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259Y1 -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 - Google Patents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259Y1
KR200349259Y1 KR20-2004-0001390U KR20040001390U KR200349259Y1 KR 200349259 Y1 KR200349259 Y1 KR 200349259Y1 KR 20040001390 U KR20040001390 U KR 20040001390U KR 200349259 Y1 KR200349259 Y1 KR 200349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istle
interdental
uni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권
Original Assignee
황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권 filed Critical 황인권
Priority to KR20-2004-0001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2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을 이루는 칫솔모부를 복수의 공간부에 의해 일정크기를 갖는 다수의 단위칫솔모군으로 각각 구획 형성되게 하여 단위칫솔모군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부에 의해 각각의 단위칫솔모군을 이루는 칫솔모들이 자연스럽게 옆으로 누우면서 치아와 치아사이의 틈새부에 보다 확실하게 침투되도록 하여 치간에 끼인 프라그나 각종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칫솔본체(11) 선단의 칫솔헤드부(11) 일측판면에 칫솔모부(2)가 형성되도록 한 칫솔(A)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부(2)는 복수의 공간부(21)에 의해 단위칫솔모군(22)으로 다수 구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이다.

Description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Tooth brush for interdental cleaning}
본 고안은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을 이루는 칫솔모부를 복수의 공간부에 의해 일정크기를 갖는 다수의 단위칫솔모군으로 각각 구획 형성되게 하여 단위칫솔모군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부에 의해 각각의 단위칫솔모군을 이루는 칫솔모들이 자연스럽게 옆으로 누우면서 치아와 치아사이의 틈새부에 보다 확실하게 침투되도록 하여 치간에 끼인 프라그나 각종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세정이나 치아보호의 목적으로 칫솔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바,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칫솔들은 그 대부분이 칫솔헤드부 전체에 칫솔모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칫솔의 헤드부에 전체적으로 칫솔모가 형성되도록 한 종래의 칫솔은, 칫솔모간의 간격이 매우 조밀하게 구성된 칫솔의 구성특성상 양치시 치아의 표면에 대한 세정효과는 뛰어나지만 서로 인접된 칫솔모의 존재에 의해 치아와 치아사이, 즉 치간에 대해 칫솔모가 충분하고도 확실한 침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치간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세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칫솔 사용자의 개인 특성에 따라서는 양치질 후 별도의 치간 세정 도구를 사용하여 치간 사이에 낀 이물질이나 프라그를 제거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수반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칫솔헤드부에 전체적으로 조밀하게 칫솔모가 형성되도록 한 종래의 칫솔이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칫솔을 이루는 칫솔본체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칫솔모부를 헤드부 전체에 연이어 조밀하게 형성하지 않고, 일정크기로 되는 복수의 공간부에 의해 일정크기를 갖는 다수의 단위칫솔모군으로 구획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양치시 각각의 단위칫솔모군이 부분적으로 이웃하는 공간부측으로 자연스럽게 옆으로 누우면서 치간으로 보다 쉽게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치아와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 및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칫솔의 사시도.
도 2는본 고안에 의한 칫솔의 다른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칫솔의 평면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의한 칫솔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칫솔 1 : 칫솔본체
2 : 칫솔모 3 : 치아
11 : 칫솔헤드부 21 : 공간부
22 : 단위칫솔모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은, 칫솔본체(1) 선단의 칫솔헤드부(11) 일측판면에 칫솔모부(2)가 형성되도록 한 칫솔(A)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부(2)는 복수의 공간부(21)에 의해 단위칫솔모군(22)으로 다수 구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의한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A)은, 칫솔(A)을 이루는 칫솔본체(1) 선단의 헤드부(11)에 형성되는 칫솔모부(2)를, 일정크기 단위로 다수의 칫솔모군(22)으로 형성되도록 각각의 칫솔모군(22) 사이에 복수의 공간부(21)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즉 복수의 공간부(21)에 의해 칫솔헤드부(11)의 일측판면에 다수의 단위칫솔모군(22)이 형성되도록 하여, 양치시 칫솔(A)을 수직방향으로 상하 반복 이동시키게 되면 각각의 단위칫솔모군(22)이 공간부(21)측으로 자연스럽게 살짝 누우면서 치아(3)와 치아(3) 사이의 틈새부(31)에 대해 각각의 단위칫솔모군(22)을 이루는 칫솔모들이 쉽게 침투할 수 있게 되어 치아(3)와 치아(3) 사이의 틈새부(31)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칫솔(A)은 일반칫솔과는 달리 칫솔모부(2)를 이루는 각각의 단위칫솔모군(22)이 치아(3)의 표면에 대한 세정보다 치간의 틈새부(31)에 대한 세정이 더 용이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양치시 칫솔(A)의 칫솔모부(2)가 치아(3) 표면과 접촉되는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반복 진퇴 이동하게 됨에 따라, 다수의 단위칫솔모군(22)은 치아(3)의 틈새부(31)에 대한 보다 확실한 세정은 물론 치아(3)의 표면에 대한 세정도 가능하게 되므로 일반칫솔에서처럼 주로 치아(3)의 표면에 대한 세정 기능 이외에 일반칫솔에서는 전혀 기대하지 못하는 치아(3)의 틈새부(31)에 대한 보다 확실한 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칫솔헤드부(11)의 일측판면의 칫솔모부(2)를 이루기 위해 복수의 공간부(21)에 의해 다수의 단위칫솔모군(22)으로 구획 형성함에 있어 공간부(21)와 단위칫솔모군(22)의 형성개수나 그 형태를 특정개수와 특정형태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공간부(21)의 수를 세개로 하여 단위칫솔모군(22)이 네개로 형성되게 하거나, 상기 각각의 단위칫솔모군(22)의 형태를 정원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는 등 칫솔모부(2)의 구성을 얼마든지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에 의하면, 칫솔을 이루는 칫솔모부가 복수의 공간부에 의해 다수의 단위 칫솔모군으로 구획 형성되게 하는 것에 의해 양치시 각각의 단위칫솔모군을 이루는 칫솔모들이 이웃하는 공간부측으로 일정부분 자연스럽게 누우면서 치아와 치아사이의 틈새부로 보다 쉽게 침투할 수 있게 되어 틈새부에 끼인 이물질이나 프라그 등을 손쉽게 제거, 세정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일반칫솔에서처럼 치아의 표면에 대한 세정도 가능하게 되므로 별도의 치간 세정기구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한개 칫솔만으로 치아표면과 치아와 치아의 틈새부에 대한 효과적이고 확실한 세정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칫솔본체(11) 선단의 칫솔헤드부(11) 일측판면에 칫솔모부(2)가 형성되도록 한 칫솔(A)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부(2)는 복수의 공간부(21)에 의해 단위칫솔모군(22)으로 다수 구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
KR20-2004-0001390U 2004-01-19 2004-01-19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 KR200349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390U KR200349259Y1 (ko) 2004-01-19 2004-01-19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390U KR200349259Y1 (ko) 2004-01-19 2004-01-19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259Y1 true KR200349259Y1 (ko) 2004-05-04

Family

ID=4934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390U KR200349259Y1 (ko) 2004-01-19 2004-01-19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2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3344A (zh) * 2019-03-21 2019-05-24 李东亮 方便清洁刷毛的牙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3344A (zh) * 2019-03-21 2019-05-24 李东亮 方便清洁刷毛的牙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5205A (en) Toothbrush
US10172440B2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US4288883A (en) Combined tooth brush and gum massaging
KR200473116Y1 (ko) 원형모다발과 다각형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KR20170073629A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RU2014101263A (ru) Зубная щетка
TW201521635A (zh) 口腔保健器具(一)
CN103763980A (zh) 正齿牙刷
US20230148743A1 (en) Toothbrush
KR200473569Y1 (ko) 원형 후방경사모다발과 원형 전방경사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AU778911B2 (en) A toothbrush with individually embedded bristles
KR200349259Y1 (ko) 치간 세정이 용이한 칫솔
KR20140003577U (ko) X자 배열의 사각형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JP6692604B2 (ja) 歯ブラシ
KR200468044Y1 (ko) 솔질과 닦는 기능을 갖는 칫솔
KR200473943Y1 (ko)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과 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KR200478769Y1 (ko) 사다리꼴모다발이 웨이브 패턴으로 배열된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KR101164069B1 (ko) 칫솔
KR200412998Y1 (ko) 치간 겸용칫솔
KR102553647B1 (ko) 칫솔
KR20200110546A (ko) 치아의 이물질 제거에 탁월한 칫솔
JP2000175743A (ja) ブラシ
KR200209689Y1 (ko) 치간 세정기능이 보강된 칫솔
RU2267286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эффективной конфигурацией щетины
KR101218711B1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