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047Y1 - Sink ball attaching type food waste processor - Google Patents

Sink ball attaching type food waste proc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047Y1
KR200348047Y1 KR20-2003-0040704U KR20030040704U KR200348047Y1 KR 200348047 Y1 KR200348047 Y1 KR 200348047Y1 KR 20030040704 U KR20030040704 U KR 20030040704U KR 200348047 Y1 KR200348047 Y1 KR 200348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main body
sink
waste
de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7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상영
Original Assignee
(주)삼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삼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3-0040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04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047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2Absorbing means
    • B65F2210/1023Absorbing means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씽크대의 내부에 수납되며, 씽크볼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보다 간편하게 행하도록 하고 그내부에 제습장치를 설치하여 제습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쓰레기수납통을 서랍식으로 열리는 도어의 이동수단상에 설치하여 그 인출입상태를 보다 쉽게 행하도록 한다.The sink-mounted food waste treatment device is housed inside the sink, and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an inl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nk, so that the food waste treatment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and a dehumid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therein to perform a dehumidification function. In addition, the waste container is installed on the moving means of the door that is opened in the drawer type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Description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SINK BALL ATTACHING TYPE FOOD WASTE PROCESSOR}Think Bowl Attached Food Waste Disposal Equipment {SINK BALL ATTACHING TYPE FOOD WASTE PROCESSOR}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씽크볼에 부착되도록 설치된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nk attached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installed to be attached to a kitchen sink.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발효처리방식과, 소각처리방식, 사료 및 비료(퇴비)로 재활용하는 방식, 그리고, 땅속에 매립하는 매립방식이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들은 대규모의 시설을 필요로 할 뿐 만 아니라 수집과 운반 또는 저장에 따른 악취나 불편함 등의 다양한 부작용과 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한다.Generally, food waste is treated by fermentation, incineration, feed and fertilizer (compost), and landfilling. However, the above-mentioned methods are used for large-scale facilities. Not only is it necessary, it also causes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odor or discomfort resulting from collection, transportation or storage and se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문제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현재의 국내 총 가구수는 1천만 가구를 돌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환경오염과 관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대책 및 결과는 아직까지 예상이 많이 미치지 못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food waste and recycle.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current total number of households exceeded 10 million households, the measures and results for the disposal of food wastes related to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not yet reached much expectations.

그 원인으로는 가정주부들의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분리수거를 철저히 못한 점도 있지만, 주된 이유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을 위한 현재의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 방법은 손으로 직접 물기가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운반하여야 하므로 주부를 번거롭게 할 수 있고 악취를 발생시켜 가정주부에게 협오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housewives are not able to separate the collections due to the lack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awareness. However, the main reason is that the current method of collecting and disposing of food wastes for recycling the general food wastes is by hand. This is because the food waste must be transported, which can be annoying to housewives and cause odor to give homemakers a sense of disgust.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억제 및 재활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control the generation and recycling of food wast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household food waste disposal system that can solve such problems.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씽크볼에 연결시켜 씽크대의 내부에 내장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보단 간단하게 행하도록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food waste to the sink and built in the inside of the sink, so that the food waste is attached to the sink to simplify the food waste treatment To provide a waste disposal apparatus.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하는 음식물쓰레기 수납통을 도어 개방 시 함께 개방되도록 슬라딩개폐구조를 채용하여 그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k-typ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improving the usability by adopting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to open the food waste container for storing food waste when the door is opened.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에 제습장치를 설치하여 음식물 처리 시 발생하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k-typ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installing a dehumidifying apparatus inside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to effectively remove moisture generated during food treatment and to prevent odors.

본 고안의 네 번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씽크볼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쓰레기의 악취가 씽크볼측으로 올라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k-typ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that effectively prevents the odor of garbage from rising to the sink side when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attached to the sink.

본 고안의 다섯 번 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설정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그 활용성을 높이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k-mounte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to increase its utility as it is configured to use the operation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s the user intend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씽크볼이 마련된 씽크대와; 상기 씽크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전면측으로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서랍식으로 도어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얹혀져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하는 쓰레기수납통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며 그 상단 개구부측이 상기 씽크볼에 연결된 쓰레기투입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수납통측으로 건조용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습기능을 수행하는 제습수단; 및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소정의 조작조건을 선택/제어하도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k unit provided with a think ball; A main body installed inside the sink and provided with a drawer type door by sliding means toward its front side; A waste storage container mounted on the sliding means and mov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to accommodate food waste; A garbage injec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via a connecting pipe and connected to the think ball at an upper opening thereof; A blow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blow drying wind toward the waste container side; Dehumidify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erform a dehumidifying function;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at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o select / control a predetermined operation condition.

상기 쓰레기수납통에는 그 상단측에 손잡이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 전면측에는 상기 손잡이가 걸리는 걸림턱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A handle is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wast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jaw for catching the handle is provid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door.

상기 연결관은 자바라타입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tube is preferably formed of a bellows type.

상기 연결관의 연결은 상기 본체에 돌출 형성된 제1걸림턱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제2걸림턱이 마주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2걸림턱을 연결시키는 조인트부재에 의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pipe is to be made by the joint member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the second locking jaw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locking jaw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tube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 It is preferable.

상기 쓰레기투입기는 그 상하단이 개방된 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상하단이 개방된 보조몸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The garbage injector and the cylindrical body of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open;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uxiliary body installed inside the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open.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를 열고 닫은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운전 시작 신호를 전달하도록 센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ensor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to detect an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cover and transmit a driving start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쓰레기투입기의 내부 하단측에는 악취 및 소음을 차단하는 악취/소음차단수단이 추가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garbage dumping machin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odor / noise blocking means for blocking odor and noise.

상기 악취/소음차단수단은 상기 쓰레기투입기의 내부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탄성부재를 매개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상방향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The odor / noise blocking means includes a pair of blades which are hinged to both sides of the trash injector and install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elastic memb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upward rotation of the blade.

상기 제습장치는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설치되며 그 상단측에 에어유출·입홀이 형성되며 그 하단측에 배수구가 마련된 제습기본체와; 상기 제습기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양측에 부착된 히트싱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The dehumidifier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leakage, the mouth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dehumidification main body provided with a drain hole on the lower side; A thermoelectric element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ehumidifying base bod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heat sink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에어유입홀은 그 타단이 상기 송풍수단의 공기토출부와 연결된 에어공급관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The air inlet hole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ortion of the blowing means.

상기 제습기본체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쿨링부측이 상기 제습기본체의 바닥측을 향하도록 되며 상기 배수구는 상기 쿨링부를 이루는 제습기본체의 바닥부에 위치하도록 됨이 바람직하다.The dehumidifying base body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cooling part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directed toward the bottom side of the dehumidifying main body, and the drain port is preferably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dehumidifying main body forming the cooling part.

상기 에어공급관은 상기 쓰레기투입통의 측부로 인출되도록 됨이 바람직하다.The air supply pipe is preferably to be drawn to the side of the trash can.

상기 쓰레기수납통의 상단이 위치하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쓰레기수납통에 쌓인 음식물의 수납량을 감지하는 쓰레기수용상태감지센서가 추가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Both sides of the main body where the upper end of the waste container is preferably further included a waste storage stat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food stored in the waste container.

상기 쓰레기수용상태감지센서는 소정의 조사광을 출사하는 발광기와, 상기 발광기의 광을 수신하는 수광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waste storage state detection sensor is preferably composed of a light emitter for emitting a predetermined irradiation light, and a light receiver for receiv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er.

상기 쓰레기수납통의 상단에는 상기 쓰레기수납통의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는 길이를 갖으며 회전가능한 손잡이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걸리도록 걸림턱이 추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n upper end of the trash can having a length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trash can and further comprising a rotatable hand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step is further configured in the door so that the handle is hel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는 상기 브라켓이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과 접하는 도어의 내부에는 실링부재가 추가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bracket is further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hat a sealing member is additionally installed inside the door in contact with the bracket.

상기 제어부에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버튼과; 쓰레기 처리 기능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연속버튼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 사용 주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자동버튼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power button for turning on / off power; A continuous button for continuously performing a garbage disposal function; Preferably, the automatic button is configured to select the use cycl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nk-typ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도 1의 1A-1A′를 따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1A-1A ′ of FIG. 1;

도 3은 상기 도 2의 B표시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B display unit of FIG. 2 in an enlarged manner;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쓰레기 투입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 in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도 3의 블레이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lade of FIG.

도 6은 상기 도 2의 D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 display unit of FIG.

도 7은 상기 도 2의 E표시부를 확대도시한 확대도,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E display unit of FIG. 2;

도 8은 상기 도 2의 조작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unit of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본체 130 : 도어110: body 130: door

150 : 쓰레기수납통 151 : 걸림턱150: garbage container 151: jam jaw

153 : 손잡이 170 : 쓰레기투입기153: handle 170: garbage input

171 : 몸체 173 : 커버171 body 173 cover

175 : 보조몸체 180 : 센서175: auxiliary body 180: sensor

190 : 송풍수단 191 ; 모터190: blowing means 191; motor

193 : 블로워팬 195 : 덕트193: blower fan 195: duct

210 : 제습수단 211 : 제습기본체210: dehumidification means 211: dehumidifying basic body

213 : 열전소자 215 : 히트싱크213: thermoelectric element 215: heat sink

211a,211b: 에어유출입홀 211c : 배수구211a, 211b: Air outlet hole 211c: Drain

217 :에어공급관 230 : 제어부217: air supply pipe 230: control unit

231 : 전원버튼 233 : 연속버튼231: power button 233: continuous button

235 : 자동버튼 250 : 슬라이딩수단235: automatic button 250: sliding means

270 : 연결관 271 : 제1걸림턱270: connector 271: first locking jaw

113 : 제2걸림턱 280 : 조인트부재113: second locking jaw 280: joint member

275 : 내관275: inner tube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1 to 8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씽크대(10)의 내부에 설치되되 그 투입부가 씽크볼(11)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크게 본체(110), 도어(130), 쓰레기수납통(150), 쓰레기투입기(170), 송풍수단(190), 제습수단(210), 제어부(2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1 is installed inside the sink 10, but the input part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sink 11, and the main body 110, the door 130, and the garbage are largely installed. The storage container 150, the garbage injector 170, the blowing means 190, the dehumidifying means 210, the control unit 230.

본체(110)는 그 전면측에 개구(111)가 마련되고, 도어(130)는 슬라이딩수단(250)에 의하여 개구(111)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슬라이딩수단(250)은 본체(110)의 양측에 설치된 안내부재(251)와, 도어(13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재(251)의 가이드레일(251a)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재(253)로 구성된다.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11 at the front side thereof, and the door 130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111 by the sliding means 250. Here, the sliding means 250 has a guide member 25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oor 130 to linearly reciprocate along the guide rail 251a of the guide member 251. It is composed of a moving member (253).

본체(110)의 개구측에는 본체(110)가 블로워 몰딩(BLOWER MOLDING) 제작됨에 따라 평면 상태가 고르지 못함을 고려하여 금속성의 재질로 제작된 사각 프레임 형태를 취하는 별도의 브라켓(160)을 채용하며 그 브라켓(160) 전면과 접촉하는 도어(130)의 내면에는 실링부재(131)가 설치된다.On the opening side of the main body 110, a separate bracket 160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is adopted in consideration of the unevenness of the flat state as the main body 110 is manufactured by blow molding. The sealing member 131 i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130 that contacts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160.

본체(110)의 저부에는 그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부재(117)가 설치된다.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leg member 117, the height of which can be adjusted.

쓰레기투입기(170)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하단이 개방된 통형의 몸체(171)와 몸체(171)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173)와 상기 몸체(173)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상·하단이 개방된 보조몸체(17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garbage injector 170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173 and the body 17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ylindrical body 171 and the body 171.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composed of an auxiliary body 175 is opened.

몸체(171)의 상단은 씽크볼(11)에 형성된 개구부(11a)와 연결되며 그 하단은 연결관(270)을 매개로 본체(110)의 상단과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body 171 is connected to the opening 11a formed in the sink ball 11,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70.

보조몸체(175)는 몸체(17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물질이 내면에 부착된 경우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auxiliary body 175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ody 171 can be easily cleaned when foreign matter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쓰레기투입기(170)의 내부 하단측에는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 및 소음을 차단하는 악취/소음차단수단(290)이 추가로 구성된다. 악취/소음차단수단(290)은 상기 쓰레기투입기(170)의 내부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탄성부재(291)를 매개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블레이드(293))로 이루어지며 그 블레이드(293)의 상방향 회전을 규제하도록 쓰레기투입기(170) 몸체(171)의 내부에는 블레이드(293)의 상면을 누르는 스토퍼(171a)가 구성된다. 여기서, 탄성부재(291)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쓰레기투입기 몸체(171)의 내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블레이드(293)의 일면에 고정된다.At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garbage dumper 170, odor / noise blocking means 290 is further configured to block odor and noise as shown in FIGS. Odor / noise blocking means 290 is composed of a pair of blades (293) hinged to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garbage thrower 170 and install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via the elastic member 291) and the blade A stopper 171a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293 is configured inside the body of the garbage dumper 170 so as to restrict the upward rotation of the 293. Here, the elastic member 291 is made of a torsion spring,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arbage dumper body 171, the other end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blade 293.

이와 같은 블레이드(293)는 음식물이 투여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쓰레기수납통(150) 내부를 가로막아 쓰레기수납통(150)에 수용된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상측으로 올라오거나,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송풍수단(190)이 가동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발휘한다.Such blade 293 is in the state that the food is not administered to block the inside of the waste container 150, the odor generated from the waste contained in the waste container 150 rises upwards, or is housed inside the main body 110 The blower means 190 has an effect of blocking the noise generated while operating.

쓰레기투입기(170)의 몸체(171)의 일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커버(173)를 열고 닫은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230)로 운전 시작 신호를 전달하도록 센서(180)가 설치된다. 센서(180)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가능하나 마그네틱센서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On one side of the body 171 of the garbage dumper 170, a sensor 180 is installed to detect an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cover 173 and transmit an operation start signal to the controller 230 as shown in FIG. Sensor 180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but preferably employs a magnetic sensor.

이는 커버(173)에 마그네트(181)를 설치하고 몸체(171)에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하여 접점을 형성하는 센싱기(183) 채용하여 사용자가 커버(173)를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커버(173)를 닫으면 이를 제어부(230)로 신호를 전달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가동되도록 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어부(230)에는 별도의 시작버튼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This is installed by applying the magnet 181 to the cover 173 and the sensor 183 to form a contact poin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on the body 171, the user opens the cover 173 and put food waste cover Closing 173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230 so that the food waste is operated, and the controller 230 does not need to provide a separate start button.

연결관(270)은 도 2,3에 도시된 바왁 같이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와 씽크볼(11)의 사이에서 약간의 유동성을 부여하도록 구성하여 쓰레기투입기(170) 및 본체(110)와의 결합성을 좋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도록 한다.The connecting pipe 270 is formed in a bellows type as shown in FIGS. 2 and 3 to provide some fluidity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sink ball 11 so that the garbage injector 170 and the main body 110 are provided. To provide the advantage of good binding with.

연결관(270)과 본체(110)와의 결합은 조인트부재(280)에 의해 이루어진다.Coupling of the connection pipe 270 and the main body 110 is made by the joint member 280.

그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결관(270)의 하단에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턱(271)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본체(110)에는 상기 제1걸림턱(271)과 대응된 형태의 제2걸림턱(113)이 형성되어 제1,2걸림턱(271,113)을 맞물림 결합시키는 조인트부재(280)가 슬라이딩된다. 이때, 조인트부재(280)는 “ㄷ”자 형태를 이루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1,2걸림턱(271,113)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홈(281)이 형성된다.In more detail, a first catching jaw 271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270 as shown in FIGS. 2 and 6, and the first catching jaw 271 is provided at the body 110 corresponding thereto. The second engaging jaw 113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 is formed to slide the joint member 280 to engage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jaws (271, 113). At this time, the joint member 280 forms a "c" shape and a guide groove 28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271 and 113 are fitted and slide.

연결관(270)의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내관(275)이 추가로 설치된다. 내관(275)은 연질의 재질인 예컨대 비닐소재를 채용하여 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결합은 상단이 쓰레기투입기(170) 몸체(171)와 연결관(270)이 맞물리는 사이에 끼워서 고정되도록 한다.An inner tube 275 for slidingly moving food waste is further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270. The inner tube 275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easily replaceable by adopting a soft material, for example, a vinyl material, the combination is sandwiched between the top of the garbage input device 170, the body 171 and the connection pipe 270 is engaged. To be fixed.

쓰레기수납통(150)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에 걸림턱(151)이 돌출 형성되어 이동부재(153)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도어(130)의 개폐동작에 연동되어 본체(110)의 내·외부로 인출입되도록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aste storage container 150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locking jaw 151 so as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153 to interlock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130. And installed in and out of the main body 110.

쓰레기수납통(150)의 상단 중앙부에는 긴 막대 형상 또는 원형 바 형태의 부재를 원호형으로 구부린 형태의 손잡이(153)가 힌지 결합되되 힌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그 타단측이 상기 쓰레기수납통(150)의 일단을 벗어나는 길이를 갖도록 제작된다.The upper end portion of the waste container 150 is hinged to the handle 153 of the long rod-shaped or circular bar-shaped member in the form of an arc, the other end side of the hinge is coupled to the waste container 150 It is manufactured to have a length beyond one end of.

이때, 손잡이(153)가 항상 소정의 위치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지정된 위치에 걸려져 있도록 도어(130)의 내부에는 손잡이(153)가 걸리는 걸림턱(133)이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locking jaw 133 in which the handle 153 is caught is provided inside the door 130 so that the handle 153 is always hel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Prepared.

송풍수단(19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소정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91)와, 모터(191)의 동력에 의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로워팬(193)과, 블로워팬(193)에 의해 블로잉된 공기를 쓰레기수납통(150)의 상측으로 토출시키는 덕트(195)로 구성된다.Blowing means 190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ure 2, the motor 191 to generate a predetermined power and the blower to rotat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power of the motor 191 The fan 193 and the duct 195 which discharges the air blown by the blower fan 193 to the upper side of the waste container 150 are comprised.

제습수단(210)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바닥부에 설치되되 그 상단측에 에어유출·입홀(211a,211b)이 형성되며 그 하단측에 배수구(211c)가 마련된 제습기본체(211)와; 상기 제습기본체(211)의 중앙부에 설치된 열전소자(213)와, 열전소자(213)의 양측에 부착된 히트싱크(215)로 구성된다.Dehumidification means 210 is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ures 2 and 7, the air outlet, the mouth hole (211a, 211b)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drain hole (211c) on the lower side A dehumidifying base body 211 provide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3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ehumidifying body 211, and the heat sink 215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3.

이때, 상기 열전소자(214)의 상하단과 접하여 제습기본체(211)의 내부에는 열전소자(214)에 의해 형성되는 쿨링부(C) 및 히팅부(H)를 구획하는 구획벽(212)이 형성되고, 그 구획벽(212)의 하단에는 쿨링부(C) 및 히팅부(H)를 연통시키는 연통홀(212a)이 추가로 구성된다.In this case, a partition wall 212 is formed inside the dehumidifying base body 211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4 to partition the cooling part C and the heating part H form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4. At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212, a communication hole 212a for communicating the cooling part C and the heating part H is further configured.

에어유입홀(21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급관(217)을 통해 송풍수단(190)을 이루는 덕트(195)의 토출부와 연통된다. 이때, 에어공급관(217)은 덕트(195)의 토출부의 일부측에 연결되어 덕트(195)로부터 토출되는 메인공기는 쓰레기수납통(150)측으로 토출되며 그 중 일부 공기가 에어공급관(217)을 통해 유도되어 제습수단(210)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the air inlet hole 211a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duct 195 constituting the blowing means 190 through the air supply pipe 217. At this time, the air supply pipe 217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duct 195, the main air discharged from the duct 195 is discharged to the waste container 150 side, some of the air to the air supply pipe 217 Induced to be supplied to the dehumidifying means 210 side.

제습기본체(211)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열전소자(213)의 쿨링부(C)측이 상기 제습기본체(211)의 바닥측을 향하도록 되며 배수구(211c)는 쿨링부(C)를 이루는 제습기본체(211)의 바닥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쿨링부(C)에서 발생하는 냉각수가 제습기본체(211)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수구(211c)는 씽크대(10) 내부에 위치하는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되어 그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The dehumidifying base 211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cooling unit C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3 faces the bottom side of the dehumidifying base body 211, and the drain hole 211c is the cooling unit C. It is preferable that the cooling water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C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humidifying base body 211 by being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dehumidifying base body 211 forming the bottom. At this time, the drain 211c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sink 1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에어공급관(217)의 배관상태는 쓰레기수납통(150)의 인출입 상태를 고려하여 쓰레기수납통(150)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하여 쓰레기수납통(150)의 측방향으로 인출시킴이 바람직하다.The pipe state of the air supply pipe 217 is preferably in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aste storage container 150 in consideration of the draw-out state of the waste storage container 150, and is drawn out to the side of the waste storage container 150. .

열전소자(214)란 소재의 한 면은 냉각이 되고 반대쪽 면은 발열이 일어나도록 한 장치로 열과 전기의 교환시스템이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히팅부(H) 및 쿨링부(C)를 구성하여 덕트(195)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받아 가열동작 거치도록 한 후 쿨링부(C)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제습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14 is a device that allows one side of the material to be cooled and the other side to generate heat so as to exchange heat and electricity.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dehumidify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configuring the heating unit H and the cooling unit C to receive the air blown from the duct 195 and to carry out the heating operation, and then discharge it through the cooling unit C. Will be.

한편, 이와 같은 구성에 더불어 쓰레기수납통(150)에 쌓이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감지하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desirable to detect the amount of food waste accumulated in the waste storage container 150 to prevent food waste from overflowing.

그 구성은 쓰레기수납통(150)의 상단이 위치하는 본체(110)의 양측에는 쓰레기수납통(150)에 쌓인 음식물쓰레기의 수납량을 감지하는 쓰레기수용상태감지센서(290)를 채용하는 것이다. 구성의 일 예로 소정의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정의 조사광을 출사하는 발광기(291)와, 발광기(291)의 광을 수신하는 수광기(293)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발광기(291) 및 수광기(293)의 위치는 쓰레기수납통(150)의 중앙부에 상대적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많이 쌓이는 것을 고려하여 쓰레기수납통(150)의 중앙부측에 조사광이 출사되는 위치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The configuration is to employ a waste storage state detection sensor 290 for detecting the storage amount of the food waste accumulated in the waste container 150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the upper end of the waste container 150 is located. 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the light emitter 291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redetermined main body 110 to emit predetermined irradiation light, and the light receiver 293 may receive light from the light emitter 291.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er 291 and the light receiver 293 is a position where the irradiation light is emitt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waste container 150 in consideration of the accumulation of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relative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ste container 150. It is preferable to install.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쓰레기수납통(150)에 오버되어 쌓이게 되면 발광기(291)로부터 조사되는 조사광은 그 오버된 음식물쓰레기 더미에 차단되어 수광기(293)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조속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When the food waste is accumulated in the waste container 150 by this configuration, the irradiate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291 is blocked by the pile of food waste that is overlaid and is not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er 293. Inform the user to take prompt action.

제어부(23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버튼(231)과; 쓰레기 처리 기능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연속버튼(233)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 사용 주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자동버튼(235)을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주기라 함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가동되면 그가동동작을 예컨대 소정의 주기를 두고 간헐적으로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controller 230 includes a power button 231 for turning on / off power as shown in FIG. 8; A continuous button 233 for continuously performing a waste disposal func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automatic button 235 to select the use cycl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Here, the use cycle means that when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operated, the operation of the food waste is intermittently, for example,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어부(2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측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되 보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160)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본체(1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230 is installed in an upright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more preferably installed in a stand up state on the bracket 16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Do it.

상술한 바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이점이 있다.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has several advantages as follows.

1.음식물 쓰레기를 씽크볼에 연결시켜 씽크대의 내부에 내장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보단 간단하게 행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1. By connecting food waste to the sink and putting it inside the sink, there is an advantage of making food waste disposal simpler.

2.음식물 쓰레기를 수납하는 음식물쓰레기 수납통을 도어 개방 시 함께 개방되도록 슬라딩개폐구조를 채용하여 그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2.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usability by adopting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so that the food waste container for storing food waste is opened together when the door is opened.

3.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에 제습장치를 설치하여 음식물 처리 시 발생하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3. The dehumidifier is installed inside the food waste disposal device, which effectively removes moisture generated during food disposal and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bad smell.

4.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씽크볼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쓰레기의 악취가 씽크볼측으로 올라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4. When the food waste disposal device is attached to the sink, there i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odor of garbage from rising to the sink.

5.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설정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그 활용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5. As the operation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configured to be used and used by the user's int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its utility.

Claims (19)

씽크볼이 마련된 씽크대;Think University with Think Bowl; 상기 씽크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전면측으로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서랍식으로 도어가 설치된 본체;A main body installed inside the sink and provided with a drawer type door by sliding means toward its front side;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얹혀져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하는 쓰레기수납통;A waste storage container mounted on the sliding means and moving in and out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to accommodate food waste;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며 그 상단 개구부측이 상기 씽크볼에 연결된 쓰레기투입기;A garbage injec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via a connecting pipe and connected to the think ball at an upper opening thereof;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수납통측으로 건조용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수단;A blow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blow drying wind to the waste container side;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습기능을 수행하는 제습수단; 및Dehumidify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erform a dehumidifying function; And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정의 조작조건을 선택/제어하도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nd a control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select / control a predetermined operation cond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수납통에는 그 상단측에 손잡이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 전면측에는 상기 손잡이가 걸리는 걸림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wast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ndle is hinged to an upper end thereof; The sink-attached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is provid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do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자바라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ube is a think-typ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bellows ty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연결은 상기 본체에 돌출 형성된 제1걸림턱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제2걸림턱이 마주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2걸림턱을 연결시키는 조인트부재에 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ng pipe is positioned so that the first catching jaw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catching jaw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tube to connect the first, second catching jaw And a sink ball attachabl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the joint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투입기는 그 상하단이 개방된 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상하단이 개방된 보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rbage injector and the cylindrical body of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open;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body,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nk attached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bod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를 열고 닫은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운전 시작 신호를 전달하도록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device of claim 5, wherein a sensor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to detect an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cover to transmit an operation start signal to the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투입기의 내부 하단측에는 악취 및 소음을 차단하는 악취/소음차단수단이 추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Inside the lower end of the garbage dumping device attached to the wast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dor / noise blocking means for blocking odors and nois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소음차단수단은 상기 쓰레기투입기의 내부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탄성부재를 매개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상방향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dor / noise blocking means and a pair of blades hinged to the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trash injector and install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via the elastic member; And a stopper for restricting upward rotation of the bla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는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설치되며 그 상단측에 에어유출·입홀이 형성되며 그 하단측에 배수구가 마련된 제습기본체와; 상기 제습기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양측에 부착된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dehumidifying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ehumidifying base body installed at a bottom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air outlet and an inlet hole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drain hole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A thermoelectric element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ehumidifying base body; And a heat sink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홀은 그 타단이 상기 송풍수단의 공기토출부와 연결된 에어공급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device of claim 9, wherein the air inlet hole has an ai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air blowing unit at the other end thereof.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본체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쿨링부측이 상기 제습기본체의 바닥측을 향하도록 되며 상기 배수구는 상기 쿨링부를 이루는 제습기본체의 바닥부에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ehumidifying main body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cooling portion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directed toward the bottom side of the dehumidifying base body and the drain hol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ehumidifying base body forming the cooling part Think-attach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은 상기 쓰레기투입통의 측부로 인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1. The device of claim 10, wherein the air supply pipe is drawn out to the side of the trash ca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수납통의 상단이 위치하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쓰레기수납통에 쌓인 음식물의 수납량을 감지하는 쓰레기수용상태감지센서가 추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where the upper end of the waste container is attached to the sink bowl attached fo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waste storage state sensor for sensing the amount of food stored in the waste container Waste dispos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수용상태감지센서는 소정의 조사광을 출사하는 발광기와, 상기 발광기의 광을 수신하는 수광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ste accommodating state sensor comprises a light emitter for emitting a predetermined irradiation light and a light receiver for receiv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수납통의 상단에는 상기 쓰레기수납통의 일단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는 길이를 갖으며 회전가능한 손잡이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걸리도록 걸림턱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p of the waste container has a length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waste container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rotatable handle; The inside of the door is a sink attached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is further configured to be caught while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ang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측에는 상기 브라켓이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과 접하는 도어의 내부에는 실링부재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ket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inking membe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oor in contact with the brack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버튼과; 쓰레기 처리 기능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연속버튼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 사용 주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자동버튼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mprises: a power button for turning on / off power; A continuous button for continuously performing a garbage disposal function; A device for treating a waste food with a sink attached to a bowl, characterized in that an automatic button is configured to select a use cycle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내관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is attached to the sink wast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tube is further installed to move the food wast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단측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7. The sink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an upright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KR20-2003-0040704U 2003-12-30 2003-12-30 Sink ball attaching type food waste processor KR2003480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704U KR200348047Y1 (en) 2003-12-30 2003-12-30 Sink ball attaching type food waste proc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704U KR200348047Y1 (en) 2003-12-30 2003-12-30 Sink ball attaching type food waste process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655A Division KR100611800B1 (en) 2003-12-30 2003-12-30 Sink ball attaching type food waste proces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047Y1 true KR200348047Y1 (en) 2004-04-28

Family

ID=4942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704U KR200348047Y1 (en) 2003-12-30 2003-12-30 Sink ball attaching type food waste proc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04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800B1 (en) Sink ball attaching type food waste processor
KR200348047Y1 (en) Sink ball attaching type food waste processor
KR100880786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garbage
KR20060004601A (en) Food waste dryer
KR100449564B1 (en) Food sweeping processing apparatus
JPH05253558A (en) Garbage disposal apparatus
KR101826974B1 (en) Condenser for food garbage disposal machine
KR100691526B1 (en) Food wastes treater
KR10120379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garbage
KR20230151590A (en) Built-in type food waste disposal device with detachable drying bin, odor removal and twin drying functions
KR20140134462A (en) Food waste disposers
KR101035477B1 (en) Boiler with Food Waste Dryer
JP2017081691A (en) Refuse storage device
JP4962474B2 (en) Kitchen sink with integrated sink
KR100663702B1 (en) Automatic drier for food waste
KR200356444Y1 (en) Food waste dryer
CN111498338A (en) Garbage can
KR200451497Y1 (en) Smell removal apparatus for garbage disposer
KR20020033935A (en) Garbage Dehydration Apparatus for home use
CN212322358U (en) Sealing device for waste water barrel and waste residue barrel
JPH0524601A (en) Waste disposal device
KR20130127153A (en) Cleaning apparatus for bottle
KR100456376B1 (en) Disposal device of kitchen waste
KR20090065780A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s
CN117721614A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