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929Y1 - 링거액 감지기 - Google Patents
링거액 감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8929Y1 KR200348929Y1 KR20-2003-0015967U KR20030015967U KR200348929Y1 KR 200348929 Y1 KR200348929 Y1 KR 200348929Y1 KR 20030015967 U KR20030015967 U KR 20030015967U KR 200348929 Y1 KR200348929 Y1 KR 2003489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er
- unit
- container
- solution
- capacitan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링거액의 투약 종료시기를 알려주는 링거액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용량센서를 감지수단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링거액의 투약 종료시기를 알려주기 위한 장치로서, 광센서를 감지수단으로 이용한 장치는 광센서의 조도변화에 따라 감지하는 방식으로서 링거액의 색상이나 투명도에 영향을 받고, 링거용기 내부에 전극을 삽입시켜 전극량의 변위에 따라 감지토록 한 장치는 이물질, 세균 등의 오염에 노출되고, 링거용기의 무게 변화에 따라 감지토록 한 장치는 구조의 복잡화로 설치 및 휴대가 용이치 않을 뿐 아니라 용기무게에 따른 설정 값의 차이로 사용이 용이치 않은 단점이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은 정전용량 센서(capacitive sensor)를 감지수단으로 하여 링거용기 내의 액체 유무를 대기간의 정전용량으로 감지토록 하고,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에서 소리 또는 진동으로 출력되어 전달토록 하여 함으로서 상기한 단점의
Description
본 고안은 링거액의 투약 종료시기를 알려주는 링거액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용량센서를 감지수단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종래에 링거액의 투약 종료시기를 알려주기 위한 감지장치로는, 링거용기의 마개나 링거호스에 광센서를 부착하여 광센서의 조도 변화에 따라 링거액의 소모를 감지토록 한 장치가 있으나, 이것은 링거액의 색상이나 투명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조도변화가 적은 링거액의 경우 오작동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또한 링거용기 내부에 전극을 삽입시켜 전극량의 변위에 따라 감지토록 한 장치의 경우는 링거액에 삽입된 전극에 의한 이물질과 세균 등의 오염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링거의 무게 변화를 이용한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휴대가 용이치 않을 뿐 아니라 링거용기의 무게에 따라 설정 값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링거액의 투약 종료시기를 알릴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링거액의 감지수단으로서는 정전용량센서(capacity sensor)를 사용하여 링거용기의 외표면 적정 위치에 부착시켜 놓으면 링거액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감지된 신호는 소리 또는 진동으로 출력되어 환자나 보호자들에게 전달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외형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외형 배면도.도 5는 본 고안의 외형 측면도.도 6은 본 고안의 참고 사용상태도.도 7은 본 고안의 정전용량감지부의 작용상태도.<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0: 케이스 20; 접착수단30: 정전용량감지부 40: 정전용량측정부50: 제어부 60: 출력제공수단체70: 밧데리 수납부 80: 진동알람용 연결부90: 작동제어스위치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링거액 감지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 장착되어 링거용기에 부착토록 하기 위한 접착수단(2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링거용기와의 접촉부에 정전용량센서칩이 장착되어 링거액의 유무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감지부(30)와, 상기 정전용량감지부(30)로부터 감지된 정전용량의 변화된 값이 측정되어 입력되어지는 정전용량측정부(40)와, 상기 정전용량측정부(40)로부터 입력된 값을 제어용 마이콤칩에 의하여 출력수단으로 신호를 변환하여 보내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50)와, 제어부(50)로부터 받은 신호를 출력토록 하기 위한 출력제공수단체(60)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수단(20)은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케이스(10)를 감싸는 방식으로 링거용기에 부착시키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링거용기와 접촉되어지는 부분(정전용량센서칩이 장착된 부분)의 전면으로는 요입부(11)를 마련하여 이 요입부(11)가 접착수단(20)에 의하여 완전히 감싸여지는 형태로 링거용기에 접착토록 함으로서 링거용기와의 긴밀한 접착이 가능토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출력제공수단체(6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것으로, 소리로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부저를 장착시키고, 진동으로 출력시킬 경우에는 진동알람용 연결부(80)를 마련하여 진동모터(71a)가 내장된 진동알람유니트(71)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연결토록 하는 것이다.이때 상기 진동알람유니트(71)는 환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하거나 환자가 소지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따라서 상기 출력제공수단체로서 부저, 진동알람유니트 중의 어느 하나를 장착시켜 빛, 소리, 진동 중의 어느 하나만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가능하고, 모두를 장착시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가능한 것으로, 이것의 사용을 위한 제어방식은 일반적인 기술이다.한편, 본 고안의 링거액 감지기에는 밧데리에 의한 전원공급을 위한 밧데리 수납부(70)가 형성되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ON/OFF 제어를 위한 작동제어스위치(90)와 이를 확인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ED)(91)가 형성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링거액 감지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용기(100)의 하부 일 측에 접착수단(20)을 사용하여 정전용량감지부(30)가 접촉토록 부착시킨 후 작동제어스위치(90)를 ON 상태로 놓으면, 정전용량감지부(30)에 장착된 정전용량센서가 작동되어 감지물체가 근접하면 정전용량센서의 검출전극과 감지물체표면에 전기분극이 발생되어 대기간 정전용량(electrostatic capacity)이 발생되는 원리에 의하여 감지물체의 근접 여부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따라서 본 고안의 링거액 감지기가 부착된 지점의 레벨 이상으로 감지물체인 링거용액(100a)이 채워져 있으면, 정전용량감지부(30)에 장착된 정전용량센서의 검출전극과 링거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링거용액(100a)의 표면으로 발생되는 전기분극에 의하여 정전용량이 발생되고,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물체인 링거용액(100a)이 환자에게 투입되어 점점 소모됨에 따라 본 고안의 링거액 감지기가 부착된 지점의 레벨 이하로 되면서 정전용량센서의 검출전극에 접촉되어는 링거용액(100a)이 소진되면 정전용량이 점차로 감소되게 됨으로서 정전용량에 변화가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이후, 감지된 정전용량의 변화 값은 정전용량측정부(40)에서 측정되어 측정된 값이 제어부(50)의 마이콤칩에 입력되어 입력된 값에 따라 출력 신호를 보내게 되면, 부저, 진동알람유니트 중의 어느 하나가 출력제공수단체로서 선택적으로 작동되거나 순차적 또는 동시에 작동되어져 소리, 진동으로서 링거액의 투약 종료 시기를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링거액 감지기는 링거용기의 일정 위치에 부착시켜 링거용기에 수용된 링거용액의 유무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링거액의 투약 종료 시기를 알려주기 때문에 링거용액 및 링거용기의 색깔이나 투명도에 무관하고, 부피가 작아 쉽게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또한 링거용액에의 이물질 유입 발생이 없어 종래 방식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 케이스(10)의 외측으로는 링거용기에의 부착을 위한 접착수단(20)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정전용량센서칩에 의하여 링거용액의 유무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감지부(30)와, 상기 정전용량감지부(30)로부터 감지된 정전용량의 변화된 값이 측정되어 입력되어지는 정전용량측정부(40)와, 상기 정전용량측정부(40)로부터 입력된 값을 제어용 마이콤칩에 의하여 출력수단으로 신호를 변환토록 하기 위한 제어부(50)와, 제어부(50)로부터 받은 신호를 출력토록 하기 위한 출력제공수단체(60)로 구성된 링거액 감지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으로 요입부(11)를 마련하여 이 요입부(11)에 상기 접착수단(20)이 감싸여지는 형태로 링거용기에 밀착접착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제공수단체(60)로서 부저, 진동알람유니트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감지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5967U KR200348929Y1 (ko) | 2003-05-23 | 2003-05-23 | 링거액 감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5967U KR200348929Y1 (ko) | 2003-05-23 | 2003-05-23 | 링거액 감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8929Y1 true KR200348929Y1 (ko) | 2004-04-29 |
Family
ID=4942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5967U KR200348929Y1 (ko) | 2003-05-23 | 2003-05-23 | 링거액 감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892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955B1 (ko) | 2008-04-22 | 2010-09-17 | 주식회사 에이디텍 |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감지회로 |
-
2003
- 2003-05-23 KR KR20-2003-0015967U patent/KR20034892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955B1 (ko) | 2008-04-22 | 2010-09-17 | 주식회사 에이디텍 |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감지회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08366B1 (ko) | 진공청소기용 광학적표시 및 기능 감지장치 | |
US8684916B2 (en) | Induction coil sensing | |
CA2308958A1 (en) | A liquid container having a liquid detecting device | |
JP7076856B2 (ja) | コンテナーから飲むことをユーザーに思い出させるためのデバイス | |
MX2007011803A (es) | Dispositivo de monitoreo inalambrico y autonomo para una lavadora. | |
EP2718695B1 (en) | Optical sensor | |
RU2006130806A (ru) |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для маломощных переключающих датчиков модульной системы | |
KR100802313B1 (ko) | 링거액 소진 경보 장치 | |
US8362432B2 (en) | Optical liquid sensor | |
KR200348929Y1 (ko) | 링거액 감지기 | |
KR200343314Y1 (ko) | 링거액 감지기 | |
US20160151008A1 (en) |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 |
ATE354785T1 (de) | Pegelsensor mit mehreren eingangskanälen | |
KR101642502B1 (ko) | 휴대가능한 수액-비접촉형 수액용기 상태검출기 | |
US20180259376A1 (en) | Environmental sensor | |
JP5599144B2 (ja) | 業務用自動食器洗浄機用液切れ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業務用自動食器洗浄機用液体供給装置 | |
GB2560085A (en) | A housing for an intravenous drip apparatus | |
CN217907220U (zh) | 杯盖结构 | |
CN207675297U (zh) | 一种测量噪声暴露量的噪声剂量计 | |
CN110170088A (zh) | 一种多功能智能输液报警器 | |
CN208875928U (zh) | 一种塑料水杯盖 | |
JP3712892B2 (ja) | 電気湯沸かし器 | |
WO2017197916A1 (zh) | 吸管杯组件和杯子 | |
CN215077304U (zh) | 水杯 | |
CN217907221U (zh) | 杯盖结构及智能水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