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666B1 - The lid with retractable cover coupled with the tool part - Google Patents

The lid with retractable cover coupled with the tool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666B1
KR101922666B1 KR1020160088637A KR20160088637A KR101922666B1 KR 101922666 B1 KR101922666 B1 KR 101922666B1 KR 1020160088637 A KR1020160088637 A KR 1020160088637A KR 20160088637 A KR20160088637 A KR 20160088637A KR 101922666 B1 KR101922666 B1 KR 101922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ver
main body
container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7512A (en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102016008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666B1/en
Publication of KR2018000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5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6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를 덮는 제 1 덮개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를 덮는 제 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덮개는 제 1 결합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 2 덮개는 제 2 결합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덮개와 상기 제 2 덮개가 상기 본체를 덮는 경우, 상기 제 1 결합 부분과 제 2 결합 부분은 결합부를 형성하는 뚜껑이 개시된다. A first li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overing an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li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cover has a second engagement portion, and wh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cover the body,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form a coupling portion, .

Description

도구 결합 구조를 갖는 덮개 개폐식 뚜껑{The lid with retractable cover coupled with the tool par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retractable cover having a tool engag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담긴 음식물 등을 뜨는데 사용하는 도구가 구비되어 있는 뚜껑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of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d provided with a tool for use in raising food or the like contained in the container.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용기는 내부에 보관 공간을 구비하고, 개방된 상부는 뚜껑에 의해 여닫도록 되어 있다.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 내기 위해서는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의 도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위와 같은 도구가 없는 경우 용기에 담긴 상태에서 퍼내거나 덜어 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 내는 도구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Generally, the container used for storing food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inside, and the opened upper part is opened and closed by a lid. Spoon or chopsticks must be provided separately to dispense or remove the food in the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 the case where the above-mentioned tools are not available, depending on the kind of food, it can not be poured or taken out in the contain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because a separate tool for pouring out or taking out food is required.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 내는 도구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에, 쉽게 분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외 활동을 하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 도구를 보관할 만한 곳이 적절하지 못하거나 세척이 힘들어 재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asily lost if a separate tool for purging or removing the food is provided. In addition, when used outdoo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store the tool or it is difficult to reuse because of difficulty in washing.

또한, 종래의 방식으로 뚜껑을 덮거나 결합시킨 용기의 경우에는,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뚜껑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용기로부터 분리된 뚜껑은 작업을 하다 잃어버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tainer which is covered or joined by a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troublesome to open the lid in the process of tak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d separated from such a container may lose its operation.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은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내는 도구를 뚜껑에 일체로 구비하여,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내는 도구를 뚜껑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뚜껑 입구가 벌어지게 되어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편리하게 퍼내거나 덜어 낼 수 있고, 내용물을 퍼내거나 덜어 낸 후에는 벌어진 뚜껑 입구를 오므려서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내는 도구를 결합시켜 보관하는 뚜껑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ool integrally formed with a lid for pulling out or taking out food, so that when the tool for pulling out or taking out food is separated from the lid,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lid which can be easily pushed out or taken out of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and after the contents are poured or taken out, the lid of the opened lid is pinched and the lid for storing and storing the food is removed.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은 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를 덮는 제 1 덮개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를 덮는 제 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덮개는 제 1 결합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 2 덮개는 제 2 결합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덮개와 상기 제 2 덮개가 상기 본체를 덮는 경우, 상기 제 1 결합 부분과 제 2 결합 부분은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d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 first li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st lid has a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lid has a second engaging portion and when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cover the main body,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form a coupl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은 상기 제 1 덮개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덮개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lid and the main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econd lid and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은 상기 결합부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ollow in the coupl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은 고정도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 1 덮개 및 제 2 덮개는 상기 개구를 덮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with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covering the opening when the fixing tool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은 상기 제 1 덮개는 상기 본체의 개구 중 일부분을 덮고, 상기 제 2 덮개는 상기 본체의 개구 중 상기 제 1 덮개가 덮지 않는 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Further, the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ver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cover may cover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that the first cover does not cover.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는 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제 1 덮개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제 2 덮개를 포함하고,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 first li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cover covering the first cover,

상기 제 1 덮개는 제 1 결합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 2 덮개는 제 2 결합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덮개와 상기 제 2 덮개가 상기 본체를 덮는 경우, 상기 제 1 결합 부분과 제 2 결합 부분은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cover has a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the second cover has a second engagement portion and wh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cover the body, Can form an engag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는 상기 본체는 수용부와 지지부로 구성되고, 수용부의 내부 하면은 반구 형태로 아래로 함몰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which is depressed downward in a hemispheric shap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는 상기 본체는 수용부와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압축 또는 신장에 의하여 길이를 변화시키거나 어느 방향으로도 구부려질 수 있다. Further,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receiving portion and a supporting portion, the support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is bent or bent in either direction by compression or stretching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은 용기에 뚜껑을 덮기만 하면 담긴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낼 때 별도로 도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편리하게 음식물을 용기에 보관하고 가지고 다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언제 어디서나 필요할 때에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 tool when the lid is put on the container or when the food is poured or taken out.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ood can be conveniently stored and carried in the container.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ispense or remove the food in the container whenever and wherever it is needed.

또한,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 내는 도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분실의 위험이 낮다는 효과가 있다. 야외 활동을 하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 내는 도구를 보관할 만한 곳을 따로 찾지 않아도 되고, 뚜껑에 결합시켜 보관하였다가 재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tool for pouring or taking out food, so that the risk of loss is low. When used outdoors, there is no need to look for a place to store food that can be purged or removed, and it can be stored in the lid for reus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은, 뚜껑의 덮개가 되는 부분을 사면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뚜껑을 용기에 장착하였을 때 뚜껑에 결합된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내는 도구가 용기 내부에서 내용물과 닿지 않는 상단에 위치하게 되어 용기 안에 분말, 고체, 액체 등의 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내는 도구가 뚜껑과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용기 내부 방향을 향해 들어간 길이보다 뚜껑의 높이가 사면의 경사도 가파름으로 인하여 깊어질 때에 이와 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id part is formed in a slope shape, when the lid is mounted on the container, a tool for pulling out or releasing the food, So that it is possible to store various kinds of contents such as powder, solid, liquid and the like in the container. This effect can be obtained when the height of the lid is increased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rather than the length of the tool for pouring or draining the food from the portion where the tool is combined with the lid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은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 내는 도구를 구비하고 있어,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 내는 도구를 취식할 때나 조리할 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l for pouring or draining food, so that the li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ooking or preparing a tool for pouring or draining food.

또한,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 내는 도구를 용기 안에 집어 넣어 음식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뚜껑을 열 필요가 없이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open and close the lid without having to open the lid during the process of putting the tool for pouring out or taking out the food into the container.

또한, 뚜껑을 덮어 밀폐시킨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꺼내려고 할 때 일반적으로 종래의 뚜껑은 용기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용기로부터 분리된 뚜껑은 보관을 소홀히 하면 분실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은, 뚜껑의 본체는 그대로 용기에 결합되어 있고 뚜껑의 덮개만 펼치면 뚜껑의 개구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은 용기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사용하게 되어, 뚜껑을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뚜껑을 분실할 가능성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Also, when attempting to remove contents from a container that has been covered with a lid, the conventional lid must be detached from the container. The lid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is more likely to be lost if storage is neglected.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body is directly coupled to the container, and when the cover of the lid is unfolded, the opening of the lid is opened to take out the contents. Therefore, the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and it is not necessary to store the lid separately.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losing the li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는 용기 하단 내부의 반구 형태와 하단 외부의 구성이 압축 또는 신장에 의하여 길이를 변화시키거나 어느 방향으로도 구부려질 수 있어서, 내용물을 더욱 편리하게 퍼내거나 덜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so,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emispheric shape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and the configuration at the lower end outside can be changed in length or can be bent in either direction by compression or stretch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liev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및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및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d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및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의 결합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의 고정도구를 분리시킬 때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의 고정도구가 분리된 후 뚜껑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의 고정도구가 뚜껑에 결합될 때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lid an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d and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d-2e are perspective views of a lid and contain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enlarged views of a coupling part of a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fixing tool of the l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d is opened after a lid fix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when the lid fixing to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the lid.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The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및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및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d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및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및 용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lid an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d and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d-2e are perspective views of a lid and contain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enlarged views of a coupl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lid and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B.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100)은 본체(110), 제 1 덮개(120), 제 2 덮개(130)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개구는 본체(110)의 윗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10)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에서 윗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본체(110)의 아랫면도 개방될 수 있다. 아랫면은 용기(200)와 결합하고 윗면인 개구는 제 1 덮개(120), 제 2 덮개(130)와 결합할 수 있다. The l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 first lid 120, and a second lid 130. The body 110 may have an opening. The open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can be opened. For example,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an open top 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can also be opened.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with the container 200 and the upper opening can engage with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100)의 제 1 덮개(120)는 본체(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본체(110)의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제 2 덮개(130)는 상기 본체(1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의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개구를 덮는 경우에,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는 바닥과 수평한 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각각 바닥과 수평한 면을 기준으로 30도가 기울어진 사면을 형성하며 개구를 덮을 수 있다. The first lid 120 of the l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0. The second lid 13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cover the opening,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 For example,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may cover the opening by forming slopes inclined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respectively.

또한, 도 2b와 같이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각각 바닥과 수평한 면을 기준으로 90도 미만의 범위에서 보다 큰 각도를 형성하며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뚜껑을 용기에 장착하였을 때 뚜껑에 결합된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내는 도구가 용기 내부에서 내용물과 닿지 않는 상단에 위치하게 되어 용기 안에 분말, 고체, 액체 등의 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음식물을 퍼내거나 덜어내는 도구가 뚜껑과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용기 내부 방향을 향해 들어간 길이보다 뚜껑의 높이가 사면의 경사도 가파름으로 인하여 깊어질 때에 이와 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B,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may cover the opening by forming a larger angle in a range of less tha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respectively. In this case, when the lid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the tool for purging or releasing the food attached to the lid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which does not touch the contents, and various kinds of contents such as powder, solid, This effect can be obtained when the height of the lid is increased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rather than the length of the tool for pouring or draining foo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from the area where the lid is engaged.

용기(200)와 결합하는 본체(110)의 아랫면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어 용기(2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본체 하부(112)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래의 직경보다 늘어난 형태로 용기(200)의 상부에 본체 하부(112)가 결합되는 경우, 해당 소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본체 하부(112)는 용기(200)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coupled with the container 20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body lower portion 112 may be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When the lower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200 in a shape larger than the original diameter, the lower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can maintain the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container 20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용기(200)는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용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100)은 다양한 형태의 용기와 결합할 수 있다. 도 2d 내지 도 2e와 같이, 용기의 입구 사이즈가 비슷하면서 다양한 모양을 가진 용기(200)들과 결합하여 뚜껑(100)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뚜껑(100)으로 다양한 용기(200)에 사용할 수 있어 실용적으로 뚜껑(100) 및 용기(200)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200)는 본체(11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일체형 용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체형 용기로 형성되는 용기(20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container 200 may mean a container that can store contents therein. The l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types of containers. As shown in FIGS. 2d to 2e, the lid 100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ontainers 200 having a variety of shapes and having similar inlet sizes. It is possible to use the lid 100 and the container 200 practically because the lid 100 can be used for the various containers 200. Also, the container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10 to form an integral contain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ainer 200 formed of the integral container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뚜껑(100)의 본체(110) 및 본체의 윗부분을 설명한다. 제 1 덮개(120)는 상기 본체(110)의 개구 중 일부분을 덮고, 상기 제 2 덮개(130)는 상기 본체(110)의 개구 중 상기 제 1 덮개(120)가 덮지 않는 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예컨대,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는 각각 반원 형태일 수 있다. 또는 타원의 일부 형태일 수 있다.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는 서로 겹치지 않고 개구를 덮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Hereinafter, the main body 110 of the lid 1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will be described. The first lid 120 covers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lid 130 covers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0 which is not covered by the first lid 120 have. For example,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may each be semicircular. Or some form of an ellipse.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have an effect of covering the opening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제 1 덮개(120)는 제 1 결합 부분(121)을 가지고, 제 2 덮개(130)는 제 2 결합 부분(131)을 가질 수 있다. 제 1 결합 부분(121)과 제 2 결합 부분(131)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본체(110)의 개구를 덮는 경우, 제 1 결합 부분(121)과 제 2 결합 부분(131)은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에는 중공(150)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150)은 본체(110)의 중앙 또는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개구를 덮을 때에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맞닿는 선이 형성되고 그 선상의 가운데를 중심점으로 하여 중공(15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lid 120 may have a first engagement portion 121 and the second lid 130 may have a second engagement portion 131.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21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31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When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0,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1 can form an engaging portion. A hollow 150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The hollow 15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r the center of the body 110. For example, when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cover the opening, a line connecting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is formed, and a hollow 150 Can be formed.

이하 설명에서, 제 1 결합 부분(121)과 제 2 결합 부분(131)으로 결합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 1 결합 부분(121)과 제 2 결합 부분(131)은 각각 고정도구 결합통로(a, b)를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도구 결합통로(a, b)는 중공벽(a1, b1), 중공벽으로부터 통로의 폭(d1, d2)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이격벽(a2, b2) 및 중공벽(a1, b1)과 이격벽(a2, b2)을 연결하며 고정도구 결합통로(a, b)의 바닥을 막게끔 형성된 바닥면(a3, b3)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a3, b3)은 제 1 덮개와 제 2 덮개의 표면으로부터 각각 고정도구 결합통로의 폭(d1, d2)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ngaging portion by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1 will be described.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21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31 may be configured to form the fixing tool engagement passages a and b, respectively. The fixing tool engagement passages a and b include hollow walls a1 and b1 and spaced walls a2 and b2 and hollow walls a1 and b1 spaced apart from the hollow wall by a width d1 and d2, B3 formed by connecting the spacing walls a2 and b2 and blocking the bottom of the fixing tool engagement passages a and b. The bottom surfaces a3 and b3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by the widths d1 and d2 of the fixing tool engagement passages from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s, respectively.

중공벽(a1, b1)은 제 1 결합 부분(121)과 제 2 결합 부분(131)이 본체의 개구를 덮는 경우에 중공벽(a1, b1)을 기준으로 본체(1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중공(150)을 형성하고 본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는 고정도구 결합통로(a, b)를 형성할 수 있다. The hollow walls a1 and b1 are formed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hollow walls a1 and b1 wh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21 and 131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 hollow 150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fixing tool coupling passages a and b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main body.

제 1 결합 부분(121)과 제 2 결합 부분(131)이 본체의 개구를 덮는 경우에, 제 1 결합 부분의 고정도구 결합통로(a)와 제 2 결합 부분의 고정도구 결합통로(b)는 이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 1 결합 부분의 고정도구 결합통로(a)와 제 2 결합 부분의 고정도구 결합통로(b)가 이어져서 링(ring) 모양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도구 결합통로(a, b)에는 고정도구 상부(3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결합부(315)가 안착되거나 끼움 조립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1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the fixing tool engagement passage (a)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uring tool engaging passage (b)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 For example, a ring-shaped passage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fastening tool engagement passage (a)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the fastening tool engagement passage (b)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The ring-shaped coupling portion 31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tool upper portion 310 may be seated or fitted in the fixing tool coupling passages (a, b).

제 1 덮개(120), 제 2 덮개(130)가 본체(110)를 덮으며 고정되기 위해서는 고정도구(300)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도구(300)가 결합부에 결합되는 경우, 제 1 덮개(120) 및 제 2 덮개(130)는 개구에 덮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tool 300 may be used to fix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to cover and fix the main body 110. When the fixing tool 300 is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may be fixed while being covered with the opening.

본 발명에서 고정도구(300)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음식물 또는 재료를 퍼내거나 덜어 내는데 사용하는 도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숟가락, 젓가락, 포크, 집게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고정도구(300)는 조리할 때뿐만 아니라 취식을 하는데 사용하는 도구가 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고정도구(300)는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따라 음식물이 아닌 것을 뜨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tool 300 may be formed of a tool for use in spreading or removing food or materials for cooking food. For example, it may be a spoon, a chopstick, a fork, a tongs, and the like. The fastening tool 300 may also be a tool for use in cooking as well as for cooking. In some cases, the fastening too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heat something that is not food, depending on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도구(300)는 고정도구 상부(310)와 도구(3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도구 상부(310)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도구 결합통로(a,b)에 안착하거나 끼움 결합하여 제 1 덮개(120), 제 2 덮개(1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의 결합부(315)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도구 상부(3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결합부(315)는 고정도구 결합통로(a,b)에 안착하거나 끼움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통로의 깊이(d1, d2)와 통로의 폭(w1, w2)에 대응하여 모양과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도구 결합통로(a,b)의 깊이(d1, d2)와 폭(w1, w2)보다 1mm 만큼 작은 사이즈를 가지며 고정도구 결합통로(a, b)에 안착될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too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astening tool top 310 and a tool 320.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tool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seated or fitted into the fixing tool engagement passages a and b. Like engagement portion 315 is formed. Shaped engagement portion 31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tool 310 has a depth d1 and a depth d2 of the passage and a width W2 of the passage w1, and w2, respectively. For example, a shap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depths (d1, d2) and the widths w1, w2 of the fixing tool engagement passages (a, b) by 1 mm, .

고정도구 상부(310)의 하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결합부(315)가 고정도구 결합통로(a,b)에 안착하거나 끼움 결합 되는 경우 중공(150)이 폐쇄될 수 있다. 즉, 고정도구 상부(310)는 중공(150)을 막는 마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도구(300)로 인하여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hollow 150 can be closed when the ring-shaped engaging portion 31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tool upper 310 is seated or fitted to the fixing tool engagement passages a and b.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tool 310 may serve as a cap for blocking the hollow 150. It is possible to seal and store the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by the fixing tool 300. [

고정도구 상부(3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100)의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고정도구 상부(310)의 모양은 심미감을 위해서나 사용 용도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미감을 위해 동물 캐릭터 얼굴 모양을 형성하거나, 외부 활동에 사용하기 위하여 가지고 다니기 편하도록 손목에 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anchoring tool top 310 may serve as the handle of the lid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upper part 310 of the fixing tool can be variously modified for aesthetics or for use. For example, it can form an animal character face shape for aesthetics, or it can form a hook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for easy carrying for outdoor us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구(320)는 물질 또는 물체를 퍼내거나 덜어내는 도구일 수 있다. 도구(320)는 앞서 설명한 고정도구(300)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즉, 숟가락의 둥그런 형상을 하고 움푹 패인 부분, 포크의 삼지창 부분 등이 될 수 있다. The tool 3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ool for purging or dispensing a substance or object. The tool 320 may be a part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fixing tool 300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it can be a round shape of a spoon, a hollow part, and a trunk part of a fork.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구(320)는 고정도구 상부(310)와 연결되며 중공(15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도구 상부(310)의 하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결합부(315) 내에는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용기 내부의 하방으로 향하되 용기 내부의 물질 또는 물체를 퍼내거나 덜어내는 도구(320)가 형성된다. 도구(320)는 음식물과 직접 접촉하는 역할을 하므로, 위생관리가 중요할 수 있다. 도구(320)를 용기 내부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도구(320)가 외부의 오염이나 노출로부터 차단되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tool 3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tool 310 and may be formed through the hollow 150. More specifically, in the ring-shaped engaging portion 31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tool 310, a tool 320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directed downward inside the container, Is formed. Since the tool 32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ood, sanitary management may be important. By placing the tool 320 inside the container, the tool 320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contamination or exposure and can be used hygienicall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100)의 제 1 덮개(120) 일 면, 예를 들면 제2덮개(130)와 맞닿아 마주하게 되는 제1덮개(120)의 일 면에는 돌기(17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덮개(120)와 맞닿아 마주하게 되는 제 2 덮개(130)의 일 면에는 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덮개(130)에는 돌기(170)가 형성될 수 있고, 제 1 덮개(120)에는 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개구를 덮는 경우에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맞닿는 부분에서 돌기(170)가 홈(160)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홈(160)과 돌기(1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하여,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는 본체(110)를 덮는 상태로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으로 뚜껑(1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는 외부와의 접촉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e first lid 120 of the l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d 120 and a second lid 130, And a groove 16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lid 130 which abuts and faces the first lid 120. In some cases, protrusions 17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lid 130, and grooves 160 may be formed in the first lid 120. When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cover the opening, the protrusion 170 can be fitted into the groove 160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abut The grooves 160 and the protrusions 170 may be formed. Because of this coupling,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can be fixed to the main body 110 in a state of covering the main body 110. Also, with this coupling, the inside formed by the lid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ct with the outside.

돌기(170)와 홈(160)이 끼움 결합되는 부분의 표면은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기(170)의 표면은 볼록한 원형으로 형성되고 홈(160)의 표면은 오목한 패여 원을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개구를 덮는 상태로부터 개구를 개방하도록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벌어지는 과정에서 돌기(170)와 홈(160)의 결합이 풀어지게 된다. 완만한 곡선 표면으로 인하여 돌기(170)와 홈(160)의 결합이 풀어질 때에, 부드럽게 움직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회전 중에 받을 수 있는 마찰 압력을 줄여주어 뚜껑(100)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170 and the groove 160 are fitted to each other can be formed in a gentle curve.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 170 may be formed in a convex circular shape, and the surface of the groove 160 may be formed in a shape to receive a concave depression circle.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are opened so as to open the opening from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cover the opening, The coupling is relea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entle curved surface smoothly moves when the projection 170 and the groove 160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frictional pressure that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can receive during rotation can be reduced, and the lid 100 can be used for a long time.

홈(160)에는 고무패킹을 넣어서 구성할 수 있다. 고무패킹으로 인하여 홈(160)과 돌기(170)의 결합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밀착도가 높아져 보다 완전하게 용기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grooves 160 can be formed by inserting a rubber packing. There is no gap between the grooves 160 and the protrusions 170 due to the rubber packing, and the tightness of the grooves is increased, thereby seal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more completely.

위에서 설명한 홈(160)과 돌기(170)의 형상의 원리는 중공(150)을 형성하는 제 1 결합 부분(121) 및 제 2 결합 부분(131)에도 적용될 수 있다. 중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맞닿는 부분(121a, 131a)이 홈(160)과 돌기(170)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에서 이러한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홈(160)과 돌기(170)의 상기 형상의 원리로 인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마찰 압력을 줄여주어 뚜껑(100)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맞닿는 부분(121a, 131a) 중 홈과 같이 오목한 부분(131a)에도 역시 고무패킹을 넣어서 구성할 수 있다. 고무패킹으로 인하여 제 1 결합 부분(121) 및 제 2 결합 부분(131)의 결합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밀착도가 높아져 보다 완전하게 용기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inciple of the shape of the groove 160 and the protrusion 170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1 forming the hollow 150. [ The abutting portions 121a and 131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groove 160 and the projection 170 to form the hollow. This shape can be confirmed in Fig. 3A. Due to such a configuration, there may be the same effect as the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shape of the groove 160 and the protrusion 170. Accordingly, the frictional pressure can be reduced and the lid 100 can be used for a long time. Also, in order to form a hollow, the concave portion 131a of the abutting portions 121a and 131a may also be formed by inserting a rubber packing. There is no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121 and 131 due to the rubber packing, and the tightness is increased, thereby seal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more completel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100)은 제 1 덮개(120)와 연결하는 제 1 연결부(140)및 제 2 덮개(130)와 본체(110)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140)와 제 2 연결부(140)는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동일하게 연결부(140)라 지칭할 수 있다. 연결부(140)에 의하여 제 1 덮개(120), 제 2 덮개(130)와 본체(110)는 힌지 결합할 수 있다. 힌지 결합이란 제 1 덮개(120), 제 2 덮개(130)가 본체(110)에 붙어서 본체(11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연결부(140)는 힌지 결합의 기준 축이 될 수 있다. The l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140 connected to the first lid 120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40 connecting the second lid 130 and the main body 110 . The first connection part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connection part 140 in the same manner.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can be hinged to the main body 110 by the connection part 140. [ The hinge coupling may mean that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are attached to the main body 110 and rotate about the main body 110. The connection portion 140 may be a reference axis of the hinge coupling.

제 1 연결부(140)와 제 2 연결부(140)는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체의 탄성으로 인하여 제 1 덮개와 제 2 덮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제 1 덮개(120) 또는 제 2 덮개(130)가 본체(110)를 덮은 상태에서 개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일정한 강도 이상의 힘을 한 번 주는 경우, 더 이상 지속적으로 힘을 주지 않아도 탄성에 의해 개구가 개방될 수 있다. 반면에, 제 1 덮개(120) 또는 제 2 덮개(130)가 본체(110)를 덮은 상태에서 개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일정한 강도 이상의 힘을 주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110)를 덮은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0 may be made of an elastic body.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can operate as follows. When the first lid 120 or the second lid 130 covers the main body 110 and a force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strength is applied once to open the opening, Can be ope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lid 120 or the second lid 130 is covered with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110 is not covered by the main body 110, have.

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제 1 덮개(120) 또는 제 2 덮개(130)와 본체(110)와의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10)와 제 1 덮개(120) 사이 또는 본체(110)와 제 2 덮개(130) 사이의 각도가 120도인 상태를 유지하며, 개구가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제 1 덮개(120) 또는 제 2 덮개(130)가 본체(110)를 덮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서도 앞서 설명한 원리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일정한 강도 이상의 힘을 한 번 주면 더 이상 지속적으로 힘을 주지 않아도 탄성에 의해 제 1 덮개(120) 또는 제 2 덮개(130)가 본체(110)를 덮을 수 있다. 반면에, 일정한 강도 이상의 힘을 주지 않는 경우에는 개구가 개방된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first lid 120 or the second lid 130 and the main body 110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is opened can be kept constant. For example, the angle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first lid 120 or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lid 130 may be 120 degrees, and the opening may be in an open state. The same principle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rotate the first lid 120 or the second lid 130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s are opened so as to cover the main body 110. [ That is, once the force of a predetermined strength or more is applied, the first lid 120 or the second lid 130 can cover the main body 110 by elasticity even if the force is not continuously appli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a force of not less than a predetermined strength is not given, the opening can be returned to the opened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100)은 용기에도 본 발명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용기(200)는 앞서 설명한 대로,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은 용기(200)와 뚜껑의 본체(110)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이지만, 경우에 따라 분리되지 않고 용기(200)가 뚜껑의 본체(110)와 분리되어 있지 않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l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ntainer as it is. The container 200 may mean a portion that can store the contents therein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in a form in which the container 200 and the lid body 1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ntainer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separating from the main body 110 of the lid .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200)는 개구를 가지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의 개구부를 덮는 제 1 덮개(120) 및 상기 본체(1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의 개구부를 덮는 제 2 덮개(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덮개(120)는 제 1 결합 부분(121)을 가지고 상기 제 2 덮개(130)는 제 2 결합 부분(131)을 가지며, 상기 제 1 덮개(120)와 상기 제 2 덮개(130)가 상기 본체(110)를 덮는 경우, 상기 제 1 결합 부분(121)과 제 2 결합 부분(131)은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contain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10 having an opening, a first lid 1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cover an opening of the main body 110, And a second lid 13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covering an opening of the main body 110. The first lid 120 has a first engag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lid 130 is a second When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cover the main body 110,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121 and 131 have a joint portion 131, A coupling portion can be formed.

용기(200)의 본체는 수용부(210)와 지지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일체형 용기의 경우에 본체(110)와 용기(2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0)는 수용부(210) 하단에 위치하고, 용기가 균형을 잡고 바닥에 놓여질 수 있도록 바닥과 맞닿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10)의 내부 하면은 반구 형태로 아래로 함몰된 오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내부 바닥면이 수평한 것이 아니라 반구 형태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일 수 있다. 반구 형태의 바닥면으로 인하여, 용기(200)에 담긴 내용물은 반구 중앙으로 모이게 된다. 더하여, 내용물이 바닥에 깔려 있거나 붙어 있는 경우에도 보다 손쉽게 뜰 수 있다. The body of the container 200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210 and a supporting part 220. In the case of the integral container, the body 110 and the container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supporting portion 22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210 and may be formed flat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1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balanced and placed on the floor.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211 that is depressed downward in a hemispherical shape. That is, the inner bottom surface may be in the form of a concave depression instead of a horizontal one. Due to the hemispherical bottom surfac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200 are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hemisphere. In addition, it is easier to float if the contents are laid or stuck on the floor.

지지부(220)는 압축 또는 신장에 의하여 길이를 변화시키거나 어느 방향으로도 구부려질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고무 자바라 등이 될 수 있다. 지지부(220)로 인하여 고정도구(300)를 결합부로부터 분리하는 순간에, 고정도구(300)를 일정하지 않은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 인하여 뚜껑(100) 또는 용기(200)가 균형을 잃고 쓰러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100)의 입구를 보다 편리하고 쉽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부에서 고정도구(300)를 어느 방향으로 잡아 당기더라도 용이하게 뚜껑(100)을 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support 220 may be formed to include a material that can be bent or bent in either direction by compression or stretching. For example, it may be a rubber bellows. The lid 100 or the container 200 may be unbalanced and collapsed due to pulling of the fixing tool 300 in an unequal direction at the moment of separating the fixing tool 300 from the coupling part due to the supporting part 220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ning of the lid 100 can be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opened and clo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id 100 can be easily opened even if the fixing tool 300 is pulled out from the outside in any direction.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100)의 고정도구(300)를 분리시킬 때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고정도구(300)가 분리될 때의 뚜껑(100)의 동작과 특징을 설명한다. 4 to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fixing tool 300 of the l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the op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d 100 when the fastening tool 300 is separated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100)은 고정도구(300)를 제 1 덮개(120), 제 2 덮개(130)로부터 분리시키면, 각 제 1 덮개(120), 제 2 덮개(130)는 개구를 덮는 위치로부터 개구를 개방하는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도구(300)를 분리시키는 방법의 예로는 고정도구(300)의 고정도구 상부(310)를 잡아서 당길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고정도구(300)에 중공(150)을 폐쇄시키면서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를 고정시키는 부분과 인접한 하단 부분에 중공의 지름 또는 면적보다 큰 지름 또는 면적을 가진 실리콘 등의 소재로 구성된 얇은 원판 또는 판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도구 상부(310)를 잡아당기는 동작을 하는 과정 중, 상기 얇은 판이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를 위로 미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도구(300)를 잡아당기는 동작 외에 별도의 추가 동작 없이 뚜껑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뚜껑처럼 양손으로 뚜껑을 잡고 돌리거나 압력을 가하는 등의 동작을 따로 할 필요가 없이 고정도구(300)를 잡아 당겨서 분리시키기만 하면 편리하게 뚜껑(100)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l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xing tool 3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the first lid 120, the second lid 130, Can be rotated from a position covering the opening to a position opening the ope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sengaging the securing tool 300 is to pull the securing tool top 310 of the securing tool 300 and pull it. The hollow 150 may be closed by the fastening tool 300 and a diameter or an area larger than the hollow diameter or area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end portion adjacent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are fixed A thin disc or plat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 During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fixing tool upper portion 310, the thin plate can push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upward. Thus, the opening of the lid can be opened without additional operations other than pulling the fastening tool 300.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erform operations such as holding the lid with both hands like the conventional lid, turning the lid, or applying pressure, and it is possible to open the inlet of the lid 100 conveniently by simply pulling and pulling the fastening tool 300 .

또한, 도 4에서 본체 상부(111)가 드러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체 상부(111)에 고무패킹을 넣어서 구성할 수 있다. 고무패킹으로 인하여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본체(110)의 개구를 덮을 때에 틈이 생기지 않고 밀착도가 높아져 보다 완전하게 용기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4, the upper part 111 of the main body is exposed. And a rubber packing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111 of the body. When the first cover 120 and the second cover 130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0 due to the rubber packing, there is no gap and the degree of close contact is increased, thereby seal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more completely.

앞서 설명한 대로, 연결부(140)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고정도구(300)가 결합부로부터 분리되며 제 1 덮개(120) 또는 제 2 덮개(130)에 가해지는 압력만으로도 연결부(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덮개 또는 제 2 덮개(130)가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여 개구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fixing tool 300 is detached from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lid 120 or the second lid 130 can be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40 The first cover or the second cover 1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opening can be completely opened.

또한, 도 4 내지 도 5를 통하여 고정도구(300)를 용기(200)가 놓인 수평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잡아당길 때의 용기의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 고정도구(300)가 용기(200)가 놓인 수평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많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의 각도에서 잡아당기는 모습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지지부(220)는 바닥에 놓여 균형 잡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 고정도구(300)가 용기(200)가 놓인 수평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의 각도를 벗어나서 잡아당기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지지부(220)는 길이가 변화하거나 잡아당기는 방향에 따라 구부려지면서 모양이 변하게 되고 용기(20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to 5,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tate of the container when pulling the fixing tool 300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plane on which the container 200 is placed. 4, the fixing tool 300 is pulled at an angle within a range not deviating much from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lane on which the container 200 is placed. In such a case, the support portion 220 can be placed on the floor and maintained in a balanced state. In the case of FIG. 5, the fixing tool 300 is pulled out of an angle of more than a certain range from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lane on which the container 200 is placed. In such a case, the support portion 220 may be bent along the length or pulling direction to change its shape and prevent the container 200 from collapsing.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100)의 고정도구(300)가 분리된 후 뚜껑(100)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체(110)의 개구가 전부 개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100 is opened after the fixing tool 300 of the lid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0 is completely opened.

또한, 뚜껑(100)이 개방된 경우에도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뚜껑(100)을 덮어 밀폐시킨 용기(200)로부터 내용물을 꺼내려고 할 때 뚜껑(100)의 본체(110)는 그대로 용기에 결합되어 있고 뚜껑(100)의 덮개(120, 130)만 펼치면 뚜껑의 개구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뚜껑(100)은 뚜껑(100)과 결합한 용기(200)로부터 내용물을 꺼내기 위하여, 뚜껑(100)을 용기(200)로부터 분리하여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뚜껑(100)을 분실할 가능성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It can also be seen that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are coupl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even when the lid 100 is opened. Due to such a structure, when the contents are taken out from the container 200 covered with the lid 100, the main body 110 of the lid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ainer, and the lids 120, 130) is unfolded, the opening of the lid is opened and the contents can be taken out. The l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separate the lid 100 from the container 200 and store it separately in order to retrieve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200 coupled with the lid 100.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losing the lid 100.

또한, 고정도구(300)에 내용물이 끼워지거나 담아져 있었던 경우에는, 고정도구(300)를 용기(200) 또는 뚜껑(100)으로부터 분리하면서 동시에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ents are inserted or contained in the fixing tool 300, the fixing tool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200 or the lid 100 and the contents can be taken out at the same tim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100)의 고정도구(300)가 결합될 때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고정도구(300)를 뚜껑(100)으로부터 분리할 때와 마찬가지로,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는 도 7의 (1)과 같은 상태에서 약한 압력만으로도 연결부(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덮개 또는 제 2 덮개(130)가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여 개구를 덮을 수 있다. 도 7의 (2)가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개구를 덮은 상태를 나타낸 모습이다. 제 1 덮개(120)와 제 2 덮개(130)가 개구를 덮은 후에, 도 7의 (3)과 같이 고정도구(300)를 결합부에 안착 또는 끼움 결합 시킬 수 있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when the fixing tool 300 of the lid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lid 1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40 by only a weak pressure The first lid or the second lid 130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cover the opening. 7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cover the opening. After the first lid 120 and the second lid 130 cover the opening, the fixing tool 300 can be seated or fitted to the engaging portion as shown in (3) of FIG.

앞선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참조된 도면 각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각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의 항목, 내용과 이미지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Each of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foregoing embodiments is merely one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tems, contents and images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each screen can be modified and display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뚜껑
110: 본체
111: 본체 상부
112: 본체 하부
120: 제 1 덮개
121: 제 1 결합 부분
130: 제 2 덮개
131: 제 2 결합 부분
140: 제1 연결부, 제 2 연결부, 연결부
150: 중공
160: 홈
170: 돌기
200: 용기
210: 수용부
211: 오목부
220: 지지부
300: 고정도구
310: 고정도구 상부
320: 고정도구 하부
a: 통로
b: 통로
a1: 중공벽
b1: 중공벽
a2: 이격벽
b2: 이격벽
a3: 바닥면
b3: 바닥면
w1: 통로의 폭
w2: 통로의 폭
d1: 통로의 깊이
d2: 통로의 깊이
100: lid
110:
111:
112:
120: first cover
121: first coupling portion
130: Second cover
131: second coupling portion
140: first connection part,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ion part
150: hollow
160: Home
170:
200: container
210:
211:
220: Support
300: Fixing tool
310: Fixing Tool Top
320: Fixing Tool Lower
a: passage
b: passage
a1: hollow wall
b1: hollow wall
a2:
b2:
a3: Floor surface
b3: Floor surface
w1: Width of passage
w2: Width of passage
d1: Depth of passage
d2: Depth of passage

Claims (8)

용기 상부에 결합되되 윗면과 아랫면이 서로 관통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본체 윗면의 개구 일부를 덮는 제1덮개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윗면의 나머지 개구를 덮는 제2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가 서로 맞닿아 마주할 경우 중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 각각의 일측 끝단 중앙부위에는 반원형의 중공벽과 상기 중공벽과 소정 거리 이격된 반원형의 이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벽의 하부와 상기 이격벽의 하부가 서로 연결되어 고정도구 결합통로의 바닥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가 서로 맞닿아 마주할 경우 형성되는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를 고정시키는 고정도구;를 더 포함하되,
손잡이가 형성된 상기 고정도구 상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가 서로 맞닿아 마주할 경우 형성되는 링 형상의 상기 고정도구 결합통로에 안착하거나 끼움 결합되는 링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내에는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용기 내부의 하방으로 향하되 용기 내부의 물질 또는 물체를 퍼내거나 덜어내는 도구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구 결합 구조를 갖는 덮개 개폐식 뚜껑.
A main bod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passing through each other;
A first li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overing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li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remaining opening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are formed so that when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semicircular hollow wall and a semicircular spaced wall spaced apart from the hollow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ends, and a lower portion of the hollow wall and a lower portion of the spacing wal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And a fixing tool inserted into the hollow formed wh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lose the hollow and fix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 ring-shaped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tool having the handle formed thereon for fitting or fitting into the ring-shaped fixing tool coupling passage formed wh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tool for inserting or removing a substance or an object inside the container i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the insertion part being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directed downwardly inside the contai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 각각의 일측은 탄성체 재질의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본체에 연결되되, 상기 제1 및 제2덮개가 바닥과 수평한 면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구 결합 구조를 갖는 덮개 개폐식 뚜껑.[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lids are connect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plane A lid retractable lid having a tool engagement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가 서로 맞닿아 마주하게 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면에는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구 결합 구조를 갖는 덮개 개폐식 뚜껑.[4]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formed with protrusions on one of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he other surface is formed with a groove to which the protrusions are coupled. Cover-opening lid with coupling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88637A 2016-07-13 2016-07-13 The lid with retractable cover coupled with the tool part KR1019226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637A KR101922666B1 (en) 2016-07-13 2016-07-13 The lid with retractable cover coupled with the tool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637A KR101922666B1 (en) 2016-07-13 2016-07-13 The lid with retractable cover coupled with the tool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12A KR20180007512A (en) 2018-01-23
KR101922666B1 true KR101922666B1 (en) 2018-11-27

Family

ID=6107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637A KR101922666B1 (en) 2016-07-13 2016-07-13 The lid with retractable cover coupled with the tool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66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480B1 (en) * 2011-05-20 2011-10-27 이승용 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
KR200478430Y1 (en) * 2015-01-20 2015-10-06 변종철 food container with multi-roo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480B1 (en) * 2011-05-20 2011-10-27 이승용 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
KR200478430Y1 (en) * 2015-01-20 2015-10-06 변종철 food container with multi-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12A (en)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2467C2 (en) Hand-held mixing vessel
JP5373977B2 (en) Tea maker with closable pouring opening
US8307755B2 (en) Container with an improved structure
US7806298B2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KR20100078576A (en) Lid for a vacuum receptacle and, check valve and packing for the lid
US11548696B2 (en) Lid for a container
KR20210110603A (en) Container lid with rotatable sipper and flexible handle
JP2010527865A (en) Loss of stopper and empty rotation prevention container
JP2005022673A (en) Eye lotion container
CA2959636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robust, collapsible handle
KR101922666B1 (en) The lid with retractable cover coupled with the tool part
JP4240440B2 (en) Cap for container pouring
JP3916229B2 (en) Sealed stacked container
KR100749826B1 (en) Sealed container
JP6469478B2 (en) Caps and containers with caps
KR101600052B1 (en) A food container
KR101311949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straw
KR102607335B1 (en) The assembled one-touch cup for sacramental ceremony
KR200485378Y1 (en) Container for food
KR101181510B1 (en) Lids of the cooking vessel
KR200480691Y1 (en) Tumbler having straw supporter
JP3483516B2 (en) PET bottle storage container
JP3144781B2 (en) Beverage container
KR20190033243A (en) Container
KR200481323Y1 (en) A Storag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