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567Y1 -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567Y1
KR200348567Y1 KR20-2004-0002729U KR20040002729U KR200348567Y1 KR 200348567 Y1 KR200348567 Y1 KR 200348567Y1 KR 20040002729 U KR20040002729 U KR 20040002729U KR 200348567 Y1 KR200348567 Y1 KR 200348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etal
flower
edg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흥경
Original Assignee
배흥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흥경 filed Critical 배흥경
Priority to KR20-2004-0002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꽃잎블록과 꽃술블록 및 가장자리블록으로 구성되는 바, 네 개의 가장자리블록을 배열하여 정사각 형태를 완성하되 그 중앙부에는 두 개의 꽃잎블록을 삽입하고, 꽃잎블록의 중앙에는 꽃술블록을 삽입함으로서 조적이 용이하고, 외형이 미려하며, 조적 후 배수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꽃잎블록(10)과 꽃술블록(20) 및 가장자리블록(30)으로 구성되며, 코스모스 꽃의 형태로 제작되되, 두개 또는 네 개의 설편(12)이 일체로 구성되고 그 중앙에는 반원형의 홈부(11)가 구비된 분리형의 꽃잎블록(10)과, 상기 분리형 꽃잎블록(10)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원형의 홈부(11)와 부합되도록 원기둥 형태로 제작되되, 상면에 돌기(21)가 형성된 꽃술블록(20)과, 정사각 블록의 일측 모서리부에 상기 꽃잎블록(10) 외주연의 형태로 굴곡부(31)가 형성된 네개의 가장자리블록(30)으로 구성되어, 네 개의 가장자리블록(30) 중앙에 분리형의 꽃잎블록(10)을 삽입하고 그 중앙으로 꽃술블록(20)을 삽입하여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1)를 완성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네 개의 가장자리블록을 배열하여 정사각 형태를 완성하되, 그 중앙부에는 분리형의 꽃잎블록을 삽입하고, 꽃잎블록 중앙에는 원통형의 꽃술블록을 삽입함으로서 조적이 용이하고, 조립된 보도 블록 유니트는 꽃잎블록과 가장자리블록이 요철 형태로 상호 맞물리게 조적되어 전체적인 보도 블록 유니트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꽃잎블록 및 꽃술블록을 다양한 색상의 염료를 혼합한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외형이 미려하며, 꽃잎블록의 표면 장홈과 꽃술블록의 표면에 돌기를 각기 형성시켜서 보행자의 통행 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배수가 용이하여 보도 상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며, 가장자리 두변에는 완만한 형태의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서 전체적인 조립시 인접하는 조립식 보도블록 유니트간에 서로 상호 맞물리게 조적되어 상호이탈이 방지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 a prefabricated sidewalk block unit}
본 고안은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꽃잎블록과 꽃술블록 및 가장자리블록으로 구성되는 바, 네 개의 가장자리블록을 배열하여 정사각 형태를 완성하되 그 중앙부에는 분리형의 꽃잎블록을 삽입하고, 꽃잎블록 중앙에는 꽃술블록을 삽입함으로서 조적이 용이하고, 외형이 미려하며, 조적 후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계획에 있어서 주택단지, 광장, 공원, 주차장 등의 보도를 포장하기 위해서는 보도 블록을 이용하여 포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보도 블록으로는 주로 직육면체의 보도 블록이나, 양측면에 요철부위가 형성되어 조합되는 인터로킹 블록(Interlocking block)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직육면체형 보도 블록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제작과 조적은 용이하나, 각각의 보도 블록(100)의 결집력이 약해서 시공된 후 작은 외력에도 쉬 이탈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양측방으로 요철부(110, 120)가 형성된 보도블록(100)은 결집력은 강하나 시공이 난해하고, 투수성이 취약함에 따라 시공 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면 상에 우수가 고이는 또 다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네 개의 가장자리블록을 배열하여 정사각 형태를 완성하되, 그 중앙부에는 분리형의 꽃잎블록을 삽입하고, 꽃잎블록 중앙에는 원통형의 꽃술블록을 삽입하여 꽃을 형상화한 형태로 조적함으로서 보도(인도)상에 다양한 형태와 자연미 넘치는 인도포장이 가능하며, 도시 미관을 한층 쾌적하게 함과 동시에 조적이 용이하고, 조립된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는 각각의 블록들 간에 서로 요철 형태로 상호 맞물리게 조적되어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의 이탈이 방지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 꽃잎블록 및 꽃술블록을 다양한 색상의 염료를 혼합한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외형이 미려하며, 꽃잎블록의 표면 장홈과 꽃술블록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시켜서 보행자의 통행 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배수가 용이하여 보도 상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장자리 두변에는 완만한 형태의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서 전체적인 조립시 인접하는 조립식 보도블록 유니트간에 서로 상호 맞물리게 조적되어 상호이탈이 방지되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조립식 보도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2의 저면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꽃잎블록의 각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꽃술블록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가장자리블록의 각 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10,10' : 꽃잎블록
11 : 홈부 12 : 설편
13 : 장홈 20 : 꽃술블록
21 : 돌기 30 : 가장자리블록
31 : 굴곡부 32 : 중앙 돌출부
33 : 철부 34 : 홈부
본 고안은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꽃잎블록과 꽃술블록 및 가장자리블록으로 구성되는 바, 네 개의 가장자리블록을 배열하여 정사각 형태를 완성하되, 그 중앙부에는 분리형의 꽃잎블록을 삽입하고, 꽃잎블록 중앙에는 꽃술블록을 삽입함으로서 조적이 용이하고 외형이 미려하며, 조적 후 배수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꽃잎블록(10)과 꽃술블록(20) 및 가장자리블록(30)으로 구성되며, 코스모스 꽃의 형태로 제작되되, 두개 또는 네 개의 설편(12)이 일체로 구성되고 그 중앙에는 반원형의 홈부(11)가 구비된 분리형의 꽃잎블록(10)과, 상기 분리형의 꽃잎블록(10)이 결합되어 형성된 원형의 홈부(11)와 부합되도록 원기둥 형태로 제작되되 상면에 돌기(21)가 형성된 꽃술블록(20)과, 정사각 블록의 일측 모서리부에 상기 꽃잎블록(10) 외주연의 형태로 굴곡부(31)가 형성된 가장자리블록(30)으로 구성되어, 네 개의 가장자리블록(30) 중앙에 분리형의 꽃잎블록(10)을 삽입하고 그 중앙으로 꽃술블록(20)을 삽입하여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1)를 완성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1)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1)는 네 개의 가장자리블록(30)을 정사각형태로 배열하되, 굴곡부(31)가 중앙으로 향하도록 배열한 다음, 그 굴곡부(31) 내측으로는 분리형의 꽃잎블록(10)을 삽입하고, 꽃잎블록(10)의 중앙에 형성된 홈부(11)에는 꽃술블록(2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우선, 도 4는 꽃잎블록(1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4a 의 경우 본 고안의 꽃잎블록의 제 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대략적으로 형태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반원 형태로 구성되되, 네 개의 설편(舌片)(12) 형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측에는 반원형 홈부(11)가 형성되어 두 개의 꽃잎블록(10)의 중심부측을 서로 접하도록 하면 여덟 개의 설편(12)이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원형 홈부(11)가 형성되어 그 외형이 코스모스 꽃을 형상화 한 형태로 제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설편(12)의 상면으로는 두 줄의 장홈(13)이 형성되어 있어서, 보행자의 통행 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과 배수로의 기능을 수행하며, 외관상으로는 일층 코스모스 꽃의 형태로 표현하기에 유용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4b에는 본 고안에 적용한 꽃잎블록의 제 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대동소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제1실시예의 분리형 꽃잎블록(10)을 다시 이등분한 형태, 즉, 두개의 설편(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로 구성된 분리형 꽃잎블록(10')으로 구성함이 제 1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의 경우, 네개의 분리형 꽃잎블록(10')을 서로 조립하면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코스모스 꽃을 형상화한 형태로 조립된다.
또한, 꽃술블록(20)의 형태가 도 5에 잘 도시된 바, 이를 살펴보면, 전체적인 형태가 원통의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꽃잎블록(10)의 홈부(11)와 부합되도록 구성되고, 꽃술블록(20)의 상면에는 사각형태의 돌기(21)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보행자의 보행 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돌기(21) 사이에 형성된 골을 통해 배수가 원활하게 됨으로서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상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제작 구성된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 가장자리블록(30)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6a의 경우 본 고안 가장자리블록의 기본형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정사각 형태로 구성된 블록의 일측 모서리부에 대각선 방향의 굴곡부(31)가 형성된 형태로, 굴곡부(31)는 상기 꽃잎블록(10)의 외주연과 부합되는 형태로 제작되되, 굴곡부(31)의 중앙돌출부(32)를 중심으로 하여 분리형 꽃잎블록(10)에 형성된 설편(12)들이 각기 하나씩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6b에는 본 고안 가장자리블록(30)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일측 모서리부에 대각선 방향의 굴곡부(31)와 중앙돌출부(32)를 형성한 점에서는 도6a의 가장자리블록의 기본형과 동일한 형태이나, 사각형상의 가장자리변부, 즉 외측의 두 변에 완만한 곡선형의 철부(33)와 요부(34)가 더 구비된 점에서 도6a의 일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이와 같이 가장자리 변부에 완만한 곡선형의 철부(33)와 요부(34)를 형성함으로서 도 8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1)를 조적할 때 인접하는 보도블록 유니트(1')와의 조립성을 보다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이 도 7에 잘 도시된 바, 우선, 네 개의 가장자리블록(30)을 결합하되, 가장자리블록(30)의 굴곡부(31)가 서로 접하도록 결합한 후, 그 내측으로 분리형의 꽃잎블록(10)을 삽입한 다음, 꽃잎블록(10)의 중앙에 형성된 홈부(11)에 꽃술블록(20)을 삽입함으로서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1)의 조립을 완료한다.
한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설치 과정이 도 8a 및 도 8b에 잘 도시된 바, 상기 조립 과정들을 통해 제작된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1)를 인도로 쓰일 위치에 순차적으로 설치하되,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1)와 그와 인접한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1')는 상호 엇갈리는 형태로 설치하여 블록의 이탈을 방지하며, 꽃잎블록(10)과 꽃술블록(20) 및 가장자리블록(30)의 제작 시 다양한 색상의 염료를 첨가하여 제작함으로서 시각적으로도 미려한 인도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네 개의 가장자리블록을 배열하여 정사각 형태를 완성하되, 그 중앙부에는 분리형의 꽃잎블록들을 삽입하고, 꽃잎블록 중앙에는 원통형의 꽃술블록을 삽입하여 꽃을 형상화한 형태로 조적함으로서 보도(인도)상에 다양한 형태와 자연미 넘치는 인도포장이 가능하며, 도시 미관을 한층 쾌적하게 함과 동시에 조적이 용이하고, 조립된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는 꽃잎블록과 가장자리블록가 요철 형태로 상호 맞물리게 조적되어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꽃잎블록 및 꽃술블록을 다양한 색상의 염료를 혼합한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외형이 미려하며, 꽃잎블록과 꽃술블록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시켜서 보행자의 통행 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배수가 용이하여 보도 상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가장자리 두변에는 완만한 형태의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서 전체적인 조립시 인접하는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간에 서로 상호 맞물리게 조적되어 상호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에 있어서,
    다수의 설편(12)이 일체로 구성되고 그 중앙에는 반원형의 홈부(11)가 구비된 분리형의 꽃잎블록(10)과,
    상기 분리형의 꽃잎블록(10)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원형의 홈부(11)와 부합되는 원기둥 형태로 제작된 꽃술블록(20)과,
    정사각 블록의 일측 모서리부에 상기 꽃잎블록(10) 외주연의 형태로 굴곡부(31)가 형성된 가장자리블록(30)으로 구성되어, 네 개의 가장자리블록(30) 중앙에 분리형의 꽃잎블록(10)들을 삽입하고 그 중앙으로 꽃술블록(20)을 삽입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외형이 미려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가장자리블록(30)의 외측 두 변에 완만한 곡선형의 철부(33)와 요부(34)가 더 구비되어 조적할 때 인접하는 보도블록 유니트(1)(1')간의 보다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설편(12)의 상면으로는 두 줄의 장돌기(13)가 형성되어, 보행자의 통행 시 미끄럼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꽃술블록(20)의 상면에 사각형태의 돌기(21)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보행자의 보행 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돌기(21) 사이에 형성된 골을 통해 배수가 원활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분리형의 꽃잎블록(10)은 가장자리측으로 두개의 설편(12)이, 그 중심측에는 반원형의 홈부(11)가 각기 구비된 사분원 형태로 구성되어 네개의 분리형 꽃잎블록(10)을 조립하여 하나의 코스모스 꽃 형상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도블록 유니트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분리형의 꽃잎블록(10)은 가장자리측으로 네개의 설편(12)이, 그 중심측에는 반원형의 홈부(11)가 각기 구비된 반원 형태로 구성되어 두개의 분리형 꽃잎블록(10)을 조립하여 하나의 코스모스 꽃 형상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도블록 유니트
KR20-2004-0002729U 2004-02-05 2004-02-05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KR200348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729U KR200348567Y1 (ko) 2004-02-05 2004-02-05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729U KR200348567Y1 (ko) 2004-02-05 2004-02-05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567Y1 true KR200348567Y1 (ko) 2004-04-29

Family

ID=4942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729U KR200348567Y1 (ko) 2004-02-05 2004-02-05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5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815A1 (ko) * 2015-07-16 2017-01-19 ㈜대청기와건설 바닥포장용 블록
KR20200048065A (ko) 2018-10-29 2020-05-08 이용희 자연 상징물이 표현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815A1 (ko) * 2015-07-16 2017-01-19 ㈜대청기와건설 바닥포장용 블록
KR20200048065A (ko) 2018-10-29 2020-05-08 이용희 자연 상징물이 표현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7228B2 (en) Artificial flagstone for providing a surface with a natural random look
US7637688B2 (en) Irregular, tessellated building units
CA2873070C (en) Dual-unit paving system
US20080095577A1 (en) Modular surface element
KR200348567Y1 (ko) 조립식 보도 블록 유니트
JP4686282B2 (ja) 緑化舗装用ブロック
KR200420453Y1 (ko) 인조잔디 식재용 보도블록
JPS6020641Y2 (ja) 化粧ブロツク
KR200324346Y1 (ko) 목재 보도블럭
KR200406872Y1 (ko) 식생용 보도블록
KR100970773B1 (ko) 블록
KR100589996B1 (ko) 기능성 보도블록
KR200320477Y1 (ko) 기능성 보도블록
KR200202409Y1 (ko) 조립식 경계블럭
CN218812994U (zh) 一种植草砖
RU2105460C1 (ru) Бордюр для конструирования клумб, цветников и грядок
KR200311107Y1 (ko) 도로 경계석
KR200354485Y1 (ko) 조립식 목재포장블록
KR20000010602U (ko) 조립형 보도블럭
KR20110091339A (ko) 기능성 보도블록
PL15814S2 (pl) Galanteria betonowa
PL15815S2 (pl) Kostka brukow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