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432Y1 -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432Y1
KR200346432Y1 KR20-2003-0038997U KR20030038997U KR200346432Y1 KR 200346432 Y1 KR200346432 Y1 KR 200346432Y1 KR 20030038997 U KR20030038997 U KR 20030038997U KR 200346432 Y1 KR200346432 Y1 KR 200346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ofoam
connecting member
wall
conn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국 filed Critical 김종국
Priority to KR20-2003-0038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5Details of the adhesive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스티로폼의 연결구조는, 테두리를 따라 측면에 연결부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재삽입홈이 서로 대응되도록 맞대어져 있는 다수 개의 스티로폼과; 서로 맞대어져 있는 스티로폼의 연결부재삽입홈에 삽입되어 각각의 스티로폼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외벽과 외장재 사이에 있는 다수 개의 스티로폼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게 되고, 외벽 모서리부분에서 스티로폼끼리 맞닿을 때 틈이 발생되지 않아 내부의 열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THE CONNECTING STRUCTURE OF STYROFOAM FOR KEEPING WARM OF OUTER WALL}
본 고안은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외벽과 인조석 등의 외장재 사이에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를 설치할 때는 외벽에 접착제나 모르타르를 칠한 후 단열재를 부착시켰다.
그런데, 위와 같은 시공방법에서 단열재들은 단지 서로 맞대놓은 채 외벽에 고정시켜 단열재 사이에 틈이 쉽게 발생하고, 그 틈을 통해 내부 열이 쉽게 밖으로 빠져나가 난방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단열재 일측에는 연결홈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연결돌기를 형성해 인접한 단열재가 서로 맞물리도록 한 '건축물 단열벽체의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시공된 단열벽체'(한국 특허공개 특2003-0002112)가 안출되었다.
위와 같은 단열벽체에서는 단열재(50)의 일측 연결홈(52)에 인접 단열재(50)의 연결돌기(51)가 삽입되어 단열재(5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단열재의 연결구조에서 연결홈과 연결돌기 부분의 강도가 약해 마찰 또는 충격에 의해 결합부위가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일반 스티로폼과 같이 강도가 약한 단열재는 돌기부분이 약한 충격에도 쉽게 파손됐었다.
또, 외벽 모서리 부분에 단열재를 부착시킬 때 일측의 단열재에 타측의 단열재 돌기부분이 맞닿게 되어 있는데, 이부분에 틈이 발생되기 쉬워 내부의 열이 빠져나가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티로폼의 둘레를 따라 연결부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서로 맞대어져 있는 스티로폼의 연결부재삽입홈에 연결부재가 삽입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스티로폼을 연결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외벽 모서리부분에서 스티로폼끼리 맞닿을 때 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해 내부의 열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종래 단열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부분절단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A) -자형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B) T자형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C) +자형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T자형연결부재 전면과 후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부분절단사시도.
도 6은 세 개의 스티로폼이 본 고안의 연결구조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네 개의 스티로폼이 본 고안의 연결구조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스티로폼 11 : 연결부재삽입홈
20 : 연결부재 21 : -자형연결부재
22 : T자형연결부재 23 : +자형연결부재
24 : 홈 30 : 외장재
40 : 외벽 50 : 단열재
51 : 연결돌기 52 : 연결홈
본 고안은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는 스티로폼의 둘레를 따라 연결부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서로 맞대어져 있는 스티로폼의 연결부재삽입홈에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있어 서로 인접한 스티로폼이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게 되어 있다.
또, 외벽 모서리부분에서 스티로폼끼리 맞닿을 때 틈이 발생되지 않아 내부의 열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는, 테두리를 따라 측면에 연결부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재삽입홈이 서로 대응되도록 맞대어져 있는 다수 개의 스티로폼과; 서로 맞대어져 있는 스티로폼의 연결부재삽입홈에 삽입되어 각각의 스티로폼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스티로폼(10)은 테두리를 따라 측면에연결부재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스티로폼(10)은 화학명으로 Expandable Polystyrene(발포폴리스티렌)이라 하며 폴리스티렌수지에 펜탄이나 부탄과 같은 발포제를 첨가시켜 가열 경화시킴과 동시에 기포를 발생시켜 발포수지로 만든 것으로서 스티렌모노머(SM)을 중합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스티로폼(10)은 단열, 보온성이 좋고, 가공이 쉬워 건축현장에서 단열재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스티로폼(10)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데 한국산업규격에서 정한 단열판으로서의 규격이 사각형의 형태이므로, 제조 및 취급의 간편을 위해 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삽입홈(11)은 스티로폼(10)의 테두리를 따라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삽입홈(11)은 스티로폼(10)의 규격에 따라 폭과 깊이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한국산업규격에서 정한 보온용 판의 규격은 두께가 2 cm 내지 10 cm 사이이므로 연결부재삽입홈(11)의 폭은 1 cm 내지 5 c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깊이 역시 스티로폼(10)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데, 1 cm 에서 6 cm 까지 다양한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연결부재(20)는 스티로폼(10)과 스티로폼(10)이 서로 맞대어져 있고, 연결부재삽입홈(11)이 서로 대응되어 맞대어져 있을 때 연결부재삽입홈(11)에 삽입되어 서로 맞대어진 스티로폼(10)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 자형으로 된 -자형연결부재(21)는 두 개의 스티로폼(10)을 맞대어 두 부재를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T 자형으로 형성된 T자형연결부재(22)는 한 지점에 세개의 스티로폼(10)이 만날 때 사용하거나 두 개의 스티로폼(10)이 만나 마감되는 부분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 자형으로 형성된 +자형연결부재(23)는 한 지점에 네개의 스티로폼(10)을 연결할 때 사용하면 된다.
-자형연결부재(21)는 꼭 두 개의 스티로폼(10)을 연결할 때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세개나 네개의 스티로폼(10)이 만나는 지점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자형연결부재(21)는 길이방향에 수직인 쪽으로는 지지력이 약하다.
따라서, 두개의 스티로폼(10)을 연결할 때는 -자형연결부재(21), 세개의 스티로폼(10)을 연결할 때는 T자형연결부재(22), 네개의 스티로폼(10)을 연결할 때는 +자형연결부재(23)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스티로폼(10)과 연결부재(20)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티로폼(10)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사각형의 테두리 측면에 깊이 13 mm, 폭 10 mm 의 연결부재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을 때, 두 개의 스티로폼(10)을 맞대어 놓으면 깊이 26 mm, 폭 10 mm 의 홈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 자형연결부재는, 높이 26 mm, 폭 10 mm, 길이 5 내지 10 cm로 형성하여 연결부재(20)가 스티로폼(10)의 연결부재삽입홈(11)에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설명에서 길이는 스티로폼(10)의 연결부재삽입홈(11)을 따라 길게 형성할 수도 있고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세개의 스티로폼(10)을 연결하고자 할 때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T자형연결부재(22)의 일측을 두개의 스티로폼(10)의 연결부재삽입홈(11)에 삽입한 후, 삽입된 부분과 수직하는 부분이 또다른 스티로폼(10)의 연결부재삽입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하면 된다.
네개의 스티로폼(10)을 연결하고자 할 때는 -자형연결부재(21)를 네개의 스티로폼(10)이 만나는 지점에 오도록 끼워넣으면 된다.
이때, 보다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형연결부재(23)나 T자형연결부재(22)를 네개의 스티로폼(1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의 연결부재삽입홈(11)에 삽입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20)는 목재,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는데 가공이 편리한 목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 대량 생산이 용이한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형성할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전면과 후면에 다수 개의 홈(24)을 격자형으로 형성해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게 하고, 제조 단가를 낮추게 할 수도 있다.
또, 스티로폼(10) 외측에 인조석 등의 외장재(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앙카볼트 등을 고정할 경우 고정위치가 연결부재(20)에 중첩될 때 홈(24)이 형성된 연결부재(20)를 사용하면 홈(24)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 앙카볼트가 외벽(40)에 고정되면 연결부재(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효과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치과정은 먼저 스티로폼(10)을 설치하기 위해 외벽(40)을 깨끗하게 청소한 후 외벽(40) 치수를 검측한 다음 먹줄 등을 이용해 설치 위치를 마킹한다.
그런 다음 접착제나 모르타르를 스티로폼(10)의 배면 또는 벽면에 바른 후 일측 벽면 모서리에 스티로폼(10)을 고정시킨다.
그 후 인접하여 설치할 스티로폼(10)의 배면 또는 외벽(40)에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제나 모르타르를 칠한 후 연결부재(20)를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스티로폼(10)의 연결부재삽입홈(11)에 일측이 삽입되게 한 후 연결할 스티로폼(10)의 연결부재삽입홈(11)에도 연결부재(20) 일측이 삽입되게 하여 두 스티로폼(10)이 연결부재(2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속하여 스티로폼(10)을 고정하면 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할 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자형연결부재(21), T자형연결부재(22), +자형연결부재(23) 등을 설치하면 된다.
위와 같이 연결부재(20)로 스티로폼(10)을 서로 고정시키게 되면 스티로폼(10) 위에 인조석 등의 외장재(30)를 고정시키기 위해 스티로폼(10)의 일부분을 커팅할 때 스티로폼(10)의 유동이 적어 정확한 작업을 할 수 있고, 연결부위가 떨어져 나가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해, 외벽과 돌 마감재 사이에 있는 다수 개의 스티로폼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게 된다.
또한, 외벽 모서리부분에서 스티로폼끼리 맞닿을 때 틈이 발생되지 않아 내부의 열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Claims (4)

  1. 단열용 스티로폼(1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테두리를 따라 측면에 연결부재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재삽입홈(11)이 서로 대응되도록 맞대어져 있는 다수 개의 스티로폼(10)과;
    서로 맞대어져 있는 상기 스티로폼(10)의 연결부재삽입홈(11)에 삽입되어 각각의 스티로폼(10)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고, 전면과 후면에 다수 개의 홈(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T 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 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
KR20-2003-0038997U 2003-12-15 2003-12-15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 KR200346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997U KR200346432Y1 (ko) 2003-12-15 2003-12-15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997U KR200346432Y1 (ko) 2003-12-15 2003-12-15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432Y1 true KR200346432Y1 (ko) 2004-03-31

Family

ID=4934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997U KR200346432Y1 (ko) 2003-12-15 2003-12-15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4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177A (ko) * 2017-05-29 2018-12-07 이창열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는 조립 블록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177A (ko) * 2017-05-29 2018-12-07 이창열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는 조립 블록체
KR101994678B1 (ko) * 2017-05-29 2019-07-01 이창열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는 조립 블록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5805A (en) Building panel with attached sealing means
US8567145B1 (en) Masonry insulation and siding connector
CN217557495U (zh) 面板及表面覆盖物
KR200346432Y1 (ko) 외벽 단열용 스티로폼의 연결구조
US200500720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achably fixing a surface component to a background
WO2007141521A1 (en) Apparatus,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a decorative feature on a structure
JP4032035B2 (ja) 床板材の連結金具
JP3709276B2 (ja) 壁体構造物
KR200283437Y1 (ko) 바닥용 단열재 고정구
CA2111917C (en) Modular panel for right angle interconnection
JP2007198004A (ja) 建物基礎断熱パネル及び建物基礎断熱構造
CN212358970U (zh) 一种将护墙板安装至安装面的安装套件
JPS625444Y2 (ko)
CN214658434U (zh) 一种扣板连接结构
JPH11172801A (ja) H形鋼の断熱工法及びh形鋼の断熱構造並びに断熱用の発泡体
KR20210001954U (ko) 단열재 고정구
KR100687193B1 (ko) 스티로폼 단열판의 이음 구조
KR102530892B1 (ko) 외장재 설치가 용이한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JP2659680B2 (ja) 壁構築用セパレータ
JP2908736B2 (ja) 断熱材
KR200298107Y1 (ko) 거푸집의 패널사이를 메우는 스페이서 조립체
JP3023943U (ja) 住宅用断熱材
JP2869638B2 (ja) 発泡断熱材
JP2007009620A (ja) 目地材、目地材保持具、及び目地構造
KR200298106Y1 (ko) 거푸집의 패널사이를 메우는 스페이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