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089Y1 -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089Y1
KR200345089Y1 KR20-2003-0040511U KR20030040511U KR200345089Y1 KR 200345089 Y1 KR200345089 Y1 KR 200345089Y1 KR 20030040511 U KR20030040511 U KR 20030040511U KR 200345089 Y1 KR200345089 Y1 KR 200345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roller
rope
pi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석범
Original Assignee
권석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석범 filed Critical 권석범
Priority to KR20-2003-0040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3Mooring cables or ropes, hawsers, or the like; Adap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두에서 선박을 붙잡아 매어두기 위하여 선박에 매어두는 로프와 부두에 매어두는 체인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측의 로프와 부두측의 체인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양측 측판 사이의 전후방에 중앙부가 장구형태의 오목하게 형성된 롤러를 설치한 링크형으로 제작하되, 일측 롤러는 양측 측판 사이에 고정식으로 설치하고 타측 롤러는 착탈식으로 조립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종래에 "U"자형 샤클몸체에 샤클핀으로 조립한 샤클(shackle) 보다 부피가 축소되게 되고 그에 따라 중량이 대폭 가벼워 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인과 로프가 걸어지게 되는 롤러가 장구형으로 중앙부가 오목하면서 회전이 자유로워 로프 및 체인이 걸어지는 롤러의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Connector of a mooring cable for ship}
본 고안은 부두에서 선박을 붙잡아 매어두기 위하여 선박에 매어두는 로프와 부두에 매어두는 체인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측의 로프와 부두측의 체인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양측 측판 사이의 전후방에 중앙부가 장구형태의 오목하게 형성된 롤러를 설치한 링크형으로 제작하되, 일측 롤러는 양측 측판 사이에 고정식으로 설치하고 타측 롤러는 착탈식으로 조립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종래에 "U"자형 샤클몸체에 샤클핀으로 조립한 샤클(shackle) 보다 부피가 축소되게 되고 그에 따라 중량이 대폭 가벼워 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인과 로프가 걸어지게 되는 롤러가 장구형으로 중앙부가 오목하면서 회전이 자유로워 로프 및 체인이 걸어지는 롤러의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풍이 심하게 부는 경우와 같이 기상(氣象)상태가 좋지 못한 경우에 부두에 선박을 정박시킬 때에는 선박의 전복이나 파손등을 우려하여 부두에 선박을 계류줄을 이용하여 계류시키고 있는데, 도 1에서는 부두에 선박을 계류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선박을 부두에 계류시키는 경우에 소형선박과 대형선박 모두 계류줄을 이용하여 계류줄(로프)의 일측단을 선박에 묶어 고정하고 타단은 부두의 고정구에 묶어서 선박을 부두에 계류시키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소형선박을 계류시키는 경우에는 선박이 소형이기 때문에 굵기가 20∼30mm 정도로 굵지 않은 로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굵기가 굵지 않은 로프의 경우에 로프의 길이를 200∼300m로 길게 제작하여도 사람이 어렵지 않게 다룰 수 있어 200∼300m 정도로 길이가 긴 로프만으로 소형선박을 부두에 계류시킬 수 있다.
그런데, 5만톤급이상의 대형선박을 계류시킬 경우에는 선박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그에 따라 계류줄의 굵기나 길이가 그 만큼 굵어지고 길이도 길어 져야 하는데, 대형선박을 계류시키는데 사용되는 계류줄을 로프로 사용하는 경우에 선박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지만 5만톤급이상의 대형선박의 경우에 로프의 굵기가 80∼100mm정도로 굵기가 매우 굵은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렇게 굵은 로프의 경우에 로프의 길이를 길게 제작하게 되면 그 굵은 로프의 무게와 부피가 커져서 사용자가 다루기가 어려우므로 굵은 로프의 길이를 통상 90m 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굵은 로프의 경우에 길이를 통상적으로 90m로 제작하여 사용함에 따라 90m 길이의 계류줄로만 대형선박을 계류시킬 수 없으므로, 도 1에서보는 바와같이 연결구(3)를 이용하여 2개의 계류줄(4)을 연결하여 대형선박을 계류시키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계류줄(4)은 로프나 체인을 사용하는데, 체인을 사용하는 경우에 5만톤급 이상의 대형선박에 사용하는 체인의 굵기는 통상적으로 87mm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선박측에 연결하는 계류줄은 로프를 사용하고, 부두측에 사용하는 계류줄은 체인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이들 로프와 체인을 연결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계류줄은 경우에 따라 2개의 로프만을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2개의 체인만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선박(1)측에는 로프(5)를 사용하고 부두(2)측에는 체인(6)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물론 로프(5)와 체인(6)은 연결구(3)로서 연결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대형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계류줄은 그 길이를 어느 일정길이만큼 길게 제작할 수 없음에 따라 연결구를 이용하여 2개의 계류줄을 연결하게 되는데, 종래의 열결구로서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같이 "U"자형 샤클몸체에 샤클핀으로 조립한 샤클(shackle)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구로 사용되는 샤클(8)은 "U"자형으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핀구멍(9)을 형성한 샤클몸체(10)와, 샤클몸체(10)의 핀구멍(9)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샤클핀(11)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샤클(8)을 연결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통상적으로 육상에서 샤클몸체(10)에서 샤클핀(11)을 분리시킨 상태로 샤클몸체(10)에 끝단부가 고리진 로프(5)를 샤클몸체(10)의 "U"자 부분에 걸리도록 삽입한 뒤에, 샤클몸체(10)의 핀구멍(9)으로 샤클핀(11)을 끼우면서 이 샤클핀(11)에 체인(6)을 끼워서 로프(5)와 체인(6)을 연결한다.
그 뒤, 도 1에서와 같이 계류줄(4)의 타측 끈단을 선박(1)의 고정부(12)에묶어고정하고, 체인(6)의 타단은 부두(2)에 설치된 지팡이형태의 곡주나 "T"자형의 비트등의 고정구(7)에 묶어 고정함으로서, 대형선박을 부두에 계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샤클(8)은 샤클몸체(10)의 "U"자 부분의 안쪽에만 로프(5)의 고리부분이 항상 마찰되므로 "U"자 부분의 안쪽에 마모가 생겨 샤클(8)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와, 도 3에서와 같이 체인(6)이 걸어지게 설치되는 샤클핀(11)이 1자형으로 평탄한 환봉형으로 형성되면서 체인(6)이 걸어지는 샤클핀(11)의 걸림부분이 체인(6)의 직경보다 대폭 넓으므로 체인(6)이 샤클핀(11)의 걸림부분에서 화살표 및 가상선과 같이 이동되어 체인(6)의 걸림부분과, 샤클핀(11)의 걸림부분이 쉽게 마모되고 흔들림에 심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체인(6)이 걸리는 부분이 폭이 넓은 것은, 샤클(8)의 샤클몸체(10)를 제작할 때 환봉을 "U"자형으로 벤딩시켜 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U"자형 샤클몸체(10)의 둥글게 벤딩되는 부분을 급격하게 절곡시키면서 절곡반경을 적게 할 수 없으므로 "U"자형 샤클몸체(10)의 양단 사이의 간격이 체인(6)의 직경보다는 대폭 넓은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종래의 "U"자형 샤클몸체(10)는 환봉을 구부려서 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샤클몸체(10)이 전체적으로 둥근 환봉형의 단면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종래의 샤클(8)에는 "U"자형으로 형성된 샤클몸체(10)의 둥근 라운딩부에 로프(5)가 걸어지게 되고 타측의 샤클핀(11)에 체인(6)이 걸어진 상태에서 양측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직접적으로 로프(5)와 체인(6)이 걸리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샤클몸체(10)의 2개의 수평부(10a)에는 큰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샤클몸체(10)의 둥근부분과 수평부(10a) 모두가 환봉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되었기 샤클몸체(10)의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어 샤클(8)의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와, 샤클(8)의 무게가 전체적으로 무거움에 따라 사람의 힘으로 무거운 샤클(8)을 다루기가 어려워 윈치나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샤클몸체(10)에 로프(5)의 단부를 걸어 끼우고, 그 뒤에 샤클몸체(10)의 핀구멍(9)으로 샤클핀(11)을 끼우면서 이렇게 끼워지는 샤클핀(11)에 체인(6)를 걸어기우는 작업을 해야 하는 비능률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참고로, 체인경이 87mm인 체인을 걸어 사용하는 샤클의 무게는 250kg으로 규격화되어 있는 것을 볼 때, 250kg이나 나가는 무거운 샤클을 작업자의 힘으로만 도저히 다룰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두측의 고정되는 체인과 선박측에 고정되는 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종래에 샤클을 사용하던 것을 링크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되, 체인과 로프가 걸어지는 부분을 중앙부가 오목한 장구형롤러로서 설치하면서 전후방 롤러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양측부분은 평판형태의 측판으로 설치하여 체인과 로프를 연결하는 링크형으로 형성되는 연결구의 부피가 축소되고 그에 따라 연결구의 무게가 대폭 절감되도록 하며, 로프와 체인이 걸리는 롤러의 폭이 체인과 로프가 걸리는 정도로만 폭이 좁아지고 그 롤러들이 중앙부가 오목한 장구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프와 체인이 걸리는 부분인 롤러의 마모가 방지되고 로프 및 체인이 연결구 내에서 유동되지 아니하여 연결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박을 부두에 계류시키기 위하여 선박측에 결속되는 로프와 부두측에 결속되는 체인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전후방에 핀구멍을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한 양측 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양측 측판 사이의 전방측 핀구멍에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핀구멍으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된 선단부가 리베팅되는 핀부를 형성한 전방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양측 측판 사이의 후방측 핀구멍에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된 후방롤러가 양측 핀구멍을 관통한 고정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양측 측판 사이에 후방롤러를 개재시킨 상태로 핀구멍을 관통한 고정핀 선단부와 타측 측판이 고정판으로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부두에 선박을 계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선박을 계류시 사용하는 샤클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종래 샤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 계류용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 계류용 연결구의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박 2 : 부두 3 : 연결구
4 : 계류줄 5 : 로프 6 : 체인
7 : 고정구 8 : 샤클 9 : 핀구멍
10 : 샤클몸체 11 : 샤클핀 12 : 고정부
13,13a : 핀구멍 14 : 걸림홈 15 : 측판
16,16a : 핀구멍 17 : 나사체결구멍 18 : 고정판삽입홈
19 : 측판 20 : 롤러몸체 21 : 핀부
22 : 전방롤러 23 : 나사체결구멍 24 : 고정홈
25 : 머리부 26 : 고정핀 27 : 후방롤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박(1)을 부두(2)에 계류시킬 때 선박측에 결속되는 로프(5)와 부두측에 결속되는 체인(6)을 링크형의 연결구(3)로서 연결한다.
상기 연결구(3)는 전후방에 핀구멍(13,13a)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후방측 핀구멍(13a)의 외부에 고정핀(26)의 머리부(25)가 매입되게 삽입될 걸림홈(14)을 형성한 일측 측판(15)과, 전후방에 핀구멍(16,16a)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후방측 핀구멍(16a)의 일측에는 고정판(29)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나사체결구멍(17)을 형성한 고정판삽입홈(18)이 형성된 측판(19)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측 측판(15,19) 사이의 전방측 핀구멍(13,16)에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된 롤러몸체(20)의 양측에 양측 측판(15,19)의 핀구멍(13,16)으로 삽입되어 외부로 관통되어 노출된 선단부가 리베팅되는 핀부(21)를 형성한 전방롤러(2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양측 측판(15,19) 사이의 후방측 핀구멍(13a,16a)에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축구멍(28)이 관통된 후방롤러(27)가 선단부에 나사체결구멍(23)을 구비한 고정홈(24)이 형성되고 타단에 걸림홈(14)에 매입식으로 삽입되어 걸릴 머리부(25)를 형성한 고정핀(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측 측판(15,19)의 사이에 후방롤러(27)를 개재시킨 상태로 핀구멍(13a,16a)을 관통한 고정핀(26)의 고정홈(24)과, 타측 측판(19)에 형성된 고정판삽입홈(18)이 대을하여 형성되는 사각홈에는 나사삽입구멍이 형성된 고정판(29)이 삽입되고, 이 고정판(29)의 나사삽입구멍으로 나사(30)가 삽입되어 측판(19)의 나사체결구멍(17)과 고정핀(26)의 나사체결구멍(23)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조립 및 작용 관계를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3)는 양측 측판(15,19)의 전방측 핀구멍(13,16)에 도 6에서와 같이 전방롤러(22)의 양측 핀부(21)가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 핀구멍(13,16)의 외측으로 돌출된 핀부(21)의 외측단부를 리벳팅하여 양측 측판(15,19)의 전방측에 전방롤러(22)가 설치된 상태이다.
이때, 양측 측판(15,19)의 핀구멍(13,16)에 삽입된 전방롤러(22)는 양측 측판(15,19)의 핀구멍(13,16)에서 회전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져야 한다.
이렇게 양측 측판(15,19)의 전방측에만 전방롤러(2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후방측의 개방된 양측측판(15,19)의 사이로 로프(5)의 고리부를 끼운다. 이때 로프(5)의 고리부는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전방롤러(22)측에 헐겁게 끼워진 상태가 된다.
그 뒤, 도 5의 가상선처럼 후방롤러(27)의 외부에 체인(6)의 끝단을 끼운 상태로 이 후방롤러(27)를 양측 측판(15,19) 사이의 후방측 핀구멍(13a,16a)측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양측 측판(15,19)의 후방측에 삽입되는 후방롤러(27)는 가결합 상태로 느슨하게 삽입된 상태이다.
이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일측 측판(15)의 후방측 핀구멍(13a)으로 고정핀(26)의 선단부를 끼우면서 이 고정핀(26)이 후방롤러(27)의 축구멍(28)과 타측 측판(19)의 핀구멍(16a)에 삽입시킨다. 이렇게 일측 측판(15)의 핀구멍(13a)과, 후방롤러(27)의 축구멍(28) 그리고 타측 측판(19)의 핀구멍(16a)을 고정핀(26)이 차례로 삽입되게 되면, 고정핀(26)의 머리부(25)는 일측 측판(15)의 걸림홈(14)에 삽입되며 걸려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 고정핀(26)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홈(24)과 타측 측판(19)의 후방측 핀구멍(16a)에 형성된 고정판삽입홈(18)이 서로 마주보게 고정핀(26)을 맞추어 고정핀(26)의 고정홈(24)과 측판(19)의 고정판삽입홈(18)이 마주보게 되면서 사각홈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서로 마주보면서 형성되는 사각홈으로 고정판(29)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판(29)의 나사삽입구멍으로 나사(30)를 삽 입시키면서 한 개의 나사는 고정판(29)과 측판(19)을 고정시키고, 또 하나의 나사(30)는 고정판(29)의 타측 나사삽입구멍을 관통하여 고정핀(26)의 선단부를 고정시켜서 연결구(3)의 조립을 완료하며, 연결구(3)를 이용하여 로프(5)와 체인(6)을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3)를 이용하여 로프(5)와 체인(6)의 각 일측 단부를 연결시킨 뒤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구(3)가 연결되지 아니한 체인(6)의 타측단부를 부두(2)의 고정구(7)에 고정하고, 로프(5)의 연결구(3)가 연결되지 아니한 타측단부는 선박(1)의 고정부(12)에 고정함으로서, 부둣가에 선박을 계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구(3)에 연결된 로프(5)와 체인(6)으로 이루어진 계류줄(4)로서 선박을 부두에 계류시킨 상태에서 바다물 위에 떠 있는 선박이 폭풍과 파도에 의해 움직이게 되면, 파도가 출렁이는 대로 선박이 움직이면서 연결구(3)로서 연결된 로프(5)와 체인(6)이 늦추어 졌다가 당겨지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3)로서 연결된 로프(5)와 체인(6)이 늦추어 지는 것은파도에 의해 선박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부두와 선박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에 선박과 부두와의 거리가 연결구(3)로서 연결된 로프(5)와 체인(6)가 연결된 전체길이보다 가까우므로 연결구(3)로서 연결된 로프(5)와 체인(6)가 쳐지면서 늦추어진다고 표현하였으며, 이렇게 연결구(3)로서 연결된 로프(5)와 체인(6)가 쳐지면서 늦추어질 때 로프(5)의 고리부와 걸어지게 연결된 전방롤러(22)의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후방의 후방롤러(27)에 끼워진 체인(6)의 끝단 고리부도 후방롤러(27)와 같격이 벌어지게 된다.
그 뒤에 파도에 의해 선박이 밀려나게 되면 선박과 부두의 사이가 멀어지게 되면서 연결구(3)로서 연결된 로프(5)와 체인(6)이 순간적으로 당겨지면서 로프(5)의 고리부 끝단부 내측부분과 전방롤러(22)가 순간적으로 부딛치면서 로프(5)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고, 후방롤러(27)에 걸린 체인(6)의 끝단 고리부도 후방롤러(27)에 순간적으로 부딛치면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이렇게 파도에 의한 선박의 이동에 의해 연결구(3)로서 연결된 로프(5)와 체인(6)이 쳐지미과 팽팽하게 당겨지는 동작이 반복될 때, 로프(5)의 고리부는 전방롤러(22)에서 늦추어 졌다가 당겨지는 동안에 전방롤러(22)가 핀구멍(13,16)에 삽입된 핀부(21)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체인(6)의 끝단 고리부도 후방롤러(27)에서 늦추어 졌다가 당겨지는 동안에 후방롤러(27)가 고정핀(26)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3)로서 연결된 로프(5)와 체인(6)이 파도에 의해 쳐짐과 당겨짐이 반복되는 과정에 각각의 로프(5)와 체인(6)가 각각의 전방롤러(22)와 후방롤러(27)에서 늦추짐과 당겨짐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전방롤러(22)와 후방롤러(27)를 회전시키게 되어 각각의 전방롤러(22)와 후방롤러(27)가 편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링크형의 연결구(3)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연결구(3)는 전방롤러(22)와 후방롤러(27)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됨에 파도에 의해 로프(5)와 체인(6)이 각각의 전방롤러(22)와 후방롤러(27)에서 사이가 벌졌다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당겨질 때, 각각의 로프(5)의 단부와 체인(6)의 단부가 중앙의 오목한 부분에 걸리게 되므로 로프(5)와 체인(6)이 연결된 길이방향으로만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3)의 전후길이방향으로만 인장력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로프(5)와 체인(6)에 길이방향으로 장용하는 인장력을 잘 견디어 낼수 있는 것이다. 만약에 종래설명인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사선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연결구(3)가 사선방향으로는 강도상 취약점이 있어 연결구(3)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연결구(3)는 도 6에서 보는 바와같이 양측 측판(15,19)의 외부로 로프나 주변 물품과 걸릴 만한 구조물이 외부로 돌출된 것이 없음에 따라 주변에 함께 설치되는 또 다른 계류줄(4)의 로프(5)나 체인(6)에 걸릴 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구(3)의 구성요소중에서 양측 측판(15,19)은 전방측 전방롤러(22)와 후방측 후방롤러(27)와 같이 직접적으로 커다란 하중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전방롤러(22)와 후방롤러(27)와의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것이므로, 본고안에서 이 양측 측판(15,19)을 판형태로 제작하여 연결구(3)의 전체 중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링크형으로 형성된 연결구는 체인경이 87mm 인 체인을 사용하게 될 연결구의 무게는 65kg으로서 체인경이 87mm 인 체인을 사용하여도 강도상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따라서 동일한 체인경(87mm)을 갖는 체인을 사용하는 종래의 샤클의 무게가 250kg 이었던에 비하면 본 고안의 연결구가 매우 가벼운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측 측판(15,19) 사이에 설치되는 전방롤러(22)와 후방롤러(27)를 로프의 단부와 체인의 단부가 걸릴 정도로 폭을 좁게 형성하여 연결구(3)의 전체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되고, 연결구(3)가 소형화되면서도 커다란 인장력의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까지 위에서 본 고안의 연결구(3)로서 일측은 로프를 연결하고 타측은 체인을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이 용이하도록 그렇게 설명한 것이며, 주변 상황 및 필요에 따라서 연결구(3)의 양측에 체인만을 걸어서 연결하거나, 아니면 로프만을 연결할 수 도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는, 부두측의 고정되는 체인과 선박측에 고정되는 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종래에 샤클을 사용하던 것을 링크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되, 체인과 로프가 걸어지는 부분을 중앙부가 오목한 장구형롤러로서 설치하면서 전후방 롤러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양측부분은 평판형태의측판으로 설치하여 체인과 로프를 연결하는 링크형으로 형성되는 연결구의 부피가 축소되고 그에 따라 연결구의 무게가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로프와 체인이 걸리는 롤러의 폭이 체인과 로프가 걸리는 정도로만 폭이 좁아지고 그 롤러들이 중앙부가 오목한 장구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프와 체인이 걸리는 부분인 롤러의 마모가 방지되는 효과와, 소형이면서도 커다란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되는 효과 및 로프 및 체인이 연결구 내에서 유동되지 아니하여 연결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선박(1)을 부두(2)에 계류시키기 위하여 선박측에 결속되는 로프(5)와 부두측에 결속되는 체인(6)을 연결하는 연결구(3)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는 전후방에 핀구멍(13,13a)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후방측 핀구멍(13a)의 외부에 고정핀(26)의 머리부(25)가 매입되게 삽입될 걸림홈(14)을 형성한 일측 측판(15)과, 전후방에 핀구멍(16,16a)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후방측 핀구멍(16a)의 일측에는 나사체결구멍(17)을 형성한 고정판삽입홈(18)이 형성된 측판(19)이 구비되고,
    상기 양측 측판(15,19) 사이의 전방측 핀구멍(13,16)에는 중앙부가 오목한 장구형으로 형성된 롤러몸체(20)의 양측에 핀구멍(13,16)으로 삽입되어 외향노출된 선단부가 리베팅되는 핀부(21)를 형성한 전방롤러(2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양측 측판(15,19) 사이의 후방측 핀구멍(13a,16a)에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축구멍(28)이 관통된 후방롤러(27)가, 선단부에 나사체결구멍(23)을 구비한 고정홈(24)이 형성되고 타단에 걸림홈(14)에 매입식으로 삽입되어 걸릴 머리부(25)를 형성한 고정핀(2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양측 측판(15,19)의 사이에 후방롤러(27)를 개재시킨 상태로 핀구멍(13a,16a)을 관통한 고정핀(26) 선단부의 고정홈(24)과, 타측 측판(19)에 형성된 고정판삽입홈(18)이 서로 대응하여 형성되는 사각홈에는 나사삽입구멍이 형성된 고정판(29)이 나사(3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
KR20-2003-0040511U 2003-12-29 2003-12-29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 KR200345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511U KR200345089Y1 (ko) 2003-12-29 2003-12-29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511U KR200345089Y1 (ko) 2003-12-29 2003-12-29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089Y1 true KR200345089Y1 (ko) 2004-03-18

Family

ID=4934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511U KR200345089Y1 (ko) 2003-12-29 2003-12-29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0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89Y1 (ko) * 2011-10-28 2013-10-23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선박 펜더용 체인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89Y1 (ko) * 2011-10-28 2013-10-23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선박 펜더용 체인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778B1 (ko) 해상 구조물 결박용 수중 자가-정렬식 페어리드 래치 메커니즘
US5018775A (en) Rope assembly
US20100257835A1 (en) Chain link
US4864956A (en) Yieldable mooring line for a boat
PT1639257E (pt) Disposição de ancoragem de uma estrutura flutuante
US20200377178A1 (en) Tensioner of a mooring line of a floating structure
KR200345089Y1 (ko) 선박 계류줄의 연결구
CA2300220A1 (en) Cleating device
US3992048A (en) Belt chain sling
AU2014201614A1 (en) Mooring line retaining mechanism
US6532885B1 (en) Mooring device
AU2009239851B2 (en) Mooring compensator
US8689718B2 (en) Rigid quick connect mooring device
US4200053A (en) Mooring cinch
EP0827904B1 (en) Marine fender
WO2010002265A1 (en) Device for a self-activated lock of a rope, string or similar
US8117980B1 (en) Rigid quick connect mooring device
US5738033A (en) Bumper and sling arrangement to assist boat docking
EP3625118A1 (en) Buoy comprising light weight armature for weight transfer
US5209173A (en) Elongate fitting with an eye and a "V"-channel for compressively engaging a rope, particularly for cargo tie-down
US5469802A (en) Boat anchor
US5148579A (en) Transversally wedged cable hook
JPS6022094Y2 (ja) 浮体の係留装置
FI79067B (fi) Anordning foer skyddande av foertoejningslinor.
RU2094297C1 (ru) Буксирный клю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