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504Y1 - Medical bed - Google Patents

Medical 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504Y1
KR200345504Y1 KR20-2003-0039041U KR20030039041U KR200345504Y1 KR 200345504 Y1 KR200345504 Y1 KR 200345504Y1 KR 20030039041 U KR20030039041 U KR 20030039041U KR 200345504 Y1 KR200345504 Y1 KR 200345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tient
bed
rai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0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인지
Original Assignee
정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지 filed Critical 정인지
Priority to KR20-2003-0039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50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504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0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tegral, body-bearing projections or protuber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Transfer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침대를 이용하는 환자나 신체거동불편자들이 침대의 상면과 접촉하는 신체부분의 혈액순환과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욕창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간병인 혼자서도 환자의 불쾌감 없이 시트갈이 및 환자 이송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bed,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bedsores and the like by allowing patients or physically disabled persons who use the bed for a long time to facilitate blood circulation and aeration of the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In addition, the caregiver alone relates to a medical bed that can facilitate the transfer of the sheet and the patient without discomfort of the patient.

이에 본 고안은 상단이 개구되고 일측면에 서랍홈(11)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승하강수단(12) 및 일정한 높이에 길이방향으로 제 1 레일(13)이 설치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수단(12)과 결합되며 다수의 프레임(22)(23)으로 이루어진 골격부(21)를 구비하고 상기 골격부(2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수평바(25)가 설치된 승하강체(20); 상기 본체(10)의 서랍홈(11)을 통해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수평바(25)의 하측방향으로 삽입되며 매트리스(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된 몸체(31)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31)의 하단에는 상기 제 1 레일(13)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바퀴(32) 및 끝단부측에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바닥면에 슬라이딩되는 제 2 바퀴(33)가 설치된 서랍(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end is opened and the drawer groove 11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inner and lower lifting means 12 and the first rail 13 is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10); It is coupled to the lifting means 12 so as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keleton portion 2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22, 23 and at the top of the skeleton portion 21 A lifting body 2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5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body 31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rawer groove 11 of the main body 10 and inserted into the lower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25, and has an upper end opening to accommodate the mattress 5. And a plurality of first wheels 32 and a second wheel slid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31 so as to slide along the first rail 13 at a lower end of the body 31 so as to be horizontal. 33)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drawer 30 is installed.

Description

의료용 침대{Medical bed}Medical bed {Medical bed}

본 고안은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침대를 이용하는 환자나 신체거동불편자들이 침대의 상면과 접촉하는 신체부분의 혈액순환과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욕창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간병인 혼자서도 환자의 불쾌감 없이 시트갈이 및 환자 이송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bed,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bedsores and the like by allowing patients or physically disabled persons who use the bed for a long time to facilitate blood circulation and aeration of the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In addition, the caregiver alone relates to a medical bed that can facilitate the transfer of the sheet and the patient without discomfort of the patient.

일반적으로 침대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의 편안한 잠자리를 마련해주는 도구로 장소에 불문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신체가 부자연스럽거나 신체를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있어 여러면에서 더욱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In general, the bed is widely used as a tool for providing a comfortable bed for human beings in the East and the West, regardless of the place. In particular, the bed provides more convenience for patients who are unnatural or unable to move the body.

그러나, 인간생활에 편안한 휴식과 잠자리를 제공하는 침대의 경우에도 사용상 계속해서 침대에 누워있게 되면 침대와 접촉하고 있는 신체부분이 체중에 의해 압박되어 혈액순환에 지장을 받게 된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a bed that provides a comfortable rest and sleep in human life, if the user continues to lie in bed, the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bed is pressed by the weight, which interferes with blood circulation.

아울러, 통상의 건강한 사람들의 경우는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시간외에는 별도로 침대에 누워있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지장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신체가 부자연스러워 많은 시간동안 침대를 이용해야 하는 신체거동불편자나, 건강이 좋지않아 병원 등 기타 시설에 장기간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중에 의해 압박되는 신체부위에서 혈관이나 피부에서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해 욕창 등이 발생되기 쉽다.In addition, since normal healthy people do not lie in bed outside of sleep or rest time, this problem is not a problem, but the physically uncomfortable people who have to use the bed for many hours, In the case of patients who have to stay in bed for a long time in the hospital and other facilities due to poor health, as described above, blood circulation in the blood vessels or skin is not easily performed in the body part that is pressed by the weight, and thus pressure beds are easily generated.

또한, 상기한 침대에 신체거동불편자나 환자가 장시간 누워있을 경우 청결을 위해 시트를 자주 갈아주어야 하지만, 시트갈이는 간병인 혼자하기 힘들기 때문에 간병인은 물론 간호사 등 다수의 사람들이 환자를 들거나 이동시킨 후 시트갈이를 함에 따라 매우 불편하였고 동시에 건장이 좋지않은 환자는 불쾌감 및 고통을 수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f the physically-impaired or the patient is lying on the bed for a long time, the sheets should be changed frequently for cleanliness, but since the sheet changing is difficult for the caregiver alone, many people, including the caregiver and the nurse, lift or move the patient. As a result of the sheet change, the patient was very uncomfortable and at the same time has a problem of being unpleasant and accompanied by pain.

그리고,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를 치료 및 검사 등을 위해 이동용침대로 환자를 옮겨야 할 경우, 이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간병인 혼자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옮기는 도중 주변사물에 환자가 부딪치거나 하여 환자에게 고통 및 불쾌감을 주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a patient lying in a bed needs to be moved to a portable bed for treatment and examin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for the caregiver to be alone, so that many people have to move together.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the patient bumping into the object and causing pain and discomfort to the patient.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장기간 침대를 이용하는 환자나 신체거동불편자들이 침대의 상면과 접촉하는 신체부분의 혈액순환과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욕창 등을 방지하고 간병인 혼자서도 환자의 불쾌감 및 고통 없이 시트갈이 및 환자 이송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prevent bedsores and caregivers by allowing patients or physically impaired persons who use the bed for a long time to smoothly circulate blood and aeration of the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It is to provide a medical bed that can simplify the sheet change and patient transport without the discomfort and pain of the patient alone.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4 는 도 2에서의 B-B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2;

도 5a ∼ 도 5d 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용베드로 환자를 옮기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a to 5d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oving the patient to the transfer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 의료용 침대 5: 메트리스1: medical bed 5: mattress

10: 본체 11: 서랍홈10: main body 11: drawer groove

12: 승하강수단 12a: 모터12: lifting means 12a: motor

12b: 스크류축 13: 제 1 레일12b: screw shaft 13: first rail

13a: 지지프레임 14: 테두리판13a: support frame 14: border plate

14a: 경첩 15: 지지편14a: hinge 15: support piece

16,54: 바퀴 20: 승하강체16,54: wheel 20: lifting body

21: 골격부 22: 수직프레임21: skeletal part 22: vertical frame

23: 수평프레임 24: 너트23: horizontal frame 24: nut

25: 수평바 25a,52c: 탄성부재25: horizontal bar 25a, 52c: elastic member

30: 서랍 31: 몸체30: drawer 31: body

32: 제 1 바퀴 33: 제 2 바퀴32: first wheel 33: second wheel

34: 손잡이34: handle

50: 이송용베드 51: 이송본체50: transfer bed 51: transfer body

52: 이송날 52a: 상판52: feed edge 52a: top plate

52b: 결합단 52d: 보강부재52b: coupling end 52d: reinforcing member

53: 제 2 레일 53a: 홈53: second rail 53a: groove

60: 클립60: clip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이 개구되고 일측면에 서랍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승하강수단 및 일정한 높이에 길이방향으로 제 1 레일이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수단과 결합되며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골격부를 구비하고 상기 골격부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수평바가 설치된 승하강체; 상기 본체의 서랍홈을 통해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수평바의 하측방향으로 삽입되며 매트리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된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바퀴 및 끝단부측에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바닥면에 슬라이딩되는 제 2 바퀴가 설치된 서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upper end is opened and the drawer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inner and lower lifting means and the first rail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constant height; A lifting body coupled with the lifting means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main body, and having a frame portion made up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installed horizontally on an upper end of the frame portion;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rawer groove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lower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and has a body having an upper end opening to accommodate the mattress and the bottom of the body can be slid along the first rai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aw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wheels and the second wheels which are slid to the bottom surface so as to maintain the horizontal on the end side.

또한, 상기 메트리스에 누운 상태의 환자를 이송할 수 있도록 상측에 상기 수평바와 동일방향으로 다수의 제 2 레일이 설치된 이송본체와, 일측 하단부가 상기 제 2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레일을 따라 상기 각각의 수평바 사이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가 안착되는 다수의 이송날로 구성된 이송베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rail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rizontal bar on the upper side to transport the patient lying in the mattress, one lower e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rail and the seco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ransfer be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ransfer blades are installed to move horizontally between each horizontal bar along the rail seated patient.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2에서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a ∼ 도 5d 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베드로 환자를 옮기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ure 2, Figure 4 is BB in Figure 2 5A through 5D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a patient to a transfer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1)는 크게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승하강하면서 메트리스(5)를 일정간격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메트리스(5)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체중에 의해 압박받고 있는 신체일부를 가압해제시켜 신체의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주는 승하강체(20)와, 상기 매트리스(5)가 수용되며 시트갈이가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10)에 수납되는 서랍(30)으로 구성된다.As shown, the medical bed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installed to press the mattress 5 at regular intervals while lifting up and down inside the body 10 and the body 10 of the mattress 5 Lifting and lowering the body part under pressure by the weight while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to allow the body's blood to circulate smoothly and at the same time to allow aeration and the mattress 5 is accommodated and the seat It is composed of a drawer 30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to facilitate.

먼저, 상기 본체(10)는 상단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는 상기 서랍(3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서랍홈(11)이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upper end opened, and a drawer groove 11 is formed at one side to accommodate the drawer 30.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승하강체(2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수단(12)이 설치되며, 내부의 길이방향으로는 일정 간격으로 두 개의 제 1 레일(13)이 설치된다.An elevating means 12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elevate the elevating body 20, and two first rails 13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상기 제 1 레일(13)은 일정한 높이의 지지프레임(13a)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서랍(30)을 지지하게 된다.The first rail 13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3a of a predetermined height to support the drawer 30.

여기서, 상기 승하강수단(12)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바닥 중심부에모터(12a)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12a)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축(12b)을 아래에서 설명될 승하강체(20)의 골격부(21)에 결합된 너트(24)와 스크류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축(12b)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승하강체(20)를 승하강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Here, the elevating means 12 is a elevating body (11)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o install a motor 12a in the inner bottom center of the main body 10 and to rotate the screw shaft (12b) by the drive of the motor 12a ( The screw 24 and the nut 24 coupled to the skeleton portion 21 of the 20 is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body 20 according to whether the screw shaft 12b is rotated.

한편, 상기 승하강수단(12)으로 모터(12a)를 사용하지 않고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cylinde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lifting means 12 without using the motor 12a.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모터(12a)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operating the motor 12a.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단 테두리인 상기 서랍홈(11)의 상측을 가로지르는 테두리판(14)의 일측에는 경첩(14a)을 설치하여 일측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상기 메트리스(5)를 수용한 상태의 서랍(30)을 상기 본체(10)의 서랍홈(11)을 통해 삽입/인출시 매트리스(5)가 상기 테두리판(14)에 걸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mattress 5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one direction by installing a hinge 14a on one side of the edge plate 14 crossing the upper side of the drawer groove 11, which is an upper edge of the main body 10. The drawer 30 in a state of accommodating the mattress 5 is not caught on the edge plate 14 when the drawer is inserted / drawn through the drawer groove 11 of the main body 10.

상기 테두리판(14)을 제거할 수도 있지만 침대(1)의 미관을 위해 개폐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border plate 14,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for the aesthetics of the bed (1).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승하강체(20)의 상,하 이동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체(20)의 골격부(21)를 구성하는 수직프레임(2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ㄷ"자 형태의 지지편(15)이 다수 구비된다.In addition, sliding the vertical frame 22 constituting the skeletal portion 21 of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2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prevent shaking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20 moves up and down.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15 in the form of a "c" are possibly provided.

즉, 상기 지지편(15)의 내측으로 상기 승하강체(20)의 수직프레임(22)이 삽입된 상태로 상,하 작동을 하는 것이다.That is, the vertical frame 22 of the elevating body 2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iece 15 to operate up and down.

한편, 상기 본체(10)의 하단 모서리측에는 본체(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바퀴(16)가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dge 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16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체(20)는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상,하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수직,수평 프레임(22)(23)들로 이루어진 골격부(21)와, 상기 골격부(21)의 상단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수평바(25)가 설치된다.Next, the elevating body 20 is installed to enable the up and down operation in the main body 10, the skeleton portion 2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vertical, horizontal frames 22, 23 and the skeleton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5 ar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part 2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골격부(21)의 하측 중앙에는 너트(24)가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수단(12)인 모터(12a)의 스크류축(12b)과 스크류 결합되며 모터(12a)의 구동시 승하강하게 된다.A nut 24 is provid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skeletal portion 21 to be screw-coupled with the screw shaft 12b of the motor 12a, which is the lifting means 12, and to move up and down when the motor 12a is driven.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22)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된 지지편(15)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상,하 이동시 흔들림이 방지됨과 아울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ertical frame 22 is slidab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pieces 15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to prevent horizontal shaking and to maintain horizontality.

여기서, 상기 수평바(25)는 상기 메트리스(5)의 가압시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면에는 환자 보호를 위해 탄성부재(25a)가 부착된다.Here, the horizontal bar 25 is made of a "T" shape to prevent bending deformation when the mattress 5 is pressed, and an elastic member 25a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to protect the patient.

한편, 상기 승하강체(20)를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시,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제 1 레일(13)을 피해서 설치가 이루어지는데, 즉 상기 수직프레임(22)들은 상기 두 개의 제 1 레일(13)의 바깥쪽으로 설치가 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2)들을 연결하는 하측의 수평프레임(23)들은 상기 제 1 레일(13)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a)을 피해서 설치가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ing body 2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he installation is made to avoid the first rail 13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vertical frame 22 is The lower horizontal frames 23 which are installed to the outside of the two first rails 13 and connect the vertical frames 22 are installed to avoid the support frame 13a that supports the first rails 13. Will be.

계속해서, 상기 서랍(30)은 메트리스(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된 몸체(3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31)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10)의 제 1 레일(13)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바퀴(32)가 설치되며 끝단부측에는 서랍(30)의 인출시 인출된 부분을 지지함과 동시에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2 바퀴(33)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Subsequently, the drawer 30 has a body 31 having an upper end opened to accommodate the mattress 5, and a lower end of the body 31 has a first rail 13 of the body 10. A plurality of first wheels 32 are installed to be slid along the second wheels extending to the bottom surface so as to support the drawn out portion of the drawer 30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out and to maintain horizontality. 33) is installed and made.

상기 서랍(30)의 일측면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handle 3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awer 30 so as to be gripped by hand.

이러한 상기 서랍(30)은 상기 본체(10)의 서랍홈(11)을 통해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승하강체(20)의 수평바(25) 하측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wer 3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rawer groove 11 of the main bod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30 is inser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25 of the elevating body 20. .

즉, 상기 서랍(30)은 상기 수평바(25) 하측의 골격부(21)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drawer 30 is to be located inside the skeleton portion 21 below the horizontal bar (25).

그리고, 상기 메트리스(5)에 누운 상태의 환자를 그대로 이송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이송베드(50)가 구비되는데,In addition, a separate transfer bed 50 is provided to transfer the patient lying in the mattress 5 as it is.

상기 이송베드(50)는 상측에 상기 승하강체(20)의 수평바(25)와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되 각 수평바(25)의 사이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2 레일(53)이 설치된 박스형태의 이송본체(51)와, 일측 하단부가 상기 제 2 레일(53)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레일(53)을 따라 상기 각각의 수평바(25) 사이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가 안착되는 다수의이송날(52)로 구성된다.The transfer bed 50 is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rizontal bar 25 of the elevating body 20 on the upper side, but a plurality of second rails 53 so as to be located between each horizontal bar 25 The box-shaped transfer main body 51 and the lower end of one side are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rail 53 and horizontally move between the horizontal bars 25 along the second rail 53.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fer blades 52 are installed and the patient is seated.

상기 이송본체(51)의 하단 각 모서리측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바퀴(54)가 설치된다.A plurality of wheels 54 are installed at each lower edge side of the transfer body 51 to enable movement.

상기 제 2 레일(53)은 내부가 중공형태이며 상단면에는 상기 이송날(52)이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홈(53a)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rail 53 has a hollow shape and a sliding groove 53a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so as to be slidable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blade 52 is coupled.

그리고, 상기 이송날(52)은 환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갖는 상판(52a)과, 상기 상판(52a)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레일(53)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52a)과 함께 전체적으로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I"자 형태로 이루어진 결합단(52b)과, 상기 상판(52a)에 환자가 안착되었을 때 환자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52a)의 단부측과 상기 결합단(52b)을 연결하는 보강부재(52d)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ransfer blade 5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plate 52a having a constant length and width so that the patient can be seated, and one side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52a, and sliding with the second rail 53. The coupling end 52b which is combined with the upper plate 52a and formed of an “I” shape having a wide upper side and a narrow lower side as a whole, and can support the load of the patient when the patient is seated on the upper plate 52a. It consists of a reinforcing member 52d for connecting the end side of the upper plate 52a and the coupling end 52b.

상기 상판(52a)의 상단면에는 환자 보호를 위해 탄성부재(52c)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52c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52a to protect the patient.

그리고, 상기 다수의 이송날(52)은 상호 연결되어 전체가 동시에 상기 다수의 수평바(25) 사이로 이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ransfer blades 52 are interconnected so that the whole can be moved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5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 본체(10)의 메트리스(5)에 누워있는 환자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상기 이송베드(5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송작업시 상기 본체(10)와 이송베드(50)간에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본체(10)와 이송베드(50)의 이송본체(51)를 통상의 클립(60) 등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 and the transfer bed during the transfer oper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transfer bed 5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ransfer the patient lying on the mattress 5 of the main body 10 It is preferable to fix the transfer body 51 of the main body 10 and the transfer bed 50 with an ordinary clip 60 or the like so as not to move between the 5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침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medic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상기 본체(10)에 삽입되어 있는 서랍(30)을 어느정도 인출한 상태에서 시트가 입혀있는 메트리스(5)를 상기 서랍(30)에 수용시키고 다시 서랍(30)을 상기 본체(10) 내측으로 삽입한다.First, in a state where the drawer 3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is taken out to some extent, the mattress 5 coated with the sheet is accommodated in the drawer 30, and the drawer 30 is again inside the main body 10. Insert it.

이때, 상기 메트리스(5)는 자체 두께에 의해 상기 서랍(30)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10)에 삽입/인출시 상기 본체(10)의 상단 테두리측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테두리판(14)을 일측으로 개폐시킨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he mattress 5 protrudes a certain height from the drawer 30 by its thickness, the edge plate (not to be caught by the upper edge side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main body 10 is inserted / drawn). It is preferable to work in the state opened and closed 14) to one side.

계속해서, 상기 서랍(30)이 본체(10) 내측으로 삽입 완료되면 상기 모터(12a)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12a)가 작동하게 되면 스크류축(12b)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스크류축(12b)의 회전에 연동하도록 결합된 상기 승하강체(20)는 하측방향으로 하강을 시작한다.Subsequently, when the drawer 3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the motor 12a is operated. When the motor 12a is operated, the screw shaft 12b is rotated. The lifting body 20 coupled to cooperate with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12b starts to descend in the downward direction.

상기 승하강체(2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승하강체(20)의 상단에 구비된 수평바(25)가 상기 메트리스(5)를 가압하게 되며 가압이 완료되면 상기 메트리스(5)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측면이 올록볼록하게 변형이 되면서 신체와의 접촉면을 감소시키게 된다.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20 is lowered, the horizontal bar 25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20 presses the mattress 5, and when the pressing is completed, the mattress 5 is as shown in the drawing. As the upper side is deformed convexly,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body is reduced.

이 상태에서 환자가 상기 메트리스(5)에 눕게 되면 메트리스(5)의 상측면과 접촉하는 신체부분의 혈액순환은 물론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욕창 등이 방지되며, 특히 상기 수평바(25)에 의해 상기 메트리스(5)가 가압되면서 시트가 팽팽한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시트가 접힌 부분에서 욕창이 심하게 발생하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patient is lying on the mattress 5,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mattress 5 is well ventilated, and the pressure sore is prevented, in particular by the horizontal bar 25. As the mattress 5 is pressed, the sheet is maintained in a taut state, thereby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 of severe pressure sores in the folded portion of the sheet.

그리고, 시트를 갈아야 할 경우에는 상기 모터(12a)를 작동시켜 상기 스크류축(12b)을 역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연동하는 상기 승하강체(20)는 상측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수평바(25)도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평바(25)가 환자를 들어 올리게 되며 상기 메트리스(5)를 가압하고 있던 가압력도 해제되어 메트리스(5)는 처음상태로 복귀된다. 여기서 환자는 상기 수평바(25)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부재(25a)에 의해 메트리스(5)에 누워있는 것과 같은 편안함은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sheet is to be changed, when the screw shaft 12b is reversed by operating the motor 12a,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20 which interlocks with the seat 12 moves upwards, and the horizontal bar 25 simultaneously. At this time, the horizontal bar 25 lifts the patient and the pressing force pressurizing the mattress 5 is also released to return the mattress 5 to the initial state. Here, the patient can maintain the comfort as lying on the mattress 5 by the elastic member 25a attached to the horizontal bar 25.

상기 승하강체(20)가 상승한 후에는 상기 서랍(30)을 본체(10)로부터 인출하여 시트를 간단히 교체하면 되는 것이다.After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20 is raised, the drawer 30 may be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10 to simply replace the sheet.

따라서, 간병인 혼자서도 시트갈이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환자도 시트갈이를 할 때 몸을 움직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쾌감이 들지 않고 중증환자에게는 고통을 덜어줄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caregiver can easily change the seat alone, and the patient does not need to move the body when the seat change does not cause discomfort and can ease the pain for the severely ill.

한편, 상기 메트리스(5)에 누워 있는 환자를 치료 및 검사 등을 이유로 이송하여야 할 때에는 상기 이송베드(50)를 이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tient lying on the mattress (5) to be transported for reasons of treatment and examination, the transfer bed 50 is used.

즉, 상기 이송베드(50)를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송베드(50) 및 본체(10)의 움직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을 클립(60)으로 고정시킨다.That is, in ord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bed 50 and the main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transfer bed 5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y are fixed with a clip 60.

이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체(20)를 상승시켜 환자를 들어올린다.Thereafter,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body 20 is raised to lift the patient.

이렇게 상기 승하강체(20)가 메트리스(5)로 부터 상승하면 상기 각 수평바(25) 사이사이에는 공간부가 생기게 되는데 이 공간부에 상기 이송베드(50)의 이송날(52)을 수평이동시켜 위치시킨다.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20 rises from the mattress 5,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bars 25, and horizontally moving the transfer blade 52 of the transfer bed 50 to the space. Position it.

이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체(20)를 다시 하강시키게 되면, 환자는 상기 이송날(52)의 상단면에 안착이 된다.When the lifting body 20 is lowered again in this state, the patien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lade 52.

상기 이송날(52)의 상단면에 환자가 안착된 후에는 상기 이송날(52)을 다시 수평이동시켜 처음 위치인 상기 이송베드(50)로 복귀시킨다.After the patien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lade 52, the transfer blade 52 is horizontally moved back to the transfer bed 50, which is the initial position.

그리고, 상기 본체(10)와 이송베드(50)를 고정하고 있는 클립(60)을 해제한 후 환자를 이송베드(50)로 이송하게 된다.Then, after releasing the clip 60 holding the main body 10 and the transfer bed 50, the patient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bed 50.

따라서, 상기 메트리스(5)에 누워 있는 환자를 이송하기 위해 간병인 혼자서도 간단히 상기 이송베드(50)로 옮길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고 환자는 고통 및 불쾌감을 덜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caregiver alone can easily move to the transfer bed 50 to transport the patient lying on the mattress 5, and the patient can reduce pain and discomfort.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메트리스를 승하강체의 수평바로 가압하여 메트리스와 신체의 접촉면을 감소시킴으로서 장기간 침대를 이용하는 환자나 신체거동불편자들의 혈액순환 및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욕창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the mattress to the horizontal bar of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to reduc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mattress and the body, blood circulation and aeration of the patient or impaired people using the bed for a long time is made smoothly prevented bedsores.

또한, 간병인 혼자서도 환자의 불쾌감 및 고통 없이 시트갈이가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베드를 이용하여 환자 이송을 간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In addition, the caregiver alone is very convenient becaus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heet without discomfort and pain of the patient and at the same time can easily transport the patient using the transfer bed.

Claims (7)

상단이 개구되고 일측면에 서랍홈(11)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승하강수단(12) 및 일정한 높이에 길이방향으로 제 1 레일(13)이 설치된 본체(10);A main body 10 having an upper end and a drawer groove 11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lifting means 12 and a first rail 13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수단(12)과 결합되며 다수의 프레임(22)(23)으로 이루어진 골격부(21)를 구비하고 상기 골격부(2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수평바(25)가 설치된 승하강체(20);It is coupled to the lifting means 12 so as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keleton portion 2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22, 23 and at the top of the skeleton portion 21 A lifting body 2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5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본체(10)의 서랍홈(11)을 통해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수평바(25)의 하측방향으로 삽입되며 매트리스(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된 몸체(31)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31)의 하단에는 상기 제 1 레일(13)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바퀴(32) 및 끝단부측에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바닥면에 슬라이딩되는 제 2 바퀴(33)가 설치된 서랍(30)The body 31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rawer groove 11 of the main body 10 and inserted into the lower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25, and has an upper end opening to accommodate the mattress 5. And a plurality of first wheels 32 and a second wheel slid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31 so as to slide along the first rail 13 at a lower end of the body 31 so as to be horizontal. 33) drawer (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Medical bed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트리스(5)에 누운 상태의 환자를 이송할 수 있도록 상측에 상기 수평바(25)와 동일방향으로 다수의 제 2 레일(53)이 설치된 이송본체(51)와, 일측 하단부가 상기 제 2 레일(53)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레일(53)을 따라 상기 각각의 수평바(25) 사이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가 안착되는 다수의 이송날(52)로 구성된 이송베드(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Transfer body 5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rails 53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rizontal bar 25 on the upper side to transport the patient lying in the mattress (5), one side lower end of the second A transport bed coupled to the rail 53 and slid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rail 25 along the second rail 53 so as to move horizontally between the horizontal bars 25 and a plurality of transport blades 52 on which the patient is seated. Medical bed further comprises (5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승하강수단(12)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에 모터(12a)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2a)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축(12b)을 상기 승하강체(20)에 결합된 너트(24)와 스크류 결합하여 승하강체(20)를 승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The elevating means 12 is a nut (12a)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main body 10 and the nut coupled to the elevating body 20, the screw shaft (12b) is rotated by the drive of the motor (12a) Medical b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body 20 by screwing with the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수평바(25)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면에는 환자 보호를 위해 탄성부재(25a)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The horizontal bar 25 is made of a "T" shape and the medical be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elastic member (25a) for patient prot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서랍홈(11)의 상측을 가로지르는 본체(10)의 테두리판(14)은 상기 매트리스(5)가 수용된 서랍(30)을 상기 본체(10)에 삽입/인출시 걸리지 않도록 일측에 경첩(14a)이 결합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The edge plate 14 of the main body 10 that crosses the upper side of the drawer groove 11 is hinged at one side so as not to be caught when inserting / drawing the drawer 30 in which the mattress 5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Medical beds characterized in that the 14a) is coupled to be installed to open and clos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승하강체(20)의 상,하 이동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체(20)의 수직프레임(2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편(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support piece 15 for slidably supporting the vertical frame 22 of the elevating body 20 to prevent shaking when the elevating body 20 is moved up and down Medical be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송날(52)은 환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갖는 상판(52a)과, 상기 상판(52a)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레일(53)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단(52b)과, 상기 상판(52a)의 단부측과 상기 결합단(52b)을 연결하여 환자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설치된 보강부재(52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The transfer blade 52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upper plate 52a and the upper plate 52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so as to be seated by the patient,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rail 53. Medical be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inforcing member (52d), and a reinforcing member (52d) is install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patient by connecting the end side of the upper plate (52a) and the coupling end (52b).
KR20-2003-0039041U 2003-12-15 2003-12-15 Medical bed KR2003455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41U KR200345504Y1 (en) 2003-12-15 2003-12-15 Medical b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41U KR200345504Y1 (en) 2003-12-15 2003-12-15 Medical be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256A Division KR20050059568A (en) 2003-12-15 2003-12-15 Medical b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504Y1 true KR200345504Y1 (en) 2004-03-18

Family

ID=4934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041U KR200345504Y1 (en) 2003-12-15 2003-12-15 Medical b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50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0171A (en) Patient transfer arrangement
US5729849A (en) Sectional bed apparatus
CN102510748B (en) Shower stretcher
US20090077748A1 (en) Articulating bed and mattress for the same
US20110030136A1 (en) Bed provided with a bathtub
US20130212807A1 (en) Bed chair
JP2005304626A (en) Method of constituting bed for nursing care with function of wheelchair and bed for nursing care
CN111249084B (en) Multifunctional electric sickbed
CN213076285U (en) ICU ward stands up bed
KR100517816B1 (en) Shower trolley for patient
KR101264030B1 (en) Patient Bed
US5628074A (en) Bathtub assembly accommodated under bed and bathing aid system using it
KR200345504Y1 (en) Medical bed
CN111956414A (en) Translational lifting turn-over bed
KR20050059568A (en) Medical bed
CN211156797U (en) Novel wheelchair bed
KR100866630B1 (en) Patient bed
CN104958153B (en) It is a kind of multifunction nursing bed
KR100359488B1 (en) Bed for patient
ITTV980064A1 (en) BED, ESPECIALLY FOR COMMUNITIES OF THE TYPE WITH ARTICULATED STRUCTURE OF BED PLAN AND MEANS FOR HANDLING AND CONTROL OF AT LEAST
JP3142492U (en) Medical multifunction bed
JP3006428U (en) Nursing bed
CN211658572U (en) Nursing bed with lifting and side-turning functions
CN214387966U (en) Turning mechanism for nursing bed, mattress of nursing bed and nursing bed
CN214318365U (en) Wheelchair nursing bed composit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