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255Y1 - 절수형 샤워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255Y1
KR200347255Y1 KR20-2003-0039694U KR20030039694U KR200347255Y1 KR 200347255 Y1 KR200347255 Y1 KR 200347255Y1 KR 20030039694 U KR20030039694 U KR 20030039694U KR 200347255 Y1 KR200347255 Y1 KR 200347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ower
bidet
groove
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정만
Original Assignee
주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만 filed Critical 주정만
Priority to KR20-2003-0039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수형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실 등에서 샤워 용수 허실 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절수형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샤워기 몸체의 손잡이부에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절수장치를 형성하여 샤워할 때나 샤워가 끝난 후에는 손잡이를 잡은 손가락으로 제1조절기를 조작시켜 바로 샤워 용수를 개폐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샤워기의 헤드부에 분사되는 물의 량과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분배부재를 형성하여 샤워기로 사용할 때와 비데 샤워기로 사용할 경우를 제2조절기를 조작시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형 샤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수형 샤워기{Water saving type shower}
본 고안은 절수형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실 등에서 샤워 용수 허실 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절수형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 샤워기, 정수기 등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들은 물을 공급 및 차단하는 단순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그 공급되는 수압에 따라 배출되는 물의 양이 달라지게 될 경우에는 많은 량의 물이 배출되어 물의 낭비가 심하였다.
통상 밸브의 개방 상태에 따라 물의 배출량이 증가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물의 량은 일정하게 정하여져 있으나, 사용자들은 습관적으로 밸브를 완전히 개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다량의 물을 낭비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이 밸브를 조그만 열어 놓고 사용하는 것은 가정에서도 실현하기가 어렵고, 더욱이 공공장소에서는 주인의식의 결여로 인하여 거의 불가능하다. 한편 수량을 줄이기 위하여 관로상의 메인 밸브를 줄이면 모든 라인의 수압이 낮아져 사용이 불편해진다.
따라서, 최근에는 물의 사용량을 제어하여 단수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여러 가지 제안되었고, 그 대표적인 예로 샤워기에 설치되어 사용할 때는 누름구를 누르고 있으면 물이 공급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누름구를 놓으면 차단되어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절수장치가 있었다.
그러나, 샤워기에 설치된 절수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누름구를 누르고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였고, 구조가 복잡하여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의 공급을 단속적으로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막고 샤워를 편리하게 함은 물론 분사되는 물줄기의 형태를 변형시켜 비데 샤워기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단가를 절감시키도록 한 절수형 샤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샤워기 몸체의 손잡이부에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절수장치를 형성하여 샤워할 때나 샤워가 끝난 후에는 손잡이를 잡은 손가락으로 제1조절기를 조작시켜 바로 샤워 용수를 개폐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샤워기의 헤드부에 분사되는 물의 량과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분배부재를 형성하여 샤워기로 사용할 때와 비데 샤워기로 사용할 경우를 제2조절기를 조작시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형 샤워기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절수형 샤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절수형 샤워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절수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연결구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조절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분배부재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분배부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00 : 손잡이부
110 : 안내호수 120 : 절수장치
121 : 몸체 122 : 조절홈
123 : 축간 124 : 돌출부
125 : 걸림부 126 : 통수공
127 : 연결구 128 : 연결구홈
129 : 제2기어홈 130 : 제1조절기
131 : 연결구수납부 132 : 제1기어홈
140 : 제1조절기홈 200 : 헤드부
210 : 공간부 211 : 걸림턱
212 : 결합돌기 220 : 분배부재
221 : 제1결합홈 222 : 비데분배부재
223 : 비데분배홈 224 : 샤워분배홈
230 : 분사부재 231 : 제2결합홈
232 : 비데분사공 233 : 비데유도부재
234 : 샤워분사공 240 : 제2조절기
241 : 작동돌기 242 : 누름부재
243 : 차단부재 244 : 차단공
245 : 차단공수납부 246 : 스프링
250 : 제2조절기홈 260 : 고정부재
270 ; 밀폐패킹 280 : 걸이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절수형 샤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절수형 샤워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절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도3의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연결구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1조절기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분배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분배부재의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샤워기는 수도호스와 연결되어 내부에 물이 흐르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고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200)로 이루어진 샤워기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샤워기 본체(10)의 손잡이부(100)는 샤워기의 호스에 연결되는 안내호스(110)와; 상기 안내호스(110)에 결합되어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절수장치(120)와: 상기 절수장치(120)와 연결되어 상기 절수장치(120)를 조작하기 위한 제1조절기(130); 및 상기 제1조절기(130)를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조절기(130)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제1조절기홈(140)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안내호스(110)와 절수장치(120)는 상기 손잡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절수장치(120)는 상기 안내호스(110)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내호스(110)에 연결되는 몸체(121)와; 상부에 돌출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21)의 내부에 삽입되는 샤워용수의 개폐를 조절하는 구형의 축간(123)과; 상기 축간(123)의 돌출부(124)에 결합되어 상기 제1조절기(130)와 기어 연결되는 일정 두께의 연결구(127)로 구성된다.
상기 절수장치(120)의 몸체(121)에는 상기 축간(123)의 돌출부(124)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면 중앙에 조절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21)의 축방향의 양측면에는 상기 안내호스(1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암수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간(123)의 돌출부(124)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양측면에 걸림부(125)를 형성하며, 상기 축간(123) 하단 끝부분에는 샤워용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수공(126)을 형성하여 축간(123)의 회전에 의해 샤워용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연결구(127)는 그 중앙부에 상기 돌출부(124)의 형상과 대응되게 연결구홈(128)을 형성하며, 외주면의 1/3정도는 상기 제1조절기(130)와 상기 축간(123)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리게 연결할 수 있게 제2기어홈(129)이 형성된다.
상기 제1조절기(130)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상기 연결구(127)가 수납될 수 있도록 연결구수납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수납부(131)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구(127)의 제2기어홈(129)에 맞물리게 제1기어홈(132)이 일정길이 만큼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200)는 중앙에 원형의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샤워용수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재(220)와; 샤워용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부재(230)와; 상기 분배부재(220)를 조작하기 위한 제2조절기(240)와; 상기제2조절기(240)를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조절기(240)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제2조절기홈(250)과; 상기 분배부재(220)와 분사부재(230)를 상기 공간부(210)에 고정시키고 상기 분사부재(23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통공된 고정부재(26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공간부(210)의 내측 하부에는 물 공급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10)의 내주면에는 걸림턱(22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0)의 내부 중앙에는 분배부재(220)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212)가 형성된다.
상기 분배부재(220)는 상기 공간부(210)와 같은 원형이며 상기 공간부(210)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공간부(210)에 결합시 공간부(210)의 걸림턱(221)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221)과 분사부재(230) 사이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밀폐패킹(270)이 위치한다.
상기 분배부재(220)에는 그 중앙부에 상기 공간부(210)의 결합돌기(212)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결합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221)의 원주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비데용 물이 하기에 설명될 비데유도부재(233)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원통형의 비데분배부재(222)가 상기 공간부(210)의 타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데분배부재(222)와 원주 방향으로 더 이격되어 샤워용 물이 유입되는 샤워분배홈(224)이 형성된다.
상기 비데분배부재(222)는 그 내부의 원주상에 비데용 물이 유입되는 비데분배홈(223)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누수방지를 위한 밀폐패킹(270)이 설치된다.
상기 분사부재(230)에는 그 중앙부에 상기 공간부(210)의 결합돌기(212)에결합시키기 위한 제2결합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231)의 원주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비데용 물이 분사되는 다수의 비데분사공(232)이 형성되며, 그 비데분사공(232)을 둘러싸며 비데용 물을 상기 비데분사공(232)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원통형의 비데유도부재(233)를 형성하여 상기 비데분배부재(222)에 끼워지고, 또한, 상기 분사부재(230)의 원주상 가장자리에는 샤워용 물을 분사하기 위한 샤워분사공(234)이 형성된다.
상기 제2조절기(240)는 상기 결합돌기(212)의 외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끼워져 회동되는 작동돌기(241)와; 상기 작동돌기(241)에 결합되고 상기 제2조절기홈(250)에 돌출 형성되며 제2조절기(240)의 조작을 위한 스위치형 누름부재(242)를 구비한다.
상기 작동돌기(241)의 누름부재(242)가 결합된 타측면에는 차단부재(243)를 형성하여 상기 분배부재(220)의 샤워분배홈(224)으로 샤워용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개방 한다.
상기 차단부재(243)는 샤워용수를 차단하는 차단공(244)과; 상기 차단공(244)이 수납되는 차단공수납부(245)로 구성되며, 상기 차단공수납부(245)에는 상기 샤워분배홈(224)에 밀착시켜주는 스프링(246)이 수납된다.
상기 고정부재(260)는 그 중앙부에 상기 분사부재(23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부재(230)와 같은 크기로 구멍에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절수형 샤워기는 상기 손잡이부(100)와 헤드부(200)가 서로 분리가 가능하며,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상기 헤드부(200) 또는 손잡이부(100)를 회전시켜 제1조절기(130)를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다.
상기 헤드부(200)의 외측면에 U형의 걸이를 추가로 형성하여 본 고안의 절수형 샤워기를 사용시 세면대, 세숫대야 및 욕조 등의 가장자리에 걸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샤워기를 사용중에 샤워기 고정걸이에 걸지 않더라도 상기 세면대, 세숫대야 및 욕조의 가장자리에 잠시 걸어둘 수 있음으로 사용에 편리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절수형 샤워기의 조립방법 및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절수장치(120)는 몸체(121)의 내부에 통수공(126)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돌출부(124)가 구비된 축간(123)을 상기 몸체(121)의 외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돌출부(124)를 끼워 축간(123)을 삽입한다.
상기 샤워기 본체(10)의 손잡이부(100) 내부에 형성된 안내호스(110)의 중앙부에 상기에서 같이 조립된 절수장치(120)를 결합시키고, 상기 축간(123)의 돌출부(124)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부(125)에 맞도록 하여 제2기어홈(129)이 형성된 연결구(127)를 끼우며, 상기 제2기어홈(129)에 이와 맞물리게 결합되는 제1기어홈(132)이 형성된 제1조절기(130)를 끼우며, 이때 제1조절기(130)는 상기 손잡이부(100)의 제1조절기홈(140)에 의해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헤드부(200)의 조립은 제2조절기(240)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형 누름부재(242)와 차단부재(243)가 형성된 작동돌기(241)를 결합하여 상기 차단부재(243)에 형성된 차단공수납부(245)에 스프링(246)을 삽입하고 그 위에 차단공(244)를 수납한다. 그후 헤드부(200)에 형성된 결합돌기(212)를 구비한 공간부(210)에 상기 제2조절기(240)를 상기 누름부재(242)가 헤드부(200)에 형성된 제2조절기홈(25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끼우고, 그 상부에 중앙부에 상기 공간부(210)의 결합돌기(212)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결합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221)의 원주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비데용 물이 비데분사공(232)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원통형의 비데분배부재(222)가 상기 공간부(210)의 타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데분배부재(222)와 더 이격되게 샤워용 물이 유입되는 샤워분배홈(224)이 형성된 분배부재(220)를 끼우며, 또한 그 상부에 중앙부에 상기 공간부(210)의 결합돌기(212)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원주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비데용 물이 분사되는 다수의 비데분사공(232)이 형성되며 그 비데분사공(232)을 둘러싸며 비데용 물을 상기 비데분사공(232)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원통형의 비데유도부재(233)를 형성하여 상기 비데분배부재(222)에 끼워지고 상기 분사부재(230)의 원주상 가장자리에는 샤워용 물을 분사하기 위한 샤워분사공(234)이 형성된 분사부재(230)를 끼운 후 상기 분사부재(23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통공된 고정부재(260)를 끼워 나사를 상기 결합홈(221, 231)을 통해 결합돌기(212)에 체결하여 헤드부(200)를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비데분배부재(222)와 상기 비데유도부재(233)가 결합되어지는 부분과 상기 고정부재(260)가 상기 헤드부(200)의 공간부(210)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밀폐패킹(270)을 위치시킨다.
상기 손잡이부(100)의 작동방법은 상기 손잡이부(100)의 제1조절기홈(140)에 의해 외부에 노출된 제1조절기(130)를 손을 사용하여 아래위로 조절하면 제1조절기(130)에 형성된 제1기어홈(132)과 축간(123)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24)에 끼워지는 연결구(127)의 제2기어홈(129)이 서로 맞물리게 되어 상기 축간(123)의 통수공(126)이 회동되면서 샤워용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절수형 샤워기를 비데용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헤드부(200)의 작동방법은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형 누름부재(242)를 한쪽 방향으로 누르면 작동돌기(241)가 결합돌기(212)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차단공(244)이 분배부재(220)에 형성된 샤워분배홈(224)을 막음으로써 샤워용수가 비데분배홈(223)을 통해 유입되어 분사부재(230)에 형성된 비데유도부재(233)를 통과하여 비데분사공(232)을 통해 분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절수형 샤워기는 샤워기 몸체의 손잡이부에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절수장치를 형성하여 샤워할 때나 샤워가 끝난 후에는 손잡이를 잡은 손가락으로 제1조절기를 조작시켜 바로 샤워 용수를 개폐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샤워기의 헤드부에 분사되는 물의 량과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분배부재를 형성하여 샤워기로 사용할 때와 비데 샤워기로 사용할 경우를 제2조절기를 조작시켜 구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스가 연결된 수도꼭지가 있는 곳에 가지 않고도 샤워 용수의 개폐가 가능하여 샤워 용수의 허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샤워기와 비데 샤워기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에 U형의 걸이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샤워기를 사용중에 샤워기 고정걸이에 걸지 않더라도 세면대, 세숫대야 및 욕조 등의 가장자리에 잠시 걸어둘 수 있음으로 사용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수도호스와 연결되어 내부에 물이 흐르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절수장치를 구비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샤워기로 사용할 때와 비데샤워기로 사용할 경우를 구분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헤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샤워기의 호스에 연결되는 안내호스와; 상기 안내호스에 결합되어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절수장치와: 상기 절수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절수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제1조절기; 및 상기 제1조절기를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조절기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제1조절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호스와 절수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장치는 상기 안내호스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내호스에 연결되는 몸체와;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샤워용수의 개폐를 조절하는 구형의 축간과; 상기 축간의 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조절기와 기어 연결되는 일정 두께의 연결구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 중앙부에 상기 축간의 돌출부를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홈과; 상기 몸체의 축방향의 양측면에 상기 안내호스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암수나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축간의 돌출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양측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축간 하단 끝부분에는 샤워용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수공을 형성하여 축간의 회전에 의해 샤워용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그 중앙부에 상기 돌출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연결구홈을 형성하며, 외주면의 일부분은 상기 제1조절기와 상기 축간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리게 연결할 수 있게 제2기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8. 제 2항에 있어서,
    제1조절기는 그 하단부에 상기 연결구가 수납될 수 있도록 연결구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수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구의 제2기어홈에 맞물리도록 제1기어홈)이 일정길이 만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중앙에 원형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샤워용수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재와; 샤워용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부재와; 상기 분배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제2조절기와; 상기 제2조절기를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조절기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제2조절기홈과; 상기 분배부재와 분사부재를 상기 공간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분사부재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통공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분배부재와 분사부재을 수납시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 중앙에는 분배부재와 분사부재를 수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재는 그 중앙부에 상기 공간부의 결합돌기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홈의 원주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비데용 물이 비데용 분사공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비데분배부재와, 상기 비데분배부재와 원주 방향으로 더 이격되어 샤워용 물이 유입되는 샤워분배홈과, 상기 비데분배부재 내부의 원주상에 비데용 물이 유입되는 비데분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재는 그 중앙부에 상기 공간부의 결합돌기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의 원주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비데용 물이 분사되는 다수의 비데분사공과, 상기 비데분사공을 둘러싸며 비데용 물을 상기 비데분사공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비데유도부재과, 상기 분사부재의 원주상 가장자리에 샤워용 물을 분사하기 위한 샤워분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기는 상기 결합돌기의 외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끼워져 회동되는 작동돌기와; 상기 작동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제2조절기홈에 돌출 형성되며 제2조절기의 조작을 위한 스위치형 누름부재와; 상기 분배부재(220)의샤워분배홈(224)으로 샤워용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개방하기 위해 상기 작동돌기에 누름부재가 결합된 타측면에 형성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샤워용수를 차단하는 차단공과; 상기 차단공이 수납되는 차단공수납부로 구성되며, 상기 차단공수납부에는 상기 샤워분배홈에 밀착시켜주는 스프링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헤드부가 서로 분리가 가능하며,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상기 헤드부 또는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제1조절기를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면대, 세숫대야 및 욕조 등의 가장자리에 걸어 둘 수 있도록 헤드부의 외측면에 U형의 걸이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샤워기.
KR20-2003-0039694U 2003-12-20 2003-12-20 절수형 샤워기 KR200347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694U KR200347255Y1 (ko) 2003-12-20 2003-12-20 절수형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694U KR200347255Y1 (ko) 2003-12-20 2003-12-20 절수형 샤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255Y1 true KR200347255Y1 (ko) 2004-04-09

Family

ID=4942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694U KR200347255Y1 (ko) 2003-12-20 2003-12-20 절수형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2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927B1 (ko) * 2019-04-19 2020-01-08 송명훈 싱크대 수전용 샤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927B1 (ko) * 2019-04-19 2020-01-08 송명훈 싱크대 수전용 샤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467A (en) Three-way adjustable shower device
RU2376423C2 (ru) Душ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347255Y1 (ko) 절수형 샤워기
KR200191907Y1 (ko) 수전금구용 자폐식 절수장치
JP5695264B1 (ja) シャワー設備用節水装置
KR200187231Y1 (ko) 주방용 샤워헤드
CN212759236U (zh) 一种喷枪的开闭控制机构
KR200210884Y1 (ko) 절수형 비데샤워헤드
KR200308549Y1 (ko) 벽면 매입형 급수장치
KR200357338Y1 (ko) 절수형 수도밸브
US20240189841A1 (en) Showerhead stored with cleaning liquid
KR200356297Y1 (ko) 샤워본체와 호스의 연결구조
KR200241216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KR200431062Y1 (ko) 수도전 부착형 연결피팅이 있는 디버터 밸브
CN217232077U (zh) 一种洗漱盆
KR200229617Y1 (ko) 원터취식 지수밸브를 구비한 샤워기 헤드
KR200268289Y1 (ko) 씽크대용 물 분사구
KR101014804B1 (ko) 자동잠금장치 일체형 수도꼭지
JPH0434274A (ja) 切換弁
KR200312328Y1 (ko) 샤워기
KR20000005791U (ko) 싱크대용 수도꼭지의 토수구 연결구조
KR200280252Y1 (ko) 정수기용 밸브 구조
KR200395245Y1 (ko) 욕실 급수용 중간밸브
JP3061239U (ja) シャワーヘッド用アダプター
JP5978546B2 (ja) シャワー設備用節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