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569Y1 - Vessel - Google Patents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569Y1
KR200344569Y1 KR20-2003-0037832U KR20030037832U KR200344569Y1 KR 200344569 Y1 KR200344569 Y1 KR 200344569Y1 KR 20030037832 U KR20030037832 U KR 20030037832U KR 200344569 Y1 KR200344569 Y1 KR 200344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member
main bod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8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기연
Original Assignee
최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연 filed Critical 최기연
Priority to KR20-2003-0037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56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569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건을 수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통형의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결합시에 상기 본체부재와 함께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1뚜껑 및 제2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상기 제1뚜껑 또는 제2뚜껑을 상기 본체부재로 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식품이 수용된 공간이 개방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receiving an object.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body member having both ends open, and detach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member, respectively, and a closed space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gether with the body member at the time of the coupling. It comprises a first lid and a second lid to 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containing the food is opened by separating the first lid or the second lid from the body member.

Description

용기{Vessel}Vessel {Vessel}

본 고안은 물건 예컨대 김치 등을 수용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or storing an object such as kimchi,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be used by a user more conveniently.

종래의 용기, 예컨대 김치를 저장해 놓는 식품용기의 경우 식품이 수용되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단에 마련되는 하나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김치용기는 용기내부의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이 용기상단에 하나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수반되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ontainer, for example, a food container for storing kimchi, it was generally composed of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nd a lid provided at an upper end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portion. However, the conventional kimchi container has been inconvenient to use because only one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pace inside the container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김치용기에 담겨져 있는 김치를 꺼내어 먹을 때, 위에서 부터 차례차례 김치를 꺼내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김치용기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김치를 꺼내어 먹을 필요가 생긴다. 예컨대, 외부 공기에 많이 노출되지 않은 김치용기의 밑부분에 있는 김치가 김치용기의 윗부분에 위치하여 외부 공기에 많이 노출된 김치보다 상대적으로 맛있기 때문에, 식당에서는 맛있는 김치를 손님에게 대접하기 위해 일부러 김치용기의 밑부분에 있는 김치를 꺼내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김치용기는 뚜껑이 용기의 상단에 하나만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하지 않았다. 즉, 김치용기의 밑부분에 있는 김치를 꺼내기 위해서는 윗부분에 있는 김치를 모두 들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용기가 크기가 적어서 그 내부에 보관된 김치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식당등에서 사용하는 김치용기는 상당히 큰 사이즈를 가지고 있어서 그 내부에 많은 양의 김치가 보관되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며, 더욱이손님이 많이 밀리는 시간에는 이러한 불편함이 더욱 가중되었다.When you take out kimchi in a kimchi container and eat it, it is common to take out kimchi sequentially from the top, but if necessary, you need to take out kimchi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kimchi container. For example, kimchi at the bottom of a kimchi container that is not exposed to much outside ai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kimchi container and is relatively delicious than kimchi that is exposed to a lot of outside air. It is often used to remove the kimchi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kimchi container was not easy to use because only one lid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In other words, in order to take out the kimchi at the bottom of the kimchi container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lift all the kimchi in the upper part. This inconvenience is relatively small when the container is small in size and the amount of kimchi stored in it is relatively small, but the kimchi container used in restaurants, etc. has a relatively large size so that a large amount of kimchi is stored in the container. Because of this, a lot of inconvenience, and more crowded time, this inconvenience was aggravated.

위에서 특히 김치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종래의 용기의 사용시 불편함은 단지 김치용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식품용기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kimchi contain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conventional container is not limited to the kimchi container and may appear throughout the food container.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의 밑부분에 보관되어 있는 물건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with an improved structure to easily take out the object stor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분리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Ⅱ-Ⅱ선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shown in FIG. 1 is coupl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주요부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portion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취급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andling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용기 10 ... 본체부재1 ... container 10 ... body member

11 ... 제1걸림턱 12 ... 제2걸림턱11 ... first jammed jaw 12 ... second jammed jaw

20 ... 제1뚜껑 21 ... 제1록킹부재20 ... First lid 21 ... First locking member

22 ... 제1결합공 23 ... 손잡이부22 ... first engagement hole 23 ... handle

24 ... 돌출부 30 ... 제2뚜껑24 ... protrusion 30 ... second lid

31 ... 제2록킹부재 32 ... 제2결합공31 ... 2nd locking member 32 ... 2nd engagement hole

33 ... 손잡이부 34 ... 돌출부33 ... handle 34 ... protrusion

40 ... 물건이 수용되는 공간40 ... space for thing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통형의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결합시에 상기 본체부재와 함께 식품을 수용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1뚜껑 및 제2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뚜껑 또는 제2뚜껑을 상기 본체부재로 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식품이 수용된 공간이 개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upled to each of the cylindrical body member is open at both ends, and detachably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body member, to accommodate the food together with the body member when the coupling It comprises a first lid and a second lid to form a closed space tha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containing the food is opened by separating the first lid or the second lid from the body member.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뚜껑 및/또는 상기 제2뚜껑에는 상기 본체부재를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id and / or the second lid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gripped by a user to easily lift the main body member.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Ⅱ- 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주요부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취급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1.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operation | movement of a principal part, FIG. 4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handling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는 본체부재(10)와 제1뚜껑(20) 및 제2뚜껑(30)을 구비하고 있다.1 to 4, the contai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member 10, a first lid 20, and a second lid 30.

상기 본체부재(10)는 양 단부가 개방된 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재(10)는 단면의 전체적 형상이 대략 사각형인 외측면만을 구비하고 있을 뿐, 양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재(10)의 외측면의 일단에는 그 외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걸림턱(11)들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걸림턱(11)들은 모두 6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걸림턱(11)은 후술할 제1뚜껑(20)을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재(10)의 외측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제1걸림턱(11)들의 단부도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수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후술할 제1뚜껑(20)이 상기 본체부재(10)에 체결되면, 원치않는 외력에 의해 다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10)의 외측면의 타단에는 그 외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걸림턱들(12)이 상기 제1걸림턱과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그 수도 6개로 서로 동일하다. 이 제2걸림턱들(12)은 후술할 제2뚜껑(30)을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재(10)의 외측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제2걸림턱(12)들의 단부도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수직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후술할 제2뚜껑(30)이 상기 본체부재(10)에 체결되면, 원치않는 외력에 의해 다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ody member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member 10 only has an outer side surface whose overall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substantially square, and both ends are open. One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atching jaws 1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all six first catching jaws 11 are formed. The first catching jaw 11 is provided to couple the first lid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main body member 10, and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member 10 in a vertical direction. Since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catching jaws 11 also protrude vertically downward in a circular shape as a whole, when the first lid 20 to be described below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member 10 by an unwanted external force, It can be prevented from leaving again. In addition, at the oth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0, a plurality of second catching jaws 12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catching jaw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the number thereof is the same as each other. Do. The second catching jaws 12 are provided to couple the second lid 30 to be described later with the main body member 10, and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member 10. Since the end portions of the second catching jaws 12 also protrude vertically in a circular shape as a whole, when the second lid 30 to be described below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member 10, it is caused by an unwanted external force. It can be prevented from leaving again.

상기 제1뚜껑(20)은 상기 본체부재(10)의 일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뚜껑(20)의 외측면에는, 이 제1뚜껑(20)을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제1록킹부재(2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복수의 제1록킹부재(21)들은 상기 복수의 제1걸림턱(11)들 각각과 서로 대응되도록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걸림턱(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 제1록킹부재(21)는 제1뚜껑(20) 외측면에 일정각도 범위, 예컨대 상기 외측면과 평행한 상태로부터 상기 외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까지 90도 범위에서, 회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록킹부재(21)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제1뚜껑(20)의 외측면과 접하는 부분은 상기 제1록킹부재(21)가 회동될 수 있도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록킹부재(21)는 특별한 수단없이도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동가능하다. 상기 제1록킹부재(21)에는 장공의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공(22)은 상기 제1걸림턱(11)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이 결합공(22)에 상기 걸림턱(11)이 끼워지게 되면 상기 제1뚜껑(10)이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1록킹부재(21)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손잡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23)는 상기 제1뚜껑(20)이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를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뚜껑(20)의 외측면 중 서로 마주보고 있는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제1록킹부재(21)에 한 쌍의손잡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록킹부재(21)에는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4)는, 상기 제1록킹부재(21)를 상기 제1걸림턱(11)에 끼우기 위하여 회전시킬 때 상기 제1록킹부재(21)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상기 복수의 제1록킹부재(21)중 상기 손잡이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1록킹부재(21)에는 그 손잡이부(23)가 상기 돌출부(24)로서도 기능하게 된다.The first lid 20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member 1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id 20, a plurality of first locking members 21 are provided to couple the first lid 20 to the main body member 10. 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members 21 are formed of six piece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jaws 11, and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jaws 11. The first locking member 21 is rotatable in a range of a certain ang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id 20, for example, in a range of 90 degrees from a state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to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locking member 21 is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and in particular,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id 20 so that the first locking member 21 can be rotated. The thickness is formed thin.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ocking member 21 can be rotated in a certain angle range without any special means. The first locking member 21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22 of the long hole. The coupling hole 22 is a portion to be fitted to the first locking jaw 11, when the locking jaw 11 is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22, the first lid 10 is the main body member ( 10). 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members 21 are provided with handles 23 held by the user. The handle portion 23 is for allowing the body portion 10 to be easily lift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lid 20 is coupled to the body member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handles 23 are formed on the first locking member 2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lid 20.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members 21 are provided with protrusions 24. The protruding portion 24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holding of the first locking member 21 when the first locking member 21 is rotated to fit the first locking jaw 11. Of 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members 21, the handles 23 also function as the protrusions 24 in the two first locking members 21 in which the handles 23 are formed.

상기 제2뚜껑(30)은 상기 본체부재(10)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뚜껑(30)은 상기 본체부재(10)의 일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뚜껑(30)의 외측면에는, 이 제2뚜껑(30)을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제2록킹부재(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복수의 제2록킹부재(31)들은 상기 복수의 제2걸림턱(12)들 각각과 서로 대응되도록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걸림턱(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 제2록킹부재(31)는 제2뚜껑(30) 외측면에 일정각도 범위, 예컨대 상기 외측면과 평행한 상태로부터 상기 외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까지 90도 범위에서, 회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록킹부재(31)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제2뚜껑(30)의 외측면과 접하는 부분은 상기 제2록킹부재(31)가 회동될 수 있도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록킹부재(31)는 특별한 수단없이도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동가능하다. 상기 제2록킹부재(31)에는 장공의 결합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공(32)은 상기 제2걸림턱(12)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이 결합공(32)에 상기 걸림턱(11)이 끼워지게 되면 상기 제1뚜껑(10)이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제2록킹부재(31)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손잡이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33)는 상기 제2뚜껑(30)이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를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뚜껑(30)의 외측면 중 서로 마주보고 있는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제2록킹부재(31)에 한 쌍의 손잡이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록킹부재(31)에는 돌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4)는, 상기 제2록킹부재(31)를 상기 제2걸림턱(12)에 끼우기 위하여 회전시킬 때 상기 제2록킹부재(31)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상기 복수의 제2록킹부재(31)중 상기 손잡이부(33)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2록킹부재(31)에는 그 손잡이부(33)가 상기 돌출부(34)로서도 기능하게 된다.The second lid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member 10. The second lid 30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member 10.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lid 30, a plurality of second locking members 31 are provided to couple the second lid 30 to the main body member 10. The plurality of second locking members 31 are formed in six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locking jaws 12, and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king jaws 12. The second locking member 31 is rotatable in a range of a certain ang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id 30, for example, in a range of 90 degrees from a state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to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locking member 31 is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and in particular,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id 30 so that the second locking member 31 can be rotated. The thickness is formed thin.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ocking member 31 can be rotated in a certain angle range without any special means. The second locking member 31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32 of the long hole. The coupling hole 32 is a portion to be fitted to the second locking jaw 12, when the locking jaw 11 is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32, the first lid 10 is the main body member ( 10). The plurality of second locking members 31 are provided with handles 33 held by the user. The handle part 33 is for allowing the main body part to be easily lifted in a state where the second lid 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member 10.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handle portions 33 are formed on the second locking member 3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second lid 30.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locking members 31 are provided with protrusions 34. The protruding portion 24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holding of the second locking member 31 when the second locking member 31 is rotated to fit the second locking jaw 12. Of the plurality of second locking members 31, the handle part 33 also functions as the protruding part 34 in the two second locking members 31 in which the handle part 33 is formed.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use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뚜껑(20)을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우선 그 제1뚜껑(20)으로 상기 본체부재(10)의 일단부를 덮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록킹부재(21)를 상기 제1걸림턱(11)에 접근 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렇게 회동시키면 상기 제1록킹부재(21)는 상기 제1걸림턱(11)에 걸리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상기 제1결합공에 상기 제1걸림턱이 삽입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록킹부재(21)에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제1뚜껑(20)이 상기 본체부재(10)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더욱 밀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공(22)내로 삽입되어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제1록킹부재(21)들이 상기 복수의 제1걸림턱(11)에 모두 끼워지게 되면 상기 제1뚜껑(20)은 상기 본체부재(10)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상기 제2뚜껑(30)을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부재(10)와 뚜껑(20,30)간의 록킹부재(21,31)를 이용한 체결구조는 종래의 식품용기에서의 뚜껑과 본체부와의 체결구조와 다를바 없다.First, in the state shown in FIG. 1, in order to couple the first lid 20 to the body member 10, one end of the body member 10 is first covered with the first lid 20. In this state, the first locking member 21 is rota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catching jaw 11.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locking member 21 is caught by the first locking jaw 11, the first locking jaw is not naturally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hole. However,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rotates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o the first locking member 21, the first lid 20 is brought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main body member 10. Accordingly, as shown by the virtual line in Figure 3,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hole 22 is fitted. When 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members 21 are fit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jaws 11 in this manner, the first lid 20 is coup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member 10. do. In the same manner, the second lid 30 is coupled to the body member 10. The fastening structure using the locking members 21 and 31 between the main body member 10 and the lids 20 and 30 is not different from 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lid and the main body in a conventional food container.

역으로, 상기 제1뚜껑(20)을 상기 본체부재(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록킹부재(20)를 상기 본체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걸림턱(11)으로부터 상기 제1결합공(22)이 이탈되므로, 상기 제1뚜껑(20)과 상기 본체부재(10)와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상기 제2뚜껑(30)과 상기 본체부재(10)와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On the contrary, in order to separate the first lid 20 from the main body member 10, when the first locking member 20 is push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member 10, the first locking jaw is rotated. Since the first coupling hole 22 is separated from the 11,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lid 20 and the main body member 10 is released. In the same manner,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lid 30 and the body member 10 may be released.

상술한 방식으로, 상기 제1뚜껑(20) 및 제2뚜껑(30)을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제1뚜껑(20) 및 제2뚜껑(30)은 상기 본체부재(10)와 함께 물건 수용할 수 있는 공간(40)을 형성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manner, when the first lid 20 and the second lid 30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member 10, the first lid 20 and the second lid 30 are the main body member ( 10) together with the space to accommodate the object is formed.

이렇게 형성된 공간에 물건을 수용하여 보관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는, 상기 제2뚜껑(30) 또는 제1뚜껑(20)을 선택적으로 밑바닥 예컨대 탁자의 상면과 접촉시켜 이 용기(1)가 지지되게 하고, 밑바닥과 접촉되지 않은 부분의 뚜껑을 개폐시켜서 그 내부에 식품을 수용시키거나 꺼내어 사용하게 된다. 한편, 용기(1)의 하단에 위치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종래의 식품용기처럼 용기(1)의 윗 부분에 있는 식품을 모두 들어낼 필요 없이, 밑바닥과 접촉하고 있던뚜껑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1)를 뒤집는다. 이렇게 상기 용기(1)를 뒤집게 되면 원래 용기의 하단에 위치한 식품이 용기의 상단으로 자리가 바뀌게 되고 원래 밑바닥에 접촉되어 있던 뚜겅도 용기의 상단으로 자리가 바뀌게 되므로, 상단으로 자리가 바뀐 뚜껑을 열어서 그 식품을 꺼낼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상기 용기(1)를 뒤집거나 운반하기 위하여 들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바닥과 접촉하고 있는 뚜껑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23,33)를 파지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용기(1)를 들 수 있다.Objects can be stored and stored in the space thus formed. In th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lid 30 or the first lid 20 is selectiv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so that the container 1 is supported and not in contact with the bottom. By opening and closing the lid of the part that is not used to accommodate or take out food therei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take out the food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it is not necessary to lift all the foo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 as in the conventional food container, so that the lid in contact with the bottom is located at the top Turn over (1). When the container 1 is inverted in this way, the food placed at the bottom of the original container is replaced with the top of the container, and the lid which was original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is changed with the top of the container.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because it can be opened and taken out of the food. When lifting the container 1 upside down or carrying it, as shown in FIG. 4, the handles 23 and 33 formed on the lid in contact with the bottom are gripped to stably hold the container 1. Can be mentioned.

한편, 종래의 육면체형의 식품용기의 경우, 식품을 수용하는 본체부는 밑면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밑면과 양측면의 3면이 서로 직교하여 만나게 되는 모서리부위는 세척하기 곤란하기가 매우 곤란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재가 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한 종래의 용기처럼 3면이 한지점에서 만나는 모서리부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exahedron-type food container, since the body portion for receiving foo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it is very difficult to wash the corners where the three sides of the bottom and both sides mee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In the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in body member is made of a tubular shape, so that the three corners are not formed at one point as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1)의 본체부재(10)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이나 다각형의 단면을 가져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member 10 of the container 1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1)에서는, 상기 용기(1)내에 액체로 된 식품이 수용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통상의 실링부재를 이용하여 용기를 밀폐처리 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an be hermetically sealed using a conventional sealing member in preparation for the case where the liquid food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1.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뚜껑(20) 및 제2뚜껑(30)을 상기 본체부재(10)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후크형식의 록킹부재(21,31)가 사용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용기의 본체부재(10)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21,31)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등의 다양한 결합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ok-type locking members 21 and 31 are used in such a manner as to couple the first lid 20 and the second lid 30 to the main body member 10. Although illustrated, the male screw portion is formed in the body member 10 of the container, and the female screw portions are formed on the lids 21 and 31 so that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coupling in a mutually screwed manner may be adopted.

또한, 본 용기는 규모가 큰 용기에 사용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작은 규모의 용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container is more effective to be used in a large container, but may be used in a small container,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서는 김치를 담는 식품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품용기외에도 물건을 수납하는 어떠한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described with a food container containing kimchi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it can be applied to any container for storing things in addition to the food contain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용기 내부의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이 양단부에 두 개 마련되어 있으므로, 용기의 하단에 위치한 식품을 꺼내는 경우에도, 종래의 용기처럼 용기의 상단에 위치한 식품을 모두 꺼낼 필요없이, 용기를 뒤집어서 사용하면 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lids at both ends to open and close the space inside the container, even when taking out the food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 food locat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like a conventional container There is no need to take out all, because the container is used upside down is very convenient to us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통형의 본체부재와 제1뚜껑 및 제2뚜껑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종래의 용기에 비하여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관리를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into a cylindrical main body member,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wash and facilitate hygiene manage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tainer.

Claims (2)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통형의 본체부재;A cylindrical body member having both ends open; 상기 본체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결합시에 상기 본체부재와 함께 식품을 수용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1뚜껑 및 제2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져,And a first lid and a second lid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member and form a closed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member when the main body member is coupled thereto. 상기 제1뚜껑 또는 제2뚜껑을 상기 본체부로 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식품이 수용된 공간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containing the food is opened by separating the first lid or the second lid from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뚜껑 및/또는 상기 제2뚜껑에는 상기 본체부재를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기.The first lid and / or the second li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by the user to easily lift the body member.
KR20-2003-0037832U 2003-12-04 2003-12-04 Vessel KR2003445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832U KR200344569Y1 (en) 2003-12-04 2003-12-04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832U KR200344569Y1 (en) 2003-12-04 2003-12-04 Vess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569Y1 true KR200344569Y1 (en) 2004-03-12

Family

ID=4942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832U KR200344569Y1 (en) 2003-12-04 2003-12-04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56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1209C2 (en) Radioactive waste storage container
JPS61104961A (en) Sealing tool for vessel
KR200344569Y1 (en) Vessel
KR200404820Y1 (en) an airtight caster with only one lock
US20180237213A1 (en) Modular container
KR200449949Y1 (en) The structure of an airtight vessel
KR200483289Y1 (en) Food container for vaccum
JP2001010681A (en) Tablet container
KR200485510Y1 (en) A cap with a handle
KR200364895Y1 (en) a case for vegetablessalad
KR200396189Y1 (en) A lunch package with meal plate
US11472615B1 (en) Airtight container with an easily detachable cover
KR200257052Y1 (en) an instrument for refrigerator
JP7100408B2 (en) Container with take-out tool
KR102096907B1 (en) Bottle cap with handle assembled into the cap
JP2007055657A (en) Packaging container
JP2000000111A (en) Contact lens case
KR102012590B1 (en) Food container with chopsticks
KR20040083327A (en) Airtight container with assistance grip
KR101927704B1 (en) Closure structure of the lid
KR101930833B1 (en) Container Cap having Tool Fixing Structure
KR20120006802U (en) bowl cap with double grip
KR200151355Y1 (en) Opener of vessel
KR100377221B1 (en) Container box
KR101922666B1 (en) The lid with retractable cover coupled with the tool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