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486Y1 - A burry case for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on and signal distributor - Google Patents

A burry case for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on and signal distribu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486Y1
KR200349486Y1 KR20-2004-0002912U KR20040002912U KR200349486Y1 KR 200349486 Y1 KR200349486 Y1 KR 200349486Y1 KR 20040002912 U KR20040002912 U KR 20040002912U KR 200349486 Y1 KR200349486 Y1 KR 200349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ase
amplifier
hub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91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남칠
Original Assignee
박남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칠 filed Critical 박남칠
Priority to KR20-2004-0002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48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486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6Wiring arrangements for selector switches or relays in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박스를 측벽 외측으로 돌출형성함으로써 바닥면의 폭을 좁혀주어 거푸집 스페이서핀 관통을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케이스에 대한 드릴링 천공작업을 배제시켜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또한 콘센트의 노출에 따른 간섭을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기기의 설치가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증폭기뿐만 아니라 통신용 허브단자 케이스를 겸하도록 하고, 전자파 간섭을 차단함은 물론 케이블의 배선정리가 간결하게 이루어지며, 배근된 철근에 대한 설치작업이 용이도록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narrows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by protruding the outlet box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thereby eliminating the drilling perforation work for the case, which has been involved in the prior art for penetrating the die spacer pin,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workability and exposing the outlet. To prevent interference,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is made stable and stable even in the long-term use, serves as a hub hub case for communication as well as an amplifier, to block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to simplify the wiring of the c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lifier and a communication hub buried case for facilitating installation of reinforcing bars.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형 모양의 바닥면(10) 둘레에 측벽(20)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격벽(40)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측벽(20) 외측으로 철근홀더(60)가 구비된 매립형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측벽(20) 중 어느 일측에는 사각통공(21)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통공(21)에 연통되도록 콘센트박스(30)가 측벽(20)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0)에는 기기의 설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50)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the side wall 20 is provided around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rectangular shape and the partition 40 is detachably provided therein and the reinforcing holder 60 is provided outside the side wall 20. In the buried case, the one side of the side wall 20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through-hole 21, the outlet box 30 is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side wall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quare through-hole 21, The bottom surface 10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pedestal 50 is provided for installation of the device.

Description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A BURRY CASE FOR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ON AND SIGNAL DISTRIBUTOR}Landfill Case for Amplifiers and Communications {A BURRY CASE FOR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ON AND SIGNAL DISTRIBUTOR}

본 고안은 전기 및 통신기기용 매립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센트박스를 측벽 외측으로 돌출형성함으로써 바닥면의 폭을 거푸집의 폭보다 좁혀주어 거푸집 스페이서핀 관통을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케이스에 대한 드릴링 천공작업을 배제시켜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또한 케이블의 노출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시키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기기의 설치가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증폭기뿐만 아니라 통신용 허브 케이스를 겸하도록 하고, 전자파 간섭을 차단함은 물론 케이블의 배선정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배근된 철근에 대한 설치작업이 용이도록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case for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nd in particular, by forming the outlet box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to reduce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than the formwork to drill the case that was involved in the prior art for penetrating the formwork spacer pin The workability is remarkably improved by eliminating the drilling work, and the interference due to the exposure of the cable is minimized, and the device is firmly and securely installed even after long-term use, and serves as a communication hub case as well as an amplifier. As well as blocking the wiring of the cable is made easy, and relates to an embedded buried case for the amplifier and communication hub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work on th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일반적으로 각종 기기를 장착하기 위하여 건물 벽면에 매립되는 케이스는, 여러가지 기기를 용이하게 장착하고 변형이 방지되며 설치작업이 용이할 것 등이 요구된다.In general, a case buried in a wall of a building for mounting various devices is required to easily mount various devices, to prevent deformation, and to be easy to install.

한편, 종래 기술1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도10참조)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바닥면(11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 외측 가장자리에는 측벽(120)이 수직으로 배치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120) 상단부에는 플렌지(127)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일체로 형성된다.Meanwhile, in the related art 1,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case 100 (see FIG. 10) has a bottom surface 110 formed of a quadrangle, and a sidewall (side) is formed at an outer edge of the bottom surface 110. 120 is formed vertically and integrally formed, and the flange 127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wall 120 while being bent in an outward direction.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는 바닥면(110)과 동일하게 사각형 모양을 하는 합판(170)이 밀착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합판(170)에는 볼트(112)가 결합되면서 바닥면(110)에 체결되어, 상기 합판(170)이 케이스(100)에 고정되어 있게 한다. 미설명 부호는 185는 파이프, 116은 클립, 5는 철근, 2,3은 증폭기, 8은 콘센 트, 9는 분배기이다.And the case 100 is installed while the plywood 1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quare shape in the same manner as the bottom surface 110, fastening to the bottom surface 110 while the bolt 112 is coupled to the plywood 170. Thus, the plywood 170 is fixed to the case 100. Reference numerals are 185 for pipes, 116 for clips, 5 for rebar, 2 and 3 amplifiers, 8 for outlets and 9 for distributor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1(100)을 설치순서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installation procedure and operation of the prior art 1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케이스(100)(도10참조)에 리벳팅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100) 양측에 위치한 측벽(120)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홀을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시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케이스(100) 상, 하단부에는 파이프(1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홀 다수개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시킨다.First, in order to easily carry out the riveting operation to the case 100 (see FIG. 10),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t the same interval using drills or the like on the side walls 12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ase 100. In addition, on the case 100, the lower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at the same interval to couple the pipe 100.

이후로, 상기 측벽(120)에 형성된 홀과 동일한 간격으로 클립(116)을 철근 (5)에 결합하여 배치시키고, 상기 클립(116) 일단부를 측벽(120)에 밀착시키면서 리벳팅을 실시하여 클립(116)이 측벽(120)에 고정되게 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배근되어진 철근(5)에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Thereafter, the clip 116 is coupled to the reinforcing bars 5 at the same interval as the holes formed in the side wall 120, and the clip 116 is riveted while closely contacting one end of the clip 116 to the side wall 120. When 116 is fixed to the side wall 120, the case 100 is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5).

이와 함께 케이스(100)를 거푸집(6)에 설치한다.In addition, the case 100 is installed in the formwork 6.

상기 작업 이후로 케이스(100) 상, 하단부에 전송용 케이블을 내부에 결합하도록 된 파이프(185)를 홀에 결합하면서 배관을 실시한 다음, 상기 케이스(100) 전면 전체에는 테이프를 일정한 크기로 절취하여 연속하여 붙이므로써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시킨다.After the operation, the pipes 185 are coupled to the holes on the case 100 and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transmission cables, and then the tape i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on the entire front of the case 100. It is closed so that concrete does not flow inside by attaching it continuously.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케이스(100) 배면과 측벽(100)에 콘크리트가 밀려지면서 밀착하게 되는데, 이때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에 의해 압력이 작용하여 케이스(100)에 영향을 주게 된다.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 the above state, the concrete is pressed against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100 and the side wall 100, and the pressure is acted on by the weight of the concrete being poured to affect the case 100.

따라서 상기 케이스(100) 배면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비례하여 중간부가 밀려지면서 볼록한 형태를 하게 되어, 상기 케이스(100)는 최초의 모양과는다른 형태를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100 is convex while the middle part is pushed in proportion to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and the case 100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hape.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종료되면 케이스(100) 전면에 부착한 테이프를 떼어내고, 상기 케이스(100)(도9참조) 내부에 설치된 합판상에 MA용 증폭기 (2)와 CA용 증폭기(3)와 콘센트(8) 그리고 분배기(9)등을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배치하는 동시에 피스등을 결합하여 합판(170)에 체결하므로써 각각 고정되게 한다.When the concrete pouring work is finished as described above, the tap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ase 100 is peeled off, and the MA amplifier 2 and the CA amplifier 3 on the plywood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see FIG. 9). ) And outlets (8) and distributors (9)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to combine the pieces, such as fastening to the plywood (170) to be fixed respectively.

상기 설치 작업이 종료되면 파이프(185)로부터 인출된 전송용 케이블을 MA용 증폭기(2)와 CA용 증폭기(3)에 연결하면서 합판(170)에 배선하는 동시에 클립으로 고정하여 설치작업을 종료하고, 또한 상기 파이프(185)로부터 인출한 전력선을 콘센트(8)에 연결한다.When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while connecting the transmission cable drawn from the pipe 185 to the MA amplifier (2) and CA amplifier (3) while wiring to the plywood 170 and fixed with a clip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work In addition, the power line drawn from the pipe 185 is connected to the outlet (8).

상기와 같이 MA용 증폭기(2)와 CA용 증폭기(3)의 설치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케이스(100) 전면에 미 도시된 도어를 개, 폐 가능하게 설치한다.When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MA amplifier 2 and the CA amplifier 3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doo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se 100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this prior art 1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케이스 바닥면(110)에는 MA 증폭기(2), CA 증폭기(3) 및 콘센트(8)가 설치되는데 상기 기기들의 규격상 필수적으로 바닥면적의 크기가 최소한 600㎜ ×90㎜ 이상으로 되어야 되며, 거푸집 폭의 규격은 케이스의 바닥의 폭과 같은 크기인 600㎜로 되어있다.First, the MA bottom amplifier (2), CA amplifier (3) and the outlet (8) is installed on the case bottom surface 110, the size of the floor area must be at least 600 mm × 90 mm or more by the specifications of the equipment and The formwork width is 600mm, which is the same size as the width of the bottom of the case.

벽체 시공시 콘크리트 거푸집(6)은 벽체두께에 해당되는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설치되는데 도 13a,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유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양측의 거푸집은 벽체두께에 해당되는 공간을 가로지르는 스페이서핀(7)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된다.Concrete wall formwork (6) is installed on both sides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all thickness when the wall construction, as shown in Figure 13a, 13b, the formwork on both sides across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wall thickness to block the flow of the formwork The zipping spacer pins 7 are fixed to each other.

이와 같은 상황에서 거푸집(6)과 케이스(100)의 폭이 같은 규격(W1)으로 형성됨으로 불가피하게 상기 스페이서핀(7)은 케이스(100)를 관통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양측 거푸집(6)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핀(7)의 위치에 맞추어 케이스 바닥면(110)에 드릴링작업으로 여러개의 스페이서핀 구멍을 형성해야 됨으로 거푸집 설치작업에 인력과 시간을 낭비시키고 벽체시공을 지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situation, since the widths of the formwork 6 and the case 100 are formed to the same standard (W1), the spacer pin 7 inevitably penetrates the case 100. Therefor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pacer pin (7) installed between the two side mold (6) by drilling a plurality of spacer pin hol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by drilling work to waste the manpower and time in the formwork installation work wall constru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delays.

둘째, 콘센트(8)가 바닥면(110)에 노출설치되어 있음으로 간섭이 발생된다.Second, since the outlet 8 is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110, interference occurs.

셋째, 케이스 내부에 합판(170)을 설치하여 각종 기기를 설치하게 되므로 상기 기기들이 반복적으로 착,탈되면서 합판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불안정한 설치상태가 된다.Third, since the plywood 17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install various devices, the devices are repeatedly attached and detached, so that the plywood state becomes poor, resulting in an unstable installation state.

넷째, 바닥면과 평행면으로 설치되는 증폭기만을 설치할 수 있을뿐, 바닥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기기는 설치가 불가능하다.Fourth, only the amplifier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loor can be installed, it is impossible to install the devic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다섯째, 바닥면이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전달하게 되는 압력에 의해 중간부가 변형을 일으키게 되므로 설치상태가 불량하게 된다.Fifth, the installation surface is poor because the middle part is deformed by the pressure delivered to the floor when the concrete is poured.

여섯째, 장치 상호간에 전자파 간섭이 발생하여 기능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Sixth,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ccurs between devices, causing a decrease in function.

일곱째, 배근되는 철근에 케이스를 장착할 때 클립(116)을 결합하여 리벳팅 작업을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Seventh, when the case is mounted on the reinforcing bar is combined with the clip 116 to perform the riveting work, workability is reduced.

상기 다섯째 내지 일곱번째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10-2002-0063483호로 출원되어 기등록된 "증폭기 전용 케이스"(이하 "종래 기술2"라 칭함)를 제안한 바 있다.As an alternative to the fifth to seventh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pre-registered "amplifier-only c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filed under patent application No. 10-2002-0063483.

상기 종래 기술2(200)는 도 11에 설치상태 정면도, 도 12에 단면도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10)의 배면에 보강리브(211)가 형성되며, 전자파 간섭을 위한 격벽(240)이 설치되고, 측벽(220)의 상단 외측단부에는 철근을 잡아주기 위하여 외측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260)가 형성된 것이다.The prior art 2 (200) is a front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in Figure 11,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in Figure 12, a reinforcing rib 211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bottom surface 210, the partition wall 240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Is installed, and a flange portion 260 that is bent outwardly to hold the rebar is formed at the upper outer end of the side wall 220.

그러나 상기 격벽(240)으로 인하여 케이블(261) 배선이 돌출되는 한편, 철근을 잡아주기 위한 구성이 폭이 넓은 플랜지부(260)로 형성됨으로써 자재가 낭비되고, 유연성이 미흡하여 철근(5)의 억지끼움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due to the partition wall 240, the wiring of the cable 261 is protruded, and the structure for holding the reinforcing bar is formed by the wide flange portion 260, which wastes material, and the flexibility is insufficient. There was a problem of making the interference fit difficul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고안의 목적은 콘센트박스를 측벽 외측으로 돌출형성함으로써 바닥면의 폭을 거푸집의 폭보다 좁혀주어 거푸집 스페이서핀 관통을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케이스에 대한 드릴링 천공작업을 배제시켜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trude the outlet box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to narrow the width of the bottom than the width of the formwork, thereby eliminating the drilling and drilling work for the case involved in the prior art to penetrate the formwork spacer pin, significantly improving workability. To provide an amplifier and a communication hub buried case for communica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를 콘센트박스 내에 수납시켜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mplifier and a communication hub buried case for storing an outlet in an outlet box to prevent interferenc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시에도 기기의 설치가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ried case for both an amplifier and a communication hub, which enables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to be stably and stable even in long-term us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증폭기뿐만 아니라 통신용 통신용 허브 케이스를 겸하도록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mplifier and a communication hub for use as a buried case which serves as a communication hub case for communication as well as an amplifie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파 간섭을 차단함은 물론 케이블의 배선정리가 간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mplifier and a communication hub buried case for preventing the interference of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s well as concise wiring arrangement of the cabl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에 구비되는 철근홀더가 자재를 절감함과 아울러 유연성을 향상시켜 배근된 철근에 대한 고정작업이 용이도록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ried case for an amplifier and a communication hub for reinforcing bar holder provided in a case, which reduces materials and improves flexibility, thereby making it easy to fix the reinforcing bar.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Figure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콘센트박스 구성의 확대 사시도Figure 1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box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받침대의 확대 사시도Figure 1c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일부 배제 결합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clusion combination of Figure 1

도 3은 도 2의 설치상태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FIG.

도 4는 도 3의 A-A선 일부 상세 단면도4 is a partial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도 2의 일부 확대 측면도5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of FIG. 2;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받침대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사용상태의 일부생략 단면도7 is a partially omitted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use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본 고안의 거푸집 설치상태 정면도8a is a front view of the formwork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도 8a의 평면도FIG. 8B is a top view of FIG. 8A

도 9는 종래 기술1의 설치상태 정면도9 is a front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ior art 1

도 10은 종래 기술1의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or art 1

도 11은 종래 기술2의 설치상태 정면도11 is a front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ior art 2

도 12는 종래 기술2의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or art 2

도 13a는 종래 기술의 거푸집 설치상태 정면도Figure 13a is a front view of the formwork installation state of the prior art

도 13b는 13a의 평면도13B is a top view of 13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본 고안의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1: buried case for amplifier and communication hub

2,3: 증폭기 4: 허브단자 5: 철근 6: 거푸집2,3: amplifier 4: hub terminal 5: rebar 6: die

7: 스페이서핀 8: 콘센트 9: 분배기 10: 바닥면7: spacer pin 8: outlet 9: distributor 10: bottom

11: 리브 12,26, 31c: 피스공 13: 격벽홀더 20: 측벽11: rib 12, 26, 31c: piece hole 13: bulkhead holder 20: side wall

21: 사각통공 22: 단턱 23: 격벽홀더 25: 러그21: square hole 22: step 23: partition holder 25: lug

30: 콘센트박스 31: 사각틀 31a: 사각측벽 31b: 플랜지30: outlet box 31: square frame 31a: square side wall 31b: flange

31d,33a: 클립편 31e: 걸림홈 33: 콘센트박스 본체31d, 33a: Clip piece 31e: Hanging groove 33: Outlet box body

40: 격벽 41: 케이블 통로 50,50': 받침대 51: 그루브40: bulkhead 41: cable passage 50, 50 ': pedestal 51: groove

51a: 확장부 53: 양단 수직부 55: 측면 수직부51a: Expansion part 53: Both ends vertical part 55: Side vertical part

60: 철근홀더 81: 케이블 83: 브래킷 85: 케이블 파이프60: rebar holder 81: cable 83: bracket 85: cable pipe

100: 종래 기술1 200: 종래 기술2100: prior art 1 200: prior art 2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는,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mplifier and communication hub for buried case,

사각형 모양의 바닥면 둘레에 측벽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격벽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측벽 외측으로 철근홀더가 구비된 매립형 케이스에 있어서,In the buried case with a side wall is provided around the bottom of the square shape, the partition is detachably provided inside, the reinforcement holder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상기 측벽 중 어느 일측에는 사각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통공에 연통되도록 콘센트박스가 측벽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기기의 설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한다.A rectangular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ide walls, and the outlet box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quare through hole, and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edestal for installing the device.

여기서 상기 콘센트박스는 상기 측벽의 사각통공에 결합되는 사각측벽 내측으로 콘센트가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가 대향하여 구비된 사각틀과, 상기 사각틀에 결합되는 콘센트박스 본체가 결합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outlet box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square frame provided with a flange for the outle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quare side wall coupled to the square hole of the side wall, the outlet box body coupled to the square frame.

상기 사각틀은 상기 측벽의 사각통공에 결합되기 위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클립편과, 상기 콘센트박스 본체가 결합되기 위하여 요입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박스 본체는 상기 사각틀의 걸림홈에 결합되기 위한 클립편이 다수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rectangular fram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lip pieces protruding to be coupled to the rectangular through-hole of the side wall,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re formed to be recessed to couple the outlet box body, the outlet box body is a locking groove of the rectangular fra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clip pieces are formed to protrude.

또한, 상기 격벽은 케이블 통로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with a cable passage.

또한, 상기 바닥면에는 피스공이 다수 형성된 리브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리브의 피스공을 이용하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ib having a plurality of piece holes formed in a lattice shape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pedestal is coupled using the piece hole of the rib.

상기 받침대는 기기가 설치되는 평면에는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하향형성되는 수직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pedestal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plane on which the device is installed, the vertical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are formed downward.

이와 함께 상기 받침대는 피스공이 형성된 수직부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Along with this, the pedestal may have a vertical portion formed with a piece hole on its side.

상기 철근홀더는 걸고리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holder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또한, 상기 측벽은 상단부에는 뚜껑이 결합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되며,In addition, the side wall is formed with a step for the li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측벽의 내측면에는 피스공이 형성된 다수의 러그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lugs having a piece hole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이하, 본 고안의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amplifier and the communication hub for a communication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받침대를 제외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Figure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except the pedestal in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of FIG. 2.

도 1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1)는 MA(Master Antener)용 증폭기(2)와 CA(Cable TV)용 증폭기(3) 및 통신용 허브단자(4)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케이스가 구성되는데, 상기 케이스는 사각형 모양의 바닥면(10) 둘레에 측벽(20)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격벽(4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벽(20) 외측으로 철근홀더(60)가 구비되되,As shown in Figures 1a to 5, the amplifier and communication hub buried ca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mplifier (2) for MA (Master Antener) and the amplifier (3) for CA (Cable TV) and the communication hub The case is configured to mount the terminal (4), the case is provided with a side wall 20 around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rectangular shape, the partition 40 is installed inside the removable wall and the side wall 20 Reinforcement holder 60 is provided to the outside,

상기 측벽(20) 중 어느 일측에는 사각통공(21)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통공(21)에 연통되도록 콘센트박스(30)가 측벽(20)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기기의 설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50)가 부여되는 것이다.One side of the side wall 20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through-hole 21, the outlet box 3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20 to communicate with the square through-hole 21,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on the bottom surface At least one or more pedestal 50 is provided for.

이와 같이, 콘센트박스(30)가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바닥면의 폭이 콘센트(8)가 설치되는 치수만큼 좁혀지게 된다.As such, the outlet box 3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se so that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is narrowed by the size of the outlet 8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콘센트박스(30)는 도 1b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의 사각통공(21)에 결합되는 사각측벽(31a) 내측으로 콘센트(8)가 고정되기 위한 피스공(31c)이 형성된 플랜지(31b)가 대향하여 구비된 사각틀(31)과, 상기 사각틀(31)에 결합되는 콘센트박스 본체(33)가 결합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outlet box 30 has a piece hole 31c for fixing the outlet 8 into the square side wall 31a coupled to the square through hole 21 of the side wall, as shown in detail in FIG. 1B.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tangular frame 31 provided with the flange 31b facing each other and the outlet box body 33 coupled to the rectangular frame 31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사각틀(31)은 상기 측벽의 사각통공(21)에 결합되기 위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클립편(31d)과, 상기 콘센트박스 본체(33)가 결합되기 위하여 요입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31e)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박스 본체(33)는 상기 사각틀의 걸림홈(31e)에 결합되기 위한 클립편(33a)이 다수 돌출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rectangular frame 31 has a plurality of clip pieces 31d protruding to be coupled to the rectangular through hole 21 of the side wall,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1e formed to be recessed to couple the outlet box body 33. ) Is formed, and the outlet box body 33 may have a plurality of clip pieces 33a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groove 31e of the rectangular frame.

상기 클립편(31d)(33a)은 선단부가 외측으로 걸림턱(H)이 형성된 대략 반쪽 화살촉모양(도 4 참조)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센트박스 본체(33)에는 케이블 인입시 파손 절취되는 절취부(33b)가 형성된다.The clip pieces 31d and 33a are preferably formed in an approximately half arrowhead shape (see FIG. 4) in which a tip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H) outward. In addition, the outlet box body 33 is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33b that is damaged when the cable is inserted.

상기 바닥면(10)의 중간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는 격벽(40)은 케이블 통로(41)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케이블 통로(41)는 조립이 자유롭기 위하여 격벽(40)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여 하단부에 요입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 cable passage 41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40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bottom surface 10. At this time, the cable passage 41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ower en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partition wall 40 in order to free assembly.

또한, 상기 격벽(40)에는 그루브(43)와 후술하는 격벽홀더(13)의 삽지공(13a)에 끼워지기 위하여 대응위치의 단부에 단턱돌기(45)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barrier rib 40 may be provided with a stepped protrusion 45 at the end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order to be fitted into the groove 43 and the insertion hole 13a of the barrier holder 13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격벽(40)이 착,탈되기 위하여 바닥면(10)에 삽지공(13a)이 형성된 격벽홀더(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격벽홀더(13)와 일치하는 선상에 격벽이 끼워지는 격벽홀더(23)가 측벽(20)면에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a partition holder 13 having an insertion hole 13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artition wall 40 so that the partition wall is fitted on a line coinciding with the partition wall holder 13. The partition holder 23 protrudes from the side wall 20 surface.

이와 함께 상기 바닥면(10)에는 피스공(12)이 다수 형성된 보강 리브(11)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50)는 리브의 피스공(12)을 이용하여 고정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10 has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1 having a plurality of pieces of holes 12 are formed in a lattice shape, and the pedestal 50 is fixed using the pieces of holes 12 of the ribs.

상기 받침대(50)는 도 1c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가 설치되는 평면에는 다수의 그루브(51)가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받침대의 고임부로서 하향형성되는 수직부(53)가 형성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1C, the pedestal 50 has a plurality of grooves 51 formed in a plane on which the device is installed, and a vertical portion 53 downwardly formed as a ridge of the pedestal is formed at both ends.

상기 수직부(53)는 양단부 사이에도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vertical portion 53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both ends.

또한, 상기 받침대(50)에 다수 형성되는 그루브(51) 중에서 대략 양측 중심에 형성되는 그루브(51)에는 상기 바닥면의 리브(11)에 결합되는 피스 관통을 위하여 확장부(51a)가 형성된다.In addition, among the grooves 51 formed on the pedestal 50, the grooves 51 formed at the centers on both sides of the grooves 51 are formed with an extension portion 51a for penetrating the pieces coupled to the ribs 11 of the bottom surface. .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받침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공(56)이 형성된 측면수직부(55)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50 'may be provided with a side vertical portion 55 having a piece hole 56 formed thereon, as shown in FIG. 6.

상기 철근홀더(60)는 걸고리 형태로 측벽(20)의 4면에 소정 간격으로 두루 형성되거나 대향하는 2개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측벽(2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홀딩공간(63)은 철근(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철근(5)이 압착탄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철근홀더(60) 사이에는 측벽(20) 외측으로 철근을 지지하는 노브(28)가 형성된다.The reinforcing holder 60 may be formed on the four surfaces of the side wall 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orm of hooks or on two opposite surfaces, and the holding space 63 formed between the side walls 20 is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5 is form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 5 is pressed. In addition, between the reinforcing bar holder 60, a knob 28 for supporting the reinforcing bar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20 is formed.

상기 측벽(20)은 상단부에는 단턱(22)이 형성되며, 측벽(20)의 내측면에는 피스공(26)이 형성된 다수의 러그(25)가 형성된다.The side wall 20 has a stepped portion 22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lugs 25 formed with a piece hole 26 are formed at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20.

미설명부호 9는 분배기, 27은 케이블 파이프 인입을 위한 절취부, 81은 케이블, 83은 브래킷, 85는 케이블 파이프, 90은 피스이다.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distributor, 27 a cutout for cable pipe entry, 81 a cable, 83 a bracket, 85 a cable pipe, 90 a piece.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is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의 설치 및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amplifier and the communication hub for a combined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케이스 측벽(20) 외측으로 콘센트박스(30)를 결합시킨다.First, the outlet box 3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side wall 20.

케이스 측벽(20)의 사각통공(21)에 콘센트박스(30)의 사각틀(31)을 외측에서 밀어넣으면 상기 클립편(31d)의 걸림턱(H)이 사각통공(21)에 끼워지면서 고정되고, 상기 사각틀(31)에 같은 방법으로 콘센트박스 본체(33)를 밀어넣게 되면 역시 콘센트박스 본체(33)의 클립편(33a)의 걸림턱(H)이 사각틀의 걸림홈(31e)에 탄력 장착됨으로써 케이스 본체에 대한 콘센트박스(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When the square frame 31 of the outlet box 30 is pushed into the square through hole 21 of the side wall 20 from the outside, the locking jaw H of the clip piece 31d is fixed while being fitted into the square through hole 21. When the outlet box main body 33 is pushed into the rectangular frame 31 in the same manner, the locking jaw H of the clip piece 33a of the outlet box main body 33 is elastically mounted in the locking groove 31e of the rectangular frame. By doing so, the outlet box 30 is coupled to the case body.

다음, 건물 내부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배근된 철근(5)(도 5참조)에 케이스(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철근(5)을 측벽(20)과 철근홀더(60)에 사이인 홀딩공간(63)에 끼워 넣으면 철근홀더(60)가 갖는 합성수지재의 탄성으로 철근에 압착됨으로 케이스(1)가 철근에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철근홀더(60)가 걸고리 형태로 형성됨으로 유연성이 향상되어 철근 삽입시에 억지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케이스(1)의 고정상태를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하여 미도시된 철끈으로 철근(5)과 철근홀더(60)를 묶어 고정시킬 수 있다.Next, holding the reinforcing bar 5 between the side wall 20 and the reinforcing holder 60 in order to fix the case 1 to the reinforcing bar 5 (refer to FIG. 5) arrang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building. When the case 63 is inserted into the space 63, the case 1 is fixed to the rebar by being pressed against the rebar by the elasticity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of the reinforcing holder 60.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holder 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thereby improving flexibility, thereby easily inserting the bar when inserting the reba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ore firmly secure the fixed state of the case 1 can be fixed by tying the reinforcing bar 5 and the reinforcing bar holder 60 with an iron strap not shown.

동시에 상기 측벽에 형성된 러그(25)의 피스공(26)을 이용하여 일측 거푸집(6)에 케이스(1)를 체결하여 거푸집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진다(도 8a에 설치상태 입면도, 8b에 평면도 참조)At the same time, the case 1 is fastened to the formwork 6 by using the piece hole 26 of the lug 25 formed on the side wall to fix the formwork (see the installation state elevation in FIG. 8A and the plan view in 8B).

이 때,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10)의 폭(W2)은 콘센트(8)가 점유하는 폭(약 50㎜)만큼 감축되어 거푸집의 폭(600㎜)보다 좁은 약 550㎜로 형성됨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거푸집(6) 사이에 부여되는 스페이서핀(7)은 상기 콘센트박스(30)를 피하여 케이스(1)를 거치지 않고 설치될 수 있어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케이스에 대한 드릴링 천공작업이 배제되며 설치작업이 현저히 간편하게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width (W2) of the bottom surface 10 of the case is reduced by the width (about 50mm) occupied by the outlet 8 is formed to about 550mm narrower than the width (600mm) of the formwork on both sides The spacer pins 7 provided between the molds 6 to be installed can be install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ase 1 to avoid the outlet box 30, thereby eliminating drilling and drilling work for the case that has been involved in the prior art. The work is significantly simpler.

이와 같이 거푸집(6) 및 케이스(1)의 설치가 완료되고 콘센트박스(30) 및 측벽(20)에 형성된 절취부(33b)(27)를 파손시켜 케이블 파이프(85)를 연결하고 단턱(22)을 이용하여 미도시된 패널을 장착하여 케이스 전면을 커버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가 이루어지고, 거푸집을 탈거함으로써 벽체의 시공과 함께케이스(1)가 벽체에 매립설치된다.In this way, the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6 and the case 1 is completed, and the cutouts 33b and 27 formed in the outlet box 30 and the side wall 20 are damaged to connect the cable pipe 85 and the step 22 Using a panel (not shown) to cover the front of the case, the concrete is poured and hardened, and by removing the formwork, the case 1 is embedded in the wall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이 때, 상기 바닥면(10)에 형성된 보강 리브(11)는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압력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rib 1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 is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sure generated during the concrete casting.

이와 같이 매립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콘센트박스(30)의 플랜지(31b)를 이용하여 콘센트(8)를 설치 고정한다. 따라서 콘센트가 콘센트박스 내에 수납 설치됨으로 노출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어 기기의 안정적인 운용이 이루어진다.When the landfill install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outlet 8 is fixed by using the flange 31b of the outlet box 30. Therefore, since the outlet is stored in the outlet box, interference due to exposure is prevented and stable operation of the device is achieved.

그리고 바닥면(10)에 상기 받침대(50)를 적절한 위치에 자유롭게 고정한다.The pedestal 5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10 at an appropriate position.

상기 받침대(50)의 고정은 상기 그루브(51) 중에서 확장부(51a)를 이용하여 바닥면의 리브(11)에 형성된 피스공(12)에 체결한다.The fixing of the pedestal 50 is fastened to the piece hole 12 formed in the rib 11 of the bottom surface by using the extension part 51a of the groove 51.

다음, 상기 받침대(50) 상에 그루브(51)를 이용하여 MA용 증폭기(2), CA용 증폭기(3), 및 분배기(9)를 설치함과 아울러 케이블(81)의 배선이 이루어진다.Next, using the groove 51 on the pedestal 50, the MA amplifier 2, the CA amplifier 3, and the distributor 9 are provided, and the cable 81 is wired.

또한, 도 7에 일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50')를 측면 수직부(55)가 바닥면(10)의 리브(11)에 접하도록 고정함으로써 그루브(51)가 형성된 받침면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여기에 형성된 그루브(51)를 이용하여 수직면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기기들을 자유롭게 설치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supporting surface on which the groove 51 is formed is fixed by fixing the pedestal 50 ′ so that the side vertical portion 55 contacts the rib 11 of the bottom surface 10. By using the grooves 51 formed vertically and formed therein, the devices are installed freely using the vertical surface.

통신용 허브단자(4)는 상기 증폭기와 같이 바닥면에 평행하게 설치되거나 수직면을 이용하여 설치됨으로 본 고안은 증폭기 케이스뿐만아니라 통신용 단자 케이스로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communication hub terminal 4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such as the amplifier or is installed using a vertical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s a terminal case for communication as well as an amplifier case.

향후 기기의 착탈이 반복되어 받침대(50)의 피스 체결자리가 불량해질 경우에는 체결위치를 조정하고, 또한 받침대를 교체하여 기기의 체결고정이 견고하게이루어진다.In the future, when the detachment of the device is repeated and the piece fastening seat becomes poor, the fastening position is adjusted, and the fastening of the device is securely performed by replacing the fastening device.

한편, 상기 격벽(40)은 격벽홀더(13)(23)를 이용하여 설치되되, 케이블 통로(41)를 통하여 케이블(81)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기기들간의 전자파 간섭을 차단함과 아울러 케이블의 배선정리가 간결하게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wall 40 is installed using the partition holder 13, 23, the cable 81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cable passage 41 to block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etween the devices and the cable The wiring arrangement is simple.

그리고, 케이스 측벽(20)에 형성된 단턱에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미도시된 도어를 위치시키면서 개,폐가능하게 설치한다.In addition,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which are not shown, constituted by a pair of two, are installed on a step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case 20.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는,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amplifier and the communication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buried case,

첫째, 콘센트박스를 측벽 외측으로 돌출형성함으로써 바닥면의 폭을 거푸집의 폭보다 좁혀주어 거푸집 스페이서핀 관통을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케이스에 대한 드릴링 천공작업을 배제시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First, by forming the outlet box to protrude outside the side wall,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ormwork, and thus the workability is remarkably improved by eliminating the drilling perforation work for the case, which has been involved in the prior art, for penetrating the formwork spacer pin. have.

둘째, 콘센트가 상기 콘세트박스 내에 수납되어 노출되지 않음으로 노출에 따른 간섭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outlet is not exposed because it is housed in the container, there is an effect that interference due to exposure is blocked.

셋째, 상기 착탈이 자유로운 받침대를 이용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기기의 설치가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Thir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is stable and stable even in the long-term use by using the detachable pedestal.

넷째, 상기 받침대가 바닥면에 수직으로 전환설치가 가능하여 증폭기뿐만 아니라 통신용 허브단자를 겸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support can b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floor can be installed as a hub for communication as well as a communication terminal.

다섯째, 격판에 케이블통로가 형성되어 기기간의 전자파 간섭을 차단함은 물론 케이블의 배선정리가 간결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Fifth, the cable passage is formed in the diaphragm to block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etween the devices, as well as to simplify the wiring arrangement of the cable.

여섯째, 케이스에 구비되는 철근홀더가 걸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자재를 절감함과 아울러 유연성을 향상시켜 배근된 철근에 대한 고정작업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Sixth, the reinforcing holder provided in the case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to reduce the material and improve the flexibility to facilitate the fixing work for th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Claims (11)

사각형 모양의 바닥면(10) 둘레에 측벽(20)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격벽(40)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측벽(20) 외측으로 철근홀더(60)가 구비된 매립형 케이스에 있어서,In the buried case having a side wall 20 around the bottom of the square shape 10, the partition 40 is detachably provided therein and the reinforcing holder 60 is provided outside the side wall 20, 상기 측벽(20) 중 어느 일측에는 사각통공(21)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통공(21)에 연통되도록 콘센트박스(30)가 측벽(20)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One side of the side wall 20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through-hole 21, the outlet box 30 is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side wall 20 to communicate with the square through-hole 21, 상기 바닥면(10)에는 기기의 설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50)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At least one pedestal 50 for installation of the devic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0, an amplifier and a communication hub buried cas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센트박스(30)는 상기 측벽의 사각통공(21)에 결합되는 사각측벽(31a) 내측으로 콘센트(8)가 고정되기 위한 피스공(31c)이 형성된 플랜지(31b)가 대향하여 구비된 사각틀(31)과, 상기 사각틀(31)에 결합되는 콘센트박스 본체(33)가 결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The outlet box 30 is a rectangular frame provided with a flange 31b formed with a piece hole 31c for fixing the outlet 8 into the square side wall 31a coupled to the square through hole 21 of the side wall. (31), the outlet box body 33 is coupled to the square frame 31, the amplifier and the communication hub for both ca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ed configuratio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사각틀(31)은 상기 측벽의 사각통공(21)에 결합되기 위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클립편(31d)과, 상기 콘센트박스 본체(33)가 결합되기 위하여 요입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31e)이 형성되고,The rectangular frame 31 has a plurality of clip pieces 31d protruding to be coupled to the rectangular through hole 21 of the side wall,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1e formed to be recessed to couple the outlet box body 33. ) Is formed, 상기 콘센트박스 본체(33)는 상기 사각틀의 걸림홈(31e)에 결합되기 위한 클립편(33a)이 다수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The outlet box main body (33) is a hub and buried case for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clip pieces (33a) for coupling to the engaging groove (31e) of the rectangular frame is formed protruding.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클립편(31d)(33a)은 선단부가 외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대략 반쪽 화살촉모양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The clip piece (31d) (33a) is a hub and buried case for both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hub,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ughly half arrowhead with a locking step outwar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격벽(40)은 케이블 통로(4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The partition wall 40 is a buried case for amplifier and communication hub,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passage 41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닥면(10)에는 피스공(12)이 다수 형성된 리브(11)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고,On the bottom surface 10, ribs 11 having a plurality of piece holes 12 are formed in a lattice shape, 상기 받침대(50)는 상기 리브의 피스공(12)을 이용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The pedestal (50) is a buried case for both amplifier and communication hub,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by using the piece hole (12) of the rib.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받침대(50)는 기기가 설치되는 평면에는 다수의 그루브(51)가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하향형성되는 수직부(5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The pedestal 50 has a plurality of grooves (51) is formed on the plane on which the device is installed, both ends of the amplifier and communication hub buried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portion 53 is formed downwardly formed.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받침대(50')는 피스공(56)이 형성된 수직부(55)가 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The pedestal (50 ') is a buried case for amplifier and communication hub,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portion (55) formed with a piece hole 56 is provided on the sid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받침대(50)에 다수 형성되는 그루브(51) 중에서 대략 양측 중심에 형성되는 그루브는 상기 바닥면의 리브(11)에 결합되는 피스 관통을 위하여 단부에 확장부(51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Among the grooves 51 formed on the pedestal 50, grooves formed at approximately both centers have an extension portion 51a formed at an end portion thereof to penetrate a piece coupled to the rib 11 of the bottom surface. Landfill case for both amplifier and communication hub.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철근홀더(60)는 걸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측벽의 4면 또는 대향하는 2개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The reinforcing holder 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the hub and buried case for both communication and hub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four sides or two opposite sides of the side wal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벽(20)은 상단부에는 단턱(22)이 형성되며,The side wall 20 is formed with a step 22 at the upper end, 측벽(20)의 내측면에는 피스공(26)이 형성된 다수의 러그(2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및 통신용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A buried case for amplifier and communication hub,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ugs (25) formed with a piece hole (26).
KR20-2004-0002912U 2004-02-06 2004-02-06 A burry case for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on and signal distributor KR20034948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912U KR200349486Y1 (en) 2004-02-06 2004-02-06 A burry case for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on and signal distribu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912U KR200349486Y1 (en) 2004-02-06 2004-02-06 A burry case for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on and signal distribu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767A Division KR20050079692A (en) 2004-02-06 2004-02-06 A burry case for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on and signal distribu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486Y1 true KR200349486Y1 (en) 2004-05-08

Family

ID=4934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912U KR200349486Y1 (en) 2004-02-06 2004-02-06 A burry case for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on and signal distribu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48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049B2 (en) Hook facility for concrete structure
JP2011072085A (en) Protector for wire harness
KR200349486Y1 (en) A burry case for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on and signal distributor
KR100655132B1 (en) A construction method for laying wall of buiding a concent box
PL193564B1 (en) Apparatus support, in particular for electrical apparatus, and box comprising such an apparatus support
KR20050079692A (en) A burry case for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on and signal distributor
KR101010309B1 (en) Terminal box
KR200387576Y1 (en) Terminal box
KR200423745Y1 (en) Terminal box
KR100715952B1 (en) Terminal box
US6455780B2 (en) Branch connection accessory for fitting at a junction between two lengths of trunking
KR100655141B1 (en)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ent box
KR200348320Y1 (en) A burry case for tv antenna cable and signal distributor
KR200242769Y1 (en) structure of a terminal box
JP2588237B2 (en) Mounting structure of the closing plate at the floor panel opening
KR200248024Y1 (en) loy type electric wiring box
JP4045840B2 (en) Floor wiring device
KR200306198Y1 (en) Amplification equipment exclusive use case
KR20080002153U (en) Terminal case
KR100399416B1 (en) Fixing equipment of home automation apparatus
JP2847336B2 (en) Concrete burying box
KR200423746Y1 (en) Terminal box
KR200254024Y1 (en) Meter case
KR20190019449A (en) Distribution Panel for Easy Wall Distance Adjustment
JP3574969B2 (en) Buried box device, buried box and bar material for mounting buried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