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844Y1 -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844Y1
KR200347844Y1 KR20-2004-0000408U KR20040000408U KR200347844Y1 KR 200347844 Y1 KR200347844 Y1 KR 200347844Y1 KR 20040000408 U KR20040000408 U KR 20040000408U KR 200347844 Y1 KR200347844 Y1 KR 200347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attery
vehicle
charge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운태
Original Assignee
여운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운태 filed Critical 여운태
Priority to KR20-2004-0000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8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8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이 자가 충전기(1)는 일측에 구멍(2)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부면에 운반용 손잡이(3)가 설치되면서 감전 방지를 위해 비전도체로 이루어진 케이스(4)와, 이 케이스(4)의 구멍(2)을 통해 돌출된 작동 손잡이(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가속기어(6)와, 이 가속기어(6)의 회전력을 제 1 중심기어(7a)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동력전달기어(7)와, 이 동력전달기어(7)의 회전력을 제 2 중심기어(8a)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구동기어(8)와, 이 구동기어(8)의 회전력을 축기어(9a)를 통해 전달받아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소형발전기(9)와, 이 소형발전기(9)에서 발생된 교류 전압을 자동차의 배터리(1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모듈(11) 및, 이 모듈(11)에 연결구(12)를 통해 연결설치됨과 더불어 그 일측 선단부에 집게(13)가 설치되어 자동차의 배터리(10) 전극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케이블(14)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자가 충전기에 의해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충전을 타인의 도움 또는 요청없이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A self-charger of a battery for car}
본 고안은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트렁크에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방전된 배터리를 자가 발전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량에 탑재된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를 장착하는 바, 상기 배터리는 엔진 구동시 알터네이터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충전을 하게 되고, 그 충전된 전압으로 다시 자동차를 움직이거나 기타 램프 등의 점등전원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자동차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게 되면 방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방전량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배터리는 시동이 불가능한 방전 상태가 되며, 특히 시동을 오프한 상태에서 모르고 전조등이나 기타 램프를 켠둔 경우에는 배터리의 방전이 상대적으로 빨라져 방전을 가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부주의 등으로 자동차의 배터리가 방전된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인의 자동차를 방전된 자동차 앞에 주차시킨 다음 점프케이블(101)을 이용하여 양쪽 자동차의 배터리(102)를 연결시켜서 방전된 배터리(102)를 충전시키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반드시 배터리(102)가 방전되지 않은 다른 자동차의 도움을 받아야 할 뿐만아니라 양쪽 자동차의 배터리(102)를 연결시켜야 할 점프케이블(101)이 반드시 있어야만이 방전된 배터리(102)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령 도움을 받을 다른 자동차가 없거나 또는 도움을 받을 자동차가 있다고 하여도 점프케이블(101)이 없으면 차량을 견인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손실 및 견인비용으로 인한 경제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고, 방전된 배터리(102)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를 사용할 경우 휴대가 불편할 뿐만아니라 반드시 교류 전원이 필요하며, 또한 타인의 차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트렁크에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방전된 배터리를 자가 발전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부면에 운반용 손잡이가 설치되면서 감전 방지를 위해 비전도체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구멍을 통해 돌출된 작동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가속기어와, 이 가속기어의 회전력을 제 1 중심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동력전달기어와, 이 동력전달기어의 회전력을 제 2 중심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구동기어와, 이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축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소형발전기와, 이 소형발전기에서 발생된 교류 전압을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모듈 및, 이 모듈에 연결구를 통해 연결설치됨과 더불어 그 일측 선단부에 집게가 설치되어 자동차의 배터리 전극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케이블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자가 충전기는 자동차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케이블의 각 집게를 자동차 배터리의 플라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에 각각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작동 손잡이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각 기어들의 회전에 의해 소형발전기가 작동되면서 전압을 발생시키며, 이렇게 발생된 직류 전압을 자동차 배터리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자가 충전기에 의해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충전을 타인의 도움 또는 요청없이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고, 자가 충전기의 휴대 및 그 사용이 편리하기 때문에 누구든지 손쉽게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각종 어려움이나 경제적인 손실을 해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이나 동력 소모없이 충전기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시 감전의 위험을 없애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의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가 충전기 2 : 구멍
3 : 운반용 손잡이 4 : 케이스
5 : 작동 손잡이 6 : 가속기어
7 : 동력전달기어 7a : 제 1 중심기어
8 : 구동기어 8a : 제 2 중심기어
9 : 소형발전기 9a : 축기어
10 : 배터리 11 : 모듈
12 : 연결구 13 : 집게
14 : 케이블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의 구조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1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배터리(10)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자가 충전기(1)가 구비되되, 상기 자가 충전기(1)는 일측에 구멍(2)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부면에 운반용 손잡이(3)가 설치되면서 감전 방지를 위해 비전도체로 이루어진 케이스(4)와, 이 케이스(4)의 구멍(2)을 통해 돌출된 작동 손잡이(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가속기어(6)와, 이 가속기어(6)의 회전력을 제 1 중심기어(7a)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동력전달기어(7)와, 이 동력전달기어(7)의 회전력을 제 2 중심기어(8a)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구동기어(8)와, 이 구동기어(8)의 회전력을 축기어(9a)를 통해 전달받아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소형발전기(9)와, 이 소형발전기(9)에서 발생된 교류 전압을 자동차의 배터리(1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모듈(11) 및, 이 모듈(11)에 연결구(12)를 통해 연결설치됨과 더불어 그 일측 선단부에 집게(13)가 설치되어 자동차의 배터리(10) 전극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케이블(14)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자가 충전기(1)는 별도의 전원이나 동력 없이 소형발전기(9)를 구동하여 전기를 일으킴으로써 이 전기를 이용하여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10)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바, 상기 자가 충전기(1)의 작동 손잡이(5)를 회전시켜 다수의 기어를 통해 회전력을 소형발전기(9)에 전달시키고, 상기 소형발전기(9)의 작동에 의해 전기가 케이블(14)을 매개로 배터리(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자가 충전기(1)는 자동차의 배터리(10)가 방전된 경우 상기 케이스(4)에 연결된 케이블(14)의 각 집게(13)를 자동차 배터리(10)의 플라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에 각각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4)에 설치된 작동 손잡이(5)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케이스(4) 내부에 설치된 각 기어들의 회전에 의해 소형발전기(9)가 작동되면서 전압을 발생시키며, 이렇게 발생된 직류 전압을 자동차 배터리(10)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10)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자가 충전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트렁크에 휴대할 수 있도록 상자형의 케이스(4)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4)의 상부에 운반용 손잡이(3)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4)의 일측에는 구멍(2)을 통해 작동 손잡이(5)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4)의 또다른 면에 두개의 연결구(12)를 통해 각각의 케이블(14)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케이블(14)의 선단에 배터리(10)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에 고정되는 집게(13)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가 충전기(1)의 내부 구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손잡이(5)에 연결되어 작동 손잡이(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가속기어(6)가 설치되고, 상기 가속기어(6)와 제 1 중심기어(7a)를 통해 치합된 상태로 가속기어(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동력전달기어(7)가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기어(7)와 제 2 중심기어(8a)를 통해 치합된 상태로 동력전달기어(7)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8)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8)가 소형발전기(9)의 축기어(9a)와 연결되어 구동기어(8)의 회전력을 통해 축기어(9a)가 회전되면서 소형발전기(9)를 구동시키고, 상기 소형발전기(9)에서 발생된 교류 전압이 이와 연결된 모듈(11)을 통해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상기 케이블(14)을 통해 자동차의 배터리(10)에 전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작동 손잡이(5)의 회전력이 가속기어(6)와 동력전달기어(7) 및 구동기어(8)를 통해 높아진 상태로 상기 소형발전기(9)의 축기어(9a)에 전달되는 바, 이는 다수의 기어들이 갖는 기어비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 손잡이(5)의 적은 회전수로 소형발전기(9)의 축기어(9a)가 많이 회전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 손잡이(5)는 페달로 교체되어 설치될 수 있는 바, 상기 작동 손잡이(5) 또는 페달을 회전시켜 상기 케이스(4) 내부에 설치된 소형발전기(9)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로 인해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된 자동차의 배터리(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의 실수나 배터리(10) 자체의 문제로 인해 자동차의 배터리(10)가 방전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가 충전기(1)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케이블(14) 선단의 집게(13)를 방전된 배터리(10)의 플라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에 각각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자가 충전기(1)의 작동 손잡이(5)를 회전시켜 내부의 소형발전기(9)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10)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10)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에 의하면,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충전을 타인의 도움 또는 요청없이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고, 자가 충전기의 휴대 및 그 사용이 편리하기 때문에 누구든지 손쉽게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각종 어려움이나 경제적인 손실을 해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이나 동력 소모없이 충전기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시 감전의 위험을 없애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구멍(2)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부면에 운반용 손잡이(3)가 설치되면서 감전 방지를 위해 비전도체로 이루어진 케이스(4)와, 이 케이스(4)의 구멍(2)을 통해 돌출된 작동 손잡이(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가속기어(6)와, 이 가속기어(6)의 회전력을 제 1 중심기어(7a)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동력전달기어(7)와, 이 동력전달기어(7)의 회전력을 제 2 중심기어(8a)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구동기어(8)와, 이 구동기어(8)의 회전력을 축기어(9a)를 통해 전달받아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소형발전기(9)와, 이 소형발전기(9)에서 발생된 교류 전압을 자동차의 배터리(1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모듈(11) 및, 이 모듈(11)에 연결구(12)를 통해 연결설치됨과 더불어 그 일측 선단부에 집게(13)가 설치되어 자동차의 배터리(10) 전극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케이블(14)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
KR20-2004-0000408U 2004-01-08 2004-01-08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 KR200347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08U KR200347844Y1 (ko) 2004-01-08 2004-01-08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08U KR200347844Y1 (ko) 2004-01-08 2004-01-08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844Y1 true KR200347844Y1 (ko) 2004-04-28

Family

ID=4942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408U KR200347844Y1 (ko) 2004-01-08 2004-01-08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8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4334B2 (en) Vehicle
AU2003292350A1 (en) Electrically powered or hybrid vehicle comprising a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US8508348B2 (en) Vehicle capable of indicating a position of an electric power-receiving unit
US7904217B2 (en) Battery pack management strategy in a hybrid electric motor vehicle
US20090079262A1 (en) Start-up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A2612485A1 (en) Hybrid electric powertrain with anti-idle function
US10122004B2 (en) Quick connect assembly for busbars in an electrified vehicle
JP3182855U (ja) 車両用補助給電装置
EP1201485A1 (en) HEV charger/generator unit
JP5103221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構造
CN102803000A (zh) 充电电缆以及电动车辆的充电系统
US20100094498A1 (en) Hybrid vehicle
WO2013192142A1 (en) Electric power system with regeneration
CN104276042B (zh) 向电气化车辆提供辅助动力的系统和方法
JP2012249384A (ja) 車両
KR20200098798A (ko) 자가 충전 기능을 갖는 전기 자동차
JP2011148390A (ja) 車両
KR200347844Y1 (ko) 자동차용 배터리 자가 충전기
US20210291674A1 (en) Charging input selector systems for electrified vehicles
JP2007082385A (ja) バッテリー非常用充電器
KR20160071668A (ko) 솔라셀이 부착된 자동차
FR2826457B1 (fr) Systeme d'evaluation de la duree de vie d'une batterie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d'alimentation d'une chaine de traction electrique ou hybride d'un vehicule automobile
EP2463169A1 (en) A hybride vehicle
US20070052386A1 (en) Automatic chargeable electromotive vehicle
KR100197495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충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