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600Y1 - 볏짚 절단기 - Google Patents

볏짚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600Y1
KR200347600Y1 KR20-2004-0001479U KR20040001479U KR200347600Y1 KR 200347600 Y1 KR200347600 Y1 KR 200347600Y1 KR 20040001479 U KR20040001479 U KR 20040001479U KR 200347600 Y1 KR200347600 Y1 KR 200347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late
straw
bar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덕
Original Assignee
권오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덕 filed Critical 권오덕
Priority to KR20-2004-0001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6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05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for disintegrating and cutting up bales of hay, straw or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8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having reciprocating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9Details
    • A01F29/095Mounting or adjusting of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9Details
    • A01F29/10Feeding devices

Abstract

원통형으로 가공 처리된 볏짚을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자동 절단함으로써, 볏짚 절단에 따른 노동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가축들이 섭취하기 좋은 길이로 절단하여 섭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볏짚 절단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볏짚 절단기는 상부에 원통형상의 볏짚뭉치가 안치되는 안치판이 배치된 하부베이스와, 안치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베이스를 갖는 프레임부; 하부베이스의 타단 상부에 수평 고정 배치되는 푸싱실린더와, 푸싱실린더에서 연장된 푸싱실린더로드의 연장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안치판에 안치된 볏짚뭉치를 이송시키는 푸싱판을 갖는 푸싱부; 및 상부베이스의 일단에 수직하게 고정 배치되는 커팅실린더와, 커팅실린더에서 연장된 커팅실린더로드의 연장부에 장착되는 커팅판과, 커팅판에 장착되어 푸싱판에 의해서 이송된 볏짚뭉치를 절단하는 다수의 회전칼날과, 회전칼날을 선택적으로 분할하여 구동시키는 제 1 커팅모터와 제 2 커팅모터를 갖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볏짚 절단기{Cutting device for rice straw}
본 고안은 볏짚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으로 가공 처리된 볏짚을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자동 절단함으로써, 볏짚 절단에 따른 노동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가축들이 섭취하기 좋은 길이로 절단하여 섭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볏짚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볏짚은 가을철 추수가 완료된 후 벼의 이삭을 떨어낸 줄기를 말한다. 이러한 볏짚은 통상적인 작두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콩깍지 등과 배합하여 가축의 먹이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작두를 이용하여 볏짚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절단 길이가 일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에서는 시간과 노동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작두의 사용을 꺼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볏짚을 자동으로 절단하는 절단기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절단기들은 사각 또는 원통형상으로 가공된 볏짚뭉치를 고정된 칼날 또는 회전하는 띠톱 측으로 강제 압송하면서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절단기 비교적 뭉치크기가 작은 사각형상의 볏짚은 원활하게 절단할 수 있으나, 통상 400~500㎏이상 나가는 원통형상의 볏짚을 절단하기에는 칼날에 무리한 하중이 전달되어 칼날이 무뎌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절단기는 볏짚뭉치를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서 절단기에 올려 놓아야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작업자가 필요하고, 가축들 섭취하기 좋은 길이로 절단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통형으로 가공 처리된 볏짚을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자동 절단함으로써, 볏짚 절단에 따른 노동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가축들이 섭취하기 좋은 길이로 절단하여 섭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볏짚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볏짚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팅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a 내지 3d는 본 고안에 따른 볏짚 절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볏짚 절단기 110 : 프레임부
112 : 하부베이스 114 : 안치판
116 : 상부베이스 122a : 제 1 수직가이드레일
122b : 제 2 수직가이드레일 124a : 제 1 수평가이드레일
124b : 제 2 수평가이드레일 130 : 푸싱부
132 : 푸싱실린더 136 : 푸싱판
140 : 커팅부 142 : 커팅실린더
146 : 커팅판 152a : 제 1 커팅모터
152b : 제 2 커팅모터 154 : 커팅축
156 : 회전칼날 158 : 연결풀리
162a : 제 1 회전풀리 162b : 제 2 회전풀리
170 : 리프팅부 174 : 리프팅실린더
178 : 리프팅판 R : 볏짚뭉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부에 원통형상의 볏짚뭉치가 안치되는 안치판이 배치된 하부베이스와, 안치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베이스를 갖는 프레임부;
하부베이스의 타단 상부에 수평 고정 배치되는 푸싱실린더와, 푸싱실린더에서 연장된 푸싱실린더로드의 연장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안치판에 안치된 볏짚뭉치를 이송시키는 푸싱판을 갖는 푸싱부; 및
상부베이스의 일단에 수직하게 고정 배치되는 커팅실린더와, 커팅실린더에서 연장된 커팅실린더로드의 연장부에 장착되는 커팅판과, 커팅판에 장착되어 푸싱판에 의해서 이송된 볏짚뭉치를 절단하는 다수의 회전칼날과, 회전칼날을 선택적으로 분할하여 구동시키는 제 1 커팅모터와 제 2 커팅모터를 갖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볏짚 절단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원통형으로 가공 처리된 볏짚을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자동 절단함으로써, 볏짚 절단에 따른 노동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가축들이 섭취하기 좋은 길이로 절단하여 섭취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볏짚절단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볏짚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볏짚 절단기(100)는 원통형상의 볏짚뭉치(R)가 안치되는 프레임부(110), 안치된 볏짚뭉치(R)를 일정한 길이로 이송시키는 푸싱부(130) 및 푸싱부(130)에 의해서 이송된 볏짚뭉치(R)를 절단하는 커팅부(140)를 구비한다.
먼저, 프레임부(110)는 하부베이스(112) 및 상부베이스(116)를 구비한다. 하부베이스(112)는 지면에 고정 배치되면서 상부에는 원통형상의 볏짚뭉치(R)가 안치될 수 있도록 방사상 하측으로 만곡된 곡률을 가지는 안치판(114)이 배치된다. 이때, 안치판(114)의 곡률은 볏짚뭉치(R)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한편, 상부베이스(116)는 안치판(114)의 일단 양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하부베이스(112)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수직바아(118a) 및 제 2수직바아(118b) 및 마찬가지로 안치판(114)의 타단 양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하부베이스(112)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3 수직바아(118c) 및 제 4 수직바아(118d)와, 제 1 수직바아(118a) 및 제 2 수직바아(118b)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수평바아(120a)와, 제 1 수직바아(118a)와 제 3 수직바아(118c) 및 제 2 수직바아(118b)와 제 4 수직바아(118d)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수평바아(120b) 및 제 3 수평바아(120c)를 구비한다. 이때, 제 1 수직바아(118a) 및 제 2 수직바아(118b)의 일단면 상에는 수직하게 제 1 수직가이드레일(122a) 및 제 2 수직가이드레일(122b)이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 2 수평바아(120b) 및 제 3 수평바아(120c) 각각의 내측면 상에는 제 2 수평바아(120b) 및 제 3 수평바아(120c)를 따라서 제 1 수평가이드레일(124a) 및 제 2 수평가이드레일(124b)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수평가이드레일(124a) 및 제 2 수평가이드레일(124b)이 형성된 제 2 수평바아(120b) 및 제 3 수평바아(120c)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 상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위치조절센서(126)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부(110)에는 푸싱부(130) 및 커팅부(140)가 배치된다.
푸싱부(130)는 푸싱실린더(132) 및 푸싱판(136)을 구비한다. 푸싱실린더(132)는 제 3 수직바아(118c) 및 제 4 수직바아(118d) 사이에 배치되면서 하부베이스(112)의 타단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 배치된다. 푸싱실린더(132)에서 연장되는 푸싱실린더로드(134)는 안치판(114) 측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푸싱판(136)은 푸싱실린더로드(132)의 연장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안치판(114)에 안치된 볏짚뭉치(R)를 제 1 수직바아(118a) 및 제 2 수직바아(118b)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푸싱판(136)의 양측 상부에는 제 1 수평가이드레일(124a) 및 제 2 수평가이드레일(124b)에 장착되어 안내되는 제 1 수평가이드블럭(138a) 및 제 2 수평가이드블럭(138b)이 일체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수평가이드블럭(138a) 또는 제 2 수평가이드블럭(138b) 중 어느 하나의 수평가이드블럭(138a, 138b)의 선단부는 다수의 위치조절센서(126)에 순차적으로 접촉되고, 위치조절센서(126)에 어느 하나의 수평가이드블럭(138a, 138b)의 선단부가 접촉되면, 위치조절센서(126)는 푸싱실린더(132)를 구동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팅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커팅부(140)는 커팅실린더(142)와, 커팅판(146)과, 다수의 회전칼날(156) 및 회전칼날(156)을 선택적으로 분할하여 구동시키는 제 1 커팅모터(152a)와 제 2 커팅모터(152b)를 구비한다. 커팅실린더(142)는 상부베이스(116)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수평바아(120a)의 일측면 상에 수직하게 고정 배치된다. 커팅실린더(142)에서 연장되는 커팅실린더로드(144)는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커팅판(146)은 커팅실린더로드(142)의 연장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타단면 양측에는 제 1 수직가이드레일(122a) 및 제 2 수직가이드레일(122b)에 장착되어 안내되는 제 1 수직가이드블럭(148a) 및 제 2 수직가이드블럭(148b)이 장착된다. 회전칼날(156)은 커팅판(146)의 타단면 측에 다수개가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칼날(156)들에는 다수의 커팅축(154)들이 커팅판(146)을 관통하여 커팅판(146)의 일단면 외부로 연장된다. 이때, 커팅판(146)의 일단면 외부로 연장된 커팅축(154)에는 복열로 풀리홈이 형성된 각각 연결풀리(158)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칼날(156)은 이웃한 다른 회전칼날(156)과 간섭되지 않게 지그재그 형식으로 배열된다. 한편, 제 1 커팅모터(152a) 및 제 2 커팅모터(152b)는 커팅판(146)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 배치된다. 이때 제 1 커팅모터(152a) 및 제 2 커팅모터(152b)에서 연장되는 제 1 회전축(160a) 및 제 2 회전축(160b)의 연장부에는 단열로 풀리홈이 형성된 제 1 회전풀리(162a) 및 제 2 회전풀리(162b)가 장착된다. 이때, 제 1 회전풀리(162a)에 인접하게 이웃한 연결풀리(158)들은 다수의 벨트(V)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제 2 회전풀리(162b)에 인접하게 이웃한 또 다른 연결풀리(158)들은 다수의 또 다른 벨트(V)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 1 커팅모터(152a)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는 제 1 회전풀리(162a)는 커팅판(146)의 중앙부에서 커팅판(146)의 일측으로 배치된 연결풀리(158)들과 벨트(V)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커팅모터(152b)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는 제 2 회전풀리(162b)는 커팅판(146)의 중앙부에서 커팅판(146)의 타측으로 배치된 연결풀리(158)들과 벨트(V)로 회전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수직가이드레일(122a) 및 제 2 수직가이드레일(122b) 중 어느 하나의 수직가이드레일(122a, 122b)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리미트센서(164a) 및 하부리미트센서(164b)가 장착되고, 하부리미트센서(164b)는 하강하는 커팅판(146)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푸싱실린더(132)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푸싱판(136)을 전진시켜 볏짚뭉치(R)를 이송시킨 후 커팅실린더(142)를 작동시켜 커팅판(146)을 상승시키고, 마찬가지로 상부리미트센서(146a)는 복귀하는 커팅판(146)을 정지시킴과동시에 푸싱실린더(132)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푸싱판(136)을 전진시켜 볏짚뭉치(R)를 이송시킨 후 다시 커팅실린더(142)를 작동시켜 커팅판(146)을 하강시킨다. 즉, 볏짚뭉치(R)에서 커팅되어지는 볏짚들은 회전칼날(156)과 커팅판(146) 사이로 절단 배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볏짚 절단기(100)에는 원통형상의 볏짚뭉치(R)를 프레임부(110)의 안치판(114)에 자동으로 안치시키는 리프팅부(170)가 추가로 포함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리프팅부(170)는 하부베이스(112)의 어느 하나의 일측면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링크바아(172)와, 제 1 링크바아(172)의 하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리프팅실린더(174)와, 리프팅실린더(174)에서 연장되는 리프팅실린더로드(176)에 장착되는 리프팅판(178)을 구비한다. 이때, 리프팅실린더(174)의 일단은 통상의 제 1 링크브라켓(180a)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하부베이스(112)에 장착되고, 마찬가지로 리프팅실린더로드(174)의 연장부에는 통상의 제 2 링크브라켓(180b)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리프팅판(178)은 하부베이스(112)의 일측 상부에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방사상 하부측으로 벌어지게 연장되고 다시 지면을 따라서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때, 리프팅판(178)의 타측면은 리프팅실린더로드(176)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제 2 링크브라켓(180b)에 고정되고, 리프팅판(178)의 상부에는 제 1 링크바아(172)에 힌지(182)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링크바아(172)에 대응하는 제 2 링크바아(184)가 장착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볏짚 절단기(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설명한다.
원통형상으로 가공된 볏짚뭉치(R)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작업자는 볏짚뭉치(R)를 리프팅판(178)에 올려놓은 상태 하에서 리프팅실린더(174)를 작동시켜 볏짚뭉치(R)를 안치판(114)에 안치시킨다. 이때, 리프팅실린더(174)는 작동하여 리프팅실린더로드(176)를 신장시키고 그 결과 볏짚뭉치(R)가 놓여진 리프팅판(178)은 상부베이스(116) 측으로 선회하여 볏짚뭉치(R)를 안치판(114) 측으로 안내시킨 후 다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볏짚뭉치(R)가 안치판(114)에 안치되면, 작업자는 푸싱실린더(132)를 작동시킨다. 푸싱실린더(132)가 작동되면, 푸싱실린더로드(134)는 신장되면서 푸싱판(136)을 볏짚뭉치(R) 측으로 밀착시키면서 볏짚뭉치(R)를 커팅부(140)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볏짚뭉치(R)를 이송시키는 푸싱판(136)의 제 1 수평가이드블럭(138a) 및 제 2 수평가이드블럭(138b) 중 어느 하나는 최선단에 배치된 위치조절센서(126)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수평가이드블럭(138a) 및 제 2 수평가이드블럭(138b) 중 어느 하나가 위치조절센서(126)에 접촉되면, 위치조절센서(126)는 푸싱실린더(132)에 신호를 보내 푸싱실린더(132)의 작동을 중지시킬 뿐만 아니라 커팅실린더(142)를 작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팅실린더(142)가 작동하면, 다수의 회전칼날(156)은 제 1 커팅모터(152a) 및 제 2 커팅모터(152b)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시킴과 동시에 커팅실린더로드(144)를 신장시킨다. 이와 같이 커팅실린더로드(144)가 신장되면, 다수의 회전칼날(156)은 커팅부(140) 측으로 일부분이 안내된 볏짚뭉치(R)의 방사상상부를 절단하면서 하측으로 절단작업을 수행하면서 이송된다. 이때, 커팅판(146)의 하부는 절단되는 볏짚뭉치(R)를 강압시켜 절단된 볏짚이 원활하게 떨어져 나가게한다. 이와 같이 커팅판(146)이 볏짚뭉치(R)의 절단을 완료하면 커팅판(146)은 하부리미트센서(164b)에 접촉되고, 하부리미트센서(164b)는 커팅판(146)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푸싱실린더(132)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푸싱판(136)을 전진시켜 볏짚뭉치(R)를 이송시킨 후 커팅실린더(142)를 작동시켜 커팅판(146)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볏짚뭉치(R)가 이송되면 커팅실린더(142)의 커팅실린더로드(144)는 압축되면서 볏짚뭉치(R)의 방사상 하부를 절단하면서 상측으로 절단작업을 수행하면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상측으로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커팅판(146)은 상부리미트센서(164a)에 접촉되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연속적인 구동으로 인하여 안치판(114)에 안치된 볏짚뭉치(R)는 일정한 간격으로 완전하게 절단된다.
한편, 커팅부(140)의 커팅판(146), 제 1 커팅모터(152a), 제 2 커팅모터(152b)와, 다수의 연결풀리(158)들은 절단되는 볏짚에서 발생하는 먼지 및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소정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한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볏짚 절단기(100)는 프레임부(110)에 안치된 원통형상의 볏짚뭉치(R)를 일정한 길이로 커팅부(140) 측으로 이송시키며, 커팅부(140)는 이송된 길이만큼 절단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가축들이 섭취하기 용이한길이로 연속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려지는 볏짚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커팅부(140)의 회전칼날(156)들이 커팅실린더(142)에 의해서 상하로 구동하면서 절단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회전칼날(156)에 무리한 하중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칼날(156)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리프팅실린더(174)에 의해서 작동하는 리프팅판(178)을 이용하여 볏짚뭉치(R)를 안치판(114)에 안치시킬 수 있고 모든 작업이 자동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작업인원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상부에 원통형상의 볏짚뭉치가 안치되는 안치판이 배치된 하부베이스와, 상기 안치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베이스를 갖는 프레임부;
    상기 하부베이스의 타단 상부에 수평 고정 배치되는 푸싱실린더와, 상기 푸싱실린더에서 연장된 푸싱실린더로드의 연장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안치판에 안치된 상기 볏짚뭉치를 이송시키는 푸싱판을 갖는 푸싱부; 및
    상기 상부베이스의 일단에 수직하게 고정 배치되는 커팅실린더와, 상기 커팅실린더에서 연장된 커팅실린더로드의 연장부에 장착되는 커팅판과, 상기 커팅판에 장착되어 상기 푸싱판에 의해서 이송된 상기 볏짚뭉치를 절단하는 다수의 회전칼날과, 상기 회전칼날을 선택적으로 분할하여 구동시키는 제 1 커팅모터와 제 2 커팅모터를 갖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판은 상기 볏짚뭉치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서 방사상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절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는 상기 안치판의 일단 양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수직바아 및 제 2 수직바아와, 상기 안치판의 타단 양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3 수직바아 및 제 4 수직바아와, 상기 제 1 수직바아 및 상기 제 2 수직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수평바아와, 상기 제 1 수직바아와 상기 제 3 수직바아 및 상기 제 2 수직바아와 상기 제 4 수직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수평바아 및 제 3 수평바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직바아 및 상기 제 2 수직바아의 일단면 상에는 수직하게 제 1 수직가이드레일 및 제 2 수직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2 수평바아 및 상기 제 3 수평바아 각각의 내측면 상에는 제 1 수평가이드레일 및 제 2 수평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절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2 수평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상기 제 2 수평바아 및 상기 제 3 수평바아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 상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위치조절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절단기.
  5. 제 3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실린더는 상기 제 3 수직바아 및 상기 제 4 수직바아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하부베이스의 타단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 배치되고, 상기 푸싱판의 양측 상부에는 상기 제 1 수평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2 수평가이드레일에 장착되어 안내되는 제 1 수평가이드블럭 및 제 2 수평가이드블럭이 일체로 장착됨과 아울러 어느 하나의 상기 제 1 수평가이드블럭 또는 상기 제 2 수평가이드블럭은 상기 위치조절센서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절단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2 수직가이드레일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수직가이드레일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리미트센서 및 하부리미트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리미트센서는 하강하는 상기 커팅판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푸싱실린더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상기 푸싱판을 전진시킴과 아울러 상기 커팅판을 상승시키고,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리미트센서는 복귀하는 상기 커팅판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푸싱실린더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상기 푸싱판을 전진시킴과 아울러 상기 커팅판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절단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실린더는 상기 제 1 수평바아의 일측면 상에 수직하게 고정 배치되고, 상기 커팅판의 타단면 양측에는 상기 제 1 수직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2 수직가이드레일에 장착되어 안내되는 제 1 수직가이드블럭 및 제 2 수직가이드블럭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칼날은 상기 커팅판의 타단면 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다수의 커팅축들이 상기 회전칼날에서부터 상기 커팅판을 관통하여 상기 커팅판의 일단면 외부로 연장되고 일단면 외부로 연장된 커팅축에는 복열로 풀리홈이 형성된 각각 연결풀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절단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팅모터 및 상기 제 2 커팅모터는 상기 커팅판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제 1 커팅모터 및 상기 제 2 커팅모터에서 연장되는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에는 단열로 풀리홈이 형성된 제 1 회전풀리 및 제 2 회전풀 리가 장착되며, 상기 제 1 회전풀리에 인접하게 이웃한 상기 연결풀리들은 다수의 벨트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전풀리에 인접하게 이웃한 또 다른 연결풀리들은 다수의 또 다른 벨트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절단기.
  9. 제 6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회전칼날은 이웃한 다른 회전칼날과 간섭되지 않게 지그재그 형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절단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볏짚 절단기는 상기 하부베이스의 일측면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링크바아와, 상기 제 1 링크바아의 하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리프팅실린더와, 상기 리프팅실린더에서 연장되는 리프팅실린더로드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힌지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상기 제 1 링크바아에 결합되는 제 2 링크바아가 형성된 리프팅판을 갖는 리프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절단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판은 원통형상의 상기 볏짚뭉치 올려놓고 다시 선회시켜 상기 안치판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베이스의 일측 상부에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방사상 하부측으로 벌어지게 연장되고 다시 지면을 따라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리프팅실린더의 일단에는 상기 리프팅실린더의 일단이 선회될 수 있도록 제 1 링크브라켓이 장착되어 상기 하부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리프팅실리더로드의 끝단에는 상기 리프팅실린더로드가 선회될 수 있도록 제 2 링크브라켓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절단기.
KR20-2004-0001479U 2004-01-19 2004-01-19 볏짚 절단기 KR200347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79U KR200347600Y1 (ko) 2004-01-19 2004-01-19 볏짚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79U KR200347600Y1 (ko) 2004-01-19 2004-01-19 볏짚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600Y1 true KR200347600Y1 (ko) 2004-04-14

Family

ID=4942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479U KR200347600Y1 (ko) 2004-01-19 2004-01-19 볏짚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6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017B1 (ko) * 2004-09-24 2006-04-07 이창복 볏짚 절단기
KR101432780B1 (ko) 2011-12-27 2014-08-21 신동희 볏짚 절단장치
KR102003280B1 (ko) * 2019-04-18 2019-10-17 대운프라스틱(주) 파이프 절단 파쇄기
CN110495320A (zh) * 2019-08-26 2019-11-26 河南科技学院 一种多向调节式棉花打顶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017B1 (ko) * 2004-09-24 2006-04-07 이창복 볏짚 절단기
KR101432780B1 (ko) 2011-12-27 2014-08-21 신동희 볏짚 절단장치
KR102003280B1 (ko) * 2019-04-18 2019-10-17 대운프라스틱(주) 파이프 절단 파쇄기
CN110495320A (zh) * 2019-08-26 2019-11-26 河南科技学院 一种多向调节式棉花打顶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7600Y1 (ko) 볏짚 절단기
CN114568133A (zh) 一种绿豆脱粒机
KR101823373B1 (ko) 트랙터용 볏짚 절단기
CN212677814U (zh) 一种结构改良型的玉米切割打捆机
CN106818034B (zh) 收割机
CN108741173B (zh) 一种毛豆自动剥壳生产线
CN201294762Y (zh) 一种玉米收获机收获台
CN114731850A (zh) 一种豆荚分离机
CN207014431U (zh) 一种根块类农产品初切送料装置
KR200361662Y1 (ko) 볏짚 절단기
CN212812806U (zh) 一种油菜割晒机
CN210519492U (zh) 一种玉米脱粒机的上料装置
CN210782129U (zh) 一种新型螺旋式大豆种子脱粒机
CN210282438U (zh) 一种马铃薯加工用切片装置
CN112753360A (zh) 菜苔立式柔性夹持输送装置及采收机
CN112674357A (zh) 一种单工位自动剥笋机
CN205922728U (zh) 一种用于鹰嘴豆挂面自动切割装置
CN218388761U (zh) 一种玉米收割装置
KR200355955Y1 (ko) 볏짚 절단기
CN220573646U (zh) 一种饲料用破碎装置
CN220965672U (zh) 一种农业打捆机用物料破碎刀具
CN2464057Y (zh) 槽板风分式全喂入动力脱谷机
CN220235471U (zh) 一种小麦割台输送带
CN201282645Y (zh) 自走式玉米收割机带剥皮机的整体倾翻式粮箱
CN216505303U (zh) 一种高效使用的米粉加工用切断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