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051Y1 - 이중 경사 조절 가능한 독서대 - Google Patents

이중 경사 조절 가능한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051Y1
KR200350051Y1 KR20-2004-0005372U KR20040005372U KR200350051Y1 KR 200350051 Y1 KR200350051 Y1 KR 200350051Y1 KR 20040005372 U KR20040005372 U KR 20040005372U KR 200350051 Y1 KR200350051 Y1 KR 200350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upport plate
groove
rea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귀용
Original Assignee
나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귀용 filed Critical 나귀용
Priority to KR20-2004-0005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0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대 뒤면에 경사 조절용 지지판을 설치한 독서대에 있어서,
지지판(20)의 상단 양측에서 힌지 결합하며 독서대(1) 뒤면 중앙에 고정되는 제 1 힌지부(10); 및
지지판(20)이 겹쳐지는 공간부(31)를 가지며 지지판(20)의 하단을 공간부(31) 후면 내벽에서 힌지 결합하는 제 2 힌지부(40)를 가지는 받침판(30)을 포함하여 구성한 이중 경사조절 가능한 독서대이다.

Description

이중 경사 조절 가능한 독서대{Book supporter with double hinge}
본 고안은 이중경사 조절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독서대의 뒷면에 상하 이중으로 힌지 결합하는 지지판의 상면과 힌지결합토록 하고, 지지판의 하단에는 받침판과 힌지결합토록 하여 독서대가 지지판과 받침판의 이중 경사 조절을 가능토록 하여 다양하게 경사 조절을 가능토록 하는 이중결사 조절 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독서대의 뒷면에 경사를 조절하는 받침판을 힌지결합시켜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받침판의 지탱력이 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고, 많이 경사지면 책을 받칠 때 독서대가 기울어지거나 밀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독서대의 경사 범위를 거의 무한대로 조절 가능토록 하는 독서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지판 상하에 각각 힌지 결합수단을 결합시키되 하단의 힌지결합수단은 각형의 받침판에 결합토록 하여 독서대가 밀리지 않으면서 튼튼하게 받침 기능을 할 수 있는 독서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중 경사 조절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독서대를 받침판에 하단이 올수도 있고, 바닥면에 오게하여 사용자의 각도 조절을 안정한 상태로 제공 가능토록 하는 독서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수단을 누름판으로 누름 결합시켜 힌지력을 조절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힌지력을 제공 가능토록 하는 독서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독서대의 뒤면에 제 1 힌지부를 두고, 제 1 힌지부에는 상단에서 힌지 결합하는 지지판을 결합시키고, 지지판의 하단에는 지지판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두며 공간부 측면에는 받침판과 힌지 결합하는 제 2 힌지부를 설치한다. 받침판의 공간부에는 제 1 힌지부를 겹침 상태로 수용하는 제 1 힌지부를 부가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 3 은 도 2 의 A-A 선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B-B 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독서대 10;제 1 힌지부 11;제 1 힌지봉 12;힌지받침 13;제 1 홈 14;힌지누름판 15;제 2 홈 16;결합나사 17;너트 18;나사 20;지지판 30;받침판 31;공간부 32;제 1 힌지부수용홈 40;제 2 힌지부 41;제 2 힌지봉 42;누름판 수용홈 43;제 1 홈 44;결합나사 45;제 2 홈 46;힌지누름판
즉, 본 고안은 독서대 뒤면에 경사 조절용 지지판을 설치한 독서대에 있어서,
지지판이 겹쳐지는 공간부를 가지며 지지판의 하단을 공간부 후면 내벽에서 힌지 결합하는 제 2 힌지부를 가지는 받침판;
지지판의 상단 양측에서 힌지 결합하며 독서대 뒤면 중앙에 고정되는 제 1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이중 경사조절 가능한 독서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저면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2 의 B-B 선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측 단면도로,
지지판(20)의 상단 양측에서 힌지 결합하며 독서대(1) 뒤면 중앙에 고정되는 제 1 힌지부(10); 및
지지판(20)이 겹쳐지는 공간부(31)를 가지며 지지판(20)의 하단을공간부(31) 후면 내벽에서 힌지 결합하는 제 2 힌지부(40)를 가지는 받침판(30)을 포함하여 구성한
상기 상기 받침판(30)의 공간부(31)에는 제 1 힌지부(10)를 수용하는 제 1 힌지부 수용홈(32)을 부가한다.
상기 힌지부(10)에 결합하는 제 1 힌지봉(11)은 경사진 독서대(1)의 높이 중앙 지점(P)의 수직 하방 위치에 오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 1 힌지부(10)는 독서대(1)의 뒷면에 결합하며 제 1 힌지봉(11)을 일부 수용하는 제 1 홈(13)을 가지는 힌지받침(12)과;
상기 제 1 힌지봉(11)을 힌지 작용토록 제 2 홈(15)을 가지며 힌지받침판(12)과 나사로 결합하는 힌지누름판(1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 홈(13) 및 제 2 홈(15)의 합은 제 1 힌지봉(11)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 2 힌지부(40)는 받침판(30)에 제 2 힌지봉(41)을 일부 수용하는 제 1 홈(43)을 중앙에 더 파지도록 형성한 누름판 수용홈(42);
상기 누름판 수용홈(42)에 받침판(40)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결합나사(44)로 결합하며 저면에 제 2 힌지봉(41)을 일부 수용하는 제 2 홈(45)을 가지는 힌지 누름판(4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 홈(43) 및 제 2 홈(45)의 합은 제 2 힌지봉(41)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한다.
(18)은 독서대 뒷면에 힌지받침(12)을 결합시키는 나사로, 나사의 방향은 받래로 사용하여도 가능하다. (17)은 힌지받침(120을 힌지누름판(14)에 결합시키는 결합나사(16)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이다. 상기 받침판(30)은 독서대(1) 폭보다 작도록 하여 힌지 작용시 독서대의 경사 조절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독서대(1)의 적어도 일 개소에는 문서를 고정하는 자석(2)을 매설하고, 사용시 별도의 자석(3)을 이용하여 문서(4)가 양 자석(2,3)의 자력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자석(2,3)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이 아닌 철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 고안은 도 4 에 보인 받침판(30)의 누름판 수용홈(42)의 제 1 홈943)에 제 2 힌지봉(41)을 안치시키고(제 2 힌지봉(41)은 지지판(20)의 하단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함이 좋다), 이어 힌지누름판(46)의 제 2 홈(45)에 제 2 힌지봉(41)이 오도록하여 결합나사(44)로 결합 고정시킨다. 이 경우 제 1 홈(43) 및 제 2 홈(45)은 제 2 힌지봉(41)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힌지누름판(46)을 결합나사(44)로 조여 힌지력을 조절 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지지판(20)의 상단에는 제 1 힌지부(10)를 결합시키는바, 지지판 상단의 양측에 돌출한 제 1 힌지봉(11)을 매개로 힌지받침(12)과 힌지누름판(14)을 결함나사(16)로 결합하여 에 제 1 힌지봉(11)이 힌지 작용 가능토록 결합한다. 이 경우 제 1 홈(13) 및 제 2 홈(15)의 합이 제 1 힌지봉(11)의 직경 보다 작도록 하여 힌지력을 조절 가능토록 한다. 이렇게 결합한 제 1 힌지부(10)의 힌지받침(12)을 나사(18)로 독서대(1)의 뒷면에 결합시켜 조립을 마무리한다.
그리고 이를 사용할 때는 평소에는 받침판(30)에 지지판(20)을 수ㅛㅇ 가능한 크기의 공간부(31)를 이루므로 받침판(30)과 지지판(200이 겹쳐지도록 결합하고, 동시에 공간부(31)에는 제 1 힌지부 수용홈(32)을 부가하였기에 완전히 받침판(30)과 지지판(20)이 겹쳐진다.
그리고 제 1 힌지부(10)를 사용하여 독서대(1)를 역시 받침판(30)의 상면에 오도록 도 5 의 점선과 같이 접고 보관하다가 지지판(20)을 도 5 의 실선 상태로 올리고, 이어 독서대(1)를 역시 실선과 같이 펼쳐 원하는 각도로 편리하게 사용 가능토록 한다. 아울러 사용시 독서자의 취향에 따라 독서대의 각도를 아주 낮추고 싶을 때는 독서대(1)의 하단이 바닥면에 오도록 도 5 의 점선과 같이 앞으로 당기면, 독서대(1)에 책이 잘 받쳐진다(이는 받침판(30)이 독서대(1)보다 작도록 하였기에 가능하다). 따라서 독서대(1)의 경사가 많이 기울어져도 상대적으로 받침판(30)은 뒤로 이동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여전히 안정적으로 책을 받칠 수 있다. 이는 받침판(30)이 뒤로 가서 뒷 부분을 잘 받침과 동시에 독서대(1)의 전면 하단에 바닥에 닿아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받침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다가 힌지력이 약해지거나 너무 마찰력이 커서 힘이 많이들면, 각 힌지부(10, 40)의 나사(16, 44)를 조절하여, 힌지봉(11, 41)과의 마찰력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힌지력을 조절 가능한 것은 본 고안에서 각 힌지부(10, 40)의 누름판(14)(46)이 각 힌지봉(11)(41)위에서 힌지받침(12) 및 누름판 수용홈(42)과 거리를 두고 결합하기에, 누름력을 조절하여 힌지력을 조절 가능토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독서대의 저면 중앙에서 지지판의 상단과 1차 힌지결합하고, 지지판의 하단에서는 받침판과 2차 힌지결합하여, 독서대의 경사를 광범위하게 조절하여 사용 가능토록 한다.
아울러 받침판에는 지지판을 수용가능한 공간부를 두어 지지판이 받침판에 겹치므로 보관시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받침판을 독서대 보다 작게하여 독서대의 경사각을 광범위하게 조절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독서대를 이용하면서 문서를 안치시키면서 손으로는 다른일을 할 경우 자석위치에 문서를 놓고 다른자석을 자력으로 붙이면 문서가 그대로 붙어있어 독서대의 사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Claims (8)

  1. 독서대 뒤면에 경사 조절용 지지판을 설치한 독서대에 있어서,
    지지판(20)의 상단 양측에서 힌지 결합하며 독서대(1) 뒤면 중앙에 고정되는 제 1 힌지부(10); 및
    지지판(20)이 겹쳐지는 공간부(31)를 가지며 지지판(20)의 하단을 공간부(31) 후면 내벽에서 힌지 결합하는 제 2 힌지부(40)를 가지는 받침판(3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경사조절 가능한 독서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30)의 공간부(31)에는 제 1 힌지부(10)를 수용하는 제 1 힌지부 수용홈(32)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경사조절 가능한 독서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0)에 결합하는 제 1 힌지봉(11)은 경사진 독서대(1)의 높이 중앙 지점(P)의 수직 하방 위치에 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경사조절 가능한 독서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부(10)는 독서대(1)의 뒷면에 결합하며 제 1 힌지봉(11)을 일부 수용하는 제 1 홈(13)을 가지는 힌지받침(12)과;
    상기 제 1 힌지봉(11)을 힌지 작용토록 제 2 홈(15)을 가지며힌지받침판(12)과 나사로 결합하는 힌지누름판(1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경사조절 가능한 독서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홈(13) 및 제 2 홈(15)의 합은 제 1 힌지봉(11)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경사조절 가능한 독서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부(40)는 받침판(30)에 제 2 힌지봉(41)을 일부 수용하는 제 1 홈(43)을 중앙에 더 파지도록 형성한 누름판 수용홈(42);
    상기 누름판 수용홈(42)에 받침판(40)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결합나사(44)로 결합하며 저면에 제 2 힌지봉(41)을 일부 수용하는 제 2 홈(45)을 가지는 힌지 누름판(46)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경사조절 가능한 독서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홈(43) 및 제 2 홈(45)의 합은 제 2 힌지봉(41)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경사조절 가능한 독서대.
  8. 제 1 항에 있어서, 독서대(1)의 전면 적어도 한곳에는 문서를 다른 별도 소형 자석으로 고정시키는 매설 자석(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경사조절 가능한 독서대.
KR20-2004-0005372U 2004-02-28 2004-02-28 이중 경사 조절 가능한 독서대 KR200350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372U KR200350051Y1 (ko) 2004-02-28 2004-02-28 이중 경사 조절 가능한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372U KR200350051Y1 (ko) 2004-02-28 2004-02-28 이중 경사 조절 가능한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051Y1 true KR200350051Y1 (ko) 2004-05-12

Family

ID=4942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372U KR200350051Y1 (ko) 2004-02-28 2004-02-28 이중 경사 조절 가능한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0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93B1 (ko) 2007-04-11 2007-11-23 이영창 이중 조절 가능한 독서대
WO2016010311A1 (ko) * 2014-07-14 2016-01-21 김현태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93B1 (ko) 2007-04-11 2007-11-23 이영창 이중 조절 가능한 독서대
WO2016010311A1 (ko) * 2014-07-14 2016-01-21 김현태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393B1 (ko) 이중 조절 가능한 독서대
US20040041067A1 (en) Reading stand with attached magnifying glass
KR200350051Y1 (ko) 이중 경사 조절 가능한 독서대
KR20030030003A (ko) 인간공학적 독서대
KR200436158Y1 (ko) 독서대
KR102283383B1 (ko) 독서대
KR100943198B1 (ko) 각도 조절 용이성 및 지지안정성을 갖는 독서대
KR200439926Y1 (ko) 독서대
KR100805554B1 (ko) 파일형 독서대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KR102020604B1 (ko) 슬림구조의 접이식 휴대용 독서대
JP3162109U (ja) 書見台
KR200310955Y1 (ko) 2단독서대
KR20100011278U (ko) 책상설치용 독서대 및 그 독서대가 설치된 책상
JP2016221207A (ja) 書見台とそのusbスタンドスキャナーへの応用
KR102326319B1 (ko) 높이 조절부 및 그를 이용한 독서대
KR200475279Y1 (ko) 독서실 책상용 독서대
KR200363164Y1 (ko) 독서대
KR950008820Y1 (ko) 절첩식 독서대
JP5649096B1 (ja) 読書台
KR20190127189A (ko) 다과상 등의 다기능으로 사용가능한 독서대
KR102366960B1 (ko)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보조 책상
KR200184748Y1 (ko) 독서대
KR200245497Y1 (ko) 원고대 겸용 독서대
KR20000021437U (ko) 액자 겸용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