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406Y1 -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 Google Patents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406Y1
KR200347406Y1 KR20-2003-0040080U KR20030040080U KR200347406Y1 KR 200347406 Y1 KR200347406 Y1 KR 200347406Y1 KR 20030040080 U KR20030040080 U KR 20030040080U KR 200347406 Y1 KR200347406 Y1 KR 200347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tection area
radar detector
lane
traff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심상만
추은상
정진군
Original Assignee
(주)태광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광이엔시 filed Critical (주)태광이엔시
Priority to KR20-2003-0040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4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4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차로 상의 차량을 검지하여 원격으로 교통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레이더 검지기는 검출을 위한 신호부호를 발생하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교통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처리부, 신호처리부의 신호부호를 극초단파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검지영역 상의 차량을 향해 송출하고 검지영역 상의 차량에서 반사된 극초단파 수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받아 이를 복조하여 신호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레이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에 있어서, 레이더 검지기가 차로변의 지지대에 설치되거나 기존 구조물에 설치되어 하나의 차로변 레이더 검지기를 이용하여 다차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레이더 검지기는 검지영역단위로 차량의 유/무, 단위시간당 지나간 차량의 총수, 점유율, 속도 등을 계측할 수 있고, 극초단파신호를 사용하므로 광원이나 눈, 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도로 비매설형이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A multi-detection area radar for measuring the traffic information}
본 고안은 교통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매설형의 레이더 검지기를 차로변에 설치하여 하나의 레이더 검기지를 통해 다차로 상의 차량을 검지함으로써 각 검지영역에서 차량의 유/무, 단위시간당 지나간 차량의 총수, 점유율, 속도 등의 교통정보를 원격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교통정보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교통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교차로나 고속도로 등 각종 도로에 관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교통 상황실로 집중한 후 신호등의 통제를 통해 교통체증을 해소하거나 일반인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로 교통정보시스템은 도로 상의 차량을 감지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유/무 혹은 속도를 얻기 위한 차량 감지수단으로 유도루프(ILD: Inductive Loop Detector) 방식, 마이크로파 도플러 레이더(Microwave Doppler Radar) 방식, 레이저(Laser) 방식, 영상 이미지 처리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센서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유도루프(ILD)방식이다.
전술한 유도루프 방식은 도로 내에 파묻혀져 있거나 도로를 가로지르는 하나 또는 수 개의 와이어 루프로 이루어져 있고, 그 끝은 감지기(오실레이터)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써 차량이 와이어 루프 위를 지날 때 감지기의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것으로 차량을 감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도루프(ILD) 방식은 루프코일이 설치된 노면으로 대형차 등이 주행하다보면 노면에 변형을 가져와 루프코일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고, 증가하는 교통량에 의해서 변형되거나 절단되어 고장이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교차로 등에서 차량의 대기 행렬을 측정하기 위해 유도루프(ILD)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감지영역이 넓어 다수의 루프코일을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작업도 번거롭고 유지보수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차로의 도로 상에 신호처리부와 레이더 송수신기로 구성되는 레이더 검지기의 설치를 통해 다차로 상의 차량을 검지하여 각 검지영역에서 차량의 유/무, 단위시간당 지나간 차량의 총수, 점유율, 속도 등의 교통정보를 원격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차로 상의 교통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호처리부와 레이더 송수신기로 구성되는 레이더 검지기를 차로변의 노면으로부터 일정높이의 지상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교통통제장치의 매설작업에 따른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신호처리부와 레이더 송수신기로구성되는 레이더 검지기를 차로변의 노면으로부터 일정높이의 지상에 설치함으로써 광원이나 눈, 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주위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검지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
도 1b 는 본 고안에 따른 검지 레이더의 수평빔폭 설치각도의 예시도.
도 1c 는 본 고안에 따른 검지 레이더의 수직빔폭 설치각도의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어시스템의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기의 송수신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검지기의 신호처리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교통정보 추출단계의 세부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 110. 지지대
120. 다차로 202. 교통관제센터
210. 통신망 220-1~220-4. 교통정보 레이더 검지기
222. 통신부 224. 신호처리기
226. 레이더 송수신기 310. 국부발진부
320. 송신기 330. 수신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는 물체인식을 위한 신호부호를 발생하는 M-SEQ 발생기와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M-SEQ 발생기의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상관기와 상관기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필터링된 수신신호에서 교통정보를 추출하는 교통정보 추출기로 구성되어 검출을 위한 신호부호를 발생하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교통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처리부, 발진된 극초단파신호를 분주 및 체배하여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국부발진부와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송신 신호부호를 국부발진신호로 변조하여 송신안테나를 통해 검지영역으로 송출하는 송신기와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극초단파신호를 국부발진신호와 믹싱하여 수신신호를 복조하는 수신기의 구성을 통해 신호처리부의 신호부호를 극초단파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검지영역 상의 차량을 향해 송출하고 검지영역 상의 차량에서 반사된 극초단파 수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받아 이를 복조하여 신호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레이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에 있어서, 레이더 검지기는 차로변의 지지대에 설치되거나 기존 구조물에 설치되는 한편 다차로 구간을 차로에 따라 검지영역단위로 분할하여 하나의 차로변 레이더 검지기를 통해 다차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차로의 주행방향은 편도방향 혹은 양방향일 수 있으며, 레이더 검지기의 검지영역단위는 차로의 사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레이더 검지기는 차로의 수직라인과 극초단파의 수평빔폭의 중심을 일정각도 틀어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레이더 검지기는 차로의 수평면과 극초단파의 수직빔폭의 중심을 일정각도 틀어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일정각도는 차로수나 차로폭 등 차로의 상황에 따라 0°∼90°사이에서 어느 한 값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레이더 검지기는 교차로 상의 4방향에 각각 설치되고, 교차로의 도로 상과 교차로의 각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들로 이루어진 교통신호등; 및 4방향의 레이더 검지기로부터 수신된 각 방향의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교통흐름이 최적화 될 수 있도록 교통신호등을 제어하는 교통신호등 제어기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검지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의 지지대(110)나 기존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설치된 하나의 레이더 검지기(220-1)를 이용하여 다차로(120)를 주행하거나 다차로(120) 상에 정지해 있는 차량(100)을 검지하여 교통정보를 추출하는 개념이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기(220-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로의 주변에 암(ARM)이 도로의 중앙을 향하도록 'ㄱ'자형 지지대(110)를 설치하고, 안테나가 감지영역을 지향하도록 지지대(110)의 암에 설치되어 다차로(120)를 주행하거나 정지해 있는 차량행렬의 길이와 차로의 교통량, 점유율, 속도 등의 교통정보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레이더 검지기(220-1)는 검지구간의 차량을 향해 극초단파의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차량(100)으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이용하여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와 정차 및 서행하는 차량행렬의 길이를 측정하고, 설치차로의 교통량, 점유율 등을 계측하여 교통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도 1a 를 참조하면 다차로(20) 지점상에 차량(110)들이 정체 및 지체하고 있을 경우 본 고안의 레이더 검지기(220-1)는 검지영역 단위로 구분된 영역 상의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현 도로 상의 대기하고 있는 차량들의 대기행렬 길이 혹은 주행차량의 속도 등을 측정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보다 정확한 교통공학적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검지하고자 하는 다차로 구간을 소정의 검지영역단위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도로가 8차선이고 차로의 폭이 2.5m라고 하면 2.5m를 하나의 검지영역으로 하는 총 8개의 검지영역들이 만들어지게 된다. 그리고, 각 검지영역에서 차량의 유/무, 단위시간당 지나간 차량의 총수, 점유율, 속도 등을 계측한다.
도 1b 는 본 고안에 따른 검지 레이더의 수평빔폭 설치각도의 예시도로써 차로의 위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더 검지기(220-1)는 검지 레이더의 송신파수평빔폭의 중심(BH)이 차로(120)의 수직라인(Lv)과 일정각도(θ)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고, 수평빔의 설치각도(θ)는 차로수나 차로폭 등 차로의 상황에 따라 0°∼90° 사이에서 가변할 수 있다. 도 1b 에서 HBw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의 수평빔폭을 나타낸다.
도 1c 는 본 고안에 따른 검지 레이더의 수직빔폭 설치각도의 예시도로써 차로의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기(220-1)는 검지 레이더의 송신파 수직빔폭의 중심(BV)이 차로(120)에 소정 거리를 두고 수평한 라인(LH)과 일정각도(α)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고, 수직빔의 설치각도(α)는 차로 수나 차로 폭 등 차로의 상황에 따라 0°∼90°사이에서 가변할 수 있다. 도 1c 에서 VBw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의 수직빔폭을 나타낸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어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레이더 검지기(220-1~220-N)는 일반 도로나 고속도로 등 다차로 상에 설치되어 다차로(120)를 주행하는 차량(100)을 감지하여 교통정보를 추출한 후 통신망(210)을 통해 교통관제센터(202)에 전송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되는 교통정보 제어시스템은 다차로 상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레이더 검지기(220-1~220-N), 수집된 교통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망(210) 및 통신망(210)을 통해 수집된 전체 도로의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소통이 원할하도록 교통상황을 통제하는 교통관제센터(202)로 구성된다.
전술한 레이더 검지기(220-1~220-4)는 통신망(210)을 통해 교통관제센터(202)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부(222), 검출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교통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처리기(224) 및 신호처리기(222)의 송신신호를 극초단파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검지영역 상의 차량(100)을 향해 송출하고 차량(100)에서 반사된 수신신호를 복조하여 신호처리기(224)로 전송하기 위한 레이더 송수신기(226)로 구성된다. 이때, 레이더 검지기(220-1~220-4)는 도로 주변에 암(ARM)이 도로의 중앙을 향하도록 'ㄱ'자형 지지대(110)를 설치하고, 안테나가 감지영역을 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더의 수직빔 설치각도(α)와 수평빔의 설치각도(θ)는 차로 수나 차로 폭 등 차로의 상황에 따라 0°∼90°사이에서 가변할 수 있다.
한편, 교통관제센터(202)는 각 지역으로부터 올라 온 교통정보를 종합하여 교통상황을 표시함과 아울러 교통방송이나 도로에 설치된 전광판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필요시 교통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해당 교통신호등 제어기로 전달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기의 송수신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송수신기(226)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초단파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국부발진부(310), 신호처리기(224)로부터 입력된 송신신호를 국부발진신호로 변조하여 송신안테나를 통해 검지영역으로 송출하는 송신기(320) 및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극초단파신호에서 수신신호를 복조하는수신기(33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국부발진부(310)는 소정 주파수(예컨대, 9.64 GHz)의 극초단파를 발진하는 발진기(311), 발진기(311)의 출력을 분배하는 분배기(312), 분배된 일 발진신호를 1/2로 분주하는 분주기(313), 분주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314), 분배된 타 발진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315), 증폭된 발진신호를 2배 주파수로 체배하는 체배기(316) 및 체배기(316)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317)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송신기(320)는 신호처리기(224)로부터 송신 커넥션(406)을 통해 입력된 송신 신호부호를 증폭하는 증폭기(321), 증폭된 신호부호를 제 1 국부발진신호와 변조하는 변조기(322), 변조된 신호를 일정레벨 이하로 증폭하는 증폭기(323), 증폭된 변조신호를 다시 제 2 국부발진신호와 믹싱하는 믹서(324) 및 믹서(324)의 출력을 증폭하여 안테나(TX ANT)를 통해 송출하는 고출력 증폭기(325, 326)로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수신기(330)는 안테나(RX ANT)를 통해 수신된 극초단파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331, 332), 증폭된 극초단파 수신신호를 제 2 국부발진신호와 믹싱하여 수신 중간주파신호를 출력하는 믹서(333), 수신 중간주파신호를 동기위상검출하여 수신 베이스밴드신호로 복조하는 동기위상검출기(334) 및 동기위상검출기(334)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335)로 구성된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 검지기의 신호처리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신호처리기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402), 물체인식을 위한 신호부호를 발생하는 M-SEQ 발생기(404), 송수신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송신커넥션(406), 수신커넥션(408),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410-1, 410-2; ADC),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10-1, 410-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M-SEQ 발생기(404)의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상관기(412; Correlator), 상관기(412)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필터(414) 및 필터링된 수신신호에서 교통정보를 추출하는 교통정보 추출기(416)로 구성된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의 작용효과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검지시에 M-SEQ 발생기(4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2)의 제어에 따라 차량(100)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 신호부호를 발생한다(501, 502). 이 기준 신호부호는 송신 커넥션(406)을 통해 송신기의 증폭기(330)로 전달되어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부호는 국부발진부(310)의 제 1 국부발진신호(4.82GHz)와 변조기(322)에서 변조되고, 증폭기(323)에서 증폭된 후 송신 믹서(324)로 입력된다. 송신 믹서(324)는 증폭기(323)의 출력을 국부발진부(310)의 제 1 국부발진신호(19.28GHz)와 믹싱하여 24.1GHz의 극초단파를 출력하고, 이 극초단파신호는 증폭기(325, 326)에서 고출력으로 증폭된 후 송신 안테나(TX ANT)를 통해 검지영역의 차량으로 송출된다(503).
한편, 차량에서 반사된 극초단파신호는 수신 안테나(RX ANT)를 통해 수신되어 증폭기(331, 332)에서 저잡음 고이득으로 증폭된 후 수신 믹서(333)로입력된다(504). 수신 믹서(333)는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극초단파신호와 제 2 국부발진신호(19.28GHz)를 믹싱하여 4.82GHz의 수신신호로 변환한다. 이 수신신호는 동기위상검출기(334)에서 송신기의 기준신호와 비교되어 수신 베이스밴드신호로 복조된다. 복조된 수신 베이스밴드신호는 증폭된 후 신호처리기(224)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10-1, 40-2)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 디지털 데이터는 상관기(412)에서 M-SEQ 발생기(404)의 기준부호와 비교처리되며, 상관기(412)의 출력은 필터(414)에서 필터링된 후 교통정보 추출기(416)로 전달된다(505). 교통정보 추출기(416)는 필터링된 상관기(412)의 출력을 분석하여 검지영역단위로 차량존재 유/무, 교통량, 속도, 점유율, 대기행렬 길이 등 교통정보를 산출하여 교통관제센터로 전달한다(506~508).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기(220-1~220-4)를 교차로의 4방향에 설치하여 교통신호등(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하는 교통신호등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와 연동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교통신호등 제어기는 교차로의 4방향에 설치된 각 레이더 검지기(220-1~220-4)로부터 입력된 교통정보에 따라 교통신호등을 제어하여 교차로에서 차량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교통정보 추출을 위해 검지영역단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교통정보 추출단계의 세부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설정단계에서는 전체 검지길이와 검지영역단위를 각각 설정하고(601~603), 분석단계에서는 레이더 수신기로부터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검지영역을 단위로 차량의 유/무, 차량속도, 단위시간당 통과차량의 수, 점유율 등을 계산한다(604~609).
전술한 바와 같은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기는 차로변에 설치되어 하나의 레이더 검지기를 통해 다차로 상의 검지영역단위로 차량의 유/무, 단위시간당 지나간 차량의 총수, 점유율, 속도 등의 교통정보를 원격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차로 상의 교통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레이더 검지기는 극초단파신호를 사용하므로 광원이나 눈, 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도로 비매설형이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물체인식을 위한 신호부호를 발생하는 M-SEQ 발생기와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M-SEQ 발생기의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상관기와 상기 상관기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수신신호에서 교통정보를 추출하는 교통정보 추출기로 구성되어 검출을 위한 신호부호를 발생하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교통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처리부, 발진된 극초단파신호를 분주 및 체배하여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국부발진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송신 신호부호를 상기 국부발진신호로 변조하여 송신안테나를 통해 검지영역으로 송출하는 송신기와 상기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극초단파신호를 상기 국부발진신호와 믹싱하여 수신신호를 복조하는 수신기의 구성을 통해 상기 신호처리부의 신호부호를 극초단파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검지영역 상의 차량을 향해 송출하고 검지영역 상의 차량에서 반사된 극초단파 수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받아 이를 복조하여 신호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레이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검지기는 차로변의 지지대에 설치되거나 기존 구조물에 설치되는 한편 다차로 구간을 차로에 따라 검지영역단위로 분할하여 상기 하나의 차로변 레이더 검지기를 통해 다차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의 주행방향은 편도방향 혹은 양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검지기의 상기 검지영역단위는 차로의 사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검지기는 차로의 수직라인과 극초단파의 수평빔폭의 중심을 일정각도 틀어서 송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검지기는 차로의 수평면과 극초단파의 수직빔폭의 중심을 일정각도 틀어서 송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각도는 차로수나 차로폭 등 차로의 상황에 따라 0°∼90°사이에서 어느 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검지기는 교차로 상의 4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교차로의 도로 상과 교차로의 각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들로 이루어진 교통신호등과 상기 4방향의 레이더 검지기로부터 수신된 각 방향의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교통흐름이 최적화 될 수 있도록 상기 교통신호등을 제어하는 교통신호등 제어기와 연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KR20-2003-0040080U 2003-12-24 2003-12-24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KR200347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080U KR200347406Y1 (ko) 2003-12-24 2003-12-24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080U KR200347406Y1 (ko) 2003-12-24 2003-12-24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306A Division KR100547914B1 (ko) 2003-12-24 2003-12-24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406Y1 true KR200347406Y1 (ko) 2004-04-09

Family

ID=4934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080U KR200347406Y1 (ko) 2003-12-24 2003-12-24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40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009B1 (ko) 2009-06-26 2011-1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차로 이동 기준검지기
KR101158405B1 (ko) 2011-03-08 2012-06-22 하이테콤시스템(주) 다차로용 기준 검지기
KR20190061380A (ko) * 2017-11-27 2019-06-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장치를 위한 설치 장치
KR20200087056A (ko) *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바이다 이동식 교통량 측정 장치 및 교통 상황 예측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009B1 (ko) 2009-06-26 2011-1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차로 이동 기준검지기
KR101158405B1 (ko) 2011-03-08 2012-06-22 하이테콤시스템(주) 다차로용 기준 검지기
KR20190061380A (ko) * 2017-11-27 2019-06-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장치를 위한 설치 장치
KR102009818B1 (ko) * 2017-11-27 2019-08-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장치를 위한 설치 장치
KR20200087056A (ko) *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바이다 이동식 교통량 측정 장치 및 교통 상황 예측 시스템
KR102228825B1 (ko) * 2019-01-10 2021-03-17 주식회사 바이다 이동식 교통량 측정 장치 및 교통 상황 예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843B1 (ko) 차량 대기행렬을 측정하기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검지기
KR101528117B1 (ko) 방향성 속도 및 거리 센서
US6011515A (en) System for measuring average speed and traffic volume on a roadway
US49857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iling and evaluating local traffic data
US4023017A (en) Electronic traffic control system
US6072421A (en) Moving object high-accuracy position locating method and system
EP1326090A2 (en) Security system
CN102169180A (zh) 双波束三天线微波交通信息检测雷达和方法
KR100547914B1 (ko)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US5790052A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vehicle on a road
CN101915921A (zh) 双波束四天线微波交通信息检测雷达及信息检测方法
KR20190048979A (ko) 비접촉식 자동 차량 감지기를 이용한 차종 분류시스템
AU2255300A (en) Automatic airport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KR200347406Y1 (ko) 다차로 교통정보 추출을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 검지기
US6100821A (en) Apparatus for detecting magnetostrictive resonator and traffic system
KR100446461B1 (ko) 복수개의 루프 검지기를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KR200341404Y1 (ko) 차량 대기행렬을 측정하기 위한 다중 검지영역 레이더검지기
US20130021170A1 (en) Traffic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102356551B1 (ko) 스마트 교차로 관리 시스템
KR200193479Y1 (ko) 교통제어용 차량속도 감지장치
JP3601097B2 (ja) ワイヤレスカード装置およびその通信可能領域制御方法
CN111369696A (zh) 收费系统
KR20010028955A (ko) 원거리 적외선을 이용한 지능형 교통시스템
KR200193480Y1 (ko) 교통제어용 차량 감지장치
KR20190048980A (ko) 비접촉식 자동 차량 감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