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480B1 - 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 - Google Patents

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480B1
KR101077480B1 KR1020110047936A KR20110047936A KR101077480B1 KR 101077480 B1 KR101077480 B1 KR 101077480B1 KR 1020110047936 A KR1020110047936 A KR 1020110047936A KR 20110047936 A KR20110047936 A KR 20110047936A KR 101077480 B1 KR101077480 B1 KR 10107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ool
tool body
carry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1020110047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4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하는 도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출 도구를 뚜껑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뚜껑을 분리함과 동시에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 도구로 편리하게 반출할 수 있고, 반출 후에는 뚜껑을 닫는 과정만으로 반출 도구가 보관되며, 뚜껑을 여닫거나 내용물을 반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용물이 넘치거나 묻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며, 중심에 인입공을 갖는 제1체결구가 구비되어 있는 주 뚜껑 및 상기 제1체결구의 인입공을 통과해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보관되며 상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퍼내는 도구 몸체와, 상기 도구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도구 몸체 사이에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1체결구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 뚜껑을 구비한 반출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carrying out a single tool having a tool for unload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in particular, by providing the tool to the lid integrally, the lid is separ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s a tool for carrying ou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nd the export tool is stored only by the process of closing the lid after the export, and the export tool integrated container that can prevent the contents from overflowing or buried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lid or contents .
To this end, the container carry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lid and the first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in which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t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 upper end of the container, the first fastener having a hole in the center The tool body is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y passing through the opening hole of the 1 fastener, and provid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tool bod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ool body and the handle and the tool body. And a carry-out tool having an auxiliary lid having a second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fastener.

Description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 {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

본 발명은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하는 도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출 도구를 뚜껑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뚜껑을 분리함과 동시에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 도구로 편리하게 반출할 수 있고, 반출 후에는 뚜껑을 닫는 과정만으로 반출 도구가 보관되며, 뚜껑을 여닫거나 내용물을 반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용물이 넘치거나 묻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carrying out a single tool having a tool for unload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by carrying out the integrally equipped with the tool for carrying out the lid to remove the lid and at the same time to take ou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It can be conveniently taken out by a tool, and after carrying out, the carrying out tool is stored only by closing the lid, and the carrying out tool integrated container which can prevent the contents from overflowing or burying in the process of opening or closing the lid or taking out the contents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분말 형태의 분유, 설탕이나 소금과 같은 조미료, 잘게 썰은 파나 다진 마늘과 같은 식재료, 잼, 밥 및 과자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는 내부에 보관 공간을 구비하고, 개방된 상부는 뚜껑에 의해 여닫도록 되어 있으며, 그 외 스푼 등과 같은 반출 도구를 별도로 구비하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containers for storing various contents, including powdered milk powder, seasonings such as sugar or salt, ingredients such as chopped green onions or chopped garlic, jams, rice and sweets, etc.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closed by a lid, and is separately provided with a carrying tool such as a spoon so tha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n be taken out.

그러나, 이상과 같이 반출 도구를 별도로 구비하게 되면, 당해 반출 도구를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그 자체의 문제점은 물론, 반출 도구가 용기나 뚜껑과 분리된 독립된 구조에 기인한 분실의 위험과, 사용 후마다 세척을 해야하는 번거로움 및 야외활동시에는 세척의 어려움으로 인한 재사용의 불편함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However, if a separate carrying tool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risk of loss due to the independent structure in which the carrying out tool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or the lid, as well as the problem of having to carry the carrying out tool separately, and cleaning after each use Various problems have occurred, including the inconvenience of reuse due to the hassle and the difficulty of cleaning during outdoor activitie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반출 도구를 뚜껑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뚜껑을 분리함과 동시에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 도구로 편리하게 반출할 수 있고, 반출 후에는 뚜껑을 닫는 과정만으로 반출 도구가 보관되므로 별도의 세척을 불필요하게 하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having the carrying tool integrally with the lid, the lid can be removed and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n be conveniently taken out as the carrying tool, and after the lid, Since the export tool is stored only by closing the proces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tainer for carrying out a separate tool that does not require separate cleaning.

그에 더해, 본 발명은 뚜껑을 여닫거나 내용물을 반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용물이 넘치거나 묻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내용물을 밀폐 보관할 수 있고, 분말 형태의 분유, 설탕이나 소금과 같은 조미료, 잘게 썰은 파나 다진 마늘과 같은 식재료, 잼, 밥 및 과자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어서 보관 용기 및 개인 식사(취사) 용구를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ontents from overflowing or buried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lid or the contents, as well as keeping the contents closed, seasonings such as powdered milk powder, sugar or salt To store various contents, including jams, rice and sweets, ingredients such as chopped green onions and chopped garlic, and to provide an integrated container for carrying out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storage containers and personal meals (cooking). .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며, 중심에 인입공을 갖는 제1체결구가 구비되어 있는 주 뚜껑; 및 상기 제1체결구의 인입공을 통과해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보관되며 상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퍼내는 도구 몸체와, 상기 도구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도구 몸체 사이에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1체결구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 뚜껑을 구비한 반출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container carry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that is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A main lid which opens and closes an open upper end of the container, and has a first fastening hole having a hole in the center thereof; And a tool body which is stored in the container and passes ou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rough the inlet hole of the first fastener, and is provid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handle and the tool bod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ool body. And a carrying-out tool having an auxiliary lid having a second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fasten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주 뚜껑; 및 상기 주 뚜껑의 하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에 보관되며 상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퍼내는 도구 몸체와 상기 주 뚜껑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손잡이를 구비한 반출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carry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containing the contents therein; A main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upper end of the container; And a carrying-out tool having a tool body fixedly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main lid and stored inside the container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a handl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lid. It features.

이때, 상기 용기 내부에는 상기 도구 몸체와 내용물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수납부를 구비하여, 상기 도구 몸체가 상기 수납부 내부에 삽입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art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tool body and the contents, and the tool body is inserted an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 형상의 수납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a fitting groove in which the tubular accommodating portion is fitted and assembl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도구 몸체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상기 끼움홈의 바닥면 사이에 해당하는 여유 높이만큼 길이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ool body is preferably extended in length by a clearance height corresponding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또한, 상기 반출 도구를 바닥면에 놓을 때 상기 손잡이는 바닥면에 닿고 상기 도구 몸체는 떠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무게가 상기 도구 몸체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of the handle is relatively heavier than the tool body so that when the carrying out tool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the handle touches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ol body floats.

또한, 상기 반출 도구는 조립 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구 몸체는 상기 조립 코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도구 몸체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rrying out tool further comprises an assembly core, the tool body is preferably detachably assembled to the assembly core, to enable the replacement of the tool body.

또한, 상기 제1체결구는 상기 주 뚜껑의 상면 중심에 형성된 체결홈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구는 상기 주 뚜껑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er is provided in a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li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astener does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lid.

또한, 상기 용기의 하면에는 개폐가 가능한 청소용 뚜껑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leaning lid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에 의하면 반출 도구를 뚜껑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뚜껑을 분리함과 동시에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 도구로 반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tainer carrying container integ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rrying tool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li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can be taken out with the carrying-out tool at the same time as the lid is remov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또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반출 후에는 뚜껑을 닫는 과정만으로 반출 도구가 보관되므로 반출 도구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사용 후 마다의 잦은 세척을 불필요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store the carrying out tools separately, as well as the need for frequent cleaning after use, since the carrying out tools are stored only after closing the lid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도구 몸체가 용기 내에서 내용물과 분리하여 보관되므로 뚜껑을 여닫거나 내용물을 반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용물이 넘치거나 묻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ol body is stored separately from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so that the contents can be prevented from overflowing or buried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lid or the contents taken out.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을 밀폐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분말 형태의 분유, 설탕이나 소금과 같은 조미료, 잘게 썰은 파나 다진 마늘과 같은 식재료, 잼, 밥 및 과자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어서 보관 용기 및 개인 식사(취사) 용구를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keep the contents closed, but also can store a variety of contents, including powdered milk powder, seasonings such as sugar or salt, food ingredients such as chopped green onions and minced garlic, jams, rice and sweets, etc. I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including storage containers and personal food (cooking) utensi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의 다양한 반출 도구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의 반출 도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의 반출 도구의 보관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의 또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unloading a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carrying a contain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various unloading tools of the unloading container integrat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rrying tool of the carrying tool integrat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orage state diagram of the carrying tool of the carrying tool integrat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container carry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other state of use of the container carry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and 8 (b) are views showing a container for unloading a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unloading a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carry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및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100)는 내부에 분말 형태의 분유, 설탕이나 소금과 같은 조미료, 잘게 썰은 파나 다진 마늘과 같은 식재료 및 그 외 잼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110)와, 상기 용기(110)의 개방된 상단부를 여닫는 주 뚜껑(120) 및 상기 주 뚜껑(120)에 일체로 조립됨으로써 그 도구 몸체가 용기(110)의 내부에 보관되는 반출 도구(130)를 포함한다.First, as can be seen through Figures 1 and 2, the export tool integrated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wdered milk powder, seasonings such as sugar or salt, finely chopped green onions and chopped garlic and The container 110 for storing a variety of contents, including the same food and other jams, and the main lid 1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upper end of the container 110 and the main lid 120 are integrally assembled The tool body includes an unloading tool 130 that is stored inside the container 110.

따라서, 본 발명은 주 뚜껑(120)을 분리하기만 하면 주 뚜껑(120)에 일체로 구비된 반출 도구(130)로 용기(110)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반출 후에는 주 뚜껑(120)을 닫는 과정만으로 반출 도구(130)가 용기(110) 내에 보관되므로 반출 도구(130)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사용시마다 반출 도구(130)를 세척할 필요가 없게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because it can be carried ou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110 with the carrying out tool 130 integrally provided on the main lid 120 just by removing the main lid 120, Since the export tool 130 is stored in the container 110 only by closing the main lid 120 after the export, there is no need to store the export tool 130 separately, and the cleaning tool 130 needs to be cleaned every time it is used. Do not have.

이를 위해, 상기 용기(110)는 일 예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내부에 분말 타입의 분유 등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고, 상부 외주면에는 주 뚜껑(120)이 끼워지는 개폐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112)은 소정 높이를 갖도록 두껍게 형성하되 그 중심에는 끼움홈(113)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To this end, the container 110, for example,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to accommodate the contents, such as powdered milk powder, t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1 is fitted with the main lid 120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 Is formed, the bottom surface 112 is formed thick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he center of the fitting groove 113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또한, 용기(110) 내부에는 반출 도구(130)의 도구 몸체(131)와 내용물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수납부(114)를 구비하고 있어서, 도구 몸체(131)가 수납부(114) 내에 삽입 보관되는데, 이러한 수납부(114)는 일 예로 상하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고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11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art 114 for preventing contact between the tool body 131 and the contents of the carrying out tool 130, so that the tool body 131 is inserted an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4. The accommodating part 114 is, for example, formed in a tubular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 and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물론,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 이외에 주 뚜껑(120)을 닫았을 때 용기(110) 내부에 위치하는 도구 몸체(131)가 수납될 수만 있다면, 단면이 다각형인 관이나, 상부만 개방된 수용박스 등 다양한 형상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Of course, if the tool body 131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110 can be accommodated when the main lid 120 is closed in addition to the upper and lower open tube shapes, the tub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or a receiving box opened only at the top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shapes may be applied.

이러한 수납부(114)를 구비하면, 주 뚜껑(120)을 열면 그에 결합된 도구 몸체(131) 역시 인출됨에 따라 용기(110)에 가득 채워진 내용물이 도구 몸체(131)의 인출 동작에 의해 원치 않게 딸려나와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110)에 가득 차 있는 내용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이나 마찰력에 의해 도구 몸체(131)의 인출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수납부(114)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도구 몸체(131)를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다. When the housing 114 is provided, the tool body 131 coupled thereto is also opened when the main lid 120 is opened, so that the contents filled in the container 110 are undesired by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tool body 131. Prevents the overflow of the tool body 131 by pressure or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contents filled in the container 110, and prevents the overflow of the tool body 131. The tool body 131 can be kept clean.

즉, 본 발명에서의 수납부(114)는 내용물과 도구 몸체(131)가 서로 접촉하지 않게 하는 격벽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상과 같은 효과를 갖게 한다.That is, the housing 114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as described above because it serves as a partition wall so that the contents and the tool body 131 does not contact each other.

한편, 이상과 같이 수납부(114)가 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여 끼움홈(113)도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납부(114)의 하단부가 끼움홈(113) 내에 끼워져 조립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using 114 is formed in a circular tub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fitting groove 113 also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hereto,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14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3. It is desirable to allow assembly.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수납부(114)를 끼움홈(113)에 끼워 조립할 수 있게 하면, 수납부(114)를 끼움홈(113)에 밀어넣거나 잡아당기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수납부(114)를 분리하여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수납부(114)가 분리된 용기(110) 역시 편리하게 청소 할 수 있다.By allow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o be assembled into the fitting grooves 113, respectively, the openings 114 can be detached by a simple operation of simply pushing or pulling the storage portions 114 into the fitting grooves 113. Therefore, the storage unit 114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conveniently. Likewise, the container 110 in which the storage unit 114 is separated can also be conveniently cleaned.

또한, 바닥면(112)이 소정 높이를 갖도록 다소 두껍게 형성하고, 이러한 바닥면(112)에 끼움홈(113)을 소정 깊이로 형성하면, 끼움홈(113)이 없는 경우에 비해 도구 몸체(131)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더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용기(110)의 깊은 곳에 있는 내용물을 반출할 때도 불편함이 없게 한다.
In addition, when the bottom surface 112 is formed slightly thicker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fitting groove 113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bottom surface 112, the tool body 131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itting groove 113 is not present. Since the length of the) can be relatively longer, there is no inconvenience when taking out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110 deep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다음, 상기 주 뚜껑(120)은 개방된 용기(110)의 상단부를 여닫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일반적인 뚜껑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주 뚜껑(120)의 상면 중심부에는 체결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121) 내에는 제1체결구(1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결구(122)에는 도구 몸체(131)가 관통하여 용기(110) 내부의 수납부(114)까지 인입될 수 있게 하는 인입공(122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Next, the main lid 120 is to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open container 110, basically made of a shape similar to the general lid, the fastening groove 12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lid 120 The fastening groove 121 has a first fastening hole 122 provided therein, and a tool body 131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122 to accommodate the storage part 114 inside the container 110. An inlet hole 122a through which the inlet hole can be inserted is formed.

따라서, 제1체결구(122)에 형성된 인입공(122a)과 수납부(114)를 상하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하면, 도구 몸체(131)가 인입공(122a)을 통과한 후 속이 빈 수납부(114)의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이상과 같이 주 뚜껑(120)을 닫는 동작만으로도 도구 몸체(131)가 용기(110) 내의 수납부(114)에 보관될 수 있게 한다.Therefore, when the inlet hole 122a and the receiving unit 114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hole 122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tool body 131 passes through the inlet hole 122a and is hollowed out. By being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114, the tool body 131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4 in the container 110 only by closing the main lid 120 as described above.

또한, 일 예로서 제1체결구(122)는 중심에는 인입공(122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주 뚜껑(120)에 구비된 제1체결구(122)와 반출 도구(130)의 보조 뚜껑(133)에 구비된 제2체결구(미도시)를 서로 나사 결합 방식으로 간단히 조립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first fastening hole 122 has a through hole 122a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has a bolt shape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122 and the second fastener (not shown) provided in the auxiliary lid 133 of the carrying out tool 130 can be easily assembled by screwing together.

다만, 제1체결구(122)를 주 뚜껑(120)의 상면 중심에 형성된 체결홈(121) 내에 구비함에 있어서, 제1체결구(122)가 주 뚜껑(1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1체결구(122)의 높이를 낮게 하거나 혹은 체결홈(121)의 깊이를 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first fastener 122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groove 12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lid 120, the first fastener 122 does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main lid 120. It is preferable to lower the height of the first fastener 122 or to deepen the depth of the fastening groove 121.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뚜껑(120)을 식탁 등에 놓아 둘 때, 청결을 위해서 주 뚜껑(120)의 하부면이 하늘을 향하게 하면 반대로 주 뚜껑(120)의 상면은 식탁을 바라보게 되므로, 이때 제1체결구(122)가 식탁에 접하지 않게 하여 오염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제1체결구(122)에 결합되는 반출 도구(130) 역시 오염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When the main lid 120 is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as shown in FIG. 7,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lid 120 faces the sky for cleanlines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lid 120 faces the table. Therefore, in this case, the first fasteners 122 are not in contact with the table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thus the transport tool 130 coupled to the first fasteners 122 is also intended to prevent contamination.

다음, 상기 반출 도구(130)는 용기(110) 내에 담긴 각종 내용물을 반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주 뚜껑(120)에 구비된 제1체결구(122)의 인입공(122a)을 통과해서 용기(110)의 내부에 보관되며 용기(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퍼내는 도구 몸체(131)와, 상기 도구 몸체(131)의 상단부에 결합된 손잡이(132) 및 상기 손잡이(132)와 도구 몸체(131) 사이에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제1체결구(122)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 뚜껑(133)을 포함한다.Next, the carrying out tool 130 is used to carry out various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110, and passes through the inlet hole 122a of the first fastening hole 122 provided in the main lid 120. The tool body 131 is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110 and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110, the handle 132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ool body 131 and the handle 132 and the tool body 131 ) And an auxiliary lid 133 having a second fastening portion (not shown)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coupled to the first fastener 122.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도구 몸체(131)는 제1체결구(122)의 인입공(122a)을 통과해서 용기(110) 내부로 인입되고, 이와 같이 인입된 도구 몸체(131)는 수납부(114)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도구 몸체(131)가 내용물과 접하지 않는 상태에서 보관된다. More specifically, the tool body 131 passes through the inlet hole 122a of the first fastener 122 and enters into the container 110. Since it is located inside), as described above, the tool body 131 is stored in contact with the contents.

또한, 보조 뚜껑(133)은 제1체결구(122)와의 조립을 위한 용도, 제1체결구(122)를 여닫는 뚜껑으로서의 용도, 손잡이(132)와 도구 몸체(131)를 구획하기 위한 격벽의 용도 및 주 뚜껑(120)으로부터 분리된 반출 도구(130)를 수납부(114)에 끼우면 내용물을 보충시 수납부(114)에 내용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용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lid 133 is used for the assembly with the first fastener 122, the use as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fastener 122, the partition of the partition for partitioning the handle 132 and the tool body 131 Use and the carrying out tool 130 separated from the main lid 120 to the storage unit 114 performs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contents from entering the storage unit 114 when replenishing the contents.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주 뚜껑(120)에 제1체결구(122)로서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보조 뚜껑(133)의 제2체결구는 제1체결구(122)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또 다른 나사산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o this end, when a bolt having a thread is formed as the first fastener 122 in the main lid 120, the second fastener of the auxiliary lid 133 is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first fastener 122. It should be made of another thread.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뚜껑(120)과 반출 도구(13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110)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할 수 있음은 물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구(122)와 제2체결구의 결합을 풀어(즉, 분리하여) 반출 도구(130)를 주 뚜껑(12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반출 도구(130) 만으로 내용물을 반출할 수도 있게 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110 may be taken out without separating the main lid 120 and the carrying out tool 130, as shown in FIG. 7. Unfastening (ie, separating) the fastener 122 and the second fastener so that the contents can be taken out only by the carrying out tool 130 with the carrying out tool 130 separated from the main lid 120.

반출 도구(130)를 분리하여 단독으로 내용물을 반출할 수 있게 하면 잔존 내용물의 양이 적어서 반출 도구(130)를 용기(110)의 바닥면(112)까지 깊숙이 넣고 사용할 때 주 뚜껑(120)에 의해 걸림 동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므로 편리한 점이 있다. 물론,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면(112)에 끼움홈(113)을 형성하고 도구 몸체(131)의 길이를 연장하였으므로 이에 의해서도 용기(110)의 깊은 곳에 있는 내용물을 반출 시 불편함을 없게 한다.When the removal tool 130 is separated to allow the contents to be taken out by itself, the amount of remaining contents is small so that the removal tool 130 is inserted deeply into the bottom surface 112 of the container 110 to the main lid 120 when used. This is convenient because it prevents the locking operation from occurring.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itting groove 113 on the bottom surface 112 and extends the length of the tool body 131, thereby discomfort when taking out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110 deeply. Make sure there is no.

또한, 이상과 같이 주 뚜껑(120)으로부터 분리된 반출 도구(130)를 수납부(114)에 끼우면 보조 뚜껑(133)이 수납부(114)의 상단을 막을 수 있으므로 내용물을 다 소비한 후 다시 용기에 보충시 수납부(114)에 내용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용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carrying-out tool 130 separated from the main lid 12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114, the auxiliary lid 133 may block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unit 114. When refilling the container performs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the purpose to prevent the contents enter into the storage unit (114).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보조 뚜껑(133)의 직경이 수납부(114)의 직경보다 커서 보조 뚜껑(133)의 내주면이 수납부(114)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수납부(114) 내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대한 별도의 도시는 생략한다.However,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auxiliary lid 133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part 114,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lid 133 is fit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4. It may be desira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contents from flowing into the housing 114, but a separate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반출 도구(130)를 구성하는 도구 몸체(131)는 하단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다양한 타입의 수용부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는 도 1이나 2와 같이 도구 몸체(131)의 하단에 버킷(bucket)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3의 (a)와 같이 스푼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도 3의 (b)와 같이 단순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내용물이 액상인 것을 고려한 스포이드(spuit) 형상을 비롯하여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ool body 131 constituting the carrying out tool 13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of various types to accommodate the contents at the lower end, which is a bucket (bucket) at the bottom of the tool body 131 as shown in FIG. It may be made of a shape, a spoon shape as shown in (a) of FIG. 3, or may be made of a simple bar shape as shown in (b) of FIG. Of course, it is apparent that the contents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including a spit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liquid phase.

또한, 도구 몸체(131)의 하단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다양한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수용부를 갖는 반출 도구(130)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으나, 도 4와 같이 하나의 반출 도구(130)에 여러 가지 타입의 수용부를 갖는 반출 도구(130)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ontents at the lower end of the tool body 131 may be provided with a carrying tool 130, each having a corresponding receiving portion, but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selectively assemble and use the carrying out tool 130 having th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branch typ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반출 도구(130)에 조립 코어(131a)를 더 포함하고, 도구 몸체(131)는 조립 코어(131a)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도구 몸체(131)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조립 코어(131a)의 측부로 돌출된 끼움돌기(131b)를 구비함으로써 해당 끼움돌기(131b)가 도구 몸체(131)의 내주면을 압착하여 도구 몸체(13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ssembly core 131a in the carrying out tool 130, and the tool body 131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assembly core 131a, so that the tool body 131 can be replaced. In particular, the fitting protrusion 131b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assembly core 131a,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131b compress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ol body 131 so that the tool body 131 is separated. It would be desirable to prevent that.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출 도구(130)를 바닥면(112)에 놓을 때 손잡이(132)는 바닥면(112)에 닿고 도구 몸체(131)는 떠 있게 하여, 도구 몸체(131)가 바닥면(112)에 닿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출 도구(130) 중 손잡이(132)의 무게가 도구 몸체(131)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게 제조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when placing the export tool 130 on the bottom surface 112, the handle 132 touches the bottom surface 112 and the tool body 131 is floating, the tool body In order to prevent the 131 from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112 and being contaminated, the weight of the handle 132 of the carrying out tool 130 is made relatively heavier than the tool body 131.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손잡이(132)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도구 몸체(131)보다 무겁게 하는 방법으로는 그립(grip)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손잡이(132)의 외피는 변형하지 않고 손잡이(132) 내부에 금속 등의 웨이트 조각을 삽입하는 것이 그 제조 측면에서도 바람직할 것이나, 그 외 손잡이(132)의 재질 자체를 더 무거운 것으로 바꾸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a way that the relatively short handle 132 is heavier than the relatively long tool body 131,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132 is not deformed to prevent the grip from deteriorating. Inserting a piece of weight such as a metal into the inside may be desirable in terms of manufacturing, but other methods of changing the material of the handle 132 itself to a heavier weight may be used.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130) 일체형 용기(110)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unloading container 130 and the integrated container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 뚜껑(120)과 반출 도구(130)가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로 든 것이나,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주 뚜껑(120)과 반출 도구(130)가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that the main lid 120 and the carrying out tool 13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the main lid 120 and carrying out tool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130 is fixedly coupled integrally.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arrying out container integrat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8 (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unloading too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unloading too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10)와, 상기 용기(110)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주 뚜껑(141) 및 상기 주 뚜껑(141)의 하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용기(110)의 내부에 보관되며 용기(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퍼내는 도구 몸체(142a)와 상기 주 뚜껑(141)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손잡이(142b)를 구비한 반출 도구(14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8, the container carry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110,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open upper end of the container 110 The main lid 141 and the main lid 141 is opened and closed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lid 141 is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110 and the tool body 142a and the main lid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110 And a carry-out tool 142 having a handle 142b integrally fixed to the top surface of 141.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출 도구(142)를 주 뚜껑(141)과 분리한 상태에서 용기(110) 내의 내용물을 반출하지는 못하지만, 그 외 주 뚜껑(141)을 열어 바로 반출 도구(142a)를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주 뚜껑(141)을 닫는 동작만으로 반출 도구(142)가 보관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세척을 자주 할 필요가 없게 한다는 등의 효과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마찬가지이므로, 이하에서는 그에 대한 좀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110 may not be taken out in the state in which the carrying out tool 142 is separated from the main lid 141. However, the carrying out tool 142a is immediately opened by opening the other main lid 141. And, after use, the effect that the carry-out tool 142 is stored only by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main lid 141 is convenient to use and does not need to be frequently washed, so th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arrying out container integrat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unloading a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는 용기(110)의 하면에 청소용 뚜껑(1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용 뚜껑을 열면(115) 수납부(11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 외 다른 구성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As shown in FIG. 9, the container carry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leaning lid 115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and when the cleaning lid is opened, a storage unit 115 is formed. 114 is inten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ther configurations are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용기(110) 내에 내용물이 채워져 있는 경우에도 청소용 뚜껑(115)을 열고 솔 등으로 수납부(114)를 청소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용기(110)에 내용물이 채워져 있지 않는 경우에는 청소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Therefore, even when the container 110 is filled with the contents, it is possible to open the cleaning lid 115 to clean the housing 114 with a brush or the like. Of course, when the container 110 is not filled with contents, it may be used to further facilitate cleaning.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ho have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10: 용기 111: 개폐부
112: 바닥면 113: 끼움홈
114: 수납부 115: 청소용 뚜껑
120: 주 뚜껑 121: 체결홈
122: 제1체결구 122a: 인입공
130, 142: 반출 도구 131, 142a: 도구 몸체
132, 142b: 손잡이 133: 보조 뚜껑
110: container 111: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bottom 113: fitting groove
114: housing 115: cleaning lid
120: main lid 121: fastening groove
122: first fastener 122a: incoming hole
130, 142: export tool 131, 142a: tool body
132, 142b: handle 133: auxiliary lid

Claims (9)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하는 도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며, 중심에 인입공을 갖는 제1체결구가 구비되어 있는 주 뚜껑; 및
상기 제1체결구의 인입공을 통과해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보관되며 상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퍼내는 도구 몸체와, 상기 도구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도구 몸체 사이에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1체결구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 뚜껑을 구비한 반출 도구;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 내부에는 상기 도구 몸체와 내용물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수납부를 구비하여, 상기 도구 몸체가 상기 수납부 내부에 삽입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In the container for carrying out a single tool, which is provided with a tool for unload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 container containing contents therein;
A main lid which opens and closes an open upper end of the container, and has a first fastening hole having a hole in the center thereof;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tool body and the handl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ool body and the tool body is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to pass through the opening of the first fastener and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the handle and the tool body And a carrying-out tool having an auxiliary lid having a second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fastener.
The container having a container inside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housing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tool body and the contents, the tool body is inserted and stored inside the housing.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하는 도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주 뚜껑; 및
상기 주 뚜껑의 하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에 보관되며 상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퍼내는 도구 몸체와 상기 주 뚜껑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손잡이를 구비한 반출 도구;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 내부에는 상기 도구 몸체와 내용물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수납부를 구비하여, 상기 도구 몸체가 상기 수납부 내부에 삽입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In the container for carrying out a single tool, which is provided with a tool for unload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 container containing contents therein;
A main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upper end of the container; And
And a carrying-out tool having a handle fixedly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lid and a tool body which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lid and is stored inside the container and to which contents are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 container having a container inside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housing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tool body and the contents, the tool body is inserted and stored inside the housing.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 형상의 수납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torage unit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respectively open, the container having a carry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to be fitted and assembled the tubular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 몸체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상기 끼움홈의 바닥면 사이에 해당하는 여유 높이만큼 길이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said tool body is extended in length by a clearance height corresponding between a bottom surface of said container and a bottom surface of said fitting groov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 도구를 바닥면에 놓을 때 상기 손잡이는 바닥면에 닿고 상기 도구 몸체는 떠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무게가 상기 도구 몸체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weight of the handle is relatively heavier than the tool body such that the handle touches the bottom and the tool body floats when the carrying tool is placed on the flo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 도구는 조립 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구 몸체는 상기 조립 코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도구 몸체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said carrying tool further comprises an assembling core, said tool body being detachably assembled to said assembling core, to enable replacement of said tool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구는 상기 주 뚜껑의 상면 중심에 형성된 체결홈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구는 상기 주 뚜껑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astener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lid, the first faste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does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li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면에는 개폐가 가능한 청소용 뚜껑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cleaning li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for carrying out a tool.
KR1020110047936A 2011-05-20 2011-05-20 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 KR101077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936A KR101077480B1 (en) 2011-05-20 2011-05-20 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936A KR101077480B1 (en) 2011-05-20 2011-05-20 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480B1 true KR101077480B1 (en) 2011-10-27

Family

ID=4503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936A KR101077480B1 (en) 2011-05-20 2011-05-20 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48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66B1 (en) * 2016-07-13 2018-11-27 이승용 The lid with retractable cover coupled with the tool part
KR102054877B1 (en) * 2018-06-20 2019-12-12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application member and contents are separated
KR200491413Y1 (en) 2018-09-27 2020-04-03 이승용 Handle for carring out tool
KR102096907B1 (en) * 2018-09-27 2020-04-03 이승용 Bottle cap with handle assembled into the cap
KR20200000705U (en) 2018-09-27 2020-04-06 이승용 Food container assembled with height adjustable carring out tool
KR200495701Y1 (en) * 2021-02-23 2022-07-27 김화서 Tumbler with teaspoon
KR20230000534U (en) * 2021-09-06 2023-03-14 (주)아우딘퓨쳐스 Cosmetics con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997Y1 (en) * 2002-06-20 2002-09-27 양성학 Receptacle for confection
KR100760675B1 (en) * 2006-01-05 2007-09-20 나인성 Cap attached spo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997Y1 (en) * 2002-06-20 2002-09-27 양성학 Receptacle for confection
KR100760675B1 (en) * 2006-01-05 2007-09-20 나인성 Cap attached spoo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66B1 (en) * 2016-07-13 2018-11-27 이승용 The lid with retractable cover coupled with the tool part
KR102054877B1 (en) * 2018-06-20 2019-12-12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application member and contents are separated
KR200491413Y1 (en) 2018-09-27 2020-04-03 이승용 Handle for carring out tool
KR102096907B1 (en) * 2018-09-27 2020-04-03 이승용 Bottle cap with handle assembled into the cap
KR20200000705U (en) 2018-09-27 2020-04-06 이승용 Food container assembled with height adjustable carring out tool
KR200495701Y1 (en) * 2021-02-23 2022-07-27 김화서 Tumbler with teaspoon
WO2022181964A1 (en) * 2021-02-23 2022-09-01 김화서 Tumbler provided with teaspoon
KR20230000534U (en) * 2021-09-06 2023-03-14 (주)아우딘퓨쳐스 Cosmetics container
KR200497386Y1 (en) 2021-09-06 2023-10-26 (주)아우딘퓨쳐스 Cosmetics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480B1 (en) Container having carring out tool
KR101319692B1 (en) A cosmetic case of cream type
JP2003165575A (en)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nner lid member for the powder storage container
KR101949516B1 (en) Lunch box
KR101249229B1 (en) Pumping case with shampoo and rinse
US20040211879A1 (en) Dripless ice cube making and bagging tray
KR101028302B1 (en) Kitchen knife stand
US7121415B1 (en) Utensil receptacle
KR101388807B1 (en) Removable type cover handle for cookware
CA2788979A1 (en) Food products serving and preserving device
KR101213047B1 (en) Ai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KR20140005944U (en) multipurpose tray
KR200465720Y1 (en) food waste basket
KR20090065593A (en) A spoon and chopsticks fixed meal plate
KR20080001059U (en) Paper box for package
KR101139365B1 (en) Vessel for sauce
KR200316999Y1 (en) Food storage container which has independent seal function for each of multiple contents and is easy to use.
KR200491413Y1 (en) Handle for carring out tool
KR200376306Y1 (en) a fishing spare bag
US9095634B2 (en) Constructive feature introduced in toothbrush hygiene device
EP2662302B1 (en) Container for used oils or other liquids, granular solids and small objects
KR20080004115U (en) A plastic container lid with a handle
RU149264U1 (en) CONTAINER COVER
US20130220916A1 (en) Device for easily removing products from vessels
KR20120069271A (en) Nest of box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