을 구비한다.
제2용기(120)는 하부 외주 및 상부 내주에 나사산을 구비한다. 제2용기(120)의 하부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제1용기(110)의 상부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이 결합됨으로써,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130)는 하부 외주에 나사산을 구비한다. 커버(130)의 하부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제2용기(120)의 상부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이 결합됨으로써, 제2용기(120)와 커버(1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의 상호 결합면 중 어느 일면, 여기서는 제2용기(120)와 결합되는 제1용기(110)의 결합면에 그 전둘레를 따라 밀폐용돌출테(119)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1용기(110)에 수용된 염색제의 밀봉을 더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용기(120)와 커버(130)의 상호 결합면 중 어느 일면, 여기서는 커버(130)와 결합되는 제2용기(120)의 결합면에 그 전둘레를 따라 밀폐용 돌출테(129)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2용기(120)에 수용된 제2염색제의 밀봉을 더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재사용시 사용자가 공급하여야 하는 염색제의 양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용기(110) 및 제2용기(120)의 내부에 눈금선을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업자는 판매시 제1용기(110) 및 제2용기(120)에 각각 제1염색제 및 제2염색제를 넣어 판매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최초 사용시에 염색제를 각 용기에 공급하는 과정은 필요 없게 된다.
도5a 및 도5b는 도1의 염색제 혼합용구의 회전체(220) 및 상하운동체(230)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용기(120)의 덮개부, 즉 바닥에는 상하운동체(230)가 안착되는 부위에 시트홈(126)을 형성하여, 상하운동체(230)가 정위치에 안착되어 소통로(125)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색제 혼합용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일측에만 빗살이 형성된 교반구(210)가 사용될 수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염색제 혼합용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생산 단가면에서 유리한 염색제 혼합용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는 사용 후 분해 세척을 용이하게 하여, 염색제 혼합용구의 반복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재사용성, 사용 편의성 및 재활용성이 우수한 염색제 혼합용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제1염색제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과 제2염색제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혼합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수용공간과 상기 제2수용공간이 상호 소통 가능하게 소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어셈블리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상하 운동을 하여 상기 소통로에 이탈/밀착되어 상기 소통로를 개폐하는 상하운동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외주에 나선홈 또는 돌기를 구비하는 회전축이고,
    상기 상하운동체는 내주에 상기 회전축의 나선홈 또는 돌기와 대응되는 돌기 또는 나선홈을 구비하는 상하운동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로의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돌기가 상기 나선홈을 따라 소정 거리 상대 운동한 후 상기 나선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회전체가 상기 상하운동체로부터 구속됨이 없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길이로 상기 나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운동파이프는 키이홈 또는 키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대응 위치에 키이 또는 키이홈을 구비하여, 상기 상하운동파이프가 상기 회전체와의 상대 운동 중에 회전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하운동파이프의 일단과 접촉되는 소정 부위에 소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는 빗 형상의 교반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용기, 제2용기 및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용기, 상기 제2용기 및 상기 커버의 순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용기는 상기 제2용기와의 결합에 의하여 덮힘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용기는 상기 커버와의 결합에 의하여 덮힘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는 상기 제1용기를 덮는 덮개부에 관통되게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용기를 덮는 덮개부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는, 일단은 상기 제2용기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되어 교반구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커버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제 혼합용구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커버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의타단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2용기를 덮는 덮개부에 제2염색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를 관통되게 구비하고,
    상기 공급로에는 착탈 가능하게 플러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와 상기 제2용기의 상호 결합면 중 어느 일면에는 그 전둘레를 따라 밀폐용 돌출테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와 상기 커버의 상호 결합면 중 어느 일면에는 그 전둘레를 따라 밀폐용 돌출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혼합용구.
KR20-2004-0000583U 2004-01-09 2004-01-09 염색제 혼합용구 KR200350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583U KR200350233Y1 (ko) 2004-01-09 2004-01-09 염색제 혼합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583U KR200350233Y1 (ko) 2004-01-09 2004-01-09 염색제 혼합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233Y1 true KR200350233Y1 (ko) 2004-05-13

Family

ID=4934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583U KR200350233Y1 (ko) 2004-01-09 2004-01-09 염색제 혼합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2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14Y1 (ko) 2011-06-08 2013-01-15 (주)아모레퍼시픽 수동식 쉐이크 용기
KR200466317Y1 (ko) 2011-05-06 2013-04-09 (주)아모레퍼시픽 염색제 혼합 용기
KR200469857Y1 (ko) * 2012-02-20 2013-11-13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혼합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17Y1 (ko) 2011-05-06 2013-04-09 (주)아모레퍼시픽 염색제 혼합 용기
KR200464714Y1 (ko) 2011-06-08 2013-01-15 (주)아모레퍼시픽 수동식 쉐이크 용기
KR200469857Y1 (ko) * 2012-02-20 2013-11-13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혼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12832A (ja) 液体用容器
KR200350233Y1 (ko) 염색제 혼합용구
CN110529624B (zh) 一种切换水路的结构和组合淋浴器的出水切换装置
CN1317988C (zh) 染发装置
KR102252534B1 (ko) 화장료 혼합용 주 용기, 화장료 혼합용 보조 용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757391B1 (ko) 뚜껑 분리와 동시에 비중이 다른 내용물이 혼합되는 혼합용기
JP6691140B2 (ja) 洗濯機及びその洗濯槽
KR200346012Y1 (ko) 염색제 혼합용구
KR101521853B1 (ko) 색상 교환이 용이한 미술용 팔레트
KR101896281B1 (ko) 회전식 색조화장품 케이스
US20060140050A1 (en) Beverage mixing apparatus
KR200466317Y1 (ko) 염색제 혼합 용기
CN209421222U (zh) 一种染发梳
KR101787343B1 (ko) 회전 개폐형 다색 립메이크업 용기
CN108488439B (zh) 换向阀、智能坐便器的冲洗装置以及智能坐便器
KR101906244B1 (ko) 색조화장품용 팔레트
CN114074034A (zh) 一种添加沐浴辅料的花洒
KR101091881B1 (ko)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JPH0463172B2 (ko)
KR200444062Y1 (ko) 염색제 용기
CN212338277U (zh) 一种淋浴器
KR102242824B1 (ko) 염색약 믹서
CN108382123B (zh) 一种多功能自动调色洗色绘画盘
CN209421234U (zh) 一种可切换染发剂输出方向的染发梳
CN220117381U (zh) 一种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