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345Y1 - 선별기 구멍 막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선별기 구멍 막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345Y1
KR200349345Y1 KR20-2004-0002668U KR20040002668U KR200349345Y1 KR 200349345 Y1 KR200349345 Y1 KR 200349345Y1 KR 20040002668 U KR20040002668 U KR 20040002668U KR 200349345 Y1 KR200349345 Y1 KR 200349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ixing
hole
elastic material
s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창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창환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창환경산업
Priority to KR20-2004-0002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3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3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현장이나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건설 폐기물 등을 흙과 모래및 자갈로 선별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선별기의 드럼에 형성된 구멍이 수분을 함유한 모래나 흙 등으로 인하여 막히지 않도록 뚫어주는 선별기 구멍 막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외측에 구멍이 뚫린 드럼을 이용하여 골재를 선별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측면에 드럼을 따라 고정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대에는 드럼의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캡을 고정하며, 상기 고정캡에 탄성재를 끼우되 상기 탄성재의 선단이 드럼의 구멍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캡의 측면에는 탄성재를 잡아주는 고정볼트를 설치하고 고정캡의 하부에는 탄성재를 밀어내는 조절볼트를 설치하여 탄성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가며 드럼의 구멍을 탄성재로 뚫어 주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별기 구멍 막힘 방지 장치{Sorter hole that is blocked prevention device}
본 고안은 건설현장이나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건설 폐기물 등을 흙과 모래및 자갈로 선별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선별기의 드럼에 형성된 구멍이 수분을 함유한 모래나 흙 등으로 인하여 막히지 않도록 뚫어주는 선별기 구멍 막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고 건설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철재와 목재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흙과 모래 및 골재로 분류하여 복토재나 보조 기층용 골재 또는 매립지를 메우는 되메우기 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축자재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은 이미 실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폐기물은 철재, 목재, 흙, 자갈, 모래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파쇄장치를 이용하여 파쇄시킨 후 선별기를 이용하여 종류별로 선별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그 중 선별기는 원통형의 드럼에 일정간격으로 구멍을 뚫어준 후 드럼을 약간 경사지게 설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상측에서 투입기에 설치된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파쇄물을 넣어주면 드럼이 회전하면서 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종류 즉 흙이나 모래 등은 구멍을 통하여 배출되고 그 보다 큰 골재는 드럼을 타고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된 선별기는 골재의 선별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된 선별기의 문제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파쇄물의 선별시 수분이 함유된 모래나 흙이 드럼의 구멍을 막아 선별이 이루어지지 않아 선별 효율이 크게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드럼의 구멍을 뚫어주어야 한다.
드럼의 구멍을 뚫어주기 위해서는 사람이 일일이 드럼의 구멍을 막은 흙이나 모래를 털어내어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구멍이 막힐수록 선별력이 떨어져 작업 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선별기의 드럼에 뚫린 구멍을 선별기의 드럼이 일회전할 때마다 뚫어 줄 수 있도록 하여 구멍이 전혀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 선별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선별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외측에 구멍이 뚫린 드럼을 이용하여 골재를 선별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측면에 드럼을 따라 고정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대에는 드럼의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캡을 고정하며, 상기 고정캡에 탄성재를 끼우되 상기 탄성재의 선단이 드럼의 구멍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캡의 측면에는 탄성재를 잡아주는 고정볼트를 설치하고 고정캡의 하부에는 탄성재를 밀어내는 조절볼트를 설치하여 탄성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가며 드럼의 구멍을 탄성재로 뚫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선별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선별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선별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탄성재 길이 조절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별기 11 : 드럼
12 : 구멍 13 : 고정부재
20 : 고정대 21 : 고정캡
22 : 탄성재 23 : 고정볼트
24 : 조절볼트 25 : 고정다리
26 : 장홈
본 고안은 투입기(5)를 통하여 투입되는 폐기물을 모래와 흙 및 골재로 선별하는 선별기(10)에 있어서, 선별기(10)의 드럼(11) 일측에 드럼(11)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대(20)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대(20)의 선단에 탄성재(22)가 끼워지는 고정캡(21)을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캡(21)에 끼워진 탄성재(22)의 선단이 드럼(11)의구멍(12)에 끼워지면서 구멍(12)이 막히지 않도록 하되 상기 탄성재(22)는 고정볼트(23)와 조절볼트(24)에 고정과 길이가 조절되게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고정캡(21)에 일정길이의 탄성재(22)를 끼우고 고정캡(21)의 측면에서 고정볼트(23)로 고정시키되 상기 탄성재(22)의 선단이 드럼(11)의 외표면에 밀착되면서 구멍(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드럼(12)이 회전될 때 자동적으로 드럼(11)의 구멍(12)이 탄성재(22)에 의해 뚫리게 되어 수분이 많이 함유된 흙이나 모래 및 골재를 선별하더라도 구멍(12)이 막히지 않도록 하므로서, 선별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선별기(10)의 드럼(11)이 일회전 할 때마다 한번씩 탄성재(22)가 구멍(12)에 끼워져 구멍(12)을 막고있던 물질을 제거시키게 되므로 항상 구멍(12)이 막히지 않은 채로 선별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선별기(10)는 원통형의 드럼(11)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드럼(11)의 외측으로 구멍(12)이 등 간격으로 뚫리며, 상기 드럼(11)은 경사진 상태로 회전시키되 상측으로 투입기(5)에서 선별물을 투입한 후 드럼(11)을 회전시키면 구멍(12)을 통하여 흙이나 모래를 선별하고 나머지 골재는 드럼(11)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상기 드럼(11)의 측면에는 고정부재(13)가 설치되고 하측으로는 흙이나 모래를 이동시키는 콘베어벨트(14)가 설치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된 선별기(10)에 설치되어 구멍(12)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드럼(11)의 양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부재(13)의 일측 상부에 고정대(20)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대(20)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다리(25)를 고정부재(13)에볼트(27)로 결합시켜 고정시키게 되며, 여기서 고정다리(25)에는 장홈(26)을 형성시켜 볼트(27)로 결합시킬 때 장홈(26)을 이용하여 고정대(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대(20)에 설치된 고정캡(21)에 탄성재(22)를 끼우고 고정볼트(23)를 조여 탄성재(22)의 선단이 드럼(11)의 구멍(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된 탄성재(22)는 쓰레기나 폐기물 선별 현장에서 사용 후 폐기되는 벨트 등을 잘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고정대(20)는 고정다리(25)를 이용하여 고정부재(13)에 결합시키되 장홈(26)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조절하여 결합시키게 되고 고정캡(21)에 끼워진 탄성재(22)는 고정볼트(23)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조절볼트(24)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고정볼트(23)를 풀고 조절볼트(24)를 돌리면 조절볼트(24)에 의해 탄성재(22)가 고정캡(21)에서 밀려 나가게 되어 탄성재(22)의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탄성재(22)의 돌출길이는 드럼(11)의 구멍(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되 구멍(12)이 아닌 위치에서는 드럼(11)의 외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놓이게 한다.
이 같이 고정대(20)를 설치하고, 고정캡(21)에 탄성재(22)를 끼운 후 드럼(11)을 회전시켜 선별작업을 하게 되면, 드럼(11)의 구멍(12)이 하측에 위치할 경우 드럼(11)의 내측으로 투입된 선별물에서 흙이나 모래를 배출시키게 되고, 드럼(11)이 더 회전하면 드럼(11)의 구멍(12)으로 배출되는 선별물이 없어지며, 조금 더 회전하면 탄성재(22)가 드럼(11)의 구멍(12)에 끼워져 구멍(12)을 뚫어주게 된다.
즉 드럼(11)에 투입된 선별물이 수분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드럼(11)의 구멍(12)은 수분을 함유한 흙이나 모래에 의해 막히게 되나 드럼(11)의 구멍(12)이 탄성재(22)가 설치된 위치로 회전되면 탄성재(22)가 드럼(11)의 구멍(12)에 끼워지게 되어 막혀진 구멍(12)을 뚫어주게 된다.
따라서 드럼(11)의 구멍(12)은 항상 뚫려있는 상태로 선별작업을 하게 되어 수분이 많이 포함된 선별물의 작업시에도 선별 능력이 저하되지 않아 선별 효율을 높힐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탄성재(22)는 드럼(11)의 외측에 접촉한 상태에서 드럼(11)이 회전하게 되어 구멍(12)을 뚫어주게 되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탄성재(22)의 선단이 닳게 되어 탄성재(22)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결국에는 탄성재(22)가 드럼(11)에 접촉하지 못하는 상태까지 탄성재(22)가 닳게 되며, 이 경우는 본 고안의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탄성재(22)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고정캡(21)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볼트(23)를 풀어 탄성재(22)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후 고정캡(21)의 하부에 설치된 조절볼트(24)를 돌려 탄성재(22)를 고정캡(21)에서 원하는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볼트(23)를 조여 탄성재(22)를 고정시키면 탄성재(22)로 드럼(11)의 구멍(12)을 뚫어줄 수 있는 것이다.
탄성재(22)가 완전히 닳아 못쓰게 되면 작업현장에서 사용하고 폐기되는 벨트를 잘라 탄성재(22)를 만들어 사용하면 되고, 탄성재(22)를 우레탄 등의 재질로 별도 제작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은 흙이나 모래 및 골재를 선별하는 선별기의 드럼에 뚫린 구멍이 수분을 함유한 흙이나 모래에 의하여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으로, 선별기의 구멍이 항상 막히지 않아 수분이 함유된 선별물도 쉽게 선별이 가능하고 선별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폐자재인 벨트를 이용하여 탄성재를 사용하므로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탄성재의 마모에 따라 손쉽게 길이를 조절하여 가며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원통형의 드럼(11)에 구멍(12)을 뚫고 드럼(11)을 회전시켜 흙과 모래 및 골재를 설별하는 선별기(10)에 있어서,
    상기 드럼(11)의 측면 상측에 드럼(11)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대(20)를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대(20)는 고정다리(25)를 이용하여 드럼(11)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에 고정볼트(27)로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대(20)에는 드럼(11)의 구멍(12)에 대향된 위치에 고정캡(21)을 설치하되 상기 고정캡(21)의 측면에는 고정볼트(23)를 끼우고 고정캡(21)의 하부에는 조절볼트(24)를 끼워주며,
    상기 고정캡(21)에는 탄성재(22)를 끼우되 상기 탄성재(22)의 선단이 드럼(11)의 구멍(12)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 탄성재(22)는 고정볼트(23)로 고정되고 조절볼트(24)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 구멍 막힘 방지 장치.
KR20-2004-0002668U 2004-02-04 2004-02-04 선별기 구멍 막힘 방지 장치 KR200349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668U KR200349345Y1 (ko) 2004-02-04 2004-02-04 선별기 구멍 막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668U KR200349345Y1 (ko) 2004-02-04 2004-02-04 선별기 구멍 막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345Y1 true KR200349345Y1 (ko) 2004-05-04

Family

ID=4942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668U KR200349345Y1 (ko) 2004-02-04 2004-02-04 선별기 구멍 막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3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323B1 (ko) 2017-12-21 2018-12-27 곽기원 음식물쓰레기 저장용 호퍼의 침출수 배출구 막힘방지 장치
KR102150410B1 (ko) * 2020-04-20 2020-09-01 이준호 선별공의 막힘을 해소하는 골재의 토분 선별 장치 및 방법
CN114558671A (zh) * 2022-02-25 2022-05-31 吉林农业大学 一种绿色循环农业的生产方法、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323B1 (ko) 2017-12-21 2018-12-27 곽기원 음식물쓰레기 저장용 호퍼의 침출수 배출구 막힘방지 장치
KR102150410B1 (ko) * 2020-04-20 2020-09-01 이준호 선별공의 막힘을 해소하는 골재의 토분 선별 장치 및 방법
CN114558671A (zh) * 2022-02-25 2022-05-31 吉林农业大学 一种绿色循环农业的生产方法、装置
CN114558671B (zh) * 2022-02-25 2023-04-11 吉林农业大学 一种绿色循环农业的生产方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2954A1 (en) Stripping device for recycled aggregate
KR100873954B1 (ko) 매립 폐기물 및 건축 폐기물 분쇄 분리 처리장치
US20060157598A1 (en) Device for processing excavated material
CA2480253C (en) Method for separating adhered paper from paper-covered gypsum board
US4773600A (en) Stumpit
KR200349345Y1 (ko) 선별기 구멍 막힘 방지 장치
US5875979A (en) Green waste processor
US5054703A (en) Stump chipper knife assembly
CN210146169U (zh) 用于双轴对辊撕扯式破碎机的刀盘组件
WO2012096560A1 (en) Cutter drum for use in tree trunk pulverizer
KR20030019778A (ko) 건설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KR200381991Y1 (ko) 건설 폐기물 재활용 처리 기계장치
KR101296136B1 (ko) 재활용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로터 어셈블리
KR200381990Y1 (ko)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AU2008202666B2 (en) Improved jaw crusher bucket
KR100639826B1 (ko) 참빗살을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KR20040053561A (ko) 다용도 폐기물 파쇄기 및 톱밥 제조장치
KR101084603B1 (ko) 파쇄장치
KR200317272Y1 (ko) 폐자재 파쇄기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200204210Y1 (ko)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
KR200342469Y1 (ko) 로드 밀형 파쇄기
KR200312535Y1 (ko) 원통형 드럼의 배출공 막힘 방지 장치
CA2133119A1 (en) Waste processing machine
KR200319155Y1 (ko) 폐기물 선별기의 타공망 막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