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486Y1 -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486Y1
KR200348486Y1 KR20-2004-0000998U KR20040000998U KR200348486Y1 KR 200348486 Y1 KR200348486 Y1 KR 200348486Y1 KR 20040000998 U KR20040000998 U KR 20040000998U KR 200348486 Y1 KR200348486 Y1 KR 200348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onnector
port
connection
conn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20-2004-0000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01R11/14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the hook being adapted for hanging on overhead or other suspended lines, e.g. hot line clamp
    • H01R11/15Hook in the form of a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선로 내의 전선을 분기하거나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분기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결속구를 갖는 몰딩본체의 양단에 분할된 접속구를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몰딩본체의 중앙 직교측에는 또다른 분할 분기구를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각각 분할된 접속구에 의해 일측 접속구의 내부에서 발생한 고압쇼트에 의한 파손시 해당 접속구만을 교체 수리하면 분기 또는 접속구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선로복구 시간이 매우 단축됨은 물론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본체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되는 분기구의 유무에 따라 분기구 또는 접속구로 변형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인 기능을 갖는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Wire branch connector for distribution line}
본 고안은 배전선로 내의 전선을 분기하거나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분기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기접속구의 연결부를 각각 분할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에 의해 분기구 또는 접속구로 구분 사용가능케 함은 물론, 각각 분할 및 결합되는 분기접속구에 의해 고압의 쇼트저항에 의해 연결부가 손상된 경우 해당 연결부만을 교체사용할 수 있으므로 선로복구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분기접속구만으로 분기 또는 접속구로 변형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전력 생산지로부터 배전선로를 거쳐 각 수용가로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한 배전선로는 일정한 간격의 단위구간을 연속으로 형성하고 이들 단위구간내의 전력선을 서로 접속 및 분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일정한 길이의 전력선은 별도의 접속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한 전력선으로부터 각 수용가로 제공되는 전력은 별도의 분기구에 의해 분기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한 분기구 또는 접속구는 양측에 연결구를 갖는 접속구와, 양측의 연결구 및 중앙의 교차방향 연결구를 갖는 분기구로 구분되는 것이며, 상기한 연결구는 전선이나 콘넥터 등이 직접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는 고무와 같은 비전도성 몸체에 의해 몰딩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분기 또는 접속구는 몰딩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구 내부에서 고압쇼트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그 분기구 또는 접속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분기, 접속구에 의한 배전선로의 이상시 선로복구 시간이 상당히 오래 소요됨은 물론 부분 손상시에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비합리성은 물론 폐기자재의 증대로 인한 환경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2점 연결구를 갖는 접속구와 3점 연결구를 갖는 분기구로 구분 성형되므로 이들 자재의 구분사용에 의한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결속구를 갖는 몰딩본체의 양단에 분할된 접속구를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몰딩본체의 중앙 직교측에는 또다른 분할 분기구를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각각 분할된 접속구에 의해 일측 접속구의 내부에서 발생한 고압쇼트에 의한 파손시 해당 접속구만을 교체 수리하면 분기 또는 접속구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선로복구 시간이 매우 단축됨은 물론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본체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되는 분기구의 유무에 따라 분기구 또는 접속구로 변형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인 기능을 갖는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전선 분기접속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전선 분기접속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전선 분기접속구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전선 분기접속구의 타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타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컨넥터 2 : 분기나사홈
10 : 결속구 11,11' : 접속나사홈
20 : 본체 21,21' : 안치요홈
30,30' : 연결핀 31 : 접속나사구
40,40' : 접속구 41 : 삽입경사면
50 : 연결핀 51 : 분기나사구
60 : 분기구 70 : 밀폐커버
80,80' : 전선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전선 분기접속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전선 분기접속구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전선 분기접속구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전선 분기접속구의 타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타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이다.
중앙에 직교방향의 컨넥터(1)가 결합된 전도체상 결속구(10)가 내장된 비전도체상의 본체(20)와, 전도체상 연결핀(30)(30')이 내장된 비전도체상의 접속구(40)(40')와, 또다른 전도체상 연결핀(50)이 내장된 비전도체상의 분기구(60)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한 결속구(10)의 양단에는 접속나사홈(11)(11')을 형성하여 연결핀(30) 단부의 접속나사구(31)가 결합되게 하고, 컨넥터(1) 단부에는 분기나사홈(2)을 형성하여 분기구(60)의 연결핀(50) 단부에 형성된 분기나사구(51)가 결합되게 하며,
본체(20)의 양측단과 접속구(40)(40')의 일단에는 각각 대응되는 경사상의 안치요홈(21)(21') 및 삽입경사면(41)을 형성하여, 연결핀(30)(30')과 결속구(10)의 나사 결합시 본체(20)와 접속구(40)(40')가 대응 밀착되게 하여 이를 분기구로 사용되게 구성한 것이며,
상기한 본체(20) 및 내부의 컨넥터(1)로부터 연결핀(50)이 내장된 분기구(60)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컨넥터(1)의 분기나사홈(2)에 비전도체상의 밀폐커버(70)를 끼워 접속구로 사용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0,80'는 전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분기접속구는 비전도체상 본체(20)의 내부에 내장된 전도체상 결속구(10)에 다방향으로 접속구(40)(40') 및 분기구(6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한 결속구(10)의 양단에 형성된 접속나사홈(11)(11')에는 접속구(40)(40')에 내장된 연결핀(30)(30') 단부의 접속나사구(31)가 결합되어 그 본체(20)와 접속구(40)(40')가 결합되면서 전도체간에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한 결속구(10)의 중앙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된 컨넥터(1)에는 별도의 분기나사홈(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분기나사홈(2)에 결합되는 별도의 분기구(60) 연결핀(50)의 분기나사구(51)에 의해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각각의 접속구(40)(40') 및 분기구(60)의 연결핀(30)(30')(50)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80)(80') 단부 및 전선과 연결된 별도의 삽입구(도면에는 미도시함)가 결합되어 양측 전선을 접속함은 물론 접속된 전선으로부터 분기구(60)를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전선이나 그 연결부에서 쇼트저항 등이 발생하는 경우 고열 및 스파크가 발생하면서 그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인데, 이때 종래에는 그 분기구 및접속구 전체를 교환하였던 것에 비해 본 고안에 의해서는 해당 손상부분을 갖는 접속구(40)(40') 또는 분기구(60) 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배전선로의 용이한 복구는 물론 분기접속구의 교체비용 또한 크게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분기접속구를 이용하여 양측 전선의 접속구만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컨넥터(1)의 분기나사홈(2)에 결합되어 있던 분기구(60)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컨넥터(1)의 일단이 노출되어 위험부담이 따르므로 상기한 컨켁터(1) 및 분기나사홈(2)에 별도의 밀폐커버(70)를 삽입하면 분할된 두개의 전선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구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접속구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본체(20)의 양측에는 경사상의 안치요홈(2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안치요홈(21)(21')으로 삽입되는 접속구(40)(40')의 단부에는 경사상의 삽입경사면(41)이 형성되어 있어, 본체(20)에 접속구(40)(40')를 결합하는 경우 그 경사상의 안치요홈(21)(21') 및 삽입경사면(41)의 대응 결합에 의해 밀착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구조적인 취약함을 제거하면서도 보다 용이한 결합을 가능케 하는 것이며, 비교적 고압이 흐르는 접속구(40)(40')의 누선확률을 저감시키고 빗물이나 불필요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한 컨넥터(1) 및 결속구(10)가 분할되어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를 일체형의 'T'자상으로 가공하여도 무방한 것이며, 내부의 연결핀(30)(30')(50)의 형상 또한 도시된 것과 일치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디자인인 형상을 갖출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벗어나지 않을 정도의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는, 각각 분할된 접속구에 의해 일측 접속구의 내부에서 발생한 고압쇼트에 의한 파손시 해당 접속구만을 교체 수리하면 분기 또는 접속구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선로복구 시간이 매우 단축됨은 물론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본체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되는 분기구의 유무에 따라 분기구 또는 접속구로 변형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인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중앙에 직교방향의 컨넥터(1)가 결합된 전도체상 결속구(10)가 내장된 비전도체상의 본체(20)와, 전도체상 연결핀(30)(30')이 내장된 비전도체상의 접속구(40)(40')와, 또다른 전도체상 연결핀(50)이 내장된 비전도체상의 분기구(60)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한 결속구(10)의 양단에는 접속나사홈(11)(11')을 형성하여 연결핀(30) 단부의 접속나사구(31)가 결합되게 하고, 컨넥터(1) 단부에는 분기나사홈(2)을 형성하여 분기구(60)의 연결핀(50) 단부에 형성된 분기나사구(51)가 결합되게 하며,
    본체(20)의 양측단과 접속구(40)(40')의 일단에는 각각 대응되는 경사상의 안치요홈(21)(21') 및 삽입경사면(41)을 형성하여, 연결핀(30)(30')과 결속구(10)의 나사 결합시 본체(20)와 접속구(40)(40')가 대응 밀착되게 하여 이를 배전분기구로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20) 및 내부의 컨넥터(1)로부터 연결핀(50)이 내장된 분기구(60)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컨넥터(1)의 분기나사홈(2)에 비전도체상의 밀폐커버(70)를 끼워 배전접속구로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KR20-2004-0000998U 2004-01-14 2004-01-14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KR200348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998U KR200348486Y1 (ko) 2004-01-14 2004-01-14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998U KR200348486Y1 (ko) 2004-01-14 2004-01-14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592A Division KR20050074722A (ko) 2004-01-14 2004-01-14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486Y1 true KR200348486Y1 (ko) 2004-04-29

Family

ID=4942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998U KR200348486Y1 (ko) 2004-01-14 2004-01-14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48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270B1 (ko) 2004-07-21 2006-08-21 주식회사 평일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KR100751518B1 (ko) 2006-12-19 2007-08-23 (주)신명이앤씨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847019B1 (ko) 2008-02-15 2008-07-17 (주)미가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KR101609860B1 (ko) 2015-07-31 2016-04-07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270B1 (ko) 2004-07-21 2006-08-21 주식회사 평일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KR100751518B1 (ko) 2006-12-19 2007-08-23 (주)신명이앤씨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847019B1 (ko) 2008-02-15 2008-07-17 (주)미가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KR101609860B1 (ko) 2015-07-31 2016-04-07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7539B8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die Datentechnik
ATE220212T1 (de) Steckverbindung für lichtwellenleiter
EP1008217A4 (en) CABLE CONNECTOR HAVING A FLUID INJECTION PORT
JP2001273957A (ja) 電源アダプタ装置
KR20050074722A (ko)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KR101611899B1 (ko) 방수 가능한 전기 접속구
KR200348486Y1 (ko)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MX9305173A (es) Clavija modular de contacto multiple y/o enchufe modular de contacto multiple de dispositivos de conexion de clavija para sistemas de corriente de señal en particular para telecomunicaciones de datos.
DE602004008842D1 (de) Steckverbindungsgerät für kompakte Stellmotoren
JP2008226621A (ja) 分岐付ケーブル
BR0207388A (pt) Cavilha de aterramento de dupla extremidade
DE59813905D1 (de) Steckerbrücke für einen elektrischen Gerätestecker mit integrierter Sicherung
ES2188694T3 (es) Borne en serie con un carril de corriente.
US5993272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wire connection at cable entry end
DE602007001477D1 (de) Fixieranordnung für elektrische Verbinder
US7112101B2 (en) Socket used to house female plugs and micro-relays
KR19980066934U (ko) 콘센트
TWI508394B (zh) 電連接器組
KR101975935B1 (ko) 다중 조인트 연결 장치
KR200366950Y1 (ko)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의 결합구조
KR20060011391A (ko)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의 결합구조
KR200238834Y1 (ko) 통전검사용 컴퓨터 케이블의 플러그 어뎁터
KR101697513B1 (ko)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소켓 및 커넥터
KR960002139Y1 (ko) 플러그
ITRM940421A1 (it) "dispositivo di ritegno per valvola con nucleo ad anel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