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540Y1 - 쓰레기 압축기 - Google Patents

쓰레기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540Y1
KR200344540Y1 KR20-2003-0036896U KR20030036896U KR200344540Y1 KR 200344540 Y1 KR200344540 Y1 KR 200344540Y1 KR 20030036896 U KR20030036896 U KR 20030036896U KR 200344540 Y1 KR200344540 Y1 KR 200344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device
shape
holding frame
main bod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범
이기중
Original Assignee
이기중
강윤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중, 강윤범 filed Critical 이기중
Priority to KR20-2003-0036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를 담는 쓰레기 봉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낭비되는 자원과 쓰레기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쓰레기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압축기는, 안쪽 하부 일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측 양쪽에 형성되는 형태유지틀이동장치와; 상기 형태유지틀이동장치의 단부에 고정되는 돌출편이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면서 형성되어 고정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형태유지틀과; 상기 형태유지틀의 상부에서 본체와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단부에서 중앙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더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중앙은 관통되게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쓰레기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형태유지틀로 낙하되도록 하는 안내대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압력판이동장치와; 상기 압력판이동장치의 단부에 고정되며, 형태유지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형태유지틀의 중공된 내부로 삽입되는 압축판과; 상기 형태유지틀과 압축판이 고정되는 형태유지틀이동장치와 압축판이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다수개의 스위치가 형성된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압축기{A garbage compression device}
본 고안은 쓰레기를 담는 쓰레기 봉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낭비되는 자원과 쓰레기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쓰레기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를 담는 쓰레기 봉투는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판매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사서 쓰레기를 버려야 하지만 일반 음식점, 대형의 점포, 학교 등과 같이 쓰레기 배출이 많은 곳에는 쓰레기 봉투의 사용량이 많아 쓰레기 봉투를 구입하는 비용이 많이 지출되기 때문에 최대한 배출되는 쓰레기를 최소의 부피를 줄여 쓰레기 봉투에 많은 양의 쓰레기를 버리도록 하고 있지만, 많은 양의 쓰레기를 한 봉투에 담을 수 있는 한계가 있어 쓰레기 봉투를 구입하는 비용을 줄일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쓰레기 압축기가 사용되고 있지만 기계가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사용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작이 쉽고 사용이 편리한 쓰레기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압축기는,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형성되고, 안쪽 하부 일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측 양쪽에 형성되는 형태유지틀이동장치와;
상기 형태유지틀이동장치의 단부에 고정되는 돌출편이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면서 형성되어 고정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형태유지틀과;
상기 형태유지틀의 상부에서 본체와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단부에서 중앙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더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중앙은 관통되게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쓰레기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형태유지틀로 낙하되도록 하는 안내대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압력판이동장치와;
상기 압력판이동장치의 단부에 고정되며, 형태유지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형태유지틀의 중공된 내부로 삽입되는 압축판과;
상기 형태유지틀과 압축판이 고정되는 형태유지틀이동장치와 압축판이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다수개의 스위치가 형성된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안내대가 고정대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안내대가 고정대에서 이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안내대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압축기의 형태유지틀이 상승된 상태에서 쓰레기 봉지가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형태유지틀에 의해서 고정된 쓰레기 봉지에 쓰레기가 채워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압축판이 하강하여 쓰레기를 압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압축판에 의해서 쓰레기가 최대로 압축되면서 쓰레기가 최대한 채워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압축판이 쓰레기를 누르는 상태에서 형태유지틀이 상승하여 쓰레기 봉투를 이탈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바퀴
120 : 고정대 121 : 고정홈
200 : 형태유지틀이동장치 300 : 형태유지틀
310 : 돌출편 400 : 안내대
410 : 힌지 420 : 관통공
430 : 로울러 500 : 압축판이동장치
510 : 압축판 600 : 상부센서
700 : 하부센서 800 : 압력게이지
900 : 콘트롤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압축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수개의 바퀴(110)가 고정되는 본체(100)로 형성된다.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0)의 내부 상측 양쪽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로 형성되는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 상측 양쪽에 형성되는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의 단부에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형태유지틀(300)이 고정된다.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의 단부와 연결되는 형태유지틀(30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유지틀(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편(310)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로 연장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편(310)에 의해서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의 단부에 고정되는 형태유지틀(300)은 유압실린더로 형성되는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게 형성한다.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형태유지틀(300)이 놓여지는 본체(10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센서(600)와 하부센서(70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상부센서(600)와 하부센서(700)는 형태유지틀(300)이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에 의해서 이동될 때 형태유지틀(300)이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에 의해서 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을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센서(600)와 하부센서(700)에 의해 본체(10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되는 형태유지틀(300)의 상부에는 형태유지틀(300)의 내부로 쓰레기를 유입시키는 관통공(420)이 중앙에 형성된 안내대(400)를 고정한다.
형태유지틀(300)의 중공된 내부로 쓰레기를 유입시키는 안내대(40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측과 힌지(410)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며, 힌지(410)와 연결된 반대쪽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21)이 형성된 고정대(120)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안내대(400)의 하부에는 로울러(430)를 형성하여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안내대(400)의 로울러(430)가 본체(100)에서 돌출되는 고정대(120)의 고정홈(121)에 삽입되면서 형태유지틀(30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형태유지틀(300)의 내부로 쓰레기를 유입시키는 안내대(400)는 쓰레기를 형태유지틀(30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단부에서 중앙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더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안내대(400)로 떨어지는 쓰레기가 경사면을 타고 중앙의 관통공(420)을 통해 형태유지틀(3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안내대(400)에 의해서 쓰레기가 유입되는 형태유지틀(3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가 형성되는 본체(100)의 내부 상측 중앙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판이동장치(500)를 고정한다.
본체(100)의 내부 상측 중앙에 형성되는 압축판이동장치(500)는 유압실린더로 형성하며, 단부에는 형태유지틀(3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축판이동장치(500)에 의해서 형태유지틀(300)의 중공된 내부로 삽입되는 압축판(510)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내부 상측 중앙과 양쪽에는 압축판이동장치(500)와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에 의해서 이동되는 형태유지틀(300)과 상기 형태유지틀(3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압축판(510)이 형성되는 본체(100)의 전면에는 압축판이동장치(500)의 압축판(510)이 일정한 압력으로 형태유지틀(300)의 내부를 가압하도록 압력게이지(800)를 형성하여 압축판이동장치(500)가 일정압력 이상으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면에 압축판이동장치(500)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게이지(800)가 형성되는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압력게이지(800)와 압축판이동장치(500) 및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를 제어하는 다수개의 스위치가 형성된 콘트롤부(90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사용할 때는 먼저 형태유지틀(300)의 상부에 놓여진 안내대(400)를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안내대(400)가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형태유지틀(300)의 상부에서 벗어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부(90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압축판이동장치(500)를 작동시켜 형태유지틀(300)이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와 연결된 돌출편(310)에 의해서 상승되도록 한다.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에 의해서 형태유지틀(300)이 상승될 때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상부센서(600)에 형태유지틀(300)의 돌출편(310)이 걸리면서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의 작동이 멈춰 형태유지틀(300)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형태유지틀(300)이 상부센서(600)에 의해서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면 형태유지틀(300)의 하부에서 부터 쓰레기 봉지(320)로 형태유지틀(300)을 감싸면서 삽입한다.
이때, 돌출편(310)은 형태유지틀(300)의 상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쓰레기 봉지(320)는 돌출편(310)과 관계없이 형태유지틀(300)의 상부까지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쓰레기 봉지(320)가 형태유지틀(300)에 삽입되면 다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를 작동시켜 형태유지틀(300)을 본체(100)의 바닥까지 하강시킨다.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에 의해서 형태유지틀(300)이 본체(100)의 바닥까지 하강할 때 형태유지틀(300)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편(310)이 하부센서(700)에 걸리면서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를 정지시켜 형태유지틀(300)이 본체(100)의 바닥에 눌리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형태유지틀(300)에 쓰레기 봉지(320)가 삽입된 상태로 하강되면 안내대(400)를 다시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힌지(410)를 중심으로 안내대(400)를 회전시킬 때 힌지(410)의 반대쪽 하부에 형성되는 로울러(430)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대(120)의 고정홈(121)에 삽입되면서 안내대(400)가 형태유지틀(300)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안내대(400)가 형태유지틀(300)의 상부에 고정되면 안내대(400)의 관통공(420)을 통해 쓰레기를 버려 쓰레기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 봉지(320)에 감싸진 형태유지틀(300)에 쌓이도록 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유지틀(300)의 내부에 쓰레기가 많이 쌓이면 안내대(400)를 다시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쓰레기가 형태유지틀(300)의 내부에 쌓인 상태에서 안내대(400)가 회전되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부(900)를 조작하여압축판이동장치(500)로 압축판(510)을 하강시킨다.
압축판이동장치(500)에 의해서 압축판(510)이 하강되면서 형태유지틀(300)의 내부로 삽입되면 형태유지틀(300)의 내부에 쌓여진 쓰레기가 압축판(510)에 의해서 압축된다.
이때, 쓰레기가 압축되면서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쓰레기가 가압되면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압력게이지(800)가 작동하여 압축판이동장치(5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형태유지틀(300)의 내부에 쌓여진 쓰레기가 압축되면 압축판이동장치(500)를 작동시켜 압축판(510)을 형태유지틀(300)의 내부에 빼고 다시 안내대(400)를 형태유지틀(300)의 상부에 고정시켜 쓰레기를 다시 쌓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쓰레기가 어느 정도 쌓이면 압축판(510)으로 쓰레기를 압축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쓰레기가 더 이상 압축되지 않고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이 쌓이면 압축판(510)으로 쓰레기를 누른 상태에서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를 작동시켜 형태유지틀(300)을 상부로 상승시킨다.
형태유지틀이동장치(200)를 작동시켜 형태유지틀(300)이 상부로 상승되면서 쓰레기가 쓰레기 봉지(320)에 담겨지면 압축판(510)을 상승시켜 쓰레기 봉지(320)을 본체(100)의 밖으로 빼낸 뒤 쓰레기 봉지(320)를 묶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압축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형태유지틀에 의해서 고정된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를 담고 압축판으로 눌러 부피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쓰레기 봉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쓰레기 봉투의 사용량이 줄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콘트롤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압축판과 형태유지틀을 조절하기 때문에 조작이 쉽고 편리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형성되고, 안쪽 하부 일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측 양쪽에 형성되는 형태유지틀이동장치와;
    상기 형태유지틀이동장치의 단부에 고정되는 돌출편이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면서 형성되어 고정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형태유지틀과;
    상기 형태유지틀의 상부에서 본체와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단부에서 중앙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더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중앙은 관통되게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쓰레기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형태유지틀로 낙하되도록 하는 안내대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압력판이동장치와;
    상기 압력판이동장치의 단부에 고정되며, 형태유지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형태유지틀의 중공된 내부로 삽입되는 압축판과;
    상기 형태유지틀과 압축판이 고정되는 형태유지틀이동장치와 압축판이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다수개의 스위치가 형성된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대에서 본체와 힌지로 연결되는 반대쪽 하부에는 로울러를 형성하고 본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대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안내대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고정대의 삽입홈에 로울러가 삽입되면서 안내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이동장치와 형태유지틀이동장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축기.
KR20-2003-0036896U 2003-11-26 2003-11-26 쓰레기 압축기 KR200344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896U KR200344540Y1 (ko) 2003-11-26 2003-11-26 쓰레기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896U KR200344540Y1 (ko) 2003-11-26 2003-11-26 쓰레기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540Y1 true KR200344540Y1 (ko) 2004-03-11

Family

ID=4934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896U KR200344540Y1 (ko) 2003-11-26 2003-11-26 쓰레기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5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6934A (en) Compactor for automotive oil filter with support frame
US4991500A (en) Refuse compactor device
CN110451136B (zh) 一种具有垃圾分类指导功能的生活垃圾分类桶
KR200344540Y1 (ko) 쓰레기 압축기
KR100756543B1 (ko) 쓰레기 압축장치
CN112978151A (zh) 一种用于干湿分层去除水分的收集装置
KR100940520B1 (ko) 쓰레기 압축장치를 구비한 쓰레기통
CN109095038A (zh) 智能控制垃圾箱
KR200436616Y1 (ko) 쓰레기 압착기
CN208603118U (zh) 一种方便使用的垃圾存储装置
CN11174698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垃圾桶及使用方法
CN107811371B (zh) 一种手提包定型用塞纸团装置
KR100417734B1 (ko) 화장용 분말의 자동압축 성형장치
KR200252443Y1 (ko) 쓰레기 봉투용 압착장치
CN212638632U (zh) 一种新型垃圾压缩箱
KR200311270Y1 (ko) 쓰레기 압축 수거기
KR102561950B1 (ko) 쓰레기를 압축하는 쓰레기통
KR100629420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062942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CN220244350U (zh) 一种隔离式垃圾减量装置
CN109665235A (zh) 一种环境治理垃圾回收桶
CN212100374U (zh) 一种病房护理用医疗垃圾收集装置
CN211002943U (zh) 一种环保废品回收装置
CN2709384Y (zh) 立式压缩全封闭落地式垃圾中转装置
CN218173422U (zh) 一种带有祛除异味的垃圾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