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733Y1 - 표면질감이 개선된 바닥재 - Google Patents

표면질감이 개선된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733Y1
KR200344733Y1 KR2019970032793U KR19970032793U KR200344733Y1 KR 200344733 Y1 KR200344733 Y1 KR 200344733Y1 KR 2019970032793 U KR2019970032793 U KR 2019970032793U KR 19970032793 U KR19970032793 U KR 19970032793U KR 200344733 Y1 KR200344733 Y1 KR 200344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looring
layer
floor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453U (ko
Inventor
장종대
Original Assignee
고려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32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73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9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7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Acrylic resin particles, e.g. polymethyl methacrylate or ethylene-acrylat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92Polyurethan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아크릴로 만들어진 비드가 함유된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닥재는 표면처리층에 함유된 비드가 표면에 자연스럽게 표출되어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므로써 바닥재 표면의 끈적임이나 미끄러움 현상이 없고,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표면질감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표면질감이 개선된 바닥재
본 고안은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아크릴로 만들어진 비드를 바닥재의 최상층인 표면층에 투입하여 적층하므로써 바닥재표면의 표면 질감을 개선한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닐계 바닥재는 표면에 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도료와 처리제 기술의 발달로 열경화성이나 자외선 경화타입의 도료를 바닥재 상부에 적층하여 표면의 내마모성이나 내약품성, 내열성 등을 개선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열경화성이나 자외선 경화타입의 도료는 반사광을 가지는 유광타입으로 바닥재에 적용시 피부와의 점착으로인해 끈적이는 느낌이 있으며, 접촉시 땀이 발생하여 끈적이거나 미끄러움등의 좋지 않은 질감이 있었다.
또 이같은 표면의 질감을 개선하고 광택을 줄이기 위하여 투명상부층에 섬세한 엠보스를 처리하거나, 실리카와 같은 무기물을 도료에 투입하여 적층하므로써 실리카의 난반사를 이용한 무광타입의 도료를 개발하기에 이르렀으나, 기존 유광제품에 비해 내오염성이 떨어지거나, 미끄러움 현상이 있어 바닥재로 시공시 노인이나 어린이들이 넘어져 다치는 경우가 있으며, 표면질감이 단조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어 새로운 형태의 표면질감을 가지는 처리제가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열경화성 또는 자외선 경화타입의 도료로써 표면을 처리한 경우에도, 그 표면이 피부와의 접촉시 끈적이거나 미끄러움이 없을 뿐 아니라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표면질감을 갖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경보행용 바닥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중보행용 바닥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또다른 구조의 중보행용 바닥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재층, 2 ... 상부층,
3 ... 인쇄층, 4 ... 투명상부층,
5 ... 비드가 포함된 표면처리층, 6 ... 하부층,
7 ... 칩층, 8 ... 이면층,
9 ... 칩.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는 바닥재의 표면층에 적층하는 열경화성이나 자외선 경화 도료에 구형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아크릴 비드를 혼합하여 바닥재 표면에 적층하므로써 비드의 둥근형태가 표면에 일부 자연스럽게 표출되어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게 되어 땀으로 인한 미끄러운 현상이나 끈적임이 없고, 비드에 의한 미세 돌출부의 형성으로 피부와의 접촉시 기존의 처리제에 의한 표면질감과는 다른 부드럽고 자연스런 표면질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경보행용 바닥재에 본 고안을 적용한 예를 들어 본 고안을 설명하면, 기재층(1)은 부직포형태로 이루어진 유리섬유매트에 PVC페이스트 수지 100중량부, 가소제 40∼70중량부, 안정제 1∼3중량부, 충진제 50∼200중량부를 넣어 배합한 페이스트졸을 함침시켜 140∼200℃의 겔링드럼이나 오븐을 이용, 가열건조하여 제조한다.
상기 기재층(1)위에 상부층(2)으로 발포층이나 비발포 인쇄층을 적층하는 데, 상부발포층의 경우는 PVC페이트스 수지 100중량부, 가소제 40∼70중량부, 안정제 1∼3중량부, 발포제 1∼5중량부, 충진제 10∼50중량부, Zn계 촉진제 1~5중량부를 정량투입하여 고속임펠러가 있는 믹서기에서 10∼40분간 믹싱하여 얻어진 페이스트졸을 공지의 나이프코타, 리버스코타, 바코타, 스크린 코타등을 이용하여 코팅한 후 140~170℃의 겔링드럼이나 오븐을 이용하여 겔링하는 졸 가공방법이나, 또는 PVC스트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가소제 40∼70중량부, 안정제 1∼3중량부, 발포제 1∼5중량부, 충진제 10∼50중량부, Zn계 촉진제 1∼5중량부를 정량 투입하여 슈퍼 믹서기에서 5∼20분간 믹싱하여 카렌다에서 압연가공하거나 T다이에서 압출가공한 시트를 가열 합판하므로써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재층(1)에 상부층(2)을 적층하여 얻어진 반제품위에 다양한 무늬와 색상의 인쇄층(3)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인쇄는 공지의 그라비아 인쇄, 옵셋인쇄, 로타리 스크린 인쇄공법을 이용하며, 이때 이용되는 잉크는 예를들어 PVC계 코폴리머 10∼40중량부, 유기용제 30∼70중량부, 미분산된 유기 또는 무기계 안료 1∼20중량부를 투입하여 고속 믹서로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해 인쇄가 완료되면 그 인쇄층(3) 상부에 투명상부층(4)을 적층하게 되는 데, 투명상부층(4)은 PVC페이스트 수지 100중량부, 가소제 40∼70중량부, 안정제 1∼3중량부,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 0.1∼1중량부를 고속 임펠러가 있는 믹서기에서 10∼40분간 믹싱하며 내부 온도를 40℃이하가 되게 유지하는 졸 가공방법이나, 또는 PVC스트레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카렌다에서 압연가공을 하거나 T다이에서 압출가공을 하므로써 시트를 얻고 이를 가열 합판하는 방법으로 적층이 가능하다.
이렇게 얻어진 반제품에 쿳션성을 부여하기 위한 하부층(6)을 적층 발포하는 데, 하부층(6)은 PVC페이스트 수지 100중량부, 가소제 40∼70중량부, 안정제 1∼3중량부, 발포제 1∼5중량부, 충진제 10∼50중량부, Zn계 촉진제 1~5중량부를 정량투입하여 고속 임펠러가 있는 믹서기에서 10∼40분간 믹싱하는 졸 가공방법이나, 또는 PVC스트레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카렌다에서 압연가공하거나 T다이에서 압출가공한 시트를 가열 합판하여 180∼250℃의 발포오븐을 거치므로써 발포체를 얻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바닥재의 표면을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아크릴 비드가 포함된 열경화성 또는 자외선 경화타입 도료로 표면처리하므로써 본 고안의 바닥재가완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도 1의 일반적인 경보행 바닥재외에도 도 2나 도 3과 같이 기재층(1)위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페이스트졸층을 도포하고 정형 또는 무정형의 칩을 산포하여 칩층(7)을 형성하거나, 칩(9)이나 안료를 첨가한 투명상부층(4)을 적층하여 가열경화하여 상부를 형성하고, 이면에 함침된 부직포나 비발포시트를 접착하여 가열경화하여 이면층(8)을 형성하여 제조되는 쿳션성이 없는 중보행용 바닥재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또 인쇄된 시트와 각각의 투명 또는 불투명 시트를 다단프레스나 연속상의 프레스롤을 이용 적층하여 일정크기의 모양으로 절단하여 만드는 타일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폴리우레탄이나 폴리 아크릴등과 같은 열경화성 도료(5)나 자외선 경화 도료(5)에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아크릴 비드, 바람직하게는 1∼50마이크론의 직경을 갖는 구형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아크릴 비드를 0.1∼5중량% 투입하여 충분히 분산이 이루어지게 한 다음, 공지의 나이프코타나 리버스 롤 코타, 스폰지롤 코타, 에어나이프 코타등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얻어진 쿳션성을 부여한 경보행 바닥재와 쿳션성이 없는 중보행 바닥재 또는 타일제품의 표면에 1∼50마이크론 정도의 두께로 적층하여 표면질감이 개선된 바닥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제1도 내지 제3도에 예시한 구조이외의 다른 구조를 갖는 어떠한 종류의 바닥재에라도 비드가 포함된 표면처리층을 적층하므로써 표면질감이 개선된 바닥재를 얻을 수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표면처리층에 비드를 포함시켜 적층하므로써 종래의 열경화성이나 자외선 경화타입의 도료를 바닥재에 적용시 피부와의 점착으로 인해 끈적이는 느낌이나 미끄러움 등의 좋지 않은 질감을 나타내는 문제점 및 표면질감이 단조로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바닥재는 표면처리층에 함유된 비드의 둥근형태가 표면에 자연스럽게 표출되어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므로써 표면질감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비드에 의한 미세한 요철로 인해 바닥재 표면의 끈적임이나 미끄러움 현상이 없다. 또한 비드의 둥근형태로 인해 표면에 형성된 요철의 형태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표면질감을 가지는 바닥재를 생산할 수 있다.

Claims (1)

  1. 다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1∼50마이크론의 직경을 갖는 구형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아크릴 비드가 0.1∼5중량% 혼합되어 이루어진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질감이 개선된 바닥재.
KR2019970032793U 1997-11-19 1997-11-19 표면질감이 개선된 바닥재 KR200344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793U KR200344733Y1 (ko) 1997-11-19 1997-11-19 표면질감이 개선된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793U KR200344733Y1 (ko) 1997-11-19 1997-11-19 표면질감이 개선된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453U KR19990019453U (ko) 1999-06-15
KR200344733Y1 true KR200344733Y1 (ko) 2004-07-30

Family

ID=4942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793U KR200344733Y1 (ko) 1997-11-19 1997-11-19 표면질감이 개선된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7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530B1 (ko) * 2006-01-19 2008-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광 및 무광효과를 가진 바닥장식재와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508B1 (ko) * 2001-02-13 2003-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손상성이 우수한 염화비닐수지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530B1 (ko) * 2006-01-19 2008-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광 및 무광효과를 가진 바닥장식재와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453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1291B2 (en) Selectively embossed surface coverings and processes of manufacture
US5891564A (en) Decorative surface coverings
KR930700219A (ko) 상감식 비닐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JP2681242B2 (ja) 化粧表面カバー
US4675212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surface coverings
RU2286883C2 (ru) Избирательно тисненое поверхностное покрытие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CA2530791C (en) Selectively embossed surface coverings and processes of manufacture
KR200344733Y1 (ko) 표면질감이 개선된 바닥재
JPS6050584B2 (ja) プロフイル化した床又は壁カバーリングの製造方法
JPH0592521A (ja) 装飾用接着剤マトリツクスが選択的に適用された象嵌シート材料
KR100449147B1 (ko) 내컬링성이 개선된 내열수지필름 합판 비닐바닥재
JPH0643748B2 (ja) エンボス床材
KR100481629B1 (ko) 특수유브이도료및이를이용한바닥장식재의제조방법
KR100448347B1 (ko)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개선된 바닥재
KR200277050Y1 (ko) 입체무늬 바닥 장식재
JPH0547669B2 (ko)
KR200260825Y1 (ko) 내컬링성이 개선된 내열수지필름 합판 비닐바닥재
KR200344732Y1 (ko) 목분을이용한바닥재
KR100452276B1 (ko) 로진을이용한비닐바닥재
JPH04135839A (ja) 装飾用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91072B1 (ko) 특수상지층용조성물을도포한바닥재
KR20000056394A (ko) 천연한지를 포함한 난연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0175994B1 (ko) 엠보스 무늬가 형성된 합성수지 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40379B1 (ko) 입체감이 우수한 바닥재
JPH04135847A (ja) 装飾用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