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496Y1 -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496Y1
KR200344496Y1 KR20030034334U KR20030034334U KR200344496Y1 KR 200344496 Y1 KR200344496 Y1 KR 200344496Y1 KR 20030034334 U KR20030034334 U KR 20030034334U KR 20030034334 U KR20030034334 U KR 20030034334U KR 200344496 Y1 KR200344496 Y1 KR 200344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using
target
target plate
a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34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20030034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덮개가 상부에 장착되고, 조명등의 광투과가 가능하도록 반투명의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하우징; 하우징 표면에 원주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각각 동일크기별 및 서로 다른 크기별로 배열되는 표적판; 레이져 발사기의 출사 레이져광에 피격/명중되어 수광하도록 표적판별로 배치되는 수광기; 조명등이 외부 광량에 기초하여 점등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표면에 부착되는 광감지센서; 각 수광기의 수광신호를 기초로 명중율을 집계하고, 광감지센서의 광감지신호를 기초로 조명등에 대한 전원부의 전원공급을 결정하도록 하우징에 수용되고, 수광기 및 광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명중율 집계를 표시하도록 하우징에 부착되고,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븐세그먼트부;를 포함하며, 각 표적판은 조준실거리를 크기로 변환하고 조준실거리에 기초한 조준높이에 대응하도록 조준실거리에 비례하는 크기로 구분되고, 조준높이에 기초하여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광전변환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덮개의 표면에 부착되고, 축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A Shooting Training Target Device Of A Laser Light Sensing Structure}
본 고안은 레이져광을 수광/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표적에 대한 명중을 판별하여 표시하는 사격용 표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표면에 조준실거리 및 조준높이에 기초하여 배치된 표적판을 포함하고, 표적판에 대한 명중율이 집계되고 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 및 세븐세그먼트를 갖으며, 태양전지판의 구비로 광전변환에 의한 소비전력의 수급이 가능한 구조의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격 연습을 통해 사격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식으로는 이동식 표적 구조를 사용하는 것과, 고정식 표적 구조를 사용한 것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고정식 표적 구조는 그 조준 실거리에 따라 표적을 배치하거나 일정한 거리에 두고 표적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으로 구분되며, 통상 인간의 형상구조를 모방한 판재를 표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종래의 표적용 판재를 사용하는 사격 연습용 표적 구조는, 사격연습이 반복되고 이에 따라 표적용 판재가 훼손될 경우에 이를 정기적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등의 보수/유지관리 측면이 필요하고, 또한 표적용 판재의 잦은 교체로 유지관리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그 표적용 판재의 배치구조가 조준 실거리 및 조준높이(또는 조준자세)에 기초한 실측적인 측면에서 볼 때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사격능력의 정확한 타진이 어렵고, 사격 이후 명중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표적용 판재의배치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표적용 판재가 사격자의 위치까지 이송되는 구조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이송장치 구조의 마련을 위한 비용추가 측면과, 이송장치 구조의 설치 및 유지관리 측면이 필요하므로, 부대비용의 상승이라는 별도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조준 실거리 및 조준높이에 따라 명확히 구분/배열된 표적판을 구비하여 사격연습의 정밀성을 증진시키고, 명중여부를 해당 표적판별로 구비된 LED의 점등으로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구조의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명중율에 대한 집계 및 집계의 결과를 숫자로서 표시하여 사격능력의 증감여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반투명한 하우징 내부에 외부 광량에 기초하여 점멸되는 조명등이 수용되어 야간에도 사격연습이 가능한 구조의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들은, 덮개가 상부에 장착되고, 조명등의 광투과가 가능하도록 반투명의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하우징; 하우징 표면에 원주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각각 동일크기별 및 서로 다른 크기별로 배열되는 표적판; 레이져 발사기의 출사 레이져광에 피격/명중되어 수광하도록 표적판별로 배치되는 수광기; 조명등이 외부 광량에 기초하여 점등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표면에 부착되는 광감지센서; 각 수광기의 수광신호를 기초로 명중율을 집계하고, 광감지센서의 광감지신호를 기초로 조명등에 대한 전원부의 전원공급을 결정하도록 하우징에 수용되고, 수광기 및 광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명중율 집계를 표시하도록 하우징에 부착되고,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븐세그먼트부;를 포함하며, 각 표적판은 조준실거리를 크기로 변환하고 조준실거리에 기초한 조준높이에 대응하도록 조준실거리에 비례하는 크기로 구분되고, 조준높이에 기초하여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에 구비된 축전지에 태양광의 광전변환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축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광신호가 송출된 해당 수광기의 표적판에 대한 명중을 점등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각 크기별로 구분된 상기 각 표적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표시 LED, 제 2표시 LED 및 제 3표시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모양,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표적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표적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우징, 110: 덮개, 110a: 태양전지판,
120: 지지다리, 120a: 높이조절나사, 120b: 높이조절구,
310: 제 1표적판, 320: 제 2표적판, 330: 제 3표적판,
410: 제 1수광기, 420: 제 2수광기, 430: 제 3수광기,
510: 제 1표시LED, 520: 제 2표시LED, 530: 제 3표시LED,
600: 세븐세그먼트부, 700: LED 어레이, 800: 제어부,
810: 전원부, 810a: 축전지, 820: 광감지센서,
830: 조명등 , 900: 리모컨, 910: 적외선 수광모듈,
1000: 표적장치, 2000: 레이져 발사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표적장치(10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표적장치(1000)는, 원통형의 하우징(100) 표면에 조준 실거리 및 조준높이별로 크기 및 배치높이가 구분된 각 표적판(310,320,330)이 부착된 장치이다. 이 때 각 표적판(310,320,330)에는 레이져 발사기(2000) 구조의 총기에서 레이져 광이 출사되고 이를 감지/수광하기 위한 수광기(410,420,430)가 배치되고, 수광됨에 따라 명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LED(510,520,530)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표적장치(1000)는, 불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반투명한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표면에 원주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표적판(310,320,330)과, 각 표적판(310,320,330) 별로 구비되는 각 수광기(410,420,430) 및 각 수광기(410,420,430)의 수광신호에 기초하여 하우징(100)의 표면에 부착된 세븐세그먼트부(600)에서 명중율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8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각 표적판(310,320,330)의 하부에는 수광기(410,420,430)에서 레이져 광을 감지/수광함에 따라 명중임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수광기(410,420,430)의 수광신호가 제어부(800)에 송출되면서 점등되는 각 표시LED(510,520,530)가 배치되어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각 구성요소에 태양광의 광전변환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부(800)에 연결된 전원부(810)에는 축전지(810a)가 구비되고, 축전지(810a)에는 하우징(100)의 상부 덮개(110)에는 태양전지판(110a)이 구비된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원통형으로 지면에 연직하게 세워져 배치되며, 이를 위해 하부에는 3개의 지지다리(120)가 180°간격별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다리(120)는 이중의 중공축 구조이고 하단 테두리에는 지지구조의 안정성을 위해 외곽으로 연장된 플랜지 구조를 갖는데, 하나에 다른 하나가 삽입되면서 하우징(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조절된 당해 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다리(120)에는 높이조절구(120b)가 높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관통되고, 해당 높이조절구(120b)에 삽입되는 높이조절나사(120a)가 구비된다.
하우징(100)은 반투명한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고, 높이는 약 88cm 정도, 외경은 약 58cm 정도이다. 상부에는 원뿔 형상의 덮개(110)가 결합되어 있으며, 강우나 강설시 하우징(100)을 보호하기 위해 덮개(110)의 하부 외경은 하우징(10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하단 테두리가 외곽으로 연장된 플랜지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덮개(11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태양전지판(110a)이다. 태양전지판(110a)은 제어부(800)의 전원부(810)에 구비된 축전지(8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판(110a)이 태양광을 수광하고 광전변환을 통해 전력을 축전지(810a)에 공급하게 되면서 축전지(810a)의 축전된 전력이 표적장치(1000)의 작동전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태양광이 태양전지판(110a)에서 수광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코드선(미도시)이 전원부(810)에는 별도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에서 그 외주연 표면에 다수 배열된 것이 각 표적판(310,320,330)이다. 각 표적판(310,320,330)은 그 크기가 상/중/하로 구분되어 가장 높게 배치된 것이 제 1표적판(310)이고, 가장 아래에 배치된 것이 제 3표적판(330)이며, 제 1표적판(310)과 제 3표적판(330)의 사이에 배치된 것이 제 2표적판(320)이다. 각 표적판(310,320,330)은 하우징(100)의 외주연 표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동일한 크기별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가장 상부에 위치한 것이 제 1표적판(310)으로서, 약 250m 조준 실거리에 대응하여 가장 큰 크기를 갖고 있으며, 인체의 머리와 몸통부위까지를 형상화한 형상을 갖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5개의 제 1표적판(310)이 하우징(10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렬을 이루고 있으며, 인체의 머리에 해당되는 부위에 배치된 것이 제 1수광기(410)이다. 이와 같은 제 1표적판(310)은 250m 조준 실거리에 대응하게 배치된 것으로, 상기 실거리에서의 실제 사격시 사격자가 지면으로부터 완전히 선 조준자세를 취하므로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표적판(31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것이 제 2표적판(320)이다. 각 제 2표적판(320)은, 5개가 배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는데, 바로 위의 제1표적판(310)과 더불어 하우징(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 2표적판(320)은 200m 조준 실거리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상기 실거리에서의 실제 사격시 사격자가 지면에 무릅을 꿇은 조준자세를 취하게 되므로 가장 위에 위치한 제 1표적판(310)과 가장 아래에 위치한 제 3표적판(3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2표적판(320)에는 인체의 머리와 몸통부위를 형상화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제 1표적판(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상기 몸통부위에 배치된 것이 제 2수광기(420)이다.
아울러 제 2표적판(320)의 아래에 배치된 것이 5개의 제 3표적판(330)이다. 제 3표적판(330)은 제 1표적판(310) 및 제 2표적판(320)과 더불어 하우징(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 3표적판(330)은 인체의 머리부분과 가슴부분을 형상화한 형상이며, 각 표적판(310,320,330) 중 가장 작은 크기를 갖는다. 제 3표적판(330)에서 인체의 가슴에 해당하는 부분에 있는 것이 제 3수광기(430)이다. 제 3표적판(330)은 100m의 조준 실거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준 실거리에서는 실제 사격시 조준자세가 누운자세이므로, 상기와 같이 가장 낮은 높이에 배치된다.
이 때 각 표적판(310,320,330)이 하우징(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열에서는 각 표적판(310,320,330)은 약 20cm 정도의 배치간격을 갖고, 하우징(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열에서는 약 12cm 정도의 배치간격을 갖고 정렬되어 있다. 이렇게 정렬된 각 표적판(310,320,330)은 하우징(100)의 높이방향 및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5열 및 3열로 배치되어 총 15개의 각 표적판(310,320,330)이 열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각 표적판(310,320,330)의 하부에는 각 수광기(410,420,430)로 정확하게 레이져광이 입사/수광될 경우 명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LED(510,520,530)가 배치되어 있다. 각 표시LED(510,520,530)는 제 1표적판(310), 제 2표적판(320), 제 3표적판(330) 별로 제 1표시LED(510), 제 2표시LED(520), 제 3표시LED(530)로 구분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 수광기(410,420,430) 및 각 표시LED(510,520,530)는 모두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제어부(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 수광기(410,420,430) 중 레이져광에 의해 피격/명중되고 수광신호를 송신할 경우 제어부(800)에서 이를 수신하고 해당 표적판(310,320,330)의 표시LED(510,520,530)가 점등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명중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어부(800)에는 세븐세그먼트부(6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세븐세그먼트부(600)는 각 표적판(310,320,330)이 배치된 하우징(100) 표면영역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데, 제어부(800) 내에는 카운터 회로가 실장되어 카운터 회로에서 제어부(800)에 수신된 상기 수광신호를 기초로 명중율을 집계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명중율을 세븐세그먼트를 통해 숫자(명중개수)로서 표시함으로써, 명중율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세븐세그먼트부(600)의 상부에는 5개의 LED로 이루어진 LED 어레이(700)가 배치되어 있는데, 가장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각 LED가 순차적으로점등(또는 점등 후 소등)되면서 가장 좌측의 LED는 초기상태, 그리고 나머지 4개의 LED는 사격개시시간을 알리게 된다. 만일 이러한 사격개시시간을 알리는 4개의 LED가 모두 점등된 뒤 조준한 수광기(410,420,430)에 레이져 광이 입사되면, 비록 명중되었더라도 명중으로 집계되지 않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800)에는 타이머(800a)가 연결되어 있고, 타이머(800a)가 작동되면서 LED 어레이(700)가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점등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타이머(800a)의 작동시간이 종료되면, 각 수광기(410,420,430)의 작동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명중되더라도 수광 및 감지가 안되기 때문에, 명중으로 집계되지 않게 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어부(800)에 연결된 전원부(810)에는, 축전지(810a)가 구비되어 있고, 축전지(810a)에는 앞에서 언급된 태양전지판(110a)이 연결되어 있다. 태양전지판(110a)은,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된 덮개(11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어 태양광을 접하기에 용이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러한 전원부(810)에는 외부에서 전력을 수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코드가 마련되어 있는데, 축전지(810a)가 태양전지판(110a)으로부터 광전변환을 통해 전력을 수급하여 축전하였다가 표적장치(1000)의 소요전력으로 이용하고, 만일 축전지(810a)의 축전량이 모두 소비될 경우에는 전원코드를 통해 외부의 전력을 수급하여 작동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각 표적판(310,320,330)의 후방으로 조명등(830)이 배치되어 있다. 조명등(830)은 외부 광량에 기초하여 점등되는데, 즉 어두워지면 점등되고 밝으면 소등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광감지센서(820)가세븐세그먼트부(6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광감지센서(820)는 제어부(80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800)에서 광감지센서(82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외부 광량의 크기를 판별하고, 제어부(800)에 설정된 기준광량과 비교하여 이보다 작을 경우 전원부(810)를 통해 각 조명등(83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결국 외부 광량에 기초하여 조명등(830)의 점등여부가 결정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세븐세그먼트부(600)의 하부에서, 광감지센서(820)의 좌측으로 배치된 것이 적외선 수광모듈(910)이다. 적외선 수광모듈(910)은, 무선 리모컨(900)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받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표적장치(1000)는 리모컨(900)으로 외부에서 ON/OFF 및 초기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적외선 수광모듈(910)은 제어부(800)에 연결되어 있고, 리모컨(900)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받게 되면,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800)는 표적장치(100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리모컨(900)에는 표적장치(1000)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ON/OFF 스위치(900a), 초기화 스위치(900b), 조명등(830)의 광량을 외부 광량과 상관없이 조절하기 위한 3개의 단계별 광량조절 스위치(900c)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명등(830)의 단계적인 광량 조절은 전원부(810)에서 조명등(830)으로 제공되는 전원의 전압조절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표적장치(100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어레이(700)를 통해 초기상태, 사격개시시간 등을 알리는 각 LED의 점등(또는 점등 후 소등)이 차례대로 이루어진다.
먼저 LED 어레이(700)에서 초기상태를 알리는 가장 좌측의 LED가 점등되고 이후 소등된다. 그리고 우측으로 배열된 4개의 LED가 차례대로 점등되는데, 각 LED는 사격술에서 탐지-조준-발사-제압 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사격자는 초기상태를 알리는 첫번째 LED의 점등 및 소등 이후 두번째 LED가 점등되고 다섯번째 LED가 점등되기까지 사격을 완결해야 한다.
아울러 사격을 진행할 경우 레이져 광을 출사할 수 있는 레이져 발사기(2000)를 들고 100m 조준 실거리에 해당되는 제 3표적판(330)부터 사격하기 시작한다. LED 어레이(700)에 사격개시를 알리는 두번째 LED가 점등되면, 사격자는 레이져 발사기(2000)로 제 3표적판(330)의 제 3수광기(430)를 조준하고, 레이져 광을 출사한다. 이 때 만일 조준한 제 3수광기(430)에 레이져 광이 명중할 경우 해당 제 3수광기(430)의 수광신호는 제어부(800)로 송출되고 카운터 회로에서 집계된다. 그리고 세븐세그먼트부(600)에서 명중개수를 숫자로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명중됨으로 인해 수광신호가 제어부(800)에 송출되면, 해당 제 3표적판(330)의 하부에 배치된 제 3표시LED(530)가 점등되기 때문에, 먼거리에서도 명중임을 식별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표적판(330)에 대한 사격연습이 끝나면, 같은 방식으로 제 2표적판(320) 및 제 3표적판(330)에 대한 사격연습을 계속할 수 있다.
만일 야간에 사격이 진행될 경우, 광감지센서(820)에서 외부 광량을 감지하고, 제어부(800)에서는 기준광량과 비교하여 조명등(830)에 전원부(810)의 전원공급을 지령하게 된다. 조명등(830)은 각 표적판(310,320,330)의 후방으로하우징(100)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100)은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반투명한 강화플라스틱 재질이므로, 각 표적판(310,320,330)의 주변이 밝아지게 된다. 그리고 각 표적판(310,320,330)은 조명등(830)의 전방에서 조명등(830)의 빛을 가리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게 된다.
만일 초보자의 사격연습을 위해 보다 밝게 할 경우 또는 보다 높은 강도의 사격연습을 위해 더 어두운 환경을 조성할 경우 리모컨(900)으로 각 광량조절 스위치(900c)를 눌러 조명등(830)의 조명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표적장치(1000)를 들고 이동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양측부의 함입부분으로 힌지결합된 손잡이(100a)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측에서 각 손잡이(100a)를 잡고 표적장치(1000)를 들어올린 후 사격자로부터 일정거리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만일 이러한 일정거리에서 표적장치(1000)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리모컨(900)의 ON/OFF 스위치(900a)를 눌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표적장치(1000)에서, 하우징(100)의 형상은 원통형 이외에, 사각, 타원형의 통 구조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지지다리(120)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판(110a)이 덮개(110)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지만 이외에, 각 표적판(310,320,330)이 부착되지 않은 구역에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에 따르면, 명중을 표시하는 LED의 구비로 명중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명중율을 표시하는 세븐세그먼트의 구비로 사격능력의 증감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조명등이 내부에 수용되어 야간에도 사격연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외경이 하우징 보다 더 큰 덮개의 구비로 강우나 강설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태양전지판을 구비하여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구조이므로, 낮은 소비전력으로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3)

  1. 상대적으로 하부 외경이 더 큰 원뿔형 덮개(110)가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된 조명등(830)의 광투과가 가능하도록 반투명의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표면에 원주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각각 동일크기별 및 서로 다른 크기별로 배열되는 제 1표적판(310), 제 2표적판(320) 및 제 3표적판(330);
    레이져 발사기(2000)의 출사 레이져광에 피격/명중되어 수광하도록 상기 각 표적판(310,320,330) 별로 배치되는 제 1수광기(410), 제 2수광기(420) 및 제 3수광기(430);
    상기 조명등(830)이 외부 광량에 기초하여 점등될 수 있도록 외부 광량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표면에 부착되는 광감지센서(820);
    상기 각 수광기(410,420,430)의 수광신호를 기초로 명중율을 집계하고, 상기 광감지센서(820)의 광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조명등(830)에 대한 전원부(810)의 전원공급을 결정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수용되고, 상기 각 수광기(410,420,430) 및 광감지센서(8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800); 및
    상기 제어부(800)의 명중율 집계를 숫자로 표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어부(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븐세그먼트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각 표적판(310,320,330)은, 조준 실거리를 크기로 변환하고 상기 조준 실거리에 기초한 조준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조준 실거리에 비례하는 크기로 구분되고, 상기 조준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810)에 구비된 축전지(810a)에 태양광의 광전변환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110)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축전지(81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판(110a)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수광신호가 송출된 해당 수광기(410,420,430)의 표적판(310,320,330)에 대한 명중을 점등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각 크기별로 구분된 상기 각 표적판(310,320,3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표시LED(510), 제 2표시LED(520) 및 제 3표시LED(5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
KR20030034334U 2003-11-03 2003-11-03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 KR200344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4334U KR200344496Y1 (ko) 2003-11-03 2003-11-03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4334U KR200344496Y1 (ko) 2003-11-03 2003-11-03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496Y1 true KR200344496Y1 (ko) 2004-03-11

Family

ID=4105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4334U KR200344496Y1 (ko) 2003-11-03 2003-11-03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4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1813A1 (en) * 2007-09-05 2009-03-12 Min Hee Oh Quick counterattack shooting training system using laser shooter, and method of the same
KR200456043Y1 (ko) * 2008-04-11 2011-11-10 쓰리아이피 주식회사 Bb탄용 전자타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1813A1 (en) * 2007-09-05 2009-03-12 Min Hee Oh Quick counterattack shooting training system using laser shooter, and method of the same
KR200456043Y1 (ko) * 2008-04-11 2011-11-10 쓰리아이피 주식회사 Bb탄용 전자타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5715A1 (en) Hyperbright motion flood light
US20190041172A1 (en) Impact indication system
EP2896437A2 (en) Ball having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US20150151178A1 (en) Illuminating lacrosse shaft
CA2524065C (en) Sighting device
WO1999064782A1 (en) Motion actuated night light
US8359757B1 (en) Illuminating carpenter&#39;s level
EP4215804A1 (en) Solar garden light stick
US20090180280A1 (en) Multi-action, battery-powered, trigger-activated lighting system
US20190323686A1 (en) Led light and light support
KR200344496Y1 (ko) 레이져광 감지구조의 사격연습 표적장치
KR101046962B1 (ko) 조도 반응형 낚시 찌
US20090206759A1 (en) Controlling system for illumination of a golf cours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6175302U (zh) 一种人体感应控制吊扇
US6505951B1 (en) Wall-mountable, battery-operated light-emitting device
US5370387A (en) Golf ball/fluorescent object locator
CN204241706U (zh) 红外感应微孔板指示仪
US9630063B1 (en) Light-activated illuminated golf ball
CN212567148U (zh) 冬季两项光电靶
CN105435435A (zh) 一种篮球架
WO2003033084A1 (fr) Marqueur a del pour parcours de golf et procede de marquage a del pour parcours de golf dans lequel ledit marqueur est utilise
US10197265B2 (en) Light device for flying disc target
KR101551754B1 (ko) 화살장치
WO2003033083A1 (fr) Indicateur stroboscopique destine au reperage d&#39;un terrain de golf et procede stroboscopique de terrain de golf utilisant cet indicateur
KR20120009306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골프장용 홀컵 조명장치 및 조명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