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801Y1 -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 Google Patents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801Y1
KR200348801Y1 KR20-2004-0002617U KR20040002617U KR200348801Y1 KR 200348801 Y1 KR200348801 Y1 KR 200348801Y1 KR 20040002617 U KR20040002617 U KR 20040002617U KR 200348801 Y1 KR200348801 Y1 KR 200348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sleeper
plate
rea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영
Original Assignee
이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영 filed Critical 이찬영
Priority to KR20-2004-0002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8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47B23/044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only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공부하는 사람이 공부도중 매우 피곤할 때 본 고안품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이마를 본 고안품 위에 얹고 가슴은 책상 모서리에 설치된 가슴받침판에 대고 타이머와 이어폰을 이용하여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숙면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공부를 할 때는 독서대로 사용할 수도 있는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Desk sleeping and reading desk}
본 고안은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공부하는 사람이 공부도중 매우 피곤할 때 본 고안품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이마를 본 고안품 위에 얹고 가슴은 책상 모서리에 설치된 가슴받침판에 대고 타이머와 이어폰을 이용하여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숙면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부를 할 때는 독서대로 사용할 수도 있는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매우 피곤 할 때 잠시 동안 단잠을 자는 것은 공부나 업무의 능률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책상에 엎드려 팔위에 얼굴을 대고 수면을 취할 경우 깨고 나면 팔이 저리고 얼굴이 눌리는 등 오히려 불편함이 가증 되며, 공부나 업무의 능률이 떨어지는 역효과를 유발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품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이마를 본 고안품 위에 얹고 가슴은 책상 모서리에 설치된 가슴받침판에 대고 타이머와 이어폰을 이용하여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숙면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공부를 할 때는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책상수면기 부분의 사시도.
도 2는 책상수면기 부분의 실시도.
도 3은 책상수면기 부분의 이마스펀지와 끈 및 가슴받침판을 제거한
사시도.
도 4는 바디를 접었을 때 정면도.
도 5는 바디를 접었을 때 우측면도.
도 6은 이마를 이마받침판 위에 얹었을 때 이마스펀지의 굴곡모습을 표시한
사시도.
도 7은 바디와 천의 접착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에서 화살표 60의 방향으로 바디와 천의 접착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
도 9는 책상수면기의 하부 바디들에 받침대를 삽입 조립한
사시도.
도 10은 독서대로 사용하기 위해 조립된 사시도.
도 11은 하부보조바디에 제 1 받침대를 삽입하여 조립한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하부보조바디(8)을 제거한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좌측면도.
도 14는 거치대의 제 2판재, 제3판재, 제4판재, 누름편을 접은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우측면도.
도 17은 도 16에서 제1판재(38)를 접은 모습.
도 18은 도 17을 하면경첩(35)을 중심으로 접은 모습.
도 19는 도 17의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
도 21은 도 18의 정면도.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
도 23은 받침대의 뒤를 연장하여 받침대경첩(53)으로 받침대를 연결한 상태에서 받침대 위에 거치대가 놓인 좌측면도 및 판재와 판재의 결합 측면 단면도 .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마받침판 2 : 가슴받침판 3 : 타이머
4 : 거치대 5 : 받침대 6 : 메인바디
7 : 상부보조바디 8 : 하부보조바디 10 : 상부로프
11 : 이마스펀지 12 : 스펀지벨크로 13 : 이마천
14 : 천벨크로 17 : 끈 18 : 끈홀
20 : 가슴스펀지 21 : 돌기 28 : 천
29 : 패드 31 : 제1받침대 32 : 제2받침대
33 : 안내턱 35 : 하면경첩 36 : 제1앵글
38 : 제1판재 39 : 제1측면경첩 50 : 누름편
53 : 받침대경첩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첩처럼 접혔다 펴졌다 하는 바디위에 로프를 걸어주고, 그 로프 위에 탄성체를 얹고, 그 탄성체 위에 이마를 얹으면, 사람마다 각각 다른 이마의 굴곡 정도에 따라 가장 자연스럽게 접착이 되어 이마를 받쳐주는 힘을 고루고루 분포케 하여 이마가 받는 압박감을 최소화 시켜 본 고안품의 사용 감을 편안케 해주며,
타이머와 이어폰이 있어서 수면 시간을 사전에 예약 할 수 있으며,
책 거치대를 조립할 수 있어서 독서대로도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품은 크게 책상수면기 부분과 독서대 부분으로 크게 나뉘며,
다시 책상수면기는 이마받침판(1)과 가슴받침판(2) 그리고 타이머(3)부분으로,
독서대는 책 거치대(4)와 받침대(5)로 나뉜다.
먼저 책상수면기 부분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책상수면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마받침판(1)과 가슴받침판(2) 그리고 타이머(3)부분으로 이루어 졌는바,
이마받침판(1)은 재질은 경질의 프라스틱류로서 두께는 얇고 상하는 높고 전후 폭은 좁은 판재 형태의 메인바디(6)와, 상기 메인바디의 양면의 중앙 부위에 경첩방식으로서 상호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위쪽으로 접히는 상부보조바디(7)와 아래쪽으로 접히는 하부보조바디(8)가 있으며, 상부보조바디(7)와 메인바디(6)의 위쪽, 그리고 하부보조바디(8)와 메인바디(6)의 아래쪽은 같은 형태를 이루며, 메인바디(6) 하단과 하부보조바디(8)의 하단은 앞쪽은 뒤쪽 보다 길이가 짧도록 하여 책상 위에 세워 놨을 때 전체적으로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며, 메인바디(6)와 상부보조바디(7)의 상단 쪽으로 상부로프홀(9)을 다수 천공하여 상부로프(10)를 관통 고정시켜 메인바디(6) 상단과 상부보조바디(7) 상단이 약 90 도 정도 이상은 벌어지지 않도록 유지해 주며, 동시에 상기 상부로프 위에 이마를 받쳐 주기에 넉넉한 크기의 평평한 이마스펀지(11)를 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부로프(10) 상면과 이마스펀지(11)의 하면에 스펀지벨크로(14)를 부착하여 반고정 시킨다.
이마스펀지(11) 상면에 땀이 났을 경우 이마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마천(13)을 반 고정 시키되 상기와 같은 방법인 천벨크로(14)를 이용하여 이마스펀지(11) 상면의 양가 쪽과 이와 대응되는 이마천(13)의 하면에 부착하여 착탈시킨다.
메인바디(6)와 하부보조바디(8)의 하단 쪽으로 하부로프홀(15)을 천공하여 하부로프(16)를 관통 고정시켜 메인바디(6) 하단과 하부보조바디(8) 하단이 약 90 도 정도 이상은 벌어지지 않도록 유지해 준다.
메인바디(6)와 하부보조바디(8)의 하단에 책상 면에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재로서 실리콘을 부착한다.
메인바디(6)의 앞쪽 중간쯤 위치에 끈(17)이 관통할 수 있는 끈홀(18)을 천공한다.
가슴받침판(2)은 경질 프라스틱류로서 두께는 얇으며 직사각형의 판재 형태로서 가슴이 닿는 쪽은 가슴스펀지(20)를 부착하고, 반대쪽 즉 책상 모서리(25)가 닿는 쪽은 책상의 상면과 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세로 중심선에서 양가 쪽으로 약 1 센티미터 정도 벌어진 상태에서 돌기(21)를 V 자 형태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돌기의 안쪽 즉 책상이 닿는 쪽은 마찰제로 실리콘을 부착한다.
상기 가슴받침판(2)의 중심부에 홀을 천공하여 끈(17)의 일단을 삽입 고정시키고 끈의 타단은 메인바디(6)의 끈홀(18)을 관통하여 길이 조절용 아자스타(22)에 삽입하여 길이를 조절한다.
메인바디(6)의 외면 상부 쪽으로 공지의 타이머(3)와 이어폰(26)을 장착한다.
본 책상수면기를 사용하려면 메인바디(6)와 하부보조바디(8)의 하부를 펼쳐서 책상 위에 설치를 하고, 메인바디(6)와 상부보조바디(7)의 상부를 펼친 다음 이마스펀지(11)를 상부로프(10) 위에 얹으면 스펀지벨크로(12)에 의해 상호 반고정이 된다.
이마천(13)과 이마스펀지(11)는 특별히 이마천(13)을 세탁 할 경우 외에는 평상시에는 상호 천벨크로(14)에 의해 항상 결합 되 있는 상태이다.
가슴받침판(2)을 책상 앞의 모서리(25)에 대고 끈(17)의 길이를 아자스타(22)를 이용하여 적당히 조절을 하고, 타이머(3)를 자신이 원하는 시각에 맞춰 놓고 이어폰(26)을 귀에 꽂은 다음 가슴을 가슴받침판(2)에 대고 이마를 이마받침판(1) 위에 대고 자연스럽게 엎디어 원하는 시간만큼 숙면을 취하는 것이다.
이어폰(26)에서 알람이 울리면 잠을 깨게 되며, 사용이 끝난 뒤 이마스펀지(11)를 간단히 떼서 분리시키고, 메인바디(6)와 상부보조바디(7) 및 하부보조바디(8)를 간단히 접어서 가슴받침판(2)과 함께 모아서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책상수면기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프(10) 대신 메인바디(6)와 상부보조바디(7)의 상단에 천(28)을 부착 하되 바디들의 안쪽으로 천(28)의 일단을 대고 그 위에 패드(29)를 댄 다음 나사못(30)을 패드(29)와 천(28)을 관통시켜 바디에 박아서 고정시킨다.
다음은 독서대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독서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책 거치대(4)와 받침대(5)로 이루어 졌는바,
일 실시 예에 의하면 ,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받침대(31)는 두께는 얇고 직사각형의 경질 프라스틱 판재로서 상변의 좌단에서 우측으로 약 2 센티미터 정도 지점에서 하변의 우측을 향하여 약 70 도의 각으로 절단을 하되 하변과 약 1센티미터 정도 남겨두고 다시 우측을 향하여 약 100 도 정도의 각으로 절단을 하여 4 센티미터 정도 진행을 한 다음 다시 상 방향을 향하여 약 100 도 정도의 각으로 절단을 하여 1 센티 정도 진행한 다음 다시 우측을 향하여 적당히 끝 마무리를 한다.
상기 절단 칩은 제거한다.
상기와 똑같은 것을 2 개 마련하고 각각 제 1 받침대(31), 제 2 받침대(32)라 칭한다.
좌측의 상하 변에 책상수면기의 바디 하부들이 삽입 될 수 있도록 안내턱(33)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좌측면에서 볼 때,
제 1 받침대(31)는 상변 우쪽으로 ㄱ 자 형태로, 하변에는 이와 대칭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한다.
제 2 받침대는 제 1 받침대와 대칭되도록 형성한다.
거치대(4)는 경질의 프라스틱 재질로서 두께는 얇고 높이는 낮고 밑면은 넓은 ㄴ 자형 앵글로서 2 장을 가로로 연결시키되 연결부에 하면 쪽으로 하면경첩(35)을 일체로 형성하여 밑면 쪽으로 완전히 180 도로 절첩이 가능 하도록 결합시키고 하나는 제1앵글(36), 다른 하나는 제2앵글(37) 이라 칭한다.
제 1앵글(36)의 밑면 가장자리 상부 쪽으로 또 다른 직사각형의 제 1 판재(38)와 제 1측면경첩(39)을 일체로 형성하여 90 도 절첩이 가능 하도록 한다.
제 1 판재(38)의 뒷면에 제 2 판재(40)를 대고 앵글의 중심쪽으로 축홀을 천공하여 그 사이에 볼트(42)로 고정 시키되 사용자가 움직였다 놓으면 그대로 멈출 수 있도록 제1 판재와 제 2 판재 사이에 마찰제(43)를 삽입시킨다.
제 2 판재(40)의 뒷면에 제 3 판재(44)를 대고 볼트(42)의 반대쪽에 제 2 축홀을 천공하여 제 1 판재와 제2 판재를 고정시키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시킨다.
제 3판재(44)와 재 4 판재(46)도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 시키며, 제 2 앵글(37)도 제 1 앵글(36)과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판재들을 결합 시킨다.
앵글의 높이에 해당하는 전면의 양쪽 가장자리 쪽으로 책 누름편(50)을 볼트(51)에 의해 반 고정시킨다.
독서대로 사용하려면 먼저 책상수면기의 이마받침판(1)을 펼친 상태에서 그대로 뒤로 쓰러뜨린 다음 바디의 하단에 받침대(5)들을 삽입시키고, 그 위에 거치대(4)를 펼쳐서 놓고, 그 위에 책을 올려놓은 다음, 책 누름편(50)으로 책장을 눌러서 사용 한다.
다 사용한 다음 보관 시는 조립의 역순으로 분해하여 접어서 부피를 작게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받침대(5)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 1 받침대(31)와 제 2 받침대(32)를 뒤로 더 연장하여 받침대경첩(53)으로 결합 시키고, 안내턱은 없는 상태에서 책상수면기를 배제하고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본 고안의 청구항 1 에 의하면,
사람마다 각각 다른 이마의 굴곡 정도에 따라 가장 자연스럽게 접착이 되어 이마를 받쳐주는 힘을 고루고루 분포케 하여 이마가 받는 압박감을 최소화 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청구항 2 에 의하면,
독서대를 책상수면기와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서 장소를 이동하며 공부하는 사람에게별도로 독서대를 갖고 다니는 불편함을 해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청구항 3 에 의하면,
수면시간을 사전에 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청구항 4 에 의하면,
상부로프 대신 천을 이용함으로서 안정감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청구항 5 에 의하면,
상부로프 대신 천을 이용함으로서 안정감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청구항 6 에 의하면,
책상수면기 없이도 단독으로 독서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 이를 바탕으로 본 고안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 예 및 균등한 실시 예는 모두 본 고안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가슴받침판과 바디 중앙부의 앞 쪽을 상호 끈과 아자스타로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책상수면기에 있어서,
    두께는 얇고 상하는 높고 전후 폭은 좁은 판재 형태의 메인바디( 6)와, 상기 메인바디의 양면의 중앙 부위에 경첩방식으로서 상호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부보조바디(7) 및 하부보조바디(8)와,
    상부보조바디(7)와 메인바디(6)의 위쪽, 그리고 하부보조바디(8)와 메인바디(6)의 아래쪽은 각각 같은 형태를 이루며,
    메인바디(6) 하단과 하부보조바디(8)의 하단은 앞쪽은 뒤쪽 보다 길이가 짧으며,
    펼칠 때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부로프(10)들 및 하부로프(16)들에 의해 약 90 도 이상은 벌어질 수 없도록 상호 고정되며,
    반접착부재(12), (14)에 의해 상부로프(10)들 위에는 탄성체(11)를 , 그리고 상기 탄성체 위에는 이마천(13)을 각각 착탈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높이는 낮고 밑면이 넓고 가로 중심부에 하면경첩(35)으로 절접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앵글( 36) 및 제 2앵글(37)과,
    상기 제1앵글 및 제2앵글의 밑면 가장자리 상부 쪽으로 직사각형의 제 1 판재(38)와 측면경첩(39)으로 연결하고,
    앵글의 중심 쪽으로 제 1 판재(38) 뒷면에 마찰제(43), 상기 마찰제 뒷면에 제 2 판재(40)를 대고 축홀을 천공하여 고정수단(42)으로 반고정 시키고.
    앵글의 외각 쪽으로 제 2 판재(40) 뒷면에 마찰제 , 상기 마찰제 뒷면에 제 3 판재(44)를 대고 제 2 축홀을 천공하여 고정 수단으로 반고정 시키고.
    앵글의 높이에 해당하는 전면의 양쪽 가장자리 쪽으로 책 누름편(50)을 고정 수단에 의해 반 고정시킨 거치대(4)와,
    상기 거치대가 놓일 수 있도록 일측으로 홈이 파여지고,
    타측 상하 변에 책상수면기의 바디 하부들이 삽입 조립될 수 있도록 안내턱(33)이 형성된 받침대(5)와,
    상기 받침대를 책상수면기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3. 제 1항에 있어서,
    타이머(3)와 이어폰(26)이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로프(10)들을 제거하고, 대신 천(28)을 패드(29)와 고정수단(30)에 의해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로프(10)들을 제거하고, 대신 천(28)을 패드(29)와 고정수단(30)에 의해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6. 제 2 항에 있어서,
    받침대(5)의 거치대(4)가 놓이는 부분의 반대 방향을 연장하여 상호 받침대경첩(53)으로 연결하여 , 책상수면기 없이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KR20-2004-0002617U 2004-02-04 2004-02-04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KR200348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617U KR200348801Y1 (ko) 2004-02-04 2004-02-04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617U KR200348801Y1 (ko) 2004-02-04 2004-02-04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801Y1 true KR200348801Y1 (ko) 2004-05-03

Family

ID=4942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617U KR200348801Y1 (ko) 2004-02-04 2004-02-04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8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8148B2 (en) Arm pillow for holding a child
US20150351564A1 (en) Folding two section pillow comprised of horseshoe and contour pillows
KR101666765B1 (ko) 마스크와 안장이 구성된 휴대용 인체받침대
US4864668A (en) Portable back support
KR100839364B1 (ko) 안면 쿠션
USD517355S1 (en) Leg support for a table
KR200348801Y1 (ko) 독서대겸용책상수면기
KR200440193Y1 (ko) 통풍 구멍을 구비한 쿠션
US6694551B1 (en) Facial support device
CN210810128U (zh) 一种宽度可调便于收纳的医用陪护床
USD403424S (en) Support brace for the knee
CN210540457U (zh) 可折叠贴胸护颈坐睡桌枕
JP2000279301A (ja)
CN211296760U (zh) 一种手机支架
JP3197395U (ja)
JP3231323U (ja) 下顎支持具
CN2151665Y (zh) 多功能骨架式组合颈枕袋
CN218304348U (zh) 一种便捷式床笠
CN217161507U (zh) 一种便携午睡枕
CN219515885U (zh) 智能孕妇枕
CN219782058U (zh) 一种组合式抱枕
CN220212426U (zh) 一种趴睡式午睡枕
CN214905292U (zh) 一种多用午睡枕
CN211459482U (zh) 一种可折叠功能椅
CN217853548U (zh) 一种阴囊水肿患者用阴囊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