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616Y1 -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616Y1
KR200345616Y1 KR20-2003-0037664U KR20030037664U KR200345616Y1 KR 200345616 Y1 KR200345616 Y1 KR 200345616Y1 KR 20030037664 U KR20030037664 U KR 20030037664U KR 200345616 Y1 KR200345616 Y1 KR 200345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implant fixture
antagonist
abutment
orthodontic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수
Original Assignee
정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수 filed Critical 정관수
Priority to KR20-2003-0037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6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치 후 발치공간에 삽입되는 치조골 내의 인공치근(임플란트픽스츄어)을 이용하여 대합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발치 후 인공치아를 삽입하기 이전에 대합치의 교정을 이룰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치조골 내에 인공치근(임플란트픽스츄어)을 우선적으로 삽입 한 후, 인공치근 상에 교정구를 구성하여 삽입 고정하고, 점차적으로 높이가 다른 교정구를 교환 고정시켜, 돌출된 대합치를 점차적으로 교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The tooth correction device which uses the implant fixture}
본 고안은 인공치근(임플란트픽스츄어)을 이용하여 대합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치아교정에 있어서 치아 사이의 재배열 공간을 확보한 후 복잡하고 부피가 큰 치아교정기를 사용하여 점차적으로 치아를 재배열시키고 있다. 이러한 치아 교정은 부분적으로 필요한 치아만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도 구강의 많은 부분을 사용하여야 하는 교정기를 착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착용 시 일상생활에도 불편한 점이 많이 있었으며 비용 또한 만만치 아니하였다. 특히, 발치 된 치아의 대합치의 교정이 필요한 경우 교정과 발치를 별개로 진행하여야 하는 등 불편함이 많이 있었다.
이에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교정과 관련된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출원번호 10-2000-0047352는 부정골격 또는 치아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배열이 불규칙한 부정교합 상태의 치아를 정상적인 치아에 손상을 주지아니하고 ,또 이마나 목에 사용하는 복잡하고 사용하기 힘든 얼굴 마스크나 목 밴드 등이 필요없이 치아배열로 교정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교정용 치아에 접착되는 브라켓트와 이에 연결된 다양한 형태의 보정용 철사를 턱뼈의 치조골에 고정되는 임플란트의 관통구에 지지시켜 보정용 철사의 복원력으로 정상치아와 동일한 배열로 교정시키기 위한 교정용 임플란트와 관련된 것이다. 이것은 별도의 교정을 위한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발치 후 인공치아를 구성하기 전에 대합치의 교정이 필요한 경우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대합치를 교정시키고 인공치아를 구성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발치 후 인공치아를 구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임플란트픽스츄어를 치골에 먼저 구성한 후 대합치를 교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발치부에 인공치아를 구성하기 위한 임플란트픽스츄어(10)구성 단계에서 받침대(30), 탄성부(40), 대치부(50)의 순서대로 구성된 교정구(1)를 구성한 후, 임플란트픽스츄어(10)의 스크류체결구(11)의 내부로 삽입되는 스크류(61)가 하부에 구성된 어버트먼트(60)를 이용하여 임플란트픽스츄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구성하고, 대합치의 교정 진행정도에 따라 어버트먼트(6)로 고정된 교정구(1)를 해체하고 높이가 다른 교정구(1)로 교환하여 최종적으로 대합치의 위치를 교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를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서 고안한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인공치근을 이용한 인공치아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결합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교정구의 높이조절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을 이용한 교정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 : 교정구 10 : 임플란트픽스츄어 11 : 스크류체결구
30 : 받침대 31 : 걸림턱 1a : 중공부
40 : 탄성부 50 : 대치부 60 : 어버트먼트
61 : 스크류 62 : 조절홈
도 1은 기존의 인공치근을 이용한 인공치아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결합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교정구의 높이조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을 이용한 교정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본 고안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인공치아는 드릴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구멍을 낸 뒤,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매식하여 상부로 치아형의 보철물을 고정시켜 인공치아의 구성을 완성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과정상에서 발치 후 인공치아가 구성되는 부위의 대합치가 치열이 고르지 않거나 교정이 필요할 경우,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매식 후 상측으로 교정구(1)를 구성하여 대합치를 교정시킨 다음 교정구(1)를 제거하여 치아보철물을 형성토록 하여 완전한 교정과 인공치아의 구성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2, 3, 4를 참고로 하여 임플란트픽스츄어(10)와 교정구(1)의 구성을 설명하면,
통상적인 인공치아의 구성에 있어 치조골에 박혀 있는 임플란트픽스츄어(10)상으로 교정구(1)가 어버트먼트(60)로 고정이 되는데,
교정구(1)는 대합치와 직접 맞닿는 부위인 대치부(50)와 그 아래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40)가 구성되고, 상기 두 부위를 최종적으로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하는 받침대(30)로 구성된다. 교정구(1)는 전체적으로 중앙부로 중공부를 구성하여 어버트먼트(60)를 통하여 임플란트픽스츄어(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교정구(1)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교정구(1)가 가져야 하는 기능적 역할을 기준으로 하여 본 고안에서는 3가지 구성 요소로 분리하여 구성하였다.
교정구(1)의 구성에 있어서, 대치부(50)는 교정구(1)가 고정되었을 시, 직접적으로 대합치와 맞닿아 압력을 행사하게 되는 부분으로 대합치에 손상을 주지 아니하면서 지지력을 전달하여야 함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변형이 없는 재질의 물질, 예를 들면 경질 복합 레진이나 금속체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탄성부(40)는 대치부(50)와 받침대(30) 사이에 구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는 임플란트픽스츄어(10)에 고정된 교정부(1)와 대합치와 치아가 맞닿을 시 대합치에 충격을 완화하면서 회복 탁성력을 지속적으로 대합치에 가하게 되어 돌출된 대합치가 서서히 교정되어 자리를 잡을 수 있게 한다. 즉, 일상생활 중에 자연스럽게 치아가 맞닿는데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교정구(1)와 대합치와의 악력이 발생하고 탄성부(40)는 탄성을 가지며 형태가 변하게 되고 대합치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운동이 하루동안 수천번에서 수만번까지 이루어지게 되므로 자연스레 대합치의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교정구(1)의 높이에 따라 탄성부(40)가 받게 되는 압력이 달라 대합치에 대한 가압의 크기도 달라지게 된다. 재질은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력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재 등을 사용하여 이용하게 된다.
받침대(30)는 교정부(1)가 받게 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뒤틀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임플란트픽스츄어(10)의 상에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인체에 무해하고 변형이 적은 물질 예를 들면 금속재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되고, 상측에 구성되는 탄성부(40)가 압력에 의해 분리되거나 이탈하지 않토록 탄성부(40)내에 교정부(1)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력을 높이거나 접착재와 같은 결합강화제를 사용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도 있다.
예시된 도면에 있어서는 원통형으로 교정구(1)를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서 구성이 가능한 것이며, 구성요소에 있어서도 본 고안에서는 역할에 따라 3가지의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재질의 성질에 따라 하나의 구성요소로 상기 3가지의 역할을 이루어 낼 수 있다면 하나의 재질로서도 교정구(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교정구(1)를 임플란트픽스츄어(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어버트먼트(60)는 하부로 스크류(61)가 구성되며 상측부로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절홈(62)과 같은 착탈 선택수단이 구성이 된다. 교정구(1)의 중앙부로 구성되는 중공부(1a)를 관통하여 받침대(30)의 걸림턱(31)에 의해 교정구(1)와 체결된 후, 어버트먼트(60)의 스크류(61) 부분이 임플란트픽스츄어(10)의 스크류체결구(11) 내로 진입하여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측부에 조절홈(62)이 구성된 어버트먼트(60)가 회전함에 따라 임플란트픽스츄어(10) 내로 삽입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높이가 다른 교정구(1)를 선택하여 교환하여 고정시킬 수가 있다. 즉, 대합치의 교정진행에 따라 알맞은 높이의 교정구(1)를 선택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이루지는 교정장치를 도7 을 참고로 하여 교정방법을 설명하면,
1단계 : 발치된 공간에 인공치아를 구성하기 위하여 임플란트픽스츄어(10)를 매설하게 된다.
2단계 : 대합치와 맞게 인공치아를 형성하여 고정시키기 전에 대합치의 교정이 필요할 경우 앞서 설명한 교정구(1)를 구성한다.
3단계 : 교정구(1)를 대합치와 대합되게 하여 임플란트픽스cb어(10)에 고정시켜 일상생활을 하게 된다.
4단계 : 일정기간동안 착용하여 대합치가 이동하면 교정구(1)가 받는 탄성력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대합치에 대한 가압력이 줄어든 교정구(1)는 어버트먼트(60)를 돌려 임플란트픽스츄어(10)에서 해체시키고, 좀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교정구(1)를 임플란트픽스츄어(10)에 고정시킴으로 대합치가 받는 압력을 높인다.
5단계 : 높이가 다른 교정구(1) 선택 고정하여 대합치가 완전히 교정될 때까지 상기 4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6단계 : 대합치의 교정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면 교정구(1)를 임플란트픽스츄어(10)와 완전히 분리하여 제거하고, 인공치아를 구성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합치의 교정정도에 따라 교정구(1)의 높이를 달리하여 교정하는 것으로, 높이를 달리하는 방법으로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비율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치부(50), 탄성부(40), 받침부(30) 중 하나 또는 둘을 선택하여 일부분의 비율만을 높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40)만의 높이가 다른 교정구(1)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대치부(50)의 위로 동일재질의 물질을 덧씌워 높이를 높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를 통하여, 발치된 공간을 인공치아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대합치의 교정이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교정을 하고 인공치아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분리된 별도의 과정으로 교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인공치아 시술 과정 중에 대합치를 교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시간과 경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정과정도 간단하여 기존의 교정방법과 대비하여 볼 때 그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라 하겠다.

Claims (5)

  1. 임플란트픽스츄어(10)에 고정되어 대합치에 압력을 가하여 교정시킬수 있는 교정구(1)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되는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교정구(1)는 탄성력을 가지는 단독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교정구(1)는 대합치와 직접 닿는 대치부(50), 가압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40), 탄성부(40)를 받치는 받침대(30)와 교정구(1)를 임플란트픽스츄어에 고정시키는 어버트먼트(60)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받침대(30)는 어버트먼트(60)의 이탈을 방지하고 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걸림턱(31)이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어버트먼트(60)는 하부는 스크류(61)로 구성되고 상측부는 어버트먼트를 회전시켜 교정구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조절홈(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KR20-2003-0037664U 2003-12-03 2003-12-03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KR200345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664U KR200345616Y1 (ko) 2003-12-03 2003-12-03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664U KR200345616Y1 (ko) 2003-12-03 2003-12-03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039A Division KR100595606B1 (ko) 2003-12-03 2003-12-03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616Y1 true KR200345616Y1 (ko) 2004-03-18

Family

ID=49427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664U KR200345616Y1 (ko) 2003-12-03 2003-12-03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6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095B2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KR101694475B1 (ko)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CN107847303B (zh) 牙科用种植体
KR101236095B1 (ko) 치아 유지 시스템
CA2511785C (en) Improvements in components for permanent removable and adjustable dentures and bridges
KR10196640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173435B1 (ko) 치과 보철 시스템
US20030031981A1 (en) Prosthetic implant
KR10088461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JP2010512975A (ja) 歯科用アタッチメントアッセンブリ及び方法
JP2017534423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100788455B1 (ko)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20180132222A (ko)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KR100595606B1 (ko)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KR10105206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US20180271627A1 (en) Ball-type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s, and method of producing overdentures to which ball-type attachment is applied
DK1534170T3 (da) Universel tandprotese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denne
KR20160033019A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200345616Y1 (ko)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
US879496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storing and in-office customizing of dental implant abutments with a dental prosthesis
KR101480446B1 (ko) 파절된 임플란트의 복구 시술장치, 이를 이용한 파절된 임플란트의 복구방법 및 이를 위한 대체 지대주
KR200388933Y1 (ko) 연조직의 깊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런트
CN209864105U (zh) 快套式附着体
KR20028684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CN212592508U (zh) 功能种植修复螺丝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