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624Y1 - game machine of capturing goods - Google Patents

game machine of capturing go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624Y1
KR200347624Y1 KR20-2004-0002321U KR20040002321U KR200347624Y1 KR 200347624 Y1 KR200347624 Y1 KR 200347624Y1 KR 20040002321 U KR20040002321 U KR 20040002321U KR 200347624 Y1 KR200347624 Y1 KR 200347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main body
article
loaded
gam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32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장권
Original Assignee
최장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장권 filed Critical 최장권
Priority to KR20-2004-0002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62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624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14Coin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형과 같은 물품을 집게의 조작에 의해 뽑을 수 있는 물품 뽑기 오락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내에 적재된 뽑기 대상 물품을 집게를 이송하여 파쥐할 수 있도록 된 포획기와, 뽑기 대상 물품이 그 위에 적재될 수 있게 본체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판 구동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물품뽑기 오락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적재된 물품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게임의 흥미를 증가시킬 수 있고, 운영자의 물품 배열에 대한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 game machine that can draw items, such as dolls by the operation of the forceps, a trap that can transport the forceps to grab the items to be drawn in the main body, and the items to be drawn are loaded thereon And a rotat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rotating plate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ccording to such a drawer game machin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loaded goods by the user's operation to increase the interest of the game, and to provide an advantage that can ease the burden on the arrangement of the goods of the operator.

Description

물품 뽑기 오락기{game machine of capturing goods}Game machine of capturing goods

본 발명은 물품 뽑기 오락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취출하고자하는 뽑기대상 물품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된 물품 뽑기 오락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tem unloa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tem unpacking game machine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drawn out.

일반적으로 물품뽑기 오락기는 집게를 이동시켜 본체 내에 배열된 뽑기대상 물품 예들들면 인형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인형을 파쥐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In general, the drawer game machine is to move the tongs, such as the object to be drawn, such as dolls arranged in the main body to be pulled out by grasping the desired doll.

이러한 물품 뽑기 오락기는 코인 또는 지폐를 투입하는 코인기와, 코인기로부터 판독된 금액에 따라 게임 횟수를 결정하고, 키조작부의 키조작신호에 따라 집게의 이동 및 집게의 파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Such a drawer game machine is provided with a coin for putting coins or bills,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gam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ney read from the coin,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orceps and the grip of the forceps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signal of the key operation unit. do.

또한, 집게는 수평면상에서의 직교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ongs can be mov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horizontal plane.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물품 뽑기 오락기는 본체 내에 적재된 물품의 위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동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 결과, 자신이 뽑고자 하는 물품이 다른 물품 아래에 깔려 집게에 직접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시도할 수 없거나, 집게에 의해 파쥐된 물품을 배출구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배출구에 도달하기 이전에 집게로부터 이탈되어 집게의 포획거리를 벗어나는 위치에 놓여져 재시도를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게임 의욕을 떨어뜨려 기기의 이용효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 이용자는 적재된 물품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운영자가 보지 않을 때 본체를 기울이고, 충격을 가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기기를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conventional article picking and play machine of this structure cannot change the position of the article loaded in the main body by the user's operation. As a result, the item to be pulled is placed under other items and i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tongs, so that it cannot be attempted, or from the tongs before reaching the outlet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articles grasped by the tongs toward the outlet. There may be cases where it is displaced and placed in a position outside the catching distance of the forceps so that it cannot be retri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r's motivation to reduce the use efficiency of the device. In addition, some users are inclined to impact the body when the operator does not look to forcib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loaded good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damage the device.

그 밖에도, 물품뽑기 오락기를 운영하는 운영자는 사용자의 게임의욕을 높일 수 있도록 수시로 본체내에 적재된 물품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시키기 위해 본체의 도어를 열고 물품을 재배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an operator operating an item picking and entertainment machine has the inconvenience of opening the door of the main body and rearranging the item in order to appropriate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item loaded in the main body so as to increase the user's game desir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적재된물품의 위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경할 수 있는 물품뽑기 오락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wer amusement machine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loaded article by a user's opera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뽑기 오락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awer amusement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 단면도이고,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물품뽑기 오락기의 제어계통 회로도이고,FIG. 3 is a control system circuit diagram of the article extracting and entertainment machine of FIG. 1,

도 4는 도 1의 회전판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tating plate portion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물품 뽑기 오락기 110: 본체100: draw goods game machine 110: main body

120: 키조작부 140: 포획기120: key operation unit 140: trap

150: 회전판 165: 회전판 구동부150: rotating plate 165: rotating plate driving uni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뽑기 오락기는 집게를 수평면상에서 위치 이동 및 수직으로 승하강 할 수 있게 된 포획기의 제어에 의해 본체 내에 적재된 뽑기 대상 물품을 파쥐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된 물품 뽑기 오락기에 있어서, 상기 뽑기 대상 물품이 그 위에 적재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판 구동부;를 더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rawer gam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ulled out by grasping the object to be pulled in the main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catcher that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forceps on the horizontal plane and to move up and down vertically.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drawn item, comprising: a rotat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object to be drawn can be loaded thereon; And a rotating plate driver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외측에 마련된 회전판 조작키와; 상기 회전판 조작키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판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rotary plate operation ke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ng plate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rotating plate operating key.

또한, 회전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의 저부에서 상기 회전판에 대해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roll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support the rotating plate while roll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plate at the bottom of the rotating plate so as to ensure a support force for the load applied to the rotating plate; .

또한,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회전판 위에 적재된 물품을 간섭하여 물품 배열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그 종단이 상기 회전판의 수직상의 투영영역 내에 위치되게 설치된 교반용 간섭부재;를 더 구비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gitating interference memb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rotating plate to be positioned in a vertical projection area of the rotating plate so as to change an article arrangement state by interfering with the article loaded on the rotating plate.

상기 포획기는 상기 본체 내에 제1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레일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된 제1이송체와; 상기 제1이송체에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으로 승하강 될 수 있게 상기 집게가 설치된 제2이송체;를 구비한다.The capture device includes a guide rail portion installed in the body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transfer member installed to be transportable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portion; And a second transfer member installed to be transportable in the first transfer member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the forcep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vert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뽑기 오락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drawer amusement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뽑기 오락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물품뽑기 오락기의 제어계통 회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awer amusement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control system circuit diagram of the drawer amusement machine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물품뽑기 오락기(100)는 본체(110), 키조작부(120), 포획기(140), 포획기 구동부(147), 회전판(150), 회전판 구동부(165), 제어부(170), 코인기(180) 및 표시부(19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oods take-off game machine 100 is the main body 110, the key operation unit 120, the trap 140, the trap driving unit 147, the rotating plate 150, the rotating plate driving unit 165, the control unit 170 ), A coin machine 180 and a display unit 190.

본체(110)는 내부에 뽑기대상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110 is formed to have a space in which the object to be drawn can be loaded.

또한 본체(110)는 사용자가 뽑기대상 물품을 보면서 키조작부(1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내부가 보일수 있게 측면 및 상면중 일부가 투명소재 예를들면 투명 아크릴판으로 형성된 투명창(112)(113)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is a transparent window 112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a transparent acrylic plate, such that a part of the side and the upper surface can be seen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key manipulation unit 120 while looking at the object to be drawn. 113) is formed.

본체(110)의 일측면에는 집게(148)에 의해 취출된 물품을 수용하는 취출함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취출된 물품을 꺼낼수 있게 취출구(115)가 마련되어 있다.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wer for receiving the article taken out by the forceps 148 is provided with a outlet 115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the article.

또한, 본체(110)의 상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한 부분에는 본체 내부 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도어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oor for acces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키조작부(120)는 집게(148)를 수평면상에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을지시하는 수평이동 조작키(121)와, 회전판(15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지시하는 회전판 조작키(123)와, 집게(148)의 하강을 지시하는 집게 조작키(125)를 구비한다.The key operation unit 120 includes a horizontal movement operation key 121 for indicating movement of the forceps 148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a horizontal plane, and a rotation plate operation key for instructing rotation of the rotation plate 150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123 and a tong operation key 125 for instructing to lower the tongs 148.

코인기(180)는 투입된 화폐를 판독하고, 판독된 금액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한다.The coin machine 180 reads the input money and transmits the read amoun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참조부호 182는 코인투입구이고, 참조부호 184는 지폐투입구이다.Reference numeral 182 denotes a coin inlet, and reference numeral 184 denotes a banknote inlet.

포획기(140)는 가이드레일부(141), 제1수평이송체(143), 제2수평이송체(145), 수직이송체(146) 및 집게(148)를 구비한다.The catcher 140 includes a guide rail 141, a first horizontal conveyer 143, a second horizontal conveyer 145, a vertical conveyer 146, and a forceps 148.

가이드레일부(141)는 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서 제1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게 설치된 제1가이드레일(141a) 및 제2가이드레일(141b)을 구비한다.The guide rail unit 141 includes a first guide rail 141a and a second guide rail 141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on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제1수평이송체(143)는 제1가이드레일(141a)과 제2가이드레일(141b)의 연장방향인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제1가이드레일(141a)과 제2가이드레일(141b)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horizontal carrier 143 extends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rails 141a and the second guide rails 141b, but includes the first guide rails 141a and the first guide rail 141a. It is provided so that a movement is possible along the two guide rails 141b.

제1수평이송체(143)는 도시되지 않은 제1구동원인 제1모터에 의해 가이드레일부(141)을 따라 제1방향을 따라 진퇴된다.The first horizontal transfer member 143 is advanced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portion 141 by a first motor, which is a first driving source (not shown).

제2수평이송체(145)는 제1수평이송체(1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탑재되어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즉 제1수평이송체(1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The second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5 is slidably mounted on the first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3 so that the second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5 can be convey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at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3. It is installed.

제2수평이송체(145)는 제2구동원으로 적용된 제2모터(147a)에 의해 제1수평이송체(143)를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이송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45는 제2모터(147a)에 의해 제1수평이송체(121)를 따라 구속되어 회전운동하면서 이송될수 있게 설치된 풀리이다.The second horizontal transfer member 145 is installed to be transported while rolling along the first horizontal transfer member 143 by the second motor 147a applied as the second driving source. Reference numeral 145 is a pulley installed to be conveyed while being constrained and rotated along the first horizontal carrier 121 by the second motor 147a.

수직이송체(146)는 제2수평이송체(145)의 하부에 설치되어 집게(148)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The vertical conveying member 146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5 to raise and lower the tongs 148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수직이송체(146)는 제3구동원인 제3모터(147b)에 승하강 된다. 수직이송체(146)는 제3모터(147b)의 회전에 의해 집게와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방식에 의해 집게(148)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transfer member 146 is moved up and down by the third motor 147b which is the third driving source. The vertical transfer member 146 may be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forceps 148 by a method of winding or unwinding a wire connected to the forceps by the rotation of the third motor 147b.

집게(148)는 3개의 아암이 파쥐 및 이완될 수 있게 구조되어 있다.The tongs 148 are structured such that the three arms can be squeezed and relaxed.

집게(148)는 아암의 관절부분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파쥐 및 및 이완 시킬 수 있도록 된 집게 구동부에 의해 파쥐 및 이완이 제어된다.The forceps 148 are controlled by the forceps drive to enable the forceps and / or the arm to relax by lifting or lowering the joints of the arms.

여기서 포획기 구동부(147)는 제1 내지 제3구동원 및 집게구동부가 포함된다.The capturer driver 147 includes first to third drive sources and tongs drive units.

이러한 포획기(140)의 구조는 도시된 예와 다른 공지구조 예를들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28403호에 개시된 인형뽑기 오락기의 집게 이동장치,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08092호에 개시된 크레인형 오락기의 포획체 이송장치 또는 국내 공개특허제 2001-0016020호에 개시된 타워크레인 구조의 경품게임기에 개시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tructure of the catcher 140 is a known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illustrated example, for example, the forceps moving device of the doll-pulling entertainment machine disclosed in the Korean Utility Model No. 0228403, the capture of the crane-type amusement machine disclosed in the Korean Utility Model No.0208092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tructure disclosed in the prize game machine of the sieve transfer device or tower crane structu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1-0016020.

회전판(150)은 뽑기 대상 물품이 안착되는 안착면의 일부를 이룰수 있게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Rotating plate 15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to form a part of the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object to be pulled out.

또한, 회전판(150)의 회전시 물품의 위치 변경을 보다 강력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판(150)의 수직상의 투영영역 내로 그 종단이 위치되게 교반용 간섭부재(159)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tirring interference member 159 may be installed such that its end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projection area of the rotating plate 15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article can be more strongly changed when the rotating plate 150 is rotated.

이 경우 회전판(150)이 회전될 때 교반용 간섭부재(159)가 회전판(150) 위에 적재된 물품을 간섭하여 적재된 물품을 뒤섞는 기능을 함으로써 물품을 섞는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rotary plate 150 is rotated, the stirring interference member 159 interferes with the article loaded on the rotary plate 150 to mix the loaded articl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ixing the article.

교반용 간섭부재(159)의 형상은 스크류 형태, 하부가 넙고 상부가 좁은 삼각형 형태 등 교반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interference member 159 for stirring may be applied in a variety of structures that can increase the stirring efficiency, such as a screw shape, a rounded lower part and a narrow triangular upper part.

회전판 구동부(165)는 제어부(170)에 제어되어 회전판(150)을 회전 구동시킨다.The rotating plate driver 16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70 to drive the rotating plate 150 in rotation.

도시된 예와 다르게 회전판(150)을 본체 외측에 설치된 핸들(미도시)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회전판(150)이 회전될 수 있는 동력전달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plate 150 may be rotated by a user manipulation of a handle (not shown)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150 may be applied.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150)의 동력전달구조에 대해 도 4를 함께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rotating plat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회전판(150)의 저부에는 종동풀리(152)가 고정수단인 볼트(153)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종동풀리(152)는 아이들 회전축(151)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다.A driven pulley 152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rotating plate 150 by a bolt 153 that is a fixing means, and the driven pulley 152 is fixedly coupled to the idle rotation shaft 151.

참조부호 154는 아이들 회전축(151)과 결합된 베이링(155)을 지지하는 브라켓이다.Reference numeral 154 denotes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bearing 155 coupled with the idle rotation shaft 151.

회전판 구동부(165)로 적용된 모터(165a)의 회전축(166)에는 구동풀리(167)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풀리(167)와 종동풀리(152) 사이에는 벨트(168)가 설치되어 있다.A driving pulley 167 i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166 of the motor 165a applied to the rotating plate driving unit 165, and a belt 168 is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pulley 167 and the driven pulley 152.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회전판(150)의 회전중심에 모터의 회전축을 직접 결합한 구조, 모터의 회전력을 기어 결합에 의해 회전판(150)에 인가하는 구조, 모터의 회전력을 체인을 통해 회전판(150)에 인가하는 구조 등 공지된 다양한 동력전달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ry shaft of the motor is directly coupl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150,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force of the motor is applied to the rotating plate 150 by gear coupling, and the rotating force of the motor is rotated through the chain 150.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pply a variety of known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such as the structure applied to.

또한, 회전판(150)에 적재된 물품의 하중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면서도 회전판(150)이 원할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판(150)의 하부에서 회전판(150)과 접촉하면서 구름운동할 수 있게 복수개의 롤러(156)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while ensuring sufficient support for the load of the article loaded on the rotating plate 150, a plurality of the rolling plate 150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plate 150 at the bottom of the rotating plate 150 so that the rotating plate 150 can be rotated smoothly Rollers 156 are provided.

참조부호 157은 롤러(156) 장착용 지지브라켓이다.Reference numeral 157 denotes a support bracket for mounting the roller 156.

제어부(170)는 코인기(180)로부터 전송받은 금액정보에 대응되는 게임 수행 가능 횟수 정보를 표시부(190)를 통해 표시하고, 키조작부(120)의 키조작신호에 따라 포획기 구동부(147)와 회전판 구동부(165)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number of times of game play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mone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in machine 180 through the display unit 190, and the capturer driver 147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signal of the key operator 120. And the rotating plate driver 165.

이러한 물품 뽑기 오락기(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rticle unloading game machine 100 will be described.

이용자는 자신이 하고자 하는 게임횟수에 대응되는 비용을 코인기(180)에 투입한다. 그러면 코인기(180)에 의해 판독된 금액에 따라 제어부(170)는 게임가능 횟수를 표시기(190)를 통해 표시한다.The user inputs the cos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games he wants to coin machine 180. Then,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ney read by the coin machine 180,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number of games available through the display 190.

이후 사용자가 현재 본체(110)에 배열된 뽑기 대상 물품들의 배치를 재조정하고 싶을 때에는 회전판 조작키(123)를 조작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회전판조작키(123)의 조작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판(150)이 회전되도록 회전판 구동부(165) 즉 모터(166)를 구동한다. 이후 사용자는 뽑기 대상 물품들이 원하는 배열상태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회전판 조작키(123)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회전판(150)이 정지된 상태에서 뽑고자 하는 물품위치로 집게(148)가 이동되도록 수평이동조작키(121)를 조작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수평이동조작키(121)의 조작 방향신호에 따라 제1이송체(143) 및 제2이송체(145)가 이송되도록 포획체 구동부(147)를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집게(148)가 뽑고자 하는 물품의 상부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수평이동조작키(121)의 조작을 중지하고, 집게조작키(125)를 작동시킨다. 제어부(170)는 집게조작키(125)의 조작신호에 따라 집게(148)가 벌려진 상태에서 설정된 하강길이 많큼 집게(148)를 하강시키고, 이후 집게(148)가 오무리게 한 다음, 집게(148)가 일정높이 까지 승강 및 배출구 쪽으로 이동하도록 포획기 구동부(165)를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물품이 집게(148)에 파쥐된 상태로 취출구(115)까지 이송될 수도 있고, 취출구(115)에 도달하기 이전에 집게(148)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wants to readjust the arrangement of the objects to be drawn, which are currently arranged on the main body 110, the user operates the rotary plate operation key 123. Then, the controller 170 drives the rotating plate driver 165, that is, the motor 166 so that the rotating plate 150 rotates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plate operating key 123. Then,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items to be pulled are in a desired arrangement, the operation of the rotary plate operation key 123 is stopped, and the tongs 148 are moved horizontally to the item position to be pulled out while the rotary plate 150 is stopped. The shift operation key 121 is operated. Then,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capturer driving unit 147 so that the first conveying member 143 and the second conveying member 145 are convey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direction signal of the horizontal moving operation key 121.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tongs 148 reach the upper portion of the article to be pulled out through this process, the us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moving operation key 121 and operates the tong operation key 125. The control unit 170 lowers the tongs 148 in a state in which the tongs 148 are set in a state where the tongs 148 are ope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tongs operation key 125, and then the tongs 148 are retracted, and then the tongs 148 ) Controls the catcher driver 165 to move up and down toward a certain height. In this process, the article may be transported to the outlet 115 in a state of being pinched by the forceps 148, or may be separated from the forceps 148 before reaching the outlet 115.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품뽑기 오락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적재된 물품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게임의 흥미를 증가시킬 수 있고, 운영자의 물품 배열에 대한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As described so far, according to the object-ta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goods loaded by the user's operation to increase the interest of the game, and to reduce the burden on the arrangement of the goods by the operator. It provides the advantages.

Claims (4)

집게를 수평면상에서 위치 이동 및 수직으로 승하강 할 수 있게 된 포획기의 제어에 의해 본체 내에 적재된 뽑기 대상 물품을 파쥐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된 물품 뽑기 오락기에 있어서,In the article drawer game machine, it is possible to grasp and pull the article to be loaded in the main body by the control of the catcher that is abl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forceps on the horizontal plane and move up and down vertically, 상기 뽑기 대상 물품이 그 위에 적재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A rotat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object to be drawn can be loaded thereon;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판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뽑기 오락기.And a rotating plate driver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 외측에 마련된 회전판 조작키와;A rotary plate operation key provided outside the main body; 상기 회전판 조작키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판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뽑기 오락기.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ng plate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rotating plate operating ke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판의 저부에서 상기 회전판에 대해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뽑기 오락기.And at least one roll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rotating plate while rolling the rolling plat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plate at the bottom of the rota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회전판 위에 적재된 물품을 간섭하여 물품 배열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그 종단이 상기 회전판의 수직상의 투영영역 내에 위치되게 설치된 교반용 간섭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뽑기 오락기.The stirring interference memb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irring interference member disposed at an end thereof in a vertical projection area of the rotating plate so as to change an article arrangement state by interfering an article loaded on the rotating plate when the rotating plate rotates. Item picker gam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4-0002321U 2004-01-31 2004-01-31 game machine of capturing goods KR2003476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321U KR200347624Y1 (en) 2004-01-31 2004-01-31 game machine of capturing go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321U KR200347624Y1 (en) 2004-01-31 2004-01-31 game machine of capturing go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624Y1 true KR200347624Y1 (en) 2004-04-17

Family

ID=4942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321U KR200347624Y1 (en) 2004-01-31 2004-01-31 game machine of capturing go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62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5374A (en) Crane game including vacuum and rotary table
US4778176A (en) Amusement apparatus
JP2009000306A (en) Decoration body lift unit, game board and pachinko game machine
EP1620187B1 (en) Apparatus for playing game of cards
KR101141717B1 (en) Goods drawing out game apparatus
KR200347624Y1 (en) game machine of capturing goods
CN110292344A (en) A kind of hidden intelligent shoe box
CN207324050U (en) One kind is multi-functional to grab doll machine
JP4190514B2 (en) Giveaway game machine
KR20110092335A (en) Vending machine with force-reduced overturn door panel
JP6410125B2 (en) Gift acquisition game device
KR101278607B1 (en) A picking commodity type game machine
JP3096470U (en) Crane arm structure of capture game device
KR100496514B1 (en) A premium game machine
KR200370105Y1 (en) Game box for bring out goods by using outomobile robot
KR20110080273A (en) A picking commodity type game machine
KR100392534B1 (en) Crane game device having rotatable crane arm
JP2007275149A (en) Prize acquisition game device
KR200390954Y1 (en) game machine of capturing goods
JP3249840B2 (en) Display device and game device using the same
KR100845881B1 (en) Operating device pick-up member in goods drawing amusement machines
KR200204441Y1 (en) A crane shifter eguipment of a premium amuse ment machine
JPH0429646Y2 (en)
JP2001157773A (en) Premium catching auxiliary device
JP4052350B2 (en) Gift acquisition gam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