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313Y1 -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 Google Patents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313Y1
KR200348313Y1 KR20-2004-0002742U KR20040002742U KR200348313Y1 KR 200348313 Y1 KR200348313 Y1 KR 200348313Y1 KR 20040002742 U KR20040002742 U KR 20040002742U KR 200348313 Y1 KR200348313 Y1 KR 200348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op plate
artificial ground
reservo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7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욱
장성완
최지현
Original Assignee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2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31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313Y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배수구 형성면에, 열접합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로 이루어진 토목용 쉬트(sheet)를 접합시킴으로써 미세토양의 유실과 모듈 밖으로의 뿌리의 신장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각 모듈간의 이격과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부가 모듈에 일체화된 구조를 구비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은 건축물 옥상을 비롯한 인공 지반 구조물 위에 식생을 도입하는 경우 저수와 배수가 균형적으로 기능하면서 미세토양의 유실과 모듈 밖으로의 뿌리의 신장을 차단하고 각 모듈간의 이격과 뒤틀림을 방지하며 시공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greening, by connecting a civil engineering sheet made of polypropylene long fibers to the drain hole forming surface of the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gre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elongation of the roots outside, and also to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module made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materia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part is integrated in the module to prevent the separation and distortion between each module. It is about. When the vegetation is introduced on the artificial ground structure including the roof of the building,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to balance the water and drainage while blocking the loss of the micro soil and the elongation of the root outside the modu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rpage and to perform the construction simply and quickly.

Description

인공지반녹화용 모듈{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Module for Artificial Ground Recording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본 고안은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옥상을 비롯한 인공 지반 구조물 위에 식생을 도입하는 경우 녹화시공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해 저수와 배수가 균형적으로 기능하고, 미세토양의 유실과 모듈 밖으로의 뿌리의 신장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각 모듈간의 이격과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부가 모듈에 일체화된 구조를 구비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recording, and more specifically, when introducing vegetation on an artificial ground structure including a roof of a building, water and drainage functions in a balanced manner to perform the greening construction simply and quickly. It is possible to block the loss of soil and the elongation of roots out of the module, and the artificial body made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materia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joint is integrated in the module to prevent the separation and warping between the modules. It relates to a module for ground recording.

옥상녹화는 도시의 확대로 인한 녹지공간의 축소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강구되고 있는 도시의 친환경화 기술의 일환으로 독일을 비롯한 유럽을 중심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현재 일본과 북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옥상녹화를 통해 도시의 열섬현상 완화, 건축물의 단열 효과, 경관의 창출, 대기질의 개선 등 긍정적인 효과가 꾸준히 보고되면서 국내에도 근래에 들어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Rooftop greening is rapidly spreading in Japan and North America as it is spreading mainly in Europe, including Germany, as part of the eco-friendly technology of the city, which is being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reduction of green space due to the expansion of cities. The rooftop greening has been reported to steadily report positive effects such as mitigating heat islands in cities, thermal insulation of buildings, creating landscapes, and improving air quality.

이와 관련하여 현재 옥상녹화에 관련된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우리나라에서는 옥상녹화가 일반 조경의 관점에서 정원을 가꾸는 정도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제까지 개발된 기술 역시 외국의 기술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종래의 기술들은 옥상에 단열층, 방수층, 배수층, 방근층, 필터층, 투수층, 식재층 등을 층층이 깔아서 시공하고 있어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유지 및 보수시 전체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간편하고 신속한 옥상녹화를 위해 저수와 배수를 일체화시키는 기술이 현재 개발 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기술은 배수층과 저수층을 구분하여 시공하도록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여름의 강수 조건을 고려하여 저수 보다는 배수에 치중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봄과 가을에 고온건조 현상이 점차 심해지고 있으며, 이는 옥상녹화기술 분야에 있어서 저수기능의 강화가 배수기능과 함께 조화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In relation to this, various technologies related to roof greening are being developed, but so far, roof greening is recognized in Korea as a gardening garden in terms of general landscaping, and the developed technology is still borrowing foreign technology. have. In particular, the prior art is to install a layer of insulation layer, waterproof layer, drainage layer, waterproofing layer, filter layer, water permeable layer, planting layer, etc. on the roof, which is not only complicated and cumbersome, but also has a problem of replacing the whole for maintenance and repair. have.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integrate the water and drainage for simple and fast rooftop greening, a technology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However, the technology that has been developed and used up to now is to separate the drainage layer and the reservoir layer, and to focus on drainage rather than water storage in consideration of the summer precipitation conditions in Korea. However, in Korea, the high temperature drying phenomenon is getting worse recently in spring and autumn, and this demands that the strengthening of the water storage function should be harmonized with the drainage function in the rooftop greening technology field.

아래의 표 1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30년간 월별 평균강우량과 농업과학기술원의 "토성 및 유효토심에 따른 토양수분 변화(조인상)"에서 보고된 수원지역 월별 잠재증발산량을 인용하여 정리한 것으로, 일년 중 하절기에만 증발산량(물의 증발과 식물의 기공을 통한 증산작용에 의해 사라지는 물의 양) 보다 강우량이 많고 나머지 기간은 항상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물수지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물수지 특성을 고려할 때, 성공적인 옥상녹화를 위해서는 집중강우시에는 원활한 배수에 대한 대책이, 그리고 갈수기에는 부족한 물의 공급에 대한 대책이 반드시 강구되어야 한다.Table 1 below summarizes the monthly average rainfall amount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 30 years and the monthly potential evaporation of the Suwon area reported in "Changes in Soil and Moisture by Soil and Effective Soil" by the Korea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n summer only, there is more rainfall than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the amount of water disappeared by evaporation of water and transpiration through the pore of plants), and the remaining period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balance in Korea.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water balance, measures for smooth drainage during heavy rainfall and measures for insufficient water supply in the dry season must be taken for successful rooftop greening.

(표 1) 우리나라의 월별 강우량과 잠재증발산량 및 잔디류에 대한 실증발산량Table 1 Monthly Rainfall, Potential Evaporation, and Evidence of Turfgrasses in Korea

구 분division 강수량(mm)Precipitation (mm) 잠재증발산량(ET0,mm)Latent evaporation (ET 0 , mm) 실증발산량(Etc=Kc*ET0)Evaporative emission amount (Et c = K c * ET 0 ) 과부족(mm)Overstress (mm) 산출근거Rationale 30년간 강수평균Precipitation average over 30 years 1997년 수원지역Suwon Area, 1997 Turf(crop factor, Kc=0.7)Turf (crop factor, K c = 0.7) 기상청 통계Meteorological Agency statistics 농시연보Annual report Paul W. Brown(Arizozna주립대)Paul W. Brown (Arizozna State University) 1월January 23.523.5 38.338.3 26.8126.81 -3.3-3.3 2월February 24.024.0 47.947.9 33.5333.53 -9.5-9.5 3월In March 47.047.0 72.472.4 50.6850.68 -3.7-3.7 4월April 76.076.0 99.899.8 69.8669.86 6.16.1 5월In May 94.894.8 121.5121.5 85.0585.05 9.89.8 6월June 133.2133.2 154.7154.7 108.29108.29 24.924.9 7월In July 302.7302.7 132.2132.2 92.5492.54 210.2210.2 8월August 305.8305.8 115.7115.7 80.9980.99 224.8224.8 9월September 133.5133.5 109.3109.3 76.5176.51 57.057.0 10월October 52.352.3 104.3104.3 73.0173.01 -20.7-20.7 11월November 51.051.0 52.552.5 36.7536.75 14.314.3 12월December 24.124.1 36.436.4 25.4825.48 -1.4-1.4 합계Sum 1267.91267.9 1085.01085.0 759.5759.5 508.4508.4

한편, 종래의 기술로서 가장 보편적인 옥상녹화 기술은 옥상녹화지 전체 면적에 대하여 요구되는 여러층들을 차례로 적층하는 방법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한국 특허 제10-0349557호는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안하고있는데, 이 옥상녹화시스템은 옥상바닥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P.E.(Polyethylene) 필름, 단열용판재, 구배조절용 E.P.S.(Expanded Polystyrene) 판넬조립체, PVC 또는 폴리올레핀 방수시트, E.P.S. 재질의 고밀도 단열재로서 홈을 갖춘 저배수용 단열판, 여과 투수용 P.P.(Polypropylene) 부직포 및 식물성장 토양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0-0314544호에 제안된 옥상의 녹화 시공 시스템은 옥상 방수층에 부직포를 삼중으로 깔고, 접착제를 도포한 후 방근층과 단열층을 형성하며 그 상부에 3차원 구조의 투수매트를 적층하고 왕겨를 채워 넣은 후 P.E.망사를 깔고 인공배양토를 깐 후 식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기본적으로는 옥상에 단열층, 방수층, 배수층, 방근층, 필터층, 투수층, 식재층 등을 층층이 깔아서 시공하는 것으로 그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시 전체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Meanwhile, the most common rooftop recording technique as a conventional technique is a method of sequentially stacking several layers required for the entire area of the rooftop recording paper.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No. 10-0349557 proposes a structure of a rooftop recording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rooftop recording system sequentially has a PE (polyethylene) film, insulation board, and EPS for gradient control from the rooftop surface. (Expanded Polystyrene) Panel Assembly, PVC or Polyolefin Waterproof Sheet, EPS It is a high-density insulator made of low-insulation insulation plate with grooves, P.P.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for filtration permeability, and plant growth soil powder. In addition, the roofing greening construction system proposed in Korean Patent No. 10-0314544 has three layers of non-woven fabrics on the rooftop waterproofing layer, and after applying an adhesive, forms a barrier layer and a heat insulating layer, and a three-dimensional permeable mat is laminated on the top. After filling the rice husk, PE mesh is laid and artificial culture soil is laid and the technology for planting. However, these conventional technologies are basically to install a layer of insulation layer, waterproof layer, drainage layer, waterproofing layer, filter layer, water permeable layer, planting layer, etc. on the roof, which is not only complicated and cumbersome, but also replaces all of them during maintenance and repair. I have a problem that needs to be done.

이러한 다단계의 복잡한 시공절차와 유지 및 보수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식재매트와 세덤(Sedumspp.)블럭, 식물식재용 상자 등을 이용한 옥상녹화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중 옥상녹화용 식재매트(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64462호)는 야자열매 섬유소인 코이어(coir)를 이용하여 형성된 코이어 천에 토양류를 혼합하여 매트를 형성하도록 하여 시공의 편리성을 강화시키긴 하였으나 무엇보다도 그 재질이 유기물이라 시간의 경과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에 그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내구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래기술로는 환경친화적인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세덤 블록(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92003호)과 식물식재용 상자(대한민국 특허공고 제1995-0008915호) 등이 있다. 이들 기술은 블록또는 상자의 구조에 저수 및 배수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환경친화적인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세덤 블록의 경우 세덤블럭의 일정높이에 다수개의 배수구를 칸막이를 이용해 형성하여 일정량의 물을 유지하도록 고안되었으며, 식물식재용상자는 블록상자체 바닥에 십자형으로 융기한 융기돌조와 그 융기돌조의 상면에 배수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complex construction procedures and difficulties in maintenance and repair, rooftop greening methods using planting mats, Sedum spp. Blocks, and plant boxes have been tried. Double roofing planting mat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4462) is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by mixing soils with coir cloth formed using coir, a coconut fiber Although it strengthens but most of all because the material is organic material is decomposed over time has a problem in its durability. Conventional techniques that can solve such problems of durability include sedom block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92003) and planting boxes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5-0008915)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recycled materials. have. These technologi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and drainage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he structure of the block or the box.In the case of the sedom block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recycled materials, a plurality of drains are formed by using partitions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edom block. It is designed to keep the water, and the plant box is characterized by installing a cross-ridged ridge in the bottom of the block box and a drainage hole in the upper surface of the ridge.

그러나 이들 블록 내지 상자는 전체 구조체 면적에 비해 배수공의 면적이 작아 호우시 충분한 배수가 어려우며, 배수공을 통한 토양 유실의 문제와 식물의 뿌리가 배수공을 통해 뻗어나가 옥상표면에 손상을 주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런 이유로 실제로 이들 블록 (또는 상자)를 이용한 옥상녹화 공사의 경우 블록(또는 상자)을 깐 후에, 그 위에 부직포를 덮고 토양을 채우는 통상적인 공사 과정을 다시 수행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또한 식물식재용 상자는 상자가 연결되지 않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닛들이 서로 어긋나고 뒤틀어지면서 경관을 오히려 황폐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blocks or boxes have a small drainage area compared to the total structure area, so that it is difficult to drain enough during heavy rains, and problems such as soil loss through the drainage holes and plant roots extending through the drainage holes damage the roof surface. .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roof recording work using these blocks (or boxes),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normal construction process of covering the nonwoven fabric and filling the soil after covering the blocks (or boxes). In addition, the box for planting has a problem that the box is not connected, the unit is distorted and twisted over time as a result of ruining the landscape.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인공지반녹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고안으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3차원적인 구조 배치를 통해 저수와 배수는 물론 방근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s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technique that can perform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re simply and quick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recording, which can serve as a water storage and drainage as well as a waterproof function.

특히, 본 고안은 우리나라의 물수지 특성에 기초하여 종래 기술을 더욱 향상시키고 그 내재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인공지반녹화 시공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며 시공 후에도 원상태를 영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적용된 식물들의 생육이 건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수와 배수가 균형적으로 기능하고,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배수구 형성면에, 열접합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로 이루어진 토목용 쉬트(sheet)를 접합시킴으로써 미세토양의 유실과 모듈 밖으로의 뿌리의 신장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모듈 결합부가 모듈에 일체화된 구조를 구비하여 각 모듈간의 이격과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maximizes the speed and efficiency of artificial ground reclamation construction by further improving the prior art and solving the inherent proble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balance of our country. In order to ensure soundness, the water and drainage function in a balanced manner, and the ground of the fine soil is bonded by bonding a sheet of civil engineering made of long-bonded polypropylene long fibers to the drain hole forming surface of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modu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greening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which is capable of blocking elongation of roots out of the module, 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module coupling part is integrated in the module to prevent separation and warping between the modules. The purpose.

도 1은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배수구 형성면에, 열접합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로 이루어진 토목용 쉬트(sheet)가 접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ivil engineering sheet (sheet) made of heat-bonded polypropylene filament is bonded to the drain hole forming surface of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의 둘레벽의 상단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부에,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둘레벽의 상단부가 밀착되어 끼워져, 상기 어느 하나의 모듈과 인접하는 다른 모듈이 상호 밀착되어 연결되면서 이들 사이에 배수채널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정면도이다.Figure 5a is a coupl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in a "c" shape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of any one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of another adjacent module is in close contact It is a cutaway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age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one module and the other adjacent modul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도 5b는 도 5a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절단정면도로서, 본 고안의 모듈의 둘레벽이 상단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둘레벽의 말단부로부터 윗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어느 하나의 모듈의 결합부에,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둘레벽의 "ㄷ"자 절곡부의 말단부가 밀착되어 끼워져 상기 어느 하나의 모듈과 인접하는 다른 모듈이 상호 밀착되어 연결되면서 이들 사이에 배수채널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정면도이다.FIG. 5B is a cutaway front view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5A, wherein a peripheral wall of th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in a “c” shape downward from an upper end thereof, and upwards from a distal end of the peripheral wall thereof; The end portion of the “c” shaped bent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adjacent module is closely attach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any one of the modules formed by bending in a “c” shape, and the other module adjacent to the one module is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It is a cutaway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drainage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m while being connect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11: 저수조10: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Recording 11: Water Tank

11a: 바닥면 11b: 교차벽11a: floor 11b: cross wall

12: 저수조 연결상판 13: 배수구12: reservoir connection top 13: drain

14: 토목용 쉬트(sheet)14: Civil Sheet

15: 모듈 결합부 16: 둘레벽15: module coupling 16: circumferential wall

17: 배수채널 18a, 18b: 보강지지대17: drain channel 18a, 18b: reinforcement support

19: 식재층19: planting lay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제 1 태양은,The first aspect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세워 설치한 교차벽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저수조;A plurality of reservoirs each formed by a bottom wall and an intersection wall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상기 각각의 저수조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연장되는 저수조 연결상판;Reservoir connection top plate extending b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each reservoir;

상기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 연결상판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형상의 구조체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세워 설치한 둘레벽;A circumferential wall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lattice-shaped structure formed by the reservoir and the reservoir top plate;

각 모듈간의 이격과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둘레벽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가장자리 상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인접하는 모듈의 둘레벽과 밀착되어 끼워지는 모듈 결합부;A module coupling part which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one or two or more edges of the circumferential wal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another adjacent module to prevent separation and distortion between the modules;

상기 저수조 연결상판의 아래쪽에 연결상판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상기 모듈결합부와 상기 둘레벽에 의해 밀착되어 결합된 모듈들 사이의 저수조 연결상판 및 저수조의 교차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의해 구획되는 배수채널;It is formed by the space formed by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connection top plat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op plate, or formed by the water tank connection top plate and the cross wall of the water tank between the modules coupled and coupled by the module coupling portion and the peripheral wall Drain channel;

상기 저수조 연결상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채널과 연통하는 배수구;및A drain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connection top plate and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channel; and

미세토양의 유실과 모듈 밖으로의 뿌리의 신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저수조 연결상판의 상면에 접합되는 쉬트(sheet)를 포함한다.And a sheet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connection top plate in which the drain hole is formed to block the loss of the micro soil and the extension of the root out of the module.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제 2 태양은 상기 연결상판의 기단부분과 둘레벽의 내측사이에 개재되거나, 상기 연결상판의 하면에 돌출연장되어 형성된 보강지지대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aspect of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support interposed between the proximal end of the connecting upper plate and the inner side of the peripheral wall or protrudingly exten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upper plate.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제 3 태양은 상기 저수조가 차지하는 면적과 상기 배수채널이 차지하는 면적의 면적비가 약 30-40:60-7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aspect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reservoir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drainage channel is about 30-40: 60-70.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제 4 태양은 상기 연결상판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구의 총면적이 전체 모듈 평면적(모듈이 차지하는 바닥면적)의 약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aspect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area of the drain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top plate is about 4-5% of the total module planar area (floor area occupied by the module).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제 5 태양은 상기 모듈 결합부가 상기 둘레벽의 상단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모듈의 둘레벽의 상단부와 밀착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aspect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odule coupling portion is bent in a "c" shape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to be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another adjacent module. It features.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제 6 태양은 상기 둘레벽이 상단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결합부는 상기 둘레벽의 말단부로부터 윗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모듈의 둘레벽의 "ㄷ"자 절곡부의 말단부와 밀착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ixth aspect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mferential wall is formed to be bent in a "c" shape downward from the upper end, and the module coupling part is "c" up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t is formed to be bent in the shape of a chil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 shaped bent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adjacent module.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제 7 태양은 상기 저수조의 깊이가 약 3cm이고, 상기 배수채널의 높이가 약 3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venth aspect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of the reservoir is about 3cm, and the height of the drainage channel is about 3cm.

한편, 상기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is preferably high density polyethylen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아니하고 설명을 위한 예시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examples for description without limit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모듈(10)은 바닥면(11a)과 이 바닥면(11a)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세워 설치한 교차벽(11b)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저수조(11), 상기 각각의 저수조(11)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십자형상으로 연장되는 저수조 연결상판(12), 상기 저수조(11)와 상기 저수조 연결상판(12)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형상의 구조체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세워 설치한 둘레벽(16), 상기 둘레벽(16)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가장자리 상단부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모듈(10)의 둘레벽(16)과 밀착되어 끼워지는 모듈결합부(15), 상기 저수조 연결상판(12)의 아래쪽에 연결상판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모듈결합부(15)와 상기 둘레벽(16)에 의해 밀착되어 결합된 모듈들(10) 사이의 저수조 연결상판(12) 및 저수조의 교차벽(11b)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의해 구획되는 배수채널(17), 상기 저수조 연결상판(1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채널(17)과 연통하는 배수구(13), 상기 배수구(13)가 형성된 저수조 연결상판(12)의 상면에 접합되는 토목용 쉬트(sheet)(14), 및 상기 연결상판(12)의 기단부분과 둘레벽(16)의 내측사이에 개재된 보강지지대(18a), 또는 상기 연결상판(12)의 하면에 돌출연장되어 형성된 보강지지대(18b)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plan view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n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view.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rst,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 tanks 11 each formed by a bottom wall 11a and a cross wall 11b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11a. ), The periphery of the lattice-shaped structure formed by the reservoir tank top plate 12 extending in the cross shape b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reservoir tank 11, the reservoir 11 and the reservoir tank top plate 12 Peripheral wall 16, which is installed upright along the periphery,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one or two or more edges of the circumferential wall 16, the module coupling portion 15 is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al wall 16 of the adjacent module 10 ), The water tank between the modules 10 which are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water tank connection top plate 12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op plate, or are tightly coupled by the module coupling part 15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16. Ball formed by connecting top plate 12 and cross wall 11b of reservoir A drain channel 17 partitioned by the liver, a drain port 13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connection top plate 12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channel 17, and the reservoir connection top plate 12 having the drain port 13 formed therein. Civil engineering sheet (14) bond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reinforcing support (18a) interposed between the bas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top plate 12 and the inner side of the peripheral wall 16, or of the connecting top plate 12 It is composed of a reinforcing support (18b) formed protrudingly extended on the lower surface.

본 고안의 모듈(10)의 재질은 내약품성 및 내한성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좋으며, 수명이 반영구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모듈(10)의 재질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플라스틱(HDPE)인 경우 모듈 내의 식물 뿌리가 옥상의 방수층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모듈(10)은 전체적으로는 높이가 5cm, 7cm 또는 10cm이고, 그 전체적인 형상은 바닥면(11a)과 이 바닥면을 둘러싼 사방의 둘레벽(16)으로 이루어지는 50cm×50cm인 사각형의 용기모양을 하고 있다. 이러한 용기모양의 모듈(10)은 기본적으로 옥상 등 인공지반부와 식생용 토양을 구분하는 경계의 기능을 담당하고, 식물의 생육배지인 토양층을 담게 된다.The material of the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chemical resistance and cold resistance, good impact resistance, semi-permanent high density polyethylen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is preferred. When the material of the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 density polyethylene plastic (HD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lant root in the module does not affect the waterproof layer on the roof. In addition, the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is 5cm, 7cm or 10cm in height, the overall shape is a 50cm x 50cm square consisting of the bottom surface 11a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16 of all four sides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It is shaped like a container. Such a container-shaped module 10 is basically responsible for the boundary of separating the artificial ground and the vegetation soil, such as the rooftop, and contains the soil layer which is the growth medium of the plant.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모듈(10)은 높이 3cm, 가로세로 8cm 직육면체의 저수조(11)가 가로 4개, 세로 4개로서 총 16개가 격자 모양으로 배열되거나, 높이 3cm, 가로세로 10cm 직육면체의 저수조(11)가 가로 3개, 세로 3개로서 총 9개가 격자 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바닥면(11a)으로부터 저수조 연결상판(12)까지 높이 3cm, 폭 5cm로 융기되어 형성되는 배수채널(17)이 8cm 간격으로 가로세로로 각각 3열씩 배열되며, 이렇게 교차 배열된 채널과 채널 사이에는 깊이 3cm, 가로세로 8cm의 저수조(11)가 총 16개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배수채널(17)과 연통하는 배수구(13)는 저수조 연결상판(12)에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모듈(10)에 있어서 이 배수구(13)외에는 모두 밀폐되어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모듈은 배수채널(17)과 연통하는 배수구(13)가 있고 9개 또는 16개의 저수조(11)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홍수기와 갈수기가 있는 대한민국의 강우조건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모듈은 원활한 배수와 충분한 저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옥상녹화기술에서 요하는 별도의 배수층 및 저수층 등의 시공이 필요없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수채널(17)은 모듈(10) 연결시에는 사방으로 뻗친 배수구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집중강우 시에도 물이 바로 배수구를 통해 방수층 위를 흘러 옥상 배수구로 빠져 나가게 한다. 또한, 배수채널(17)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자유롭기 때문에 모듈(1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 호흡을 도우며, 이러한 공기층의 존재는 모듈을 사이로 건물과 주위 환경과의 열교환을 크게 완화시켜 준다.Module 10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tank 11 of a height 3cm, a vertical 8cm cuboid, four horizontal, four vertical, a total of 16 arranged in a grid, or a storage tank of a 3cm high, 10cm cuboid (11) are three horizontally and three vertically, and a total of nine can be arranged in a grid shape. 1 to 3, the drainage channels 17 formed by being raised at a height of 3 cm and a width of 5 cm from the bottom surface 11a to the water tank connection top plate 12 are arranged in three rows each having a length and width of 8 cm at intervals. An example in which a total of 16 reservoirs 11 having a depth of 3 cm and a width of 8 cm are formed between the channels and the channels. In addition, the drain port 13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channel 17 is formed in the water tank connection top plate 12 is formed, all of the drain port 13 in the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sealed. The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drain 13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channel 17 and 9 or 16 reservoirs 11 are designed to store the water is designed to suit the rainfall condi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floods and drains It is. In other words, the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a smooth drainage and a sufficient water storage function at the same tim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drainage layer and a storage layer required by the existing rooftop recording technology. In addition, since the drain channel 17 of the present embodiment serves as a drain hole extending in all directions when the module 10 is connected, the water flows directly over the waterproof layer through the drain hole and exits to the roof drain when the rainfall is concentrated. In addition, the free flow of air through the drain channel 17 helps root respiration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module 10, and the presence of this air layer greatly mitigates heat exchange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etween the modules.

즉, 위와 같이 형성된 모듈(10)에서 배수채널(17)은 강우시 저장용량을 초과하는 물이 신속히 빠져나갈 수 있는 배수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종래의 유사한 구조 보다 200% 이상 폭이 넓고 그 채널이 차지하는 총면적은 모듈의 전체 바닥면적의 60%에 달하게 된다. 물이 흐르지 않는 기간에는 옥상면과 모듈 사이에서 모듈의 전체 바닥면적의 60% 이상이 접촉하지 않고 떠 있게 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게 되므로 "일사차폐블록을 사용한 옥상녹화에 의한 온열환경 개선의 연구"(후르카와 노부히사, 일본 동경법정대학, (사)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한미일의 옥상녹화 국제심포지엄, 2003)에서 보고되었듯이 전체 면적이 토양으로 채워져 있는 경우 보다 우수한 단열효과를 보이게 된다. 또한 단열효과 외에도 배수채널(17)의 존재는 토양재료량을 60% 가량 줄이는 결과를 낳게 되어 건물하중에 의한 부담을 크게 완화시켜 주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토양 재료의 소요량 측면에서도 채널구조 없이 전체 면적을 토양으로 채웠을 때 보다 채널구조의 모듈에서는 60% (부피 기준) 가량의 토양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하중 부담을 크게 줄여주게 되는데, 이는 식재층(19)이 물을 함유할 때 더 큰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배수채널(17)이 구현된 모듈(10)은 종래의 칸막이 형식의 좁은 배수로를 가진 블록이나 상자 구조와는 현저한 기술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in the module 10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drain channel 17 is 200% wid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similar structure so as to serve as a drain hole to quickly drain the water exceeding the storage capacity during rainfall. The total area occupies 60% of the total floor area of the module. During the period when no water flows, more than 60% of the entire floor area of the module floats between the rooftop surface and the module without contact, and an air layer is formed therebetween. As reported in the study (Furkawa Nobuhisa, Tokyo University of Tokyo, Japan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ofing and Reclamation of Korea and Japan, 2003), when the entire area is filled with soil, it shows better insulation effect. In addition to the insulation effect, the presence of the drainage channel 17 results in a reduction of 60% of the amount of soil material,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burden caused by the building load. In addition, in terms of soil material requirements, the module of the channel structure can save about 60% (volume) of soil in the module structure of the channel structure than when the entire area is filled with the soil without the channel structure. This has a greater effect when the planting layer 19 contains wate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module 10 in which the drain channel 17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has a significant technical difference from a block or box structure having a narrow drainage channel of a conventional partition type.

한편, 배수채널(17) 위의 저수조 연결상판(12)에는 2mm×2mm 크기의 배수구(13)가 3mm 간격으로 4 내지 5열로 배열되는데, 배수구의 면적 합계가 모듈 전체 평면적(본 명세서에서는 모듈이 차지하는 바닥면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함)의 약 4-5% 가량을 차지하도록 천공되어 잉여수가 신속하게 배수채널(17)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극한적인 집중호우 시에도 침수와 배수불량에 의한 식재토양의 교란 우려가 없게 된다. 옥상녹화의 경우 식재토양으로 사용하는 재료들은 대부분 인공경량토로 비중이 작아 침수시 식재층(19)이 부유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옥상녹화용 모듈에 있어서 잉여수의 신속한 배수는 아주 중요한조건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servoir connection top plate 12 on the drainage channel 17, drain holes 13 of 2 mm x 2 mm size are arranged in 4 to 5 rows at 3 mm intervals, and the sum of the area of the drain holes is the total area of the module (in this specification, The bottom area occupies about 4-5%, so that the surplus water can quickly exit the drain channel 17.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disturbance of planting soil due to flooding and poor drainage, even during extreme heavy rainfall. In the case of rooftop greening, most of the materials used as planting soils are artificially light soils, so the planting layer 19 floats when flooded. Therefore, the rapid drainage of surplus water is a very important condition in the rooftop greening module.

또한, 본 실시예의 모듈(10)에서 구현된 저수조(11)는 깊이 3cm, 가로세로 8cm의 우물형상으로서 실제로는 여기에 인공경량토양이 채워지게 되며, 강우시 모듈(10)로 유입된 물은 채워진 인공경량토양의 공극에 보유된다. 보유되는 물의 양은 인공경량토양으로서 팽창펄라이트를 사용할 경우 최대포화함수량(76.7%)과 영구위조점(5.7%)을 고려해 계산하면 약 2,200ml에 달하게 된다. 한편, 영구위조점(PWP, permanent wilting point)이란 토양의 수분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위조한 식물을 포화습도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해도 회복되지 못하는 토양의 수분상태를 말한다.In addition, the reservoir 11 implemented in the modul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well shape having a depth of 3 cm and a width of 8 cm, and in fact, the artificial light soil is filled therein, 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module 10 during rainfall is It is retained in the voids of the filled artificial lightweight soil. The amount of water retained is approximately 2,200 ml when calculated using the expanded pearlite as the artificial lightweight soil, considering the maximum saturation function (76.7%) and the permanent forgery point (5.7%). On the other hand, the permanent wilting point (PWP) is a number representing the moisture of the soil, it refers to the moisture state of the soil that can not recover even if left forged plants in the air of saturated humidity for 24 hours.

앞서의 표 1을 참조하여 주요 옥상녹화식물인 잔디의 경우 물수지를 단순분석해 보면 4월과 9월 사이에는 물이 충분히 공급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식재층(19)에 저장되지 않는 물은 모두 유출되게 되므로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유효수분은 이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모듈(10)에 구현된 저수조(11)의 존재는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저수조(11)의 용량을 지나치게 크게 할 경우에는 과습에 의해 식물뿌리의 호흡이 곤란해지고, 혐기 조건에 의한 부패가 일어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조(11)의 깊이를 3cm로 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In the case of grass, which is a major rooftop plant, referring to Table 1, the water balance seems to be sufficiently supplied between April and September, but all water not actually stored in the planting layer 19 is leaked. As a result, the effective moisture available to plants is far short of this. Therefore, the presence of the reservoir 11 implemented in the modul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aid to be very useful. On the other hand, if the capacity of the reservoir 11 is excessively large, it is difficult to breathe the plant roots due to over-humidification, and decay may occur due to anaerobic conditions. In this embodiment, the depth of the reservoir 11 is set to 3 cm. Was to solv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듈(10)의 배수채널(17) 위의 연결상판(12)에 형성된 배수구(13)는 입경 2mm 이하의 토양재료의 유실이 가능하며, 또한 모듈(10) 안에서 자라게 될 식물의 뿌리가 배수구(13)을 통해 모듈 밖으로 뻗어 나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3)가 형성된 저수조 연결상판(12)에, 열접합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장섬유로 이루어진 토목용 쉬트(14)를 접착시킴으로써 세립토양의 여과는 물론 방근 기능을 부여하였다. 상기한 토목용 쉬트(14)는 독특한 섬유배열에 의한 대각선 방향의 높은 인장강도와 우수한 여과 성질을 갖고 있으며, 내부식성과 습기 및 화학물질에 저항력을 갖고 있는 듀퐁의 타이파(Typar)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종래의 기술은 이를 구조적으로 해결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필터층과 방근층을 별도로 깔아주도록 시방서에 언급하고 있어 시공의 효율성과 편리성에서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여과 및 방근 기능을 갖는 쉬트(14)를 부착한 모듈(10)은 별도의 작업공정 없이 모듈(10)을 설치하고 바로 식재토양을 충전함으로써 또는 미리 모듈(10)에 식물을 키워 현장에 직접 설치하는 것만으로 옥상녹화가 가능하여 종래의 옥상녹화기술에 비해 신속하고 간단한 시공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drain hole 13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12 on the drain channel 17 of the module 10 prop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ossible to lose the soil material with a particle diameter of 2mm or less, and also the module 10 The roots of the plants that will grow inside are likely to extend out of the module through the drains 13.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tructur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ivil engineering sheet 14 made of polypropylene long fibers thermally bonded to the reservoir top plate 12 in which the drain hole 13 is formed, as shown in FIG. 4. ) Was attached to provide fine rooting as well as filtration of fine grain soil. The civil engineering sheet 14 has a high tensile strength in the diagonal direction and excellent filtration properties by a unique fiber arrangement, and uses DuPont Typar, which is resistant to corrosion, moisture, and chemicals. It is desirable to.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ior art did not solve this structurally, it is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to lay out a filter layer and a barrier layer separately, and there is a limit in construction efficiency and convenience. Therefore, the module 10 to which the sheet 14 having the filtration and rooting func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module 10 by installing the module 10 and immediately filling the planting soil without a separate work process. It is possible to perform rooftop greening simply by growing plants and installing them directly on site, which enables quick and simple construc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ooftop greening technology.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의 각 모듈간의 이격과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벽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가장자리 상단부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모듈의 둘레벽과 밀착되어 끼워지는 모듈 결합부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모듈(10)의 둘레벽(16)의 상단부에 형성된 모듈 결합부(15)는 인접하는 모듈의 둘레벽(16)과 밀착되어 연결되므로 모듈과 모듈의 이격으로 인한 토양 재료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며, 모듈의 배치를 정연하게 하고 배치 후 모듈의 변형을 막아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한 모듈의 네 개의 둘레벽(16)의 상단부에 가로세로 한쌍, 그리고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네 개의 둘레벽(16)의 상단부에 가로세로 한쌍의 모듈 결합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어, 모듈을 설치해 나갈 때 상호 밀착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a를 살펴보면, 어느 하나의 모듈(10)의 둘레벽(16)의 상단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모듈 결합부(15)에,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둘레벽(16)의 상단부가 밀착되어 끼워져, 상기 어느 하나의 모듈(10)과 인접하는 다른 모듈(10)이 상호 밀착되어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b에는 본 실시예의 모듈(10)의 둘레벽(16)이 상단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변형된 어느 하나의 모듈(10)의 둘레벽(16)의 말단부로부터 윗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모듈 결합부(15)에,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변형된 둘레벽(16)의 "ㄷ"자 절곡부의 말단부가 밀착되어 끼워져 상기 어느 하나의 모듈(10)과 인접하는 다른 모듈(10)이 상호 밀착되어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5A and 5B illustrate a module coupling part formed in a top of one or two or more edges of a circumferential wall to closely fit with a circumferential wall of an adjacent module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and distortion between modules of the present embodiment. . Since the module coupling part 15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16 of the modul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peripheral wall 16 of the adjacent module, the outflow of soil material due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module and the module is prevented. It prevents the module arrangement and prevents deformation of the module after placement.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horizontal and vertical pairs are formed at an upper end of four peripheral walls 16 of one module, and a pair of horizontal and vertical pairs are formed at an upper end of four peripheral walls 16 of adjacent modules. When the module is installed, it can be connected closely. Referring to FIG. 5A, the peripheral wall 16 of another module adjacent to the module coupling part 15 formed by bend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16 of any one module 10 in a “c” shape.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end of th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ne module 10 and the other module 10 adjacent to each other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Fig. 5b shows a variation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wall 16 of the modul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bent in a "c" shape downward from the upper end thereof, and the modified module 10 of the module 10 is shown. The distal end of the “c” shaped bent portion of the deformed circumferential wall 16 of another adjacent modu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odule coupling part 15 formed by bending upwardly from the distal end of the peripheral wall 16 in a “c” shape. It can be seen that the one module 10 and the other module 10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본 실시예의 모듈 결합부(15)는 이 모듈 결합부(15)가 차지하는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되어 개개의 모듈(10)에서 자란 식물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으며, 시설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의 틀어짐을 막아주며, 모듈과 모듈의 이격으로 인한 틈으로의 토양 재료 유출을 방지한다.The module coupling part 15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igned so that the area occupied by the module coupling part 15 is minimized so that plants grown in the individual modules 10 may be naturally connected and may occur as time passes after the facility. It prevents the structure from twisting and prevents the leakage of soil material into the gap due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module and the module.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이 옥상녹화용 모듈로서 사용된 것이 예시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모듈은 건축물 옥상 외에도 제방 및 방조제 등의 인공지반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being used as a roof greening modu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rtificial ground structure such as an embankment and a dike in addition to the roof of a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고안의 모듈을 사용한 인공지반녹화 시공방법은 위에서 기술한 것처럼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아니하는 구체적인 인공지반녹화 시공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Artificial ground recor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ceeded very simply and quickly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 detailed artificial ground recording construction method tha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tep by step with an embodiment.

실시예 1Example 1

우선 옥상녹화를 시공하기 전까지 요구되는 공정을 마친 옥상 바닥에 본 실시예의 모듈(10)을 위치시킨 후, 모듈(10)의 둘레벽(16)의 한쪽 가장자리 상단부에 형성된 모듈 결합부(15)를 인접하는 다른 모듈(10)의 둘레벽(16)과 밀착하여 끼워가며 설계된 면적에 맞게 붙여나간다. 모듈 설치가 완료되면 팽창 펄라이트와 부엽토 등으로 조제된 식재토양을 모듈(10)에 채워 넣는다. 먼지가 날릴 경우 적당히 물을 뿌려가면서 진행한다. 식재토양을 다져주면서 면정리를 한 후 잔디, 세덤류 및 적합한 초화류 등을 식재한다. 마지막으로 충분히 관수한다.First, the modul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laced on the rooftop where the required steps are completed before the roofing is completed, and then the module coupling part 15 formed at the upper end of one edg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16 of the module 10 is re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wall 16 of another adjacent module 10, it is pasted to fit the designed area. When the module installation is completed, the planting soil prepared with expanded perlite and coarse soil is filled in the module 10. If it does, spray it with water. Clean up the soil while compacting the soil, and then plant grass, sedomes, and suitable flowers. Finally water well.

실시예 2Example 2

식물을 이미 착생시킨 모듈(10)의 경우에는, 옥상녹화를 시공하기 전까지 요구되는 공정을 마친 옥상 바닥에 각각의 모듈(10)을 위치시킨 후, 모듈(10)의 둘레벽(16)의 한쪽 가장자리 상단부에 형성된 모듈 결합부(15)를 인접하는 다른 모듈(10)의 둘레벽(16)과 밀착하여 끼워가며 설치해 나간 후 충분히 관수한다.In the case of the module 10 in which plants have already been planted, each module 10 is placed on a rooftop floor after the required steps before the rooftop greening is completed, and then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16 of the module 10 is placed. The module coupling part 15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edge is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al wall 16 of the other module 10 adjacent thereto, and then sufficiently watered.

이상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및 상기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및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에 따라 수정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변경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bove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isclos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은 옥상녹화는 물론 콘크리트 등의 인공지반 위에 식생을 도입할 때 구조물의 표면 훼손의 우려 없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녹화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녹지 면적 확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모듈은 건축물 옥상을 비롯한 인공 지반 구조물 위에 식생을 도입하는 경우 저수와 배수가 균형적으로 기능하면서 미세토양의 유실과 모듈 밖으로의 뿌리의 신장을 차단하고 각 모듈간의 이격과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greening area by allowing the planting to be carried out very simply and quickly without fear of damaging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when introducing vegetation onto artificial ground such as concrete as well as rooftop greening.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In particular, th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loss of micro-soils and the elongation of roots out of the module and prevents the separation and distortion between the modules when the vegetation is introduced on the artificial ground structure including the building roof. You can prevent it.

또한, 본 고안은 모듈 자체가 저수, 배수 및 방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옥상녹화기술에서 요하는 별도의 배수층, 방근층, 저수층 등의 시공이 필요 없게 되며, 모듈 하단의 배수 채널을 통해 배수와 동시에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뿌리 호흡을 돕게 되며, 토양 재료의 양을 60% (부피기준) 가량 줄여줌으로써 하중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odule itself performs the water storage, drainage and rooting at the same time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e drainage layer, rooting layer, water reservoir, etc. required by the existing rooftop recording technology, and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at the bottom of the module Simultaneously with the drainage, the air flow is smoothed to help root respiration, and the load problem can be alleviated by reducing the amount of soil material by 60% (by volume).

Claims (8)

저수와 배수가 균형적으로 기능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에 있어서,In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module in which water and drainage function in a balanced manner,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세워 설치한 교차벽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저수조;A plurality of reservoirs each formed by a bottom wall and an intersection wall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상기 각각의 저수조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연장되는 저수조 연결상판;Reservoir connection top plate extending b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each reservoir; 상기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 연결상판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형상의 구조체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세워 설치한 둘레벽;A circumferential wall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lattice-shaped structure formed by the reservoir and the reservoir top plate; 상기 둘레벽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가장자리 상단부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모듈의 둘레벽과 밀착되어 끼워지는 모듈 결합부;A module coupling part formed at one or two or more edge upper ends of the circumferential wal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an adjacent module; 상기 저수조 연결상판의 아래쪽에 연결상판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모듈결합부와 상기 둘레벽에 의해 밀착되어 결합된 모듈들 사이의 저수조 연결상판 및 저수조의 교차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의해 구획되는 배수채널;Partitioned by the space formed by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connection top plat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op plate or formed by the water tank connection top plate and the cross wall of the water tank between the modules coupled and coupled by the module coupling portion and the peripheral wall Drain channel; 상기 저수조 연결상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채널과 연통하는 배수구;및A drain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connection top plate and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channel; and 미세토양의 유실과 모듈 밖으로의 뿌리의 신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저수조 연결상판의 상면에 접합되는 쉬트(sheet)를 포함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A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greening comprising a sheet bond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connection top plate in which the drain hole is formed to block the loss of fine soil and the extension of the root out of the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상판의 기단부분과 둘레벽의 내측사이에 개재되거나, 상기 연결상판의 하면에 돌출연장되어 형성된 보강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And a reinforcing support interposed between the proximal end of the connecting top plate and the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r protrudingly exten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top pla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저수조가 차지하는 면적과 상기 배수채널이 차지하는 면적의 면적비는 30-40:6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The area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reservoir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drainage channel is 30-40: 60-7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연결상판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구의 총면적이 전체 모듈 평면적(모듈이 차지하는 바닥면적)의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And the total area of the drainage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top plate is 4-5% of the total module plane (floor area occupied by the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모듈 결합부가 상기 둘레벽의 상단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모듈의 둘레벽의 상단부와 밀착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And said module coupling part is bent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said circumferential wall in a "c" shape to be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eripheral wall of another adjacent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둘레벽이 상단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결합부는 상기 둘레벽의 말단부로부터 윗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모듈의 둘레벽의 "ㄷ"자 절곡부의 말단부와밀착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The circumferential wall is bent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in a "c" shape, and the module coupling portion is bent upwardly from a distal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is formed in a "c" shape and is formed around the peripheral wall of another module.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B" of the bent por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저수조의 깊이가 3cm이고, 상기 배수채널의 높이가 3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The depth of the reservoir is 3cm, the height of the drainage channel is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3c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material is artificial ground record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KR20-2004-0002742U 2004-02-05 2004-02-05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KR2003483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742U KR200348313Y1 (en) 2004-02-05 2004-02-05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742U KR200348313Y1 (en) 2004-02-05 2004-02-05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122A Division KR100520420B1 (en) 2004-02-04 2004-02-04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and method for making green roof using the modula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313Y1 true KR200348313Y1 (en) 2004-05-03

Family

ID=4934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742U KR200348313Y1 (en) 2004-02-05 2004-02-05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313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262B1 (en) * 2007-08-04 2009-06-08 신동열 The Planting Box for Cultivating Plant on the Artifical Base
KR100974098B1 (en) 2007-12-17 2010-08-04 주식회사 세원뷰텍 Plant block for Making a Green Tract of Land and block assembly thereof
KR101441369B1 (en) * 2014-06-18 2014-09-24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Module for afforestation of artificial ground
KR102557918B1 (en) * 2023-01-16 2023-07-20 안산조경산업 주식회사 Non-recovery vegetation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green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262B1 (en) * 2007-08-04 2009-06-08 신동열 The Planting Box for Cultivating Plant on the Artifical Base
KR100974098B1 (en) 2007-12-17 2010-08-04 주식회사 세원뷰텍 Plant block for Making a Green Tract of Land and block assembly thereof
KR101441369B1 (en) * 2014-06-18 2014-09-24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Module for afforestation of artificial ground
KR102557918B1 (en) * 2023-01-16 2023-07-20 안산조경산업 주식회사 Non-recovery vegetation module for artificial ground gree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420B1 (en)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and method for making green roof using the modular system
JP4028929B2 (en) Planting mat and its laying method
KR100652252B1 (en) Vegetation module and vegetation sound proof wall
JP2531542B2 (en) Planting equipment
KR101583664B1 (en) Vegetation unit and slope greening method using vegetation unit
KR101138018B1 (en) Extensive green roof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709849B1 (en) fabricated panel for planting nature lawn
KR200348313Y1 (en)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KR101025260B1 (en) Slope stabilization method which uses prefabricated shore protection block and coir mat
KR20100100509A (en) Greening works and inclined plane structure using greening works
CN108678297A (en) A kind of slim roof garden of intelligence water draining and accumulating
KR101996068B1 (en) Board structure for modular green roof system using turf grass and modular green roof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965403B1 (en) Rooftop Greening System For Returning a Rain Water Using Super Absorbent Polymer
CN106613428A (en) Planting system for preventing water and soil loss
JP3285201B2 (en) Rooftop roof greening construction method
KR101061465B1 (en) A environment-friendly greenhouse structure for agriculture
JP6748326B1 (en) Planting structure with solar power generation function
JPH11289864A (en) Paneling engineering for greening slope or the like of rooftop
JPH07150513A (en) Waste water system for sport ground, porous-layer forming unit used for said system, pipe unit used for waste water system for sport ground and execution method of sport ground
KR200322191Y1 (en) Drainage plate for landscape
KR200146295Y1 (en) The artificial base for cultivating plant in the house
CN111820035A (en) Multifunctional combined planting container
JPH08120693A (en) Retaining wall
JP3669946B2 (en) Structure greening structure
CN217150071U (en) Box type building block capable of collecting rainwater and reve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